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544B1 -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544B1
KR100561544B1 KR1020030074701A KR20030074701A KR100561544B1 KR 100561544 B1 KR100561544 B1 KR 100561544B1 KR 1020030074701 A KR1020030074701 A KR 1020030074701A KR 20030074701 A KR20030074701 A KR 20030074701A KR 100561544 B1 KR100561544 B1 KR 10056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bframe
shaft
sealing tap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271A (ko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서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기원 filed Critical 서기원
Priority to KR102003007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54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작업 대상이 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자세로 밀봉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는,
설정된 방향으로 상부롤러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main frame);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프레임(sub-frame);
상기 서브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제1설정각도로 비스듬히 세워지는 제1아암(arm);
상기 제1아암의 종단에 장착되는 제1하부롤러; 및
제1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제1아암, 서브프레임 회전, 로킹, 클러치

Description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APPARATUS FOR APPLYING SEALING TAPE TO SEAM L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서, 서브프레임(sub-frame)을 회전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일부를 절단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도 3에 비하여 제2모터로부터의 동력전달 메커니즘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C1 및 C2부분을 D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에서 상부롤러가 제2하부롤러와 상호작용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8은 도 7의 우측벽 내부를 E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F부분의 G방향에서 본 부분단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기구를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회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봉합 재료들 및/또는 다양한 체형의 작업자에 대하여 작업편의성이 향상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단(base cloth)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의류, 천막, 애드벌룬, 등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는 과정에는, 대개 여러 개의 조각 천을 이어 붙이는(seaming) 과정이 포함된다.
이어붙이는, 즉, 봉합(seam)하는 곳의 충분한 밀봉을 위해 및/또는 확실한 이음을 위해, 이음새 자리에 밀봉 테이프(sealing tape)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일예로 방수복의 경우에는, 방수(water-proof) 처리된 원단을 재봉(sewing)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바늘 땀에서 물이 새는(leak) 것을 막기 위해, 봉합선 부분에 합성수지(synthetic resin)재의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기도 한다.
봉합 부위에 밀봉 테이프를 견고히 부착하기 위해, 봉합된 조각 천의 봉합부위에 밀봉 테이프를 덧대어 고온의 열기를 가함과 아울러 상하 롤러 사이에 진행시 킴으로써 압착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밀봉 테이프 자체가, 잇대어진 두 조각 천의 봉합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아직 완전 봉합되지 않은 경우라도, 조각 천을 봉합할 부위에 밀봉 테이프를 덧대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롤러 사이에 진행시킴으로써 봉합 및 밀봉의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틀어, 밀봉 테이프의 의미는, 밀봉 만을 목적으로 한 테이프라기 보다는 밀봉의 효과를 구비할 수 있는 임의의 테이프라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봉합부위의 의미는, 이미 봉합된 부위뿐만 아니라, 밀봉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봉합될 부위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조각 천(fabric piece)의 의미는, 실로 짜여진 천뿐만 아니라 테이프를 압착할 수 있는 임의 재질의 평면적 재료를 포괄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예로, 조각 천 은 천막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의 면상 물건(planar material)일 수 있다.
봉합 부위에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기를 가하는 것은, (일예로 합성수지재의) 밀봉 테이프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기 위한 것이며, 상하 롤러 사이에서 진행시키는 것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밀봉 테이프가 봉합 부위에 압착됨으로써 부착강도가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봉합될 재료들의 형태 그리고 최종생산품의 형태가 매우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봉합 부위에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는 상하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형태가 수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면, 봉합될 재료들의 형태나 밀봉 테이프가 적용될 부위에 무관하게 하나의 테이프 부착 장치로 쉽게 밀봉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서 상기 상하롤러의 위치는 작업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봉합 부위에 밀봉 테이프가 정확히 부착되고 있는지를 관찰하면서 부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상하 롤러의 수직 위치가 작업자의 체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곧추세우는 등 작업환경의 저하가 초래된다. 그런데,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가 여러 작업자에게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상하 롤러의 지면상의 수직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면, 이는 작업자의 작업편의성 향상이 기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봉합 재료들 및/또는 다양한 체형의 작업자에 대하여 작업편의성과 밀봉 테이프 부착의 생산성이 향상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설정된 방향으로 상부롤러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main frame);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프레임(sub-frame);
상기 서브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제1설정각도로 비스듬히 세워지는 제1아암(arm);
상기 제1아암의 종단에 장착되는 제1하부롤러; 및
제1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primary shaft);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2구동축(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2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1피동축(driven shaf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롤러는 상기 제1피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projected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근접여부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1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는,
만곡부(concave portion)를 구비하는 제1부재; 및
상기 만곡부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로킹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로킹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다른 하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아암을 선택적으로 세우고 눕히기 위한 회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동기구는 상기 제1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아암과 지지 브라켓은 힌지 핀(hinge pin)을 통해 힌지 결합하며,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제1아암의 기울어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및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제1아암의 각도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힌지 핀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의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고정기구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상기 제1아암에 형성된 돌기;
상기 슬롯의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 로킹 부재; 및
