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635A -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635A
KR20150071635A KR1020140150093A KR20140150093A KR20150071635A KR 20150071635 A KR20150071635 A KR 20150071635A KR 1020140150093 A KR1020140150093 A KR 1020140150093A KR 20140150093 A KR20140150093 A KR 20140150093A KR 20150071635 A KR20150071635 A KR 2015007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water
inflow pipe
buoyancy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060B1 (ko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filed Critical 김용원
Publication of KR2015007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2Drainage device- laying apparatus, e.g. drainage plough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부력부를 통해 유입관을 승강시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논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의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연결되며, 상기 수로의 물을 논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수로의 벽면 하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하측을 받치는 누름판을 승강시켜 부력을 통해 상기 유입관을 부상시키는 부력부와,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승강되는 간격과 상기 누름판의 승강 시점을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부의 부력을 통해 이탈되어 상기 누름판과 상기 유입관이 승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inflow rate of water in a rice field}
본 발명은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논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부력부를 통해 유입관을 승강시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에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인공적으로 공급하였고, 이러한 물은 벼의 생장에 필요한 만큼의 양을 논에 공급 또는 배수시키도록 하였다. 그래서 논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여 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 논둑의 급,배수로를 형성하였고, 이와 같은 급,배수로는 논둑의 일부를 파서 통로를 확보하여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며,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흙더미 등을 이용하여 통로에 쌓아 물이 흐르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논둑의 흙을 파거나 덮어서 수위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물살에 의해 논둑의 흙이 쓸려 내러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의 급,배수시 흙더미 등을 이용해 조절하였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오거나 물살이 빠를 경우 안정된 급,배수를 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물을 안정되도록 배수할 수 있는 논둑에 설치되는 논물막이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이러한 논물막이는 논둑에 형성된 급,배수로에 설치될 수 있게 상면이 개구된 “U”형의 단면을 갖고 내부의 전방에 “U”의 단면을 갖는 삽지홈이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삽지홈에 적층되도록 끼워지는 수위조절 칸막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논둑에 설치되는 논물막이는 수로에서 물이 유입시 다수의 수위조절 칸막이를 삽지홈에 적층되도록 삽입하여 논으로 유입된 물이 수위조절 칸막이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논의 수위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수위조절 칸막이가 논의 수위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삽지홈에서 분리하면 논의 물이 수위조절 칸막이의 상방으로 흘러 배출되므로 수위가 낮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논물막이는, 몸통의 상면이 개구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논둑을 따라 이동시 논물막이를 건너다니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흙 등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어 논물막이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논물막이를 통해 논에 유입되는 물은 사람이 수동으로 직접 조절하여 수위를 조절해야하므로 논물막이를 자주 지켜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237호가 있다.
본 발명은 논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부력부를 통해 유입관을 승강시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는, 논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의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연결되며, 상기 수로의 물을 논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수로의 벽면 하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하측을 받치는 누름판을 승강시켜 부력을 통해 상기 유입관을 부상시키는 부력부와,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승강되는 간격과 상기 누름판의 승강 시점을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부의 부력을 통해 이탈되어 상기 누름판과 상기 유입관이 승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관은 중단에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누름판을 승강시키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통해 승강되어 상기 탄성체를 승강시키는 부력체와, 상기 탄성체와 부력체가 삽입되며,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논측으로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보호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의 벽면과 누름판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관과,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는 무게를 조절하는 조절추와,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를 수 있는 조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이 설치되는 상기 수로의 벽면 또는 상기 고정대가 상기 유입관과 조절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의 각도를 상기 조절체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논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부력부를 통해 유입관을 승강시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므로, 논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논에 물을 자동으로 적정량만 유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로(1)에서 공급되는 물을 논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관(10) 및 유입관(10)이 연결되는 고정대(50)와, 유입관(10)을 부력으로 승강시키도록 유입관(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력부(30)와, 부력부(30)의 상측에 결합되는 누름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누름판(20)의 승강 간격과 승강 시점을 조절하는 조절부(40)와, 부력부(30)의 부력을 통해 누름판(20)을 승강시키는 부력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10)은 중단에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며, 일단이 수로(1)의 벽면 하측에 결합되어 수로(1)를 통해 유동되는 물이 논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동관의 상하 유동을 통해 수로(1)에서 유입되는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0)이 설치되는 수로(1)의 벽면에는 고정대(50)가 설치되어 조절체(44)를 통해 유동관과 연결되어 조절체(44)를 통해 수동으로 유입관(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체(44)는 수로(1)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체(44)는 끈으로 형성되어 유동관과 수로(1) 벽면 또는 고정대(50)에 묶여 고정될 수 있으며, 체인 또는 사슬 또는 볼체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누름판(20)의 하측에 설치되며, 부력을 통해 누름판(20)을 부상시켜 누름판(20) 상측에 설치된는 유입관(10)이 자동으로 승강되어 논에 유입된 물의 수위를 설정되는 높이만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누름판(20)의 하측에는 부력부(30)가 설치되며, 이러한 부력부(30)는 탄성체(32)와 부력체(33)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고, 부력체가 내부에 삽입되며, 논측 벽면에 논물이 유입 및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는 보호통(31)으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통(31)은 누름판(20)의 하측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부력체(33)와 탄성체(32) 순서로 적층되어 삽입된다.
