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991B1 -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991B1
KR102216991B1 KR1020190083083A KR20190083083A KR102216991B1 KR 102216991 B1 KR102216991 B1 KR 102216991B1 KR 1020190083083 A KR1020190083083 A KR 1020190083083A KR 20190083083 A KR20190083083 A KR 20190083083A KR 102216991 B1 KR102216991 B1 KR 10221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rotation
unit
grid form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147A (ko
Inventor
박계수
Original Assignee
(주)피티카플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티카플링 filed Critical (주)피티카플링
Priority to KR102019008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9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4Und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6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5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a continuous strip, spring, or the like engaging the coupling parts at a number of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류의 구동부가 그리드성형부를 직접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그성형부 주위에 그리드성형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가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함으로써, 강선의 형상 작업시 그리드성형부가 반복 회전 후 정확히 180°가 되는 지점에서 정확히 정지함으로써, 그리드 형상 성형에 대한 정밀도가 높아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Coupling grid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하우징(100);과, 상기 공간부(110)에 구비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가이드부(3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강선(10)을 거치하고 잡아주는 강선고정가이드부(400);와,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와 결합되되, 상기 강선고정가이드부(400)로부터 이송된 상기 강선(10)을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의 회전방향에 의해 파형 형태로 절곡시키는 그리드성형부(5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속도를 줄이고,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이드 하는 회전감지부(600, 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장치에 사용하는 커플링(Coupling)은 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구동축과 분리된 종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축으로부터 종동축으로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커플링은 크게 양축간의 오차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하고 진동과 층격을 줄이는 특성 때문에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렉시블커플링(Fleible Coupling), 양축을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의 리지드 커플링 (Rigid Coupling), 오일 또는 파우더를 이용하여 슬로우 스타트를 하여 모터나 동력전달 계통의 부하를 줄이는 유체 커플링(Fluid Coupling)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플렉시블 커플링에 속하는 그리드 커플링(Grid Coupling)은 파형 형태의 반복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장치를 통해 강선을 180도 각도로 번갈아 가며 절곡하여 생산된다.
이러한 그리드 커플링을 성형하는 장치의 일실시예로 하기 특허문헌 1의 “커플링 그리드 성형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2332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커플링 그리드 성형기”는 베이스(301)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직선형으로 공급되는 기재(101)를 성형수단(200)으로 공급하는 기재공급수단(100)과 정역회전 가능하게 베이스(301)의 상부를 관통하는 수직축(202)의 상부에 '∪'자 형상의 지지대(201)를 결합하고, 좌우측에 각각 좌측판과 우측판이 결합된 성형드럼(206)을 수평축(205)을 이용하여 지지대(201)의 양끝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좌측판(207)과 우측판(208)의 외주연에는 기재공급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재(101)를 사이클파형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걸림핀(P1,P2)이 각각 끼워지기 위한 복수개의 좌측끼움홀(H) 과 우측끼움홀(h)이 타공되어 있는 성형수단(200)과 베이스(301) 내부에 존재하는 수직축(202)의 하부 끝단에 구동기어(302)를 결합하고, 공압실린더(304)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랙기어(303)를 상기 구동기어(302)에 치합하여 랙기어(303)의 전후진동작에 의해 성형수단(200)의 성형드럼(206)이 정역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한 동력전달수단(300)으로 이루어져 자동화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리드를 제조함에 따라 그리드 제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 제품의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커플링 그리드 성형기”는 공압실린더와 랙기어를 통하여 성형수단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로서, 성형수단이 최초 지점으로부터 회전 후 180°가 되는 지점에서 정확히 정지되지 않아 그리드 형상의 정밀도가 낮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233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류의 구동부가 그리드성형부를 직접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그성형부 주위에 그리드성형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가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함으로써, 강선의 형상 작업시 그리드성형부가 반복 회전 후 정확히 180°가 되는 지점에서 정확히 정지함으로써, 그리드 형상 성형에 대한 정밀도가 높아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강선의 성형시, 강선의 일부를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강선이 고정되는 강선고정가이드부를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두께가 다른 강선을 이용하여 그리드 커플링을 제조하더라도 그리드성형부의 거치 위치에 강선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는,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하우징(100);과, 상기 공간부(110)에 구비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가이드부(3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강선(10)을 거치하고 잡아주는 강선고정가이드부(400);와,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와 결합되되, 상기 강선고정가이드부(400)로부터 이송된 상기 강선(10)을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의 