상기 돌기 방향으로 상기 로킹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릴리즈 기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즈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레버;를 포함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피동축이 상기 제1,2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서브프레임이 위치된 경우에, 상기 제1피동축과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제1클러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2구동축에는 제1,2구동기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피동축에는 제1피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피동기어는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의 구동기어에 수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클러치 기구는,
제1,2구동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제1,2구동축 주위에 각각 형성된 제1,2돌출레버;
상기 제1,2돌출레버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1,2유압(fluid pressure)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1돌출레버를 상기 제1피동축 방 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1푸시로드;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2돌출레버를 상기 제1피동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2푸시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
상기 제1아암을 선택적으로 세우고 눕히기 위한 회동기구; 및
상기 제1피동축이 상기 제1,2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서브프레임이 위치된 경우에, 상기 제1피동축과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동기구; 중 복수개의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축에 대하여 설정각도를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회전하도록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회동아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된 제2아암;
상기 제2아암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롤러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제2하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구동축; 및
상기 제3구동축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2피동축;을 더 포함하고,
제2하부롤러는 상기 제2피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축에 대하여 설정각도를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된 회동아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된 제2아암;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구동축;
상기 제3구동축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2피동축;
상기 제2아암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피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하부롤러;
상기 제3구동축과 상기 제2피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클러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클러치 기구는, 회동아암의 회전축 상에서 돌출된 회전부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제2피동축은 상기 회전축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아암의 세워짐 여부를 검출하는 아암위치 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아암위치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제1,2클러치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2하부롤러 중 어느 하나의 하부롤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면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 기구는,
제3모터;
상기 제3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막대(rotating shaft);
나사산(thread)이 형성되고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2지지대; 및
상기 제1,2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고, 상기 회전막대와는 웜기어(worm gear) 결합하는 제1,2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 기구는,
상기 제1,2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지지대의 상측 종단은 단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상측 종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에 관해서는 공압(pneumatic pressure)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반드시 공압(pneumatic pressure)이 아니라도, 유압(hydraulic pressure) 등과 같이 유체(fluid)의 압력을 이용하는 것이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원칙적으로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그리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공압 의 의미는 기체(gas) 및 액체(fluid)를 포괄하는 유체(fluid)의 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는, 설정된 방향으로 상부롤러(upper roller)(132)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main frame)(19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90)의 형태는 임의의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만, 도 1에서는 그 일예로서, 수평의 작업 평판(working plate)(196)의 일측에 측벽(side wall)(194)이 높이 세워진 테이블(table) 형태인 것으로 메인프레임(190)을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벽(194)에서 돌출된 상부아암(130)(upper arm)에 상부롤러(132)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부롤러(132)를 지지하는 상부브라켓(134)(upper bracket)은, 이에 설정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상측 공압실린더(136)(upper pneumatic cylinder)에 연결된다. 상기 상측 공압실린더(136)는 상부아암(130)의 종단에 고정된다.
상부롤러(132)는 상부롤러 구동모터(830)(도 8 참조)에 의해 구동되는 상부구동축(138)에 체인(182)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부롤러(132)의 회전축(rotation axis)은, 일예로 수평하게 놓여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부롤러 구동모터(830)는, 이하에서 설명될 여러 가지 피제어기구(controlled devices)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100)(controller)에 의해 제어된다.
메인프레임(190)에는 서브프레임(15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서브프레임(150)의 회전평면은 상부롤러(13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일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132)의 회전축과 서브프레임(150)의 회전 평면은 모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프레임(150)은 제1모터(210)(도2참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서브프 레임(150)과 메인프레임(190)과의 결합 및 제1모터(210)에 의하여 서브프레임(150)이 회전하게 되는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후술한다.
상기 서브프레임(150)에는, 그 회전 중심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아암(110)이 세워진다. 제1아암(110)과 서브프레임(150) 사이의 각도(이하 제1설정각도라 칭한다)는 0도 이상이고 90도 미만의 임의의 각도라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1설정각도는, 상측 공압실린더(136)에 의해 상부브라켓(134)에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서브프레임(150) 사이의 각도와 비슷한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아암(110)의 종단에는 제1하부롤러(first lower roller)(112)가 장착된다. 제1하부롤러(112)는, 컨트롤러(11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데, 제1하부롤러(1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서, 서브프레임(150)을 회전하게 되는 기구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서브프레임(150)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작업 평판(196)에는,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한 호(arc) 형태의 관통홈(220)이 서브프레임(15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홈(220)은 최소한 180도 이상의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작업 평판(196) 상에서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중심 위치에는 관통홀(225)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평판(196)의 아래쪽에는 관통홀(225)의 아래 위치에서 제1모터(210)가 고정된다. 제1모터(210)의 회전축(215)은 관통홀(225)을 통과하여 서브프레임(150)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100)가 제1모터(210)를 구동함에 의하여 서브프레임(150)이 회전하게 된다.
