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988B1 -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988B1
KR100711988B1 KR1020070001948A KR20070001948A KR100711988B1 KR 100711988 B1 KR100711988 B1 KR 100711988B1 KR 1020070001948 A KR1020070001948 A KR 1020070001948A KR 20070001948 A KR20070001948 A KR 20070001948A KR 100711988 B1 KR100711988 B1 KR 10071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nhole
drain pipe
sewag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연
Original Assignee
신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연 filed Critical 신수연
Priority to KR102007000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2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using already existing parts of the sewer system for runoff-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경이 1단 배수관(31)과 2단 배수관(31')의 2단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1단 배수관(31)의 선단에 개폐조절구(32)가 설치된 밸브(33)가 설치되고 상기 1단 배수관(31)에 수직으로 1차 월류관(34)을 설치되되 그 상단에 개폐판(35)이 부구(36)가 장착된 레버(37)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2단 배수관(31')에 수직으로 2차 월류관(38)이 설치되어 상기 2단 배수관(31')의 후단에 설치된 플랜지(39)에 천공된 앵커공(40)(40')에 상기 하수 배출관(20)의 선단이 앵커(B)(B')에 의하여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이다.
맨홀,수위조절장치,배수관,월류관,부구.

Description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Many item water level regulation system of manhole}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구조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수유입관 20 : 하수배출관
31,31' : 1,2단 배수관 32 : 개폐조절구
33 : 밸브 34 : 1차 월류관
35 : 개폐판 36 : 부구
37 : 레버 38 : 2차 월류관
39 : 플랜지 40,40' : 앵커공
41 : 바이패스 배수관 50 : 뚜껑
A : 수위조절장치 B,B' : 앵커
M : 맨홀
본 발명은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호우 등으로 하천 및 지하수위가 급상승할 경우 수압에 의하여 하수관내로 침투되는 하천수와 지하수 등의 불명수로 인한 일시적인 유량의 증가로 맨홀의 수위가 상승하여 희석된 다량의 오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이 운전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오수)의 이송방식은 크게 분류식과 합류식으로 구분되고 분류식은 우수와 오수를 별개의 관로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방식이고 합류식은 하수와 오수를 동시에 집수하여 단일관로를 통하여 이송하는 방식이다.
즉,상기 분류식은 가정과 식당 등의 생활오수 발생지역에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오수만을 이송시켜 처리하는 방식으로 오수와 우수를 이송하는 관로를 별개로 이송시켜 오수와 우수가 혼합되지 않게 하므로 오수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수처리 후 방류하고 우수는 처리공정 없이 방류시키는 것이고 합류식은 단일관로로 오수와 우수를 구분하지 않고 동시에 단일관로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종래의 오수를 처리하는 분류식의 관거시설은 300mm 이상의 관경으로 시공되어 통수단면적이 계획하수량에 비하여 과다하게 매설되어 있고 사용된 관로의 품질이 저하되어 관로와 관로의 이음매 부위와 관로 자체의 균열로 하천 및 지하수위 가 급상승할 경우 상기 틈새로 지하수와 하천수 등의 불명수가 침투되어 관로로 유입되는 오수에 혼합된 상태로 다량의 희석된 오수가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어 하수를 처리할 수 없는 불능상태로 만들고 있다.
상기 종래의 관거시설은 관거내의 청소,점검 및 유지관리는 용이하나 시공상태가 불량하고 관경이 커서 집중호우 시에 지하 및 하천수위가 상승할 경우 관거의 이음부와 균열틈새로 하천수와 지하수가 침투되는 문제가 있고 관로와 관로로 연결되는 맨홀에서는 단지 유량의 상태만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하수종말처리장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관거시설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나 전국적으로 기 설치된 하수관거시설을 전반적으로 교체하기에는 막대한 예산의 확보와 장기간의 공사기간이 필요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기 설치된 관거시설(관로,맨홀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맨홀의 내부에 하천 및 지하수위에 따른 다단으로 대응이 가능한 수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평상시와 같은 건기시와 하절기 및 집중호우 등의 우기시에 형성되는 하천 및 지하수위와 맨홀의 내부수위를 동일하게 형성하므로 관로로 침투되는 지하수와 하천수의 유량을 최소화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하여 원활한 하수처리를 할 수 있게 한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2단으로 형성된 배수관의 선단에 개폐조절구가 형성된 밸브를 설치하고 1단 배수관에 1차 월류관을 설치하되 1차 월류관의 상단에 부구에 의해 개폐판을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며 2단 배수관에는 2차 월류관을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 하수유입관과 하수배출관이 연결되는 맨홀의 내부에 본 발명의 다단 수위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구조도로 2차 월류관을 대신하여 바이패스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맨홀(M) 내부의 하수유입관(10)과 하수배출관(2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장치(A)에 있어서,
관경이 1단 배수관(31)과 2단 배수관(31')의 2단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1단 배수관(31)의 선단에 개폐조절구(32)가 설치된 밸브(33)가 설치되고 상기 1단 배수관(31)에 수직으로 1차 월류관(34)을 설치되되 그 상단에 개폐판(35)이 부구(36)가 장착된 레버(37)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2단 배수관(31')에 수직으로 2차 월류관(38)이 설치되어 상기 2단 배수관(31')의 후단에 설치된 플랜지(39)에 천공된 앵커공(40)(40')에 상기 하수 배출관(20)의 선단이 앵커(B)(B')에 의하여 고정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이다.