회전방향에 의해 파형 형태로 절곡시키는 그리드성형부(5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속도를 줄이고,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이드 하는 회전감지부(600, 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감지부(600, 600`)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감지레일부재(610, 610`)가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를 중심으로 대칭형성되고, 상기 감지레일부재(610, 610`)의 내측에는 센서이동홈(620, 620`)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센서이동홈(620, 620`)에는 임의의 위치에 제1 센서(630, 630`) 및 제2 센서(640, 64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형태의 지지대(5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샤프트(52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샤프트(520)의 중앙측에 원형상의 좌절곡부재(530)와 우절곡부재(5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좌절곡부재(53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1 핀고정부(531)가 타공형성되며, 상기 우절곡부재(54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 핀고정부(541)가 타공형성되고, 상기 제1 핀고정부(531)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핀(550) 및 제2 핀고정부(541)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핀(5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고정가이드부(400)는, 상기 강선(10)이 거치되는 거치플레이트(410)와 상기 강선(10)의 전면이 맞닿는 전면플레이트(420)와 상기 강선(10)의 후면을 가압하는 후면플레이트(430)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430)와 연결되어 상기 후면플레이트(43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부(440)로 이루어진 강선가압부재(401)와, 상기 강선가압부재(401)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부재(45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와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부재(4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부재(46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볼스크류(470)가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470)의 상단에 회전손잡이(480)가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470)에는 상기 회전손잡이(48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럭(490)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럭(490)의 전면에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류의 구동부가 그리드성형부를 직접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그성형부 주위에 그리드성형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가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함으로써, 강선의 형상 작업시 그리드성형부가 반복 회전 후 정확히 180°가 되는 지점에서 정확히 정지함으로써, 그리드 형상 성형에 대한 정밀도가 높아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선의 성형시, 강선의 일부를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선이 고정되는 강선고정가이드부를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두께가 다른 강선을 이용하여 그리드 커플링을 제조하더라도 그리드성형부의 거치 위치에 강선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의 정면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의 평면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의 구성 중 회전감지부가 그리드성형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의 구성 중 강선가압부재의 작동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의 구성 중 강선고정가이드부의 작동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커플링 그리드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는 크게, 본체하우징(100), 구동부(200), 회전가이드부(300), 강선고정가이드부(400), 그리드성형부(500) 및 회전감지부(6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PCB, 제어부, 외부의 전원인가장치 및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 중 일부의 도면은 구성요소의 일부가 생략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체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가 형성되어 후술할 구동부(200)가 수납되고, PCB, 제어부가 수납되며, 상부에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면에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문(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에는 PCB,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위한 전원 인가를 조작하도록 풋스위치(Foot switch) 등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구동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공간부(110)에 설치되어 후술할 회전가이드부(300)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2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의 샤프트(미도시)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전가이드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00)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고, 후술할 그리드성형부(5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그리드성형부(5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강선고정가이드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강선고정가이드부(400)는 도 1, 도 2, 도 3,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강선(10)이 거치되고, 상기 강선(10)이 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들여 당겼을 때 상기 그리드성형부(500)가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강선(10)이 전진될 정도의 힘으로 잡아주는 구성요소로서, 강선가압부재(401), 수평지지대부재(450) 및 수직지지대부재(4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선가압부재(401)는 상기 강선(10)을 소정의 힘으로 잡아주어 작업자가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강선(10)의 형상을 성형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강선(10)의 성형을 원활하게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거치플레이트(410), 전면플레이트(420), 후면플레이트(430) 및 에어실린더부(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플레이트(410)는 상기 강선가압부재(401)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강선(10)이 거치되는 일종의 판이다.