서브프레임(150)의 직경은, 상기 관통홈(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150)이 제1모터(210)와 결합한 상태에서는, 관통홈(220)의 전체가 서브프레임(15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서브프레임(150)이 그 회전중심에 연결된 제1모터(210)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여러 형태로 자명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예로, 원형의 서브프레임(150) 외주(outer circumference)쪽에 기어를 형성하고, 작업 평판(196)에는 상기 외주 바깥의 위치에서 모터를 고정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서브프레임(150)의 외주면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에서는, 서브프레임(150)을 180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아암(110)(도 1 참조)이 작업자 쪽에 놓이는 위치와, 제1아암(110)이 작업자의 반대편에 놓이는 위치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는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위치를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관해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서브프레임(15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150)은 제1돌출부(301) 및 제2돌출부(302)의 두 개의 돌출부(projected portion)를 포함한다. 제1,2돌출부(301,302)는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중심(P)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돌출부(301) 및 제2돌출부(302)는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중심(P)의 연장선(e)으로부터 각각 거리(d)를 유지하고 있다.
도 3에서, 작업 평판(196)의 아랫면에는 제1돌출부(301)의 근접여부를 검출하는 제1센서(311)가 작업 평판(196)에 고정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15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경우에, 제1돌출부(301)는 제1센서(311)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만약, 서브프레임(150)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의 반시계 방향(즉, 도 1의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제1,2돌출부(301,302)는 관통홈(220)을 따라 180도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제2돌출부(302)의 근접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2센서(312)가 작업 평판(196)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2돌출부(301,302)는 각각 금속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2센서(311,312)는 마그네틱 센서로 구성된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접근에 따른 자속변화에 따른 전압변화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110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1100)는 제1,2센서(311,312)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제1돌출부(301)의 제1센서(311)로의 근접 여부 및 제2돌출부(302)의 제2센서(312)로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2돌출부(301,302)의 특징과 제1,2센서(311,312)의 구성은, 제1,2돌출부(301,302)의 제1,2센서로의 근접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일예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여기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한 변형실시 형태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형실시 형태의 일예로, 제1,2센서(311,312)는 제1,2돌출부(301,302)의 근접시에 이들에 각각 접촉하여 온(On)되는 스위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100)가 제1모터(210)를 구동하여 서브프레임(150)을 회전하는 경우에, 제1센서(311)에 의해 제1돌출부(301)의 근접상태가 검출되거나 제2센서(312)에 의해 제2돌출부(302)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때에는, 제1모터(210)의 구동을 중단한다. 따라서, 컨트롤러(1100)는 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서브프레임(15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서는, 서브프레임(150)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310)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제1모터(210)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서브프레임(150)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서브프레임(15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 킹부재(315)와 로킹레버(320)를 포함한다.
제1로킹부재(315)는 만곡부(313)(concave portion)를 구비하고 서브프레임(150)에 고정된다. 로킹레버(320)는 제1로킹부재(315)의 만곡부(313)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317)를 구비하고, 작업 평판(196)에 힌지 고정된다. 따라서, 로킹레버(320)의 걸림돌기(317)가 제1로킹부재(315)의 만곡부(313)에 삽입된 후에는, 작업자의 밀봉 테이프 부착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150)에로의 토크에도 서브프레임(150)은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킹부재(315)는 만곡부(313)의 좌우 양단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시 걸림돌기(317)는 제1로킹부재(315)의 좌측 또는 우측단의 곡선을 따라 만곡부(313)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킹레버(320)의 걸림돌기(317) 반대측 종단은 스프링(322)을 개재하여 작업 평판(196)에 연결된다. 따라서, 만곡부(313)에 삽입된 걸림돌기(317)는 그 삽입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로킹부재(315)는 서브프레임(150)에, 그리고 로킹레버(320)는 메인 프레임(즉, 작업 평판)에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여기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제1로킹부재(315)는 작업 평판(196)에, 그리고 로킹레버(320)는 서브프레임(150)에 결합하는 실시형태 또한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자명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서, 제1아암(110)은 반드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제1아암(110)을 선택적으로 세우고 눕히기 위한 회동기구(410)를 더 포함한다.
제1아암(110)을 눕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회동기구(410)에 의하여, 필요시에는 제1아암(110)을 눕힐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일예로, 상부롤러(132) 및 상부아암(130)의 정비시 작업공간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회동기구(410)에 의하여, 상부롤러(132)는 전술한 제1하부롤러(112) 및 후술하는 제2하부롤러(122)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1아암(110)의 회동기구(41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일부를 절단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기구(410)는 제1아암(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14)을 포함하고, 제1아암(110)과 지지 브라켓(114)은 힌지 핀(hinge pin)(116)을 통해 힌지 결합(hinge-engagement)한다.
또한, 상기 회동기구(410)는 제1아암(110)의 기울어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420) 및 상기 고정기구(420)에 의한 제1아암(110)의 각도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즈 기구(450)를 더 포함한다.
