KR100563414B1 - 논물 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논물 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414B1
KR100563414B1 KR1020040071340A KR20040071340A KR100563414B1 KR 100563414 B1 KR100563414 B1 KR 100563414B1 KR 1020040071340 A KR1020040071340 A KR 1020040071340A KR 20040071340 A KR20040071340 A KR 20040071340A KR 100563414 B1 KR100563414 B1 KR 100563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control
cylindrical housing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502A (ko
Inventor
최규갑
Original Assignee
최규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갑 filed Critical 최규갑
Priority to KR102004007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4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뚝에 설치되어 논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논물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수위조절장치는 원통형 하우징(10)의 정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후면 하단에 배수구(13)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상부 개구부(15)를 통해 수위조절통(30)이 끼워지므로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이 일치되고, 상기 수위조절통(30)의 원주면이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의 일부를 막음으로서, 상기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에 의해 논물의 수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물 수위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level of rice fie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수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수위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수위조절장치가 논뚝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수위조절구멍이 유입구와 일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통을 도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도 6은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이 유입구와 일치된 상태를 도시하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 2 보조 수위조절구멍이 유입구와 일치된 상태를 도시하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원통형 하우징 11 : 유입구
13 : 배수구 19 : 날개부
21 : "T"형 받침대 23 : 기준선 돌기
30 : 수위조절통 31 : 수위조절구멍
33 :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 35 : 제 2 보조 수위조절구멍
70 : 캡
본 발명은 논뚝에 설치되어 논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논물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하우징에 장착된 수위조절통을 돌려 수위조절통의 수위조절구멍을 원통형 하우징의 유입구에 일치시키므로서, 원하는 논물의 수위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캡에 의해 수로의 물이 논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논물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0605호(2003년 7월 7일 등록)에 "논두렁용 물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논두렁용 물꼬는 중앙에 일정폭으로 형성되는 수로부와, 이 수로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논두렁의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수로부의 중앙에 수로부의 형상을 따라 가로질러 형성되는 슬롯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단은 상기 몸체의 수로부의 상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슬롯으로부터 상하로 출몰되게 끼움 설치되는 수위조절판과,
상기 몸체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슬롯내로 상기 수위조 절판을 수용 수납하는 공간부와, 상기 그 좌우 양측 소정위치에서 탄력적으로 출몰되는 1쌍의 걸림돌기들을 구비하여 이 걸림돌기들이 상기 수위조절판의 걸림홈들에 대응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수위조절판의 출몰 길이를 조절하게 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논두렁용 물꼬는 진흙을 많이 함유한 논물이 수위조절판을 넘어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 수위조절판의 걸림홈에 진흙이 쌓일 경우, 상기 진흙이 굳어 수위조절판을 하우징에 넣거나 빼지 못하게 되고, 여름철 폭우 등에 의해 불어난 수로의 물이 논으로 논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하우징에 장착된 수위조절통을 돌려 수위조절통의 수위조절구멍을 원통형 하우징의 유입구에 일치시키므로서, 원하는 논물의 수위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캡에 의해 수로의 물이 논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논물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수위조절장치(1)는 원통형 하우징(10)의 정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후면 하단에 배수구(13)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상부 개구부(15)를 통해 수위조절통(30)이 끼워지므로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 상기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이 일치되고, 상기 수위조절통(30)의 원주면이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의 일부를 막음으로서, 상기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에 의해 논물의 수위가 결정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은 유입구(11)의 양측부에 장착된 날개부(19)와,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을 논뚝에 고정하기 위해 유입구(11) 반대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T"형 받침대(21)와, 상기 "T"형 받침대(2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구(13)와,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이 논뚝에 묻히는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11)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준선 돌기(23)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논물 수위조절장치(1)를 논뚝(50)에 설치하였을 때,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둘레를 감싸는 흙이 논물에 의해 패이거나 씻겨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T"형 받침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논뚝(50)에 원통형 하우징(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위조절통(3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부면(41)에 의해 밀폐되고, 하단에 개구부(43)가 형성되고, 원주면에 수위조절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위조절구멍(31)의 측부에 상기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 보다 하단선(33a)이 높게 형성된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33)이 형성되며, 상기 수위조절구멍(31)과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33) 사이에 제 2 보조 수위조절구멍(35)이 형성되며, 원통형 하우징(10)의 림(25)에 걸리도록 상단에 스톱퍼 테두리(37)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손잡이(39)가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에 수위조절통(3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이 기준선 돌기(23)보다 항상 높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논물 수위조절장치의 사용예를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가 논을 향하고, 배수구(13)가 수로를 향하도록 논물 수위조절장치(1)를 논뚝(50)에 묻는다. 이때, 원통형 하우징(10)의 기준선 돌기(23)의 높이까지 원통형 하우징(10)을 묻고, 논물이 소정의 수위(h1)를 갖도록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을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와 일치시킨다.