상기 1단 배수관(31)과 1차 월류관(34)의 관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2단 배수관(31')과 2차 월류관(38)의 관경이 동일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이다.
상기 밸브(33)의 개폐조절구(32)는 그 길이가 연장되어 맨홀(M)의 뚜껑(50)의 하단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이다.
상기 2단 배수관(31')에 형성된 2차 월류관(38)을 대신하여 맨홀(M)의 측단에서 바이패스 배수관(41)을 통하여 하수 배출관(20)으로 직접 연결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하수관거로 유입되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시키는 오수를 건기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계획된 하수량을 처리할 수 있게 맨홀의 수위를 조절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의 운전여건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위조절장치(A)는 하수유입관(10)과 하수배출관(20)이 연결된 맨홀(M)의 내부 하수배출관(20)의 선단에 장착되어 맨홀(M)의 주위에 형성되는 하천 및 지하수위에 대응되게 맨홀(M)의 내부 수위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하천수와 지하수가 하수관거를 통하여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한 것이다.
배수관(31)(31')의 관경을 2단으로 형성하여 하수유입관(10)으로 유입되는 오수(또는 지하수와 하천수가 희석된 오수)의 유량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하고 상기 1단 배수관(31)의 선단에는 배수구(31)(31')로 오수가 배출되는 것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개폐조절구(32)가 장착된 밸브(33)를 설치한다.
상기의 개폐조절구(32)는 회전축을 상부로 연장시켜 맨홀(M)의 뚜껑(50) 하단에 위치되게 하여 관리시 맨홀(M)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뚜껑(50) 만을 열고 개방 및 폐쇄조정이 가능케 하였다.
상기 1단 배수관(31)의 상부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1차 월류관(34)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그 상단에 개폐판(35)을 설치하되 레버(37)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레버(37)의 후단에 부구(36)를 설치하여 맨홀(M)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량에 의해 자동으로 부구(36)가 상승하면 1차 월류관(34)의 상부가 폐쇄되고 하강하면 개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1단 배수관(31)과 1차 월류관(34)의 관경을 동일하게 하여 유입되는 오수의 유량에 대응되게 설치한다.
또한 2단 배수관(31')의 상부에는 일정높이 가지는 2차 월류관(38)을 설치하여 1차 월류관(34)이 폐쇄되어 맨홀(M)로 유입된 다량의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역시 2단 배수관(31')과 2차 월류관(38)의 관경을 동일하게 구성한다.