제1아암(110)의 기울어진 각도 고정 기능을 위하여, 지지 브라켓(114)에는 상기 힌지 핀(116)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의 슬롯(4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420)는, 상기 슬롯(415)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제1아암(110)에 형성된 돌기(422), 슬롯(415)의 설정된 위치에서 돌기(422)를 수용하는 홈(424)을 구비한 제2로킹부재(426), 그리고 돌기(422) 방향으로 제2로킹부재(426)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28)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를 참조로, 제1아암(110)이 힌지 핀(116)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는 돌기(422)가 슬롯(4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아암(110)의 회전위치가 설정된 위치(일예로, 최대한 세워지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돌기(422)는 제2로킹부재(426)의 홈(424)에 삽입되게 되고, 스프링(428)의 힘에 의해 그 삽입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제1아암(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1아암(110)은 그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릴리즈 기구(450)는, 스프링(428)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즈 레버(452), 그리고 릴리즈 레버(452)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레버(454)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레버(452)와 구동레버(454)는 로드(456)(rod)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로, 돌기(422)가 제2로킹부재(426)의 홈(424)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레버(454)를 누르게 되면 이에 따라 릴리즈 레버(452)가 회전하여 제2로킹부재(426)를 들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돌기(422)는 홈(424)에서 이탈되게 되므로, 제1아암(11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454)의 조작이 보다 편리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브라켓(114)의 전면을 덮는 커버(460) 상에는 구동레버(454)에 대응되는 위치에 푸시버튼(458)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도 4의 참조번호(reference number)들 (492,496,498)는 베어링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서브프레임(150) 상에 세워진 제1아암(110)의 종단에 결합된 제1하부롤러(112)를 회전구동하게 되는 메커니즘에 관해 도 4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서브프레임(15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1하부롤러(112)를 구동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에서는, 컨트롤러(1100)에 의해 제어되는 제2모터(520)가 메인프레임(190)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평판 아래면)에 고정된다. 제2모터(520)는 체인(590)에 의하여 주축(530)을 회전 구동한다. 주축(530)은 주축 브라켓(532)과 구동축 브라켓(534)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축 브라켓(534)에 의해 지지되는 주축(530) 상에는 지지부재(540)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지지부재(540)는 주축(530)에 대하여 수직한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40)의 양단에, 제1,2구동축(551,55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2구동축(551,552)은 주축(530)에 체인(591,592)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주축(53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2구동축(551,552)은 주축(5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제1,2구동축(551,552)의 종단에는 제1,2구동기어(561,562)가 각각 장착된다.
서브프레임(150)의 제1,2돌출부(301,302) 사이에는 제1피동축 브라켓(57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동축 브라켓(572)은 제1피동축(57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피동축(570) 상에는 제1피동기어(574)가 장착된다. 지지부재(540)가 회동함으로써 제1피동기어(574)가 제1,2구동기어(561,56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1,2구동기어(561,562)와 제1피동기어(574)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위치된다. 즉, 도 5를 참조로, 제1피동기어(574)의 아래쪽에 제1구동기어(561)가 위치되고, 서브프레임(150)이 도 5의 위치에서 180도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1피동기어(574)의 아래쪽에 제2구동기어(562)가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2구동축(551,552) 및 제1,2구동기어(561,562)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제1피동축(570)은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제1,2구동축(551,55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프레임(150)이 설정된 위치에 놓여지는 것이 제1피동기어(574)가 구동기어(561,562)와 반드시 결합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서브프레임(15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됨으로써 즉시 제1피동기어(574)가 제1구동기어(561)와 결합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는, 제1피동축(570)이 제1,2구동축(551,552)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서브프레임(150)이 위치된 경우에, 제1피동축(570)과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제1클러치 기구(65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클러치 기구(650)에 관해 도 5 및 도 6 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C1 및 C2부분을 D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40)는 제1,2구동축(551,55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부재(540)의 주축 양편으로 제1,2돌출레버(611,6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2돌출레버(611,6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컨트롤러(1100)에 의해 제어되는 제1,2공압실린더(pneumatic cylinder)(581,582)가 메인프레임(19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공압실린더(581)에는 그 공압에 의하여 제1돌출레버(611)를 제1피동축(570)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1푸시로드(621)가 형성되고, 제2공압실린더(582)에는 그 공압에 의하여 제2돌출레버(612)를 제1피동축(570)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2푸시로드(6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150)이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회전된 경우에, 즉, 제1센서(311)에 의하여 제1돌출부(301)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제1공압실린더(581)가 구동되면 지지부재(540)가 회동하여 제1구동축(551)의 제1구동기어(561)는 제1피동축(570)의 제1피동기어(574)에 접근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 제1구동기어(561) 및 제1피동기어(574)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서브프레임(150)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180도 회전된 경우에, 즉, 제2센서(312)에 의하여 제2돌출부(302)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제2공압실린더(582)가 구동되면 지지부재(540)가 회동하여 제2구동축(552)의 제2구 동기어(562)는 제1피동축(570)의 제1피동기어(574)에 접근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 제2구동기어(562) 및 제1피동기어(574)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2돌출레버(611,612)와 작업 평판(196) 사이에는 제1,2리턴스프링(641,642)이 각각 개재되어 제1,2공압실린더(581,582)의 작동해제시 지지부재(540)를 수평 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제1,2공압실린더(581,582)는 외부의 공압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관로(635)를 통해 공압을 공급받는데, 관로(635) 상에는 컨트롤러(1100)에 의해 제어되는 제1,2밸브(631,632)가 구비되고, 따라서 컨트롤러(1100)는 제1,2밸브(631,632)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2공압실린더(581,582)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0)는, 서브프레임(150)이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회전된 경우에 한하여, 즉, 제1센서(311)에 의하여 제1돌출부(301)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1공압실린더(581)를 구동한다.
