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561B1 -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561B1
KR100561561B1 KR1019990007428A KR19990007428A KR100561561B1 KR 100561561 B1 KR100561561 B1 KR 100561561B1 KR 1019990007428 A KR1019990007428 A KR 1019990007428A KR 19990007428 A KR19990007428 A KR 19990007428A KR 100561561 B1 KR100561561 B1 KR 10056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rubber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653A (ko
Inventor
장태화
이병도
하두한
유인도
임용환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5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Abstract

본 발명은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라프트 고무 25∼4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1∼10중량%, 매트릭스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50∼74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냉장고 내상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의 특유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과 적합한 유동성을 가지고 냉장고용 발포제에 대하여 우수한 내화학성을 보유하여 냉장고 내상용 시트 등의 제조에 적합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STYREN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무취 고무를 사용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 중합 과정에서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서 분자량조절제 자체가 갖는 특유의 악취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냉장고 시트의 요구사항인 충격강도, 유동성, 내화학성, 및 겔화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내상용 등으로 사용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특히 고무성분과 불포화니트릴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는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 수지)는 수지를 가공하거나 제품화하여 사용하는 중에 수지 자체에 내포된 냄새 성분으로 인하여 불쾌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무취 고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중합 과정에서의 분자량조절제가 갖는 악취를 가공과정에서 마스킹(Masking)하는 방법과 중합 과정에 서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첫 번째 방법은 기존의 중합 프로파일에 가공 첨가제로서 마스킹제(Masking agent)만을 추가로 투입하는 방법으로, 실시는 매우 용이하나 실제 냄새 개선효과가 많지 않으며, 마스킹제와 고무 자체의 냄새가 혼합되어 특유의 강한 냄새를 발하므로 식품 보관용 냉장고 내상재로는 적합치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킹제 자체가 고가이므로 실제 응용 과정에서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하여 중합 과정에서 냄새를 개선하는 방법은 그 냄새 개선 특성은 우수하나 충격강도 저하문제, 내화학성 저하 문제 등 요구 특성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면이 있어 왔다. 즉, 기존의 가공 과정에서의 마스킹제 투입 방법보다 내충격성이 약 20% 정도 하락하고 내화학성도 심각하게 저하된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냉장고 내상용 발포제로 사용되고 있는 HCFC에 대한 내화학성의 증진을 위하여 아크릴레이트 계통의 고무를 기존의 부타디엔 계통의 고무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왔으나, 아크릴계 고무를 다량 사용하는 경우에 역한 냄새가 발생하고 충격강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취 고무 제조방법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으로, 가공과정에서 마스킹제를 사용하기 보다는 중합과정에서 무취 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특유의 악취를 제거하고 내충격성, 유동성, 내화학성 등의 품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라프트 고무 25∼4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1∼10중량%, 매트릭스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50∼74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그라프트 고무 성분은 부타디엔 고무 40∼60중량%와 스티렌 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의 비율이 50:50 내지 20:80인 모노머 혼합물 60∼40중량%에 전체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 0.1∼0.2중량%, 및 하이드로퍼옥사이드계 유화중합 개시제 0.15∼1.25중량%를 첨가하여 중합한 중합물로, 그라프트율을 72∼80%, 더욱 바람직하게 74∼78%로 유지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는 테르펜, 터피놀렌이나 테르피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분자량조절제의 함량이 과량으로 사용되면 그라프트율이 감소하고 충격강도는 증가하나 내화학성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분자량조절제의 함량이 부족하면 그라프트율이 증가하고 내화학성은 증가하나 충격강도가 감소하는 상반적인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라프트율 72∼80%인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분자량조절제를 첨가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충격강도와 내화학성을 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그라프트 고무에 통상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성분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최종 수지조성물을 수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 즉,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용액중합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충격보강제, 자외선차단제, 각종 필러, 안료 등의 보조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비교예 1∼5
부타디엔고무 100중량부, 스티렌 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의 비율이 50:50인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하이드로퍼옥사이드계 유화제 0.2중량부, 하기 표 1에 표시된 사용량의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하여 그라프트율 75%로 제조한 그라프트 고무 30중량부에 아크릴레이트 고무 5중량부, 매트릭스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67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0중량부, 활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최종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제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구분 분자량 조절제 사용량 프로 파일 중합 시간1) 피크 온도2) (℃) 그라프트율3) (%) 내충 격성4) 내화 학성5) 코아귤럼발생량6) (%)
비교예 1 0.05 2피크 15분 84 84 19 2.0 0.15
실시예 1 0.10 " 16분 81 79 22 2.0 0.17
실시예 2 0.15 " 19분 79 77 24 2.0 0.18
실시예 3 0.20 " 19분 77 73 24 2.0 0.20
비교예 2 0.25 " 22분 76 71 25 1.2 0.30
비교예 3 0.30 " 23분 75 68 28 1.0 0.55
비교예 4 0.40 " 26분 74 65 27 0.9 0.68
비교예 5 0.50 " 27분 74 63 27 0.8 0.73
1) 중합시간은 중합개시 이후부터 제 1피크가 잡힐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2) 피크온도는 제 1반응 동안의 최대온도를 나타낸다.
3) 그라프트율은 모노머 전체 대비 고무성분에 반응한 모노머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4) 내충격성은 1/4" 아이조드 충격강도로서 ASTM D256에 따라 평가하였다(㎏.㎝/㎝.23℃).
5) 내화학성은 ESCR(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0 이상인 경우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 코아귤럼 발생량은 중합이후 서로 엉겨 붙어서 폐기해야 하는 코아귤럼( coagulum) 성분의 양을 전체 모노머 성분에 대비한 값으로, 일반적으로 0.5 이상이 면 중합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고, 0.7을 초과하면 적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4
부타디엔고무 100중량부, 스티렌 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의 비율이 50:50인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 하이드로퍼옥사이드계 유화제 0.2중량부,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 0.15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율 75%로 제조한 그라프트 고무 30중량부에 아크릴레이트 고무 5중량부, 매트릭스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67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0중량부, 활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최종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내충격성, 유동성, 내화학성 및 무취성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고무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무취효과를 위하여 방향제를 투입하여 제조한 종래의 무취형 고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한 후 물성을 평가하여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4 비고
무취고무의 제조특성 가공과정에서 방향제 투입 방법 중합 과정에서 무취형 분자량 조절제 사용
내충격성 우수 우수
유동성 우수 다소 낮음 압출에 유리
내화학성 우수 우수
무취성 방향제 냄새 진함 은은한 향을 발함
[물성 평가 방법]
* 내충격성 : ASTM D256(㎏.㎝/㎝.23℃)
* 유동성 : ASTM D1238 (g/10min.5㎏,200℃).
* 내화학성 : ESCR(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법을 사용하였다.
* 무취성 : 직접 냄새를 확인한 후 평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얻어진 그라프트율 72∼80%의 고무성분을 사용하여 가공하였을 경우 내충격성과 내화학성 모두 우수한 고기능성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ubber)수지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종래 분자량조절제 특유의 악취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신규 무취형 테르펜계 분자량조절제를 적용함으로써 냉장고 시트용 고무 뿐만 아니라 기존의 냄새가 문제가 되는 사출제품에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고무 성분은 HCFC용 내상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그의 내화학성을 보존할 수 있으므로 아크릴레이트계 고무가 갖는 문제점인 냄새 문제나 가스문제도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라프트율 72∼80%인 그라프트 고무 25∼4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1∼10중량%, 매트릭스용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50∼74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는 테르펜, 터피놀렌이나 테르피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그라프트 고무가 부타디엔 고무 40∼60중량%와 스티렌 대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의 비율이 50:50 내지 20:80인 모노머 혼합물 60∼40중량%에 전체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테르펜계 무취형 분자량조절제 0.1∼0.2중량%, 및 하이드로퍼옥사이드계 유화중합 개시제 0.15∼1.25중량%를 첨가하여 중합한 중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고무의 그라프트율이 74 내지 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삭제
KR1019990007428A 1999-03-06 1999-03-06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6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428A KR100561561B1 (ko) 1999-03-06 1999-03-06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428A KR100561561B1 (ko) 1999-03-06 1999-03-06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53A KR20000059653A (ko) 2000-10-05
KR100561561B1 true KR100561561B1 (ko) 2006-03-16