상기 1차 월류관(34)과 2차 월류관(38)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높이는 맨홀(M)이 설치되는 지역의 지하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결정하고 변동?? 경우를 대비하여 1,2차 월류관(34)(38)의 상단에 높이를 추가적으로 적층시켜 조정할 수 있게 별도의 원통형의 관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배수관(31)(31') 후단에 설치된 플랜지(39)에는 앵커공(40)(40')이 천공되어 있어 하수배출관(20)의 선단 맨홀(M)에 앵커(B)(B')로 고정시켜서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과 같이 본 발명의 수위조절장치(A)는 전기한 2단 배수관(31')에 설치된 2차 월류관(38)을 제거하고 맨홀(M)의 측단 즉 2차 월류관(38)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높이에 해당되는 측면에 바이패스 배수관(41)을 설치하여 하수배출관(20)으로 직접 연결시켜 오수가 배출되게 구성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위조절장치(A)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건기시에는 하수유입관(10)을 통하여 맨홀(M)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량이 적으므로 밸브(33)에 장착된 개폐조절구(32)를 개방시켜 하수유입관(10)으로 유입되는 오수를 2단 배수관(31)(31')을 통하여 하수배출관(20)으로 배출시켜 최종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시켜 오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하절기 및 집중호우와 같은 다량의 우수로 인하여 하천 및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우기시에는 밸브(33)에 장착된 개폐조절구(32)를 폐쇄시키거나 일부 개방시켜 놓으면 하수유입관(10)으로 지하수 및 하천수가 침투되어 오수와 희석되어 저농도의 오수가 맨홀(M)로 유입되면 맨홀(M)의 수위가 상승하여 1차 월류관(34)으로 유입되어 2단 배수관(31)(31') 및 하수배출관(20)을 통하여 배출되고 점증적으로 맨홀(M)의 수위가 상승하면 1차 월류관(34)에 설치된 부구(36)가 수위를 따라 상승하면서 1차 월류관(34)의 상부를 개폐판(35)이 폐쇄시켜 맨홀(M)로 유입된 오수가 2차 월류관(38)을 통하여 2단 배수관(31') 및 하수배출관(20)을 통하여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맨홀(M)의 내부 수위를 그 주위에 형성되는 지하 및 하천수위와 동일하게 형성시키므로 하수유입관(10)으로 침투되는 하천수와 지하수의 량을 최소화시켜 하수종말처리장의 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건기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하수종말처리장의 계획하수량에 의해 처리할 수 있게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하수관거시설을 개보수하지 않고 맨홀에 수위조절장치를 장착하여 하수관거시설의 주변에 형성된 지하 및 하천수위와 동일하게 유지하여 지하수와 하천수의 침투를 최소화시켜 관로로 유입되는 오수를 효율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과부하로 인한 운전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맨홀(M) 내부의 하수유입관(10)과 하수배출관(2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장치(A)에 있어서,
    관경이 1단 배수관(31)과 2단 배수관(31')의 2단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1단 배수관(31)의 선단에 개폐조절구(32)가 설치된 밸브(33)가 설치되고 상기 1단 배수관(31)에 수직으로 1차 월류관(34)을 설치되되 그 상단에 개폐판(35)이 부구(36)가 장착된 레버(37)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2단 배수관(31')에 수직으로 2차 월류관(38)이 설치되어 상기 2단 배수관(31')의 후단에 설치된 플랜지(39)에 천공된 앵커공(40)(40')에 상기 하수 배출관(20)의 선단이 앵커(B)(B')에 의하여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배수관(31)과 1차 월류관(34)의 관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2단 배수관(31')과 2차 월류관(38)의 관경이 동일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3)의 개폐조절구(32)는 그 길이가 연장되어 맨홀(M)의 뚜껑(50)의 하단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배수관(31')에 형성된 2차 월류관(38)을 대신하여 맨홀(M)의 측단에서 바이패스 배수관(41)을 통하여 하수 배출관(20)으로 직접 연결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KR1020070001948A 2007-01-08 2007-01-08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KR10071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948A KR100711988B1 (ko) 2007-01-08 2007-01-08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948A KR100711988B1 (ko) 2007-01-08 2007-01-08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988B1 true KR100711988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948A KR100711988B1 (ko) 2007-01-08 2007-01-08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1286A (zh) * 2016-07-30 2016-10-26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适于城市合流制排水管涵的双浮筒自动翻板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70Y1 (ko) * 2000-08-31 2001-01-15 이학재 2중수위 조절이 가능한 플로트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KR100563414B1 (ko) * 2004-09-07 2006-03-23 최규갑 논물 수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70Y1 (ko) * 2000-08-31 2001-01-15 이학재 2중수위 조절이 가능한 플로트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KR100563414B1 (ko) * 2004-09-07 2006-03-23 최규갑 논물 수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1286A (zh) * 2016-07-30 2016-10-26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适于城市合流制排水管涵的双浮筒自动翻板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US10837165B2 (en) System to prevent basement flooding from sewer backup
US6997201B2 (en) Wastewater source control system
CN105804222A (zh) 景观水体下调蓄池
CA2678710C (en)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KR100711988B1 (ko) 맨홀의 다단 수위조절장치
US20050072469A1 (en) Wastewater source control system
EP2781666B1 (en) A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CN108035424A (zh) 一种翻板弃流装置
CN109113169A (zh) 排水管道自动冲洗装置
KR200403906Y1 (ko)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5839761A (zh) 一种雨水弃流系统
KR100784989B1 (ko) 유량조정이 가능한 맨홀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KR20090078080A (ko) 빗물받이 일체형 오수받이
JP4611662B2 (ja) 真空弁ユニット
KR19990022650U (ko)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KR20150124161A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102548347B1 (ko) 맨홀의 역류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