또한, 컨트롤러(1100)는, 서브프레임(150)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180도 회전된 경우에 한하여, 즉, 제2센서(312)에 의하여 제2돌출부(302)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2공압실린더(582)를 구동한다.
제1구동축(551) 또는 제2구동축(55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제1피동축(57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피동축(570)의 회전에 따라 제1하부롤러(112)는 회전하게 된다.
즉, 제1피동축(570)의 회전은, 힌지 핀(116)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 기어(472)에 체인(481)을 통해 전달된다 (도 4 참조). 아이들 기어(472)의 회전은 체인(482)에 의해 제1아이들링 축(475)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1아이들링 축(475)의 회전은 체인(483)에 의해 제1하부롤러(112)에 최종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도 1 참조).
다시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에서, 상부롤러(132)는 제1하부롤러(112)뿐만 아니라 제2하부롤러(122)와 상호작용하여 밀봉 테이프(180)를 부착할 수 있다. 즉, 상부롤러(132)는 제1하부롤러(112)와 제2하부롤러(122)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롤러(132)가 제2하부롤러(122)와 상호작용하게 되는 상태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롤러(112)와는 별개의 제2하부롤러(122)와 상부롤러(132)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의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메인프레임(190)에 결합된 회동아암(126), 회동아암(126)에 연결된 제2아암(120), 그리고 제2아암(120)의 일단에서 상부롤러(132)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제2하부롤러(122)를 더 포함한다.
회동아암(126)은 서브프레임(150)의 회전축에 대하여 설정각도를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예로 상기 설정각도를 90도로 구현하였다.
제2아암(120)에 장착된 제2하부롤러(122) 또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때 제2하부롤러(12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제1하부롤러(112)를 구동하기 위한 제2모터(520)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하부롤러(122)를 구동하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도 8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우측벽(194) 내부를 E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194) 내부에는 제3구동축(810)이 장착된다. 제3구동축(810)은 체인(881)에 의하여 주축(530)(도 5 참조)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구동축(810)은 주축(5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벽(194) 내부에는 제2피동축(820)이 장착된다. 제2피동축(82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체인(883)을 통해 제2하부롤러(122)의 회전축(72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구동축(810)의 회전이 제2피동축(820)의 회전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 말하면, 제2피동축(820)은 제3구동축(81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는, 제3구동축(810)과 제2피동축(82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클러치 기구(851)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클러치 기구(85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아암(126)의 회전축(828)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재(825), 그리고 컨트롤러(110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부재(82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850)을 포함한다.
제2피동축(820)은 회전부재(825) 상에서 회동아암(126)의 회전축(828)과는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고, 회전부재(825)의 회전위치에 따라 제3구동축(810)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3구동축(810)에는 제3구동기어(813)가 장착되고, 회전부재(825)에는 제2피동기어(812)가 장착된다. 회전부재(825)가 제2피동축(820)을 중심으로 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이들은 서로 맞닿아 기어물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피동기어(812)의 회전축(814)은 제2피동축(820)과 체인(882)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부재(825)가 회전하여 제3구동기어(813)와 제2피동기어(812)가 맞물리는 경우에는 주축(530)의 회전은 제3구동축(810), 제3구동축(810)의 제3구동기어(813), 및 제2피동기어(812)를 경유하여 제2피동축(820)에 전달되게 된다.
제2피동축(820)은 회동아암(126)의 회전축(828)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하부롤러(122)의 회전축(720)에 체인(883)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피동축(82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체인(883)에 의해 회전축(72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2하부롤러(122)가 회전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동유닛(850)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회동아암(126)의 회전축(828)은 제2아이들링 축(890)에 체인(884)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체인(884)을 동작시키기 위해, 체인(884)에는 제3공압실린더(852)가 그 피스톤(854)을 통해 연결된다. 제3공압실린더(852)는 우측벽(194)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3공압실린더(852)에 의해 피스톤(854)이 상향 작동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8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구동축(810)의 제3구동기어(813)와 제2피동기어(812)는 서로 결합상태가 해제되게 되므로, 제2모터(520)의 회전력은 제2피동축(820)에 전달되지 않는다.
반대로, 제3공압실린더(852)에 의해 피스톤(854)이 하향 작동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82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구동축(810)의 제3구동기어(813)와 제2피동기어(812)는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제2모터(520)의 회전력은 제2피동축(820)에 전달된다.
제3공압실린더(852)는 컨트롤러(1100)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를 위해 제3공압실린더에 공압을 공급하는 관로(856) 상에 제3밸브(858)가 구비되고, 컨트롤러(1100)는 제3밸브(858)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3공압실린더(85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 우측벽(194) 내부의 상단에는 상부롤러 구동모터(8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롤러 구동모터(830)는 상부구동축(138)에 체인(139)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1100)에 의해 구동된다.
전술한 다양한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메인프레임(190)의 지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기구(9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높이 조절 기구(900)에 관하여 도 9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F부분의 G방향에서 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기구(9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터(930)를 포함하고, 제3모터(930)에 의해 작동된다. 제3모터(930)는 일예로, 우측벽(194) 내에 고정된다. 제3모터(930)에는 회전막대(910)가 체인(911)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 기구(900)는, 나사산(thread)이 형성되고 지면에 수직 방 향으로 세워지는 제1,2지지대(921,922)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90)의 좌측벽(192) 내에는 후방 및 전방 쪽에 각각 제1하우징(931) 및 제2하우징(932)이 형성되는데, 제1,2지지대(921,922)는 제1,2하우징(931,932)을 각각 관통하여 개재된다.