상기 전면플레이트(42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강선(10)의 전면과 맞닿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후면플레이트(430)는 상기 거치플레이트(410)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실린더부(440)와 결합되어 상기 에어실린더부(4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420)와 후면플레이트(430) 사이에 위치된 상기 강선(10)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에어실린더부(440)는 상기 후면플레이트(430)와 결합되어 상기 후면플레이트(43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어부를 통해 구동된다.
한편, 강선가압부재(401)에는 상기 강선(10)이 전진시 상기 강선(1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볼베어링(40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강선가압부재(401)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와 동일선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지지대부재(46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수직지지대부재(46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볼스크류(470)가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470)의 상단에는 상기 볼스크류(470)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480)가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470)에는 상기 회전손잡이(48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럭(49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블럭(490)의 전면에는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손잡이(48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두께가 다른 상기 강선(10)을 이용하여 그리드를 성형시,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거치 위치에 상기 강선(10)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원활하게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그리드성형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와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강선(10)의 절곡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지지대(510), 수평샤프트(520) 및 좌, 우절곡부재(530, 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51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와 직접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원활한 절곡작업을 위해 중앙에 공간이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샤프트(520)는 상기 지지대(5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수평샤프트(500)는 상기 수평샤프트(5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평샤프트(520)와 결합되는 후술할 좌, 우절곡부재(530, 540)가 전면측 또는 후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좌, 우절곡부재(530, 540)를 통해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는 상기 강선(10)을 파형 형태로 만들기 위한 반복적인 절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상기 수평샤프트(520)의 중앙측에 원형상의 좌절곡부재(530)와 우절곡부재(5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절곡부재(530)는 원형상의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절곡부재(53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제1 핀고정부(531)가 타공형성되고, 상기 강선(10)의 성형을 위한 제1 가이드핀(550)이 성형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핀고정부(531)에 삽입된다.
상기 우절곡부재(540) 또한 상기 좌절곡부재(530)와 마찬가지로 원형상의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절곡부재(54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제2 핀고정부(541)가 타공형성되고, 상기 강선(10)의 성형을 위한 제2 가이드핀(560)이 성형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핀고정부(541)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상부측에는 상기 강선(10)의 절곡작업시 절곡부분을 고주파로 가열하는 고주파가열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전감지부(600, 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감지부(600, 600`)는 도 1, 도 2,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둘레측에 형성되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위치별 회전 감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속도를 줄이고,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감지부(600, 600`)는 감지레일부재(610, 610`), 센서이동홈(620, 620`), 제1 센서(630, 630`) 및 제2 센서(640, 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레일부재(610, 610`)는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를 중심으로 대칭형성되는 곡면의 레일이다.