Family

ID=1957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428A KR100561561B1 (ko) 1999-03-06 1999-03-06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499B1 (ko) * 2015-11-10 2019-09-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891A (en) * 1977-04-01 1978-10-24 Mitsubishi Chem Ind Ltd Preparation of methyl methacrylate polymer
JPH03199203A (ja) * 1989-12-27 1991-08-30 Nippon Zeon Co Ltd 乳化重合による重合体の製造方法
KR950003395A (ko) * 1993-07-30 1995-02-16 이덕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186672B1 (ko) * 1994-08-19 1999-05-15 유미꾸라 레이이찌 스티렌계 수지 시트 및 성형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891A (en) * 1977-04-01 1978-10-24 Mitsubishi Chem Ind Ltd Preparation of methyl methacrylate polymer
JPH03199203A (ja) * 1989-12-27 1991-08-30 Nippon Zeon Co Ltd 乳化重合による重合体の製造方法
KR950003395A (ko) * 1993-07-30 1995-02-16 이덕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186672B1 (ko) * 1994-08-19 1999-05-15 유미꾸라 레이이찌 스티렌계 수지 시트 및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53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8994B1 (en) Rubber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6706814B2 (en) Monovinylidene aromatic polymers based on highly linear high molecular weight polybutadiene rubber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CA2025097C (en) Monovinylidene aromatic polymers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U775983B2 (en) Monovinylidene aromatic polymers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EP0208382B1 (en) Rubber-reinforced styrenic 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flow and gloss characteristics
US2006011647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graft polymer for extrusion processing
KR101092052B1 (ko) 블로우 성형성 및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742393B2 (ja) フロンに抵抗性のあ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0561561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040054077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easy vacuum formability
US5747587A (en) HCFC 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102278034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
US3367995A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s of diene rubber, styrene, acrylonitrile and alpha-methyl styrene
KR20170054642A (ko)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97406B1 (ko) 무취 abs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내상용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24367B2 (ja) 残存ブタジエン含量を低滅させたabs成形用組成物
US5102939A (en) Mixtures suitable as stabilizers for polymers
KR100472019B1 (ko) 무취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US4652615A (en) Polymer composition
KR100548628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S5928584B2 (ja) 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82044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10018020A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abs수지 조성물
JPH0665702B2 (ja) ビニル芳香族系組成物の製造方法
JPS581686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