제1,2지지대(921,922)에는 각각 제1,2받침부재(941,942)가 각각 나사 결합(screw engaged)한다. 따라서, 제1,2받침부재(941,942)는 제1,2지지대(921,922)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2받침부재(941,942)는 회전막대(910)와는 웜기어(worm gear) 결합한다. 즉, 회전막대(910)의 양쪽 종단에 각각 제1,2웜기어(951,952)가 형성되고, 제1,2받침부재(941,942)는 제1,2웜기어(951,952)에 각각 결합하는 웜 휠(worm wheel)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3모터(930)를 작동하게 되면 회전막대(91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받침부재(941,94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2받침부재(941,942)는 제1,2지지대(921,922)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2받침부재(941,942)의 상하 운동에 의해 제1,2하우징(931,932)은 제1,2지지대(921,922) 대하여 상하 운동하게 되므로, 결국, 제1,2하우징(931,932)이 고정된 메인프레임(190)의 지면 높이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제1,2지지대(921,922)의 하부 받침(923,924)이 지면에 닿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2받침부재(941,94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2지지대(921,92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 도록, 높이 조절 기구(900)에는, 상기 제1,2지지대(921,92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950)(connecting member)가 더 포함된다.
연결부재(950)에 의하여 제1,2지지대(921,922)가 서로 연결되므로, 제1,2지지대(921,922)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2지지대(921,922)가 지면에 접촉하고 있지 않더라도, 제3모터(930)의 작동에 의하여 제1,2지지대(921,922)는 메인프레임(190)에 상대적으로 상승/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950)는 제1,2지지대(921,922)의 상측 종단에 각각 결합한다. 이 때, 제1,2지지대(921,922)의 상측 종단(971,972)들은 그 단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부재(950)에는 상측 종단(971,972)이 끼워지는 관통홀(961,962)이 형성된다. 일예로, 도 9에서는 제1,2지지대(921,922)의 상측 종단(971,972)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5각형, 6각형 등 임의의 다각형이라도, 관통홀(961,962) 내에서 상측 종단(971,972)이 헛돌지 않을 정도이면 족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여, 연결부재(950)는, 그 관통홀(961,962)에 제1,2지지대(921,92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상측 종단을 끼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예로 메인프레임(190)의 수평이 맞지 않은 경우, 연결부재(95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지지대를 회전시켜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메인프레임(190)의 좌측벽(192)에 장착된 높이 조절 기구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우측벽(194)에도 동일한 구조의 높이 조절 기구가 장착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90)의 네 코너에 형성된 네 개의 지지대가 동시에 작동하 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로, 메인프레임(190)의 우측벽(194)에는, 제1아암(110)의 세워짐 여부를 검출하는 아암위치 검출센서(162)가 장착된다. 아암위치 검출센서 (162)는, 일예로, 설정된 파장의 빛을 조사(scan)하여 반사파를 검출하는 센서로 할 수 있다. 즉, 일예로, 제1아암(110)이 세워진 위치에서 반사파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제1아암(110)의 세워짐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프레임(190)의 측벽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종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70)이 부착된다. 제어패널(170)에는, 서브프레임 (150)의 회전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회전명령 입력기(172), 높이 조절 기구(900)의 작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높이조절 명령 입력기(174), 그리고 상부롤러(132)와 하부롤러(112,122)를 구동하여 작업을 개시할 것인가 혹은 그 구동을 중단할 것인가를 입력하기 위한 작업명령 입력기(176)가 구비된다.
서브프레임 회전명령 입력기(172)는 일예로 전방/후방 등 복수개의 구별된 신호를 발생하는 임의의 스위치로 할 수 있으며, 혹은, 누를 때만 온(On)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로 할 수 있다.
높이조절 명령 입력기(174)는 상승/하강 등 복수개의 구별된 신호(distinguished signals)를 발생하는 임의의 스위치로 할 수 있다.
작업명령 입력기(176)는 일예로 작업개시/작업중지 등 복수개의 구별된 신호를 발생하는 임의의 스위치로 할 수 있으며, 혹은, 누를 때만 온(On)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로 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회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센서(311,312), 아암위치 검출센서(162), 서브프레임 회전명령 입력기(172), 높이조절 명령 입력기(174), 및 작업명령 입력기(176)는 각각 검출/입력 신호를 컨트롤러(1100)에 전송한다. 이를 기초로 컨트롤러(1100)는, 상부롤러 구동모터(830), 상측 공압실린더(136), 제1,2,3공압실린더(581,582,852), 및 제1,2,3모터(210,520,930)를 제어하게 된다.
컨트롤러(11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어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0)는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패널(170)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컨트롤러(1100)는 높이조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S1110)하고, 높이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메인프레임(190)의 지면 높이가 상승/하강되도록 제3모터(930)를 제어(S1115)한다.