상기 부력체(33)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또는 발포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체(3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부력체(33)의 강한 부력으로 인해 누름판(20)이 눌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누름판(20)이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32)는 탄성력을 통해 승강될 때 부력부(30)에서 이탈되어 사용자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체(32)가 결합되는 부력체(33)와 누름판(20) 간의 접촉면이 결합체(35)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보호통(31)의 논측 벽면에는 유출구(34)가 형성되어 논에 유입된 물이 일정량 이상의 수위가 되면, 보호통(31) 내부의 탄성체(32)가 승강되며, 동시에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부력체(33)를 부상시킨다.
이때, 상기 누름판(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조절부(4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0)의 상측면 논측 방향에 형성되며, 누름판(20)과 수로(1) 벽면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입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관(41)과, 누름판(20)의 상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무게를 통해 누름판(20)을 누르는 조절추(43)와, 상기 수로(1)의 벽면과 힌지로 결합되어 누름판(20)의 상측을 눌러 유입관(10)이 하강하도록 하는 조정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관(41)은 내관(41b)과 외관(41a)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내관(41b)을 승강시켜 조절관(41)의 길이를 조절하여 부력체를 통해 누름판(20)이 승강되면 누름판(20)과 수로(1)의 벽면 간의 승강 간격을 조절하여 유입관(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추(43)는 누름판(20)의 상측에 다수 설치되어 누름판(20)을 무게로 눌러 부력부(30)의 부력으로 인한 누름판(20)이 승강되는 시점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추(43)의 무게를 통해 부력부(30)의 부력을 눌러 누름판(20)이 승강되는 시점과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20)의 상측면에는 조절추(43)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체(4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체(45)는 누름판(20)이 일정높이로 승강되면 고정체(45)에서 이탈되어 수로(1)의 벽면과 누름판(20) 간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누름판(20)을 누르는 압력이 해제되어 쉽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정대(42)는 수로(1)의 벽면 또는 고정대(50)에 힌지로 결합되어 누름판(20)의 상측을 내리 눌러 누름판(20)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조정대(42)는 일측이 수로(1)의 벽면 또는 고정대(50)에 힌지로 결합되며, 타측이 누름판(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누름판(20)을 누를때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판(20)이 부력부(30)의 부력으로 인해 승강되기 전에는 일정 수위로 논물이 유입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누름판(20)이 부력부(30)가 일정 부력을 갖기 전까지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기 누름판(20)의 고정을 위해서 조절부(40)의 조정대(42)에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어 부력부(30)의 부력이 일정 부력이 될 때까지 고정시키는 걸림부(60)가 부력부(30)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0)는 걸림고리로 형성되어 부력부(30)의 부력이 일정 이상되면 이탈되어 누름판(2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절체(44)를 통해 유입관(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로(1)에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논에 물이 유입되어 논물의 수위가 일정 이상되면, 논물이 부력부(30)의 보호통(31)으로 유입되고, 보호통(31)으로 유입된 논물로 인해 부력부(30)의 탄성체(32)와 부력체(33)가 승강 및 부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32)의 부력을 통해 걸림부(60)가 이탈되면, 부력체(33)가 부력을 통해 누름판(20)을 밀어올려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부력을 통해 누름판(20)과 유입관(10)이 승강되면 수로(1)에서 유입되는 물이 차단되어 논의 물이 논둑(2)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논물이 일정 수위로 유입된뒤 논물이 배출되거나 증발되어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물을 유입시켜야 하게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정대(42)를 통해 누름판(20)과 탄성체(32) 및 부력체(33)를 눌러 보호통(31) 내부에 잔존하는 물을 강제로 일부 배출시킴과 동시에 걸림부(60)를 다시 걸어 고정시킨다.