이것에 의해, 논바닥에는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까지 소정의 수위(h1)로 물이 채워지고, 상기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을 넘는 물은 수위조절구멍(31)으로 유입되어 배수구(13)를 통해 수로(55)로 배출되어 논물이 항상 일정한 수위(h1)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논물의 수위(h2)를 높이고자 할 경우, 상기 도 4에 도시된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 보다 하단선(33a)이 높게 형성된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33)이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와 일치되도록 상기 수위조절통(30)을 돌린다.
이것에 의해, 논물은 바닥에서 수위조절통(30)의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33)의 하단선(33a)까지 물이 채워지게 되어 수위(h2)가 도 4의 상태보다 더 높은 도 5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논에서 물을 완전히 빼고자 할때는 원통형 하우징(10)의 앞부분의 논바닥(60)을 소정의 깊이까지 파고, 제 2 보조 수위조절구멍(35)이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와 일치되도록 상기 수위조절통(30)을 돌리면 수위조절통(30)의 제 2 보조 수위조절구멍(35)과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가 일치된 상태가 되어 논에 저장된 물이 모두 배수될 수 있다.
삭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배수구(13)는 배수단부가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단부에 캡(70)이 경사지게 장착되고, 힌지(73)에 의해 캡(70)이 개폐될 수 있어 논에서 수로로 물이 배수될 경우, 상기 캡(70)이 열리지만, 물이 논으로 역류하지는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수위조절장치는 원통형 하우징에 장착된 수위조절통을 돌려 수위조절통의 수위조절구멍을 원통형 하우징의 유입구에 일치시키므로서, 원하는 논물의 수위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캡에 의해 수로의 물이 논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통형 하우징(10)의 정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면 하단에 배수구(13)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부(15)를 통해 수위조절통(30)이 끼워지므로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에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이 일치되고, 상기 수위조절통(30)의 원주면이 원통형 하우징(10)의 유입구(11)의 일부를 막음으로서, 수위조절통(30)의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에 의해 논물의 수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 수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은 원통형 하우징(10)에 형성된 유입구(11)의 양측부에 장착된 날개부(19)와, 유입구(11) 반대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T"형 받침대(21)와, 상기 "T"형 받침대(2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구(13)와,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이 논뚝에 묻히는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유입구(11)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준선 돌기(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 수위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통(3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부면(41)에 의해 밀폐되고, 하단에 개구부(43)가 형성되고, 원주면에 수위조절구멍(31)이 형성되고, 수위조절구멍(31)의 측부에 상기 수위조절구멍(31)의 하단선(31a) 보다 하단선(33a)이 높게 형성된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33)이 형성되며, 상기 수위조절구멍(31)과 제 1 보조 수위조절구멍(33) 사이에 제 2 보조 수위조절구멍(35)이 형성되며, 원통형 하우징(10)의 림(25)에 걸리도록 상단에 스톱퍼 테두리(37)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손잡이(39)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 수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0)의 배수구(13)는 배수단부가 경사지게 사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단부에 캡(70)이 경사지게 장착되고, 힌지(73)에 의해 캡(70)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 수위조절장치.
KR1020040071340A 2004-09-07 2004-09-07 논물 수위조절장치 KR10056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40A KR100563414B1 (ko) 2004-09-07 2004-09-07 논물 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40A KR100563414B1 (ko) 2004-09-07 2004-09-07 논물 수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502A KR20060022502A (ko) 2006-03-10
KR100563414B1 true KR100563414B1 (ko) 2006-03-23

Family

ID=3712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340A KR100563414B1 (ko) 2004-09-07 2004-09-07 논물 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88B1 (ko) * 2007-01-08 2007-05-02 신수연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70Y1 (ko) * 2011-12-12 2013-03-08 대한민국 논 수위계측 및 토사 유출 저감용 논물꼬
JP6504398B2 (ja) * 2015-07-21 2019-04-24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排水装置
JP6496230B2 (ja) * 2015-10-15 2019-04-03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逆流防止装置および田んぼダムシステム
JP7060953B2 (ja) * 2017-12-21 2022-04-27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水田用水位調節装置
JP7337735B2 (ja) * 2020-03-16 2023-09-04 未来工業株式会社 連絡水路用の弁体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88B1 (ko) * 2007-01-08 2007-05-02 신수연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502A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414B1 (ko) 논물 수위조절장치
US20080196316A1 (en) Manhole with Locking Device
US20010023706A1 (en) Backflow valve
US7222375B2 (en) Tank ball assembly for toilet
KR102183756B1 (ko) 악취 차단과 맹인의 안내가 가능한 맨홀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2406022B1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어도
KR101989601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도로경계블록
KR1014637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 조절이 가능한 하이볼탭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102192508B1 (ko) 자동 수위조절 물꼬
JP3800174B2 (ja) 船内養魚槽内の海水吸排装置
KR20170132591A (ko)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AU2005239719B1 (en) Closures for Pipes
JP3203259U (ja) 折りたたみ式除雪スコップ
KR200338835Y1 (ko) 합류식 하수도 맨홀용 차폐장치
KR20160028928A (ko) 삽날의 면적을 조절가능하고 흙이 흘러내리는 양이 적은 삽
KR20150071635A (ko)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CN215686897U (zh) 一种电水壶
KR200250952Y1 (ko) 친환경 수로관
KR102055170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