또한 컨트롤러(1100)는, 서브프레임 회전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S1120)하고, 서브프레임 회전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1모터(210)를 구동하여 서브프레임(150)을 회전시킨다(S1125).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 회전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컨트롤러(1100)는 제1,2센서(311,312)를 통해 서브프레임(150)의 현재위치를 파악한 후, 그 반대되는 위치로 서브프레임(15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트롤러(1100)는 작업명령 입력이 되었는지 판단(S1130)하고, 작업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S1110)로 진행한다.
작업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컨트롤러(1100)는 작업명령이 작업개시명령인지 작업중단명령인지 판단한다(S1135).
입력된 명령이 작업중단명령인 경우에 컨트롤러(1100)는 상부롤러 구동모터(830)와 제2모터(520)의 구동을 중단한다(S1140).
입력된 명령이 작업개시명령인 경우에 컨트롤러(1100)는, 상부롤러(132)를 구동함과 아울러, 아암위치 검출센서(162)의 출력값을 기초로 제1,2클러치 기구(650,851)를 제어하여 제1,2하부롤러(112,122) 중 어느 하나의 하부롤러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이를 위하여 컨트롤러(1100)는, 아암위치 검출센서(162)의 출력값이 제1아암(110)이 세워진 상태에 해당하는가를 판단(S1150)한다.
제1아암(110)이 세워진 상태가 아니면, 컨트롤러(1100)는 제2클러치 기구(851)를 구동함으로써 제2모터(520)로부터 제2하부롤러(122)로의 동력전달경로를 완성(S1155)한 후, 상부롤러 구동모터(830)와 제2모터(520)를 동시에 구동 (S1170)한다.
반대로, 제1아암(110)이 세워진 상태이면, 컨트롤러(1100)는 제1,2센서 (311,312)를 통해 서브프레임(150)의 현재위치를 파악(S1160)한 후, 제1,2공압실린더(581,582) 중 제1피동축(570)이 놓여진 위치에 대응되는 공압실린더를 구동함으로써 제2모터(520)로부터 제1하부롤러(112)로의 동력전달경로를 완성(S1165)한다. 그런 후 상부롤러 구동모터(830)와 제2모터(520)를 동시에 구동한다(S1170).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아암이 비스듬히 세워지는 서브 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아암이 후방 쪽을 향하는 상태와 전방 쪽을 향하는 상태를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일예로, 방수복의 가랭이의 기장을 따라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암이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작업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런데, 모자와 같이 굴곡이 심한 제품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상태로, 즉, 제1아암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작업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아암이 기울어지는 방향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에 편리하게 밀봉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아암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제1아암에 장착된 제1하부롤러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회전시 설정된 위치에 자동 정지되므로, 제1아암의 위치 변경이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서브프레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능은 로킹부재와 로킹레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구현된다.
제1아암이 선택적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상황에서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제1하부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서브프레임의 회전위치에 따라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줄임과 아울러, 사용치 않는 롤러가 회전하여 밀봉 테이프 부착 대상 제품과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하부롤러 용의 구동축과 피동축이 수직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동력의 전달/차단 기능의 구현이 편리해진다.
이러한 동력 전달/차단 기능은 유압(fluid pressure) 실린더와 레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구현된다.
서브프레임의 회전 위치 유지 기능, 제1아암의 선택적인 세움과 눕힘 기능, 및 서브 프레임의 회전 위치에 따른 클러치 기능 중 복수개(전부 포함)의 기능이 구현됨으로써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사용 편의성과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상부롤러가 제1하부롤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외에도, 제2하부롤러와도 상 호작용할 수 있으므로, 밀봉 테이프 부착 대상 제품 및 그 부착 가능 위치의 폭의 확대된다.
상부롤러가 제1하부롤러와 상호작용하는 경우에는 제1하부롤러에만 동력을 전달하고, 제2하부롤러와 상호작용하는 경우에는 제2하부롤러에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줄임과 아울러, 사용치 않는 하부롤러가 회전하여 밀봉 테이프 부착 대상 제품과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체격의 작업자에게 편리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노절 기능은, 지지대들, 모터, 그리고 웜기어에 의해 효율적으로 구현된다. 지지대들을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지지대가 허공에 떠 있거나 지면에 닿아 있거나에 무관하게 높이조절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지지대의 종단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재에 끼워짐으로써, 일예로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수평조정 작업을 할 수 있다.