이렇게 누름판(20)이 하강하여 고정되면, 유입관(10) 또한 수평으로 펼쳐져 수로(1)의 물이 다시 논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논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부력부를 통해 유입관을 승강시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므로, 논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논에 물을 자동으로 적정량만 유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수로 2 : 논둑
10 : 유입관 20 : 누름판
30 : 부력부 31 : 보호통
32 : 탄성체 33 : 부력체
34 : 유출구 35 : 결합체
40 : 조절부 41 : 조절관
41a : 외관 41b : 내관
42 : 조정대 43 : 조절추
44 : 조절체 45 : 고정체
50 : 고정대 60 : 걸림부

Claims (5)

  1. 논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의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연결되며, 상기 수로의 물을 논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수로의 벽면 하측에 설치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하측을 받치는 누름판을 승강시켜 부력을 통해 상기 유입관을 부상시키는 부력부;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승강되는 간격과 상기 누름판의 승강 시점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부의 부력을 통해 이탈되어 상기 누름판과 상기 유입관이 승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중단에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누름판을 승강시키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통해 승강되어 상기 탄성체를 승강시키는 부력체; 및
    상기 탄성체와 부력체가 삽입되며,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논측으로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보호통;을 포함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의 벽면과 누름판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관;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는 무게를 조절하는 조절추; 및
    상기 누름판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를 수 있는 조정대;를 포함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이 설치되는 상기 수로의 벽면 또는 상기 고정대가 상기 유입관과 조절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의 각도를 상기 조절체를 통해 조절하는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KR1020140150093A 2013-12-18 2014-10-31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KR101677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723 2013-12-18
KR20130157723 2013-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635A true KR20150071635A (ko) 2015-06-26
KR101677060B1 KR101677060B1 (ko) 2016-11-17

Family

ID=5351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093A KR101677060B1 (ko) 2013-12-18 2014-10-31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3583A (zh) * 2018-12-19 2019-02-15 中国农业科学院农田灌溉研究所 一种农田水位自动控制装置
CN109601431A (zh) * 2018-11-27 2019-04-12 黄明杰 一种用于暴雨天气可控制水位的稻田养鱼栏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647A (ja) * 2001-05-09 2002-11-19 Yamamoto Co Ltd 給水装置
JP2004267101A (ja) * 2003-03-10 2004-09-30 Kazuyuki Kitano 水田の給水装置
KR20090116009A (ko) * 2008-05-06 2009-11-11 이정수 부력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하천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647A (ja) * 2001-05-09 2002-11-19 Yamamoto Co Ltd 給水装置
JP2004267101A (ja) * 2003-03-10 2004-09-30 Kazuyuki Kitano 水田の給水装置
KR20090116009A (ko) * 2008-05-06 2009-11-11 이정수 부력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하천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1431A (zh) * 2018-11-27 2019-04-12 黄明杰 一种用于暴雨天气可控制水位的稻田养鱼栏杆
CN109343583A (zh) * 2018-12-19 2019-02-15 中国农业科学院农田灌溉研究所 一种农田水位自动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060B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85B1 (ko)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CN107846851A (zh) 新型无压灌溉装置
CA2675810A1 (en) Groundwater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water flow regulator
KR101677060B1 (ko)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CN105494049A (zh) 自主循环潮汐水位控制器和栽培器及工作方法
CN103982700A (zh) 一种无源式农田灌溉自动控制装置
RU2530527C1 (ru) Регулятор уровня грунтовых вод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2028354B1 (ko) 다단계 수위조절 사이펀 여수로
RU2538811C1 (ru) Устье дренаж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CN109479561A (zh) 一种能自行浇水的花盆
KR20060106488A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CN104488668A (zh) 浮力开关及包括该浮力开关的水田自动灌溉机构
CN204482590U (zh) 浮力开关及包括该浮力开关的水田自动灌溉机构
JP2014132851A (ja) 水田用落水量調整装置
CN108377793A (zh) 植物种植盆
TWM551403U (zh) 省水防阻塞之浮動式自動灌溉系統
KR102037006B1 (ko) 봉수 높이에 따른 개폐로 유입량을 조절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조절장치
JP2009100683A (ja) 水田貯水装置
KR100644356B1 (ko) 다단계의 수위로 배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RU2609952C1 (ru) Вакуумная дренажная система
KR200375956Y1 (ko) 화분의 급수장치
KR100839444B1 (ko) 급수밸브
KR101175304B1 (ko) 습지 수위조절장치
CN215188640U (zh) 一种智能灌溉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