Claims (23)

  1. 설정된 방향으로 상부롤러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main frame);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프레임(sub-frame);
    상기 서브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제1설정각도로 비스듬히 세워지는 제1아암(arm);
    상기 제1아암의 종단에 장착되는 제1하부롤러; 및
    제1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primary shaft);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2구동축(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2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1피동축(driven shaf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롤러는 상기 제1피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projected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근접여부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근접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1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는,
    만곡부(concave portion)를 구비하는 제1부재; 및
    상기 만곡부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로킹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로킹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다른 하 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아암을 선택적으로 세우고 눕히기 위한 회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제1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아암과 지지 브라켓은 힌지 핀(hinge pin)을 통해 힌지 결합하며,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제1아암의 기울어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및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제1아암의 각도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힌지 핀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상기 제1아암에 형성된 돌기;
    상기 슬롯의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 로킹 부재; 및
    상기 돌기 방향으로 상기 로킹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릴리즈 기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릴리즈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0. 제2항에서,
    상기 제1피동축이 상기 제1,2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서브프레임이 위치된 경우에, 상기 제1피동축과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제1클러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1. 제10항에서,
    제1,2구동축에는 제1,2구동기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피동축에는 제1피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피동기어는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의 구동기어에 수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제1클러치 기구는,
    제1,2구동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제1,2구동축 주위에 각각 형성된 제1,2돌출레버;
    상기 제1,2돌출레버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1,2유압(fluid pressure)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1돌출레버를 상기 제1피동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1푸시로드;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2돌출레버를 상기 제1피동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2푸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3. 제2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
    상기 제1아암을 선택적으로 세우고 눕히기 위한 회동기구; 및
    상기 제1피동축이 상기 제1,2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구동축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서브프레임이 위치된 경우에, 상기 제1피동축과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동기구; 중 복수개의 기구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위치 유지기구는, 만곡부(concave portion)를 구비하는 제1부재 및 상기 만곡부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로킹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로킹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다른 하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제1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되, 제1아암과 브라켓은 힌지 핀(hinge pin)을 통해 힌지 결합하고, 브라켓에는 상기 힌지 핀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의 슬롯이 형성되며, 제1아암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슬롯 상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돌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및 상기 고정기구의 돌기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즈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동기구는, 제1,2구동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제1,2구동축 주위에 각각 형성된 제1,2돌출레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제1,2돌출레버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제1,2유압(fluid pressure)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1돌출레버를 상기 제1피동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1푸시로드,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2돌출레버를 상기 제1피동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2푸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5. 제2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축에 대하여 설정각도를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회전하도록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회동아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된 제2아암;
    상기 제2아암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롤러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제2하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구동축; 및
    상기 제3구동축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2피동축;을 더 포함하고,
    제2하부롤러는 상기 제2피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7. 제10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회전축에 대하여 설정각도를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된 회동아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된 제2아암;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3구동축;
    상기 제3구동축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2피동축;
    상기 제2아암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피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하부롤러;
    상기 제3구동축과 상기 제2피동축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클러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2클러치 기구는, 회동아암의 회전축 상에서 돌출된 회전부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제2피동축은 상기 회전축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19. 제17항에서,
    상기 제1아암의 세워짐 여부를 검출하는 아암위치 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아암위치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제1,2클러치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2하부롤러 중 어느 하나의 하부롤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20. 제1항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면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높이 조절 기구는,
    제3모터;
    상기 제3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막대(rotating shaft);
    나사산(thread)이 형성되고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2지지대; 및
    상기 제1,2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고, 상기 회전막대와는 웜기어(worm gear) 결합하는 제1,2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높이 조절 기구는,
    상기 제1,2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제1,2지지대의 상측 종단은 단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상측 종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장치.
KR1020030074701A 2003-10-24 2003-10-24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KR10056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701A KR100561544B1 (ko) 2003-10-24 2003-10-24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701A KR100561544B1 (ko) 2003-10-24 2003-10-24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271A KR20050039271A (ko) 2005-04-29
KR100561544B1 true KR100561544B1 (ko) 2006-03-17

Family

ID=3724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701A KR100561544B1 (ko) 2003-10-24 2003-10-24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567B1 (ko) * 2021-12-09 2022-06-22 서한나 열풍용착기의 하부롤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06B1 (ko) * 2007-08-01 2009-01-07 서기원 방수테이프 열풍용착기의 하부롤러 회전 구동체
KR101857905B1 (ko) * 2017-01-26 2018-05-14 서한나 하부롤러 유닛의 방향전환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567B1 (ko) * 2021-12-09 2022-06-22 서한나 열풍용착기의 하부롤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271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7046B2 (ja) 布接着装置
KR100561544B1 (ko)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US7805212B2 (en) Control for an assembly machine with spatial positioning control
WO2022160821A1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101593306B1 (ko)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JP2014030568A (ja) 整形装置
KR101876428B1 (ko)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KR100262543B1 (ko) 모니터 회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00424A1 (en) Cycle life testing machine for pivotable articles
KR101189201B1 (ko) 원단검사용 이음장치
KR101876430B1 (ko) 자동형 기계 레벨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계 레벨 조정방법
CN109515653A (zh) 一种深海软体机器人布放平台装置及方法
CN201003101Y (zh) 半内置式抬压电磁铁机构
KR102216991B1 (ko)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JP2001121482A (ja) シート材の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CN108893878A (zh) 缝纫机
CN215659049U (zh) 一种应用于仪表板横梁骨架的装配机
ITTO940181A1 (it) Apparecchiatura di movimentazione a passi, ad esempio per presse per cingoli
CN212903860U (zh) 一种电梯门检测装置
CN210306828U (zh) 便于调节的纺织面料加工夹具
CN221086802U (zh) 一种数控钣金附件成型设备
JP2001296822A (ja) 広告装置
KR100523349B1 (ko)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및 그 롤러 구동 방법
CN108097863A (zh) 一种单轴铆接坯料固定件装配设备
TWI741725B (zh) 緊固裝置、及具備其之機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