상기 센서이동홈(620, 620`)은 상기 감지레일부재(610, 6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이동안내구간으로서, 상기 제1 센서(630, 630`) 및 제2 센서(640, 640`)가 절곡작업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설정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센서(630, 630`)는 상기 그리드성형부(5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를 각각 기준으로 수평면상 0°에서 출발하여 회전을 시작한 후 최초로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제1 센서(630, 630`)를 통해 감지가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한 후 상기 구동부(200)의 회전출력을 낮추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출력을 낮추어 급작스러운 회전 멈춤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640, 640`)는 상기 그리드성형부(500)가 상기 제1 센서(630, 630`)에 의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출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설계상 180°되는 위치에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제2 센서(640, 640`)를 통해 감지가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강선(10)의 파형형태를 위한 반복적인 절곡 작업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가 반복 회전 후 정확히 180°가 되는 지점에서 정확히 정지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밀도 높은 그리드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게 해 준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100: 본체하우징 110: 공간부
200: 구동부
300: 회전가이드부
400: 강선고정가이드부 401: 강선가압부재
410: 거치플레이트 420: 전면플레이트
430: 후면플레이트 440: 에어실린더부
450: 수평지지대부재 460: 수직지지대부재
470: 볼스크류 480: 회전손잡이
490: 이동블럭
500: 그리드성형부 510: 지지대
520: 수평샤프트 530: 좌절곡부재
531: 제1 핀고정부 540: 우절곡부재
541: 제2 핀고정부 550: 제1 가이드핀
560: 제2 가이드핀
600, 600`: 회전감지부 610, 610: 감지레일부재
620, 620`: 센서이동홈 630, 630`: 제1 센서
640, 640`: 제2 센서

Claims (5)

  1.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하우징(100);
    상기 공간부(110)에 구비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200);
    상기 본체하우징(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가이드부(300);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강선(10)을 거치하고 잡아주는 강선고정가이드부(400);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와 결합되되, 상기 강선고정가이드부(400)로부터 이송된 상기 강선(10)을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의 회전방향에 의해 파형 형태로 절곡시키는 그리드성형부(500);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그리드성형부(500)의 회전속도를 줄이고,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이드 하는 회전감지부(600, 60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감지부(600, 600`)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감지레일부재(610, 610`)가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를 중심으로 대칭형성되고,
    상기 감지레일부재(610, 610`)의 내측에는 센서이동홈(620, 620`)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센서이동홈(620, 620`)에는 임의의 위치에 제1 센서(630, 630`) 및 제2 센서(640, 64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성형부(50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형태의 지지대(5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샤프트(52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샤프트(520)의 중앙측에 원형상의 좌절곡부재(530)와 우절곡부재(5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좌절곡부재(53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1 핀고정부(531)가 타공형성되며,
    상기 우절곡부재(54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 핀고정부(541)가 타공형성되고,
    상기 제1 핀고정부(531)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핀(550) 및 제2 핀고정부(541)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핀(5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고정가이드부(400)는,
    상기 강선(10)이 거치되는 거치플레이트(410)와 상기 강선(10)의 전면이 맞닿는 전면플레이트(420)와 상기 강선(10)의 후면을 가압하는 후면플레이트(430)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430)와 연결되어 상기 후면플레이트(43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부(440)로 이루어진 강선가압부재(401)와,
    상기 강선가압부재(401)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부재(45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와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부재(4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부재(46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볼스크류(470)가 형성되고,
    상기 볼스크류(470)의 상단에 회전손잡이(480)가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류(470)에는 상기 회전손잡이(48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럭(490)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럭(490)의 전면에 상기 수평지지대부재(4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1).

KR1020190083083A 2019-07-10 2019-07-10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KR10221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83A KR102216991B1 (ko) 2019-07-10 2019-07-10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83A KR102216991B1 (ko) 2019-07-10 2019-07-10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47A KR20210007147A (ko) 2021-01-20
KR102216991B1 true KR102216991B1 (ko) 2021-02-18

Family

ID=7430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083A KR102216991B1 (ko) 2019-07-10 2019-07-10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9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26B1 (ko) * 2017-11-28 2018-03-28 이인선 철선을 입체 형상으로 절곡할 수 있는 철망용 자동 입체 절곡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332B1 (ko) * 2010-02-22 2012-04-05 주식회사 우창카플링 커플링 그리드 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26B1 (ko) * 2017-11-28 2018-03-28 이인선 철선을 입체 형상으로 절곡할 수 있는 철망용 자동 입체 절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47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728B1 (en) Pipe bending machine accurately controlling bent angles of pipes
CN105517786B (zh) 压力机
CN105531047B (zh) 用于弯曲板材工件的弯曲机
KR100604201B1 (ko) 서보모터를 이용한 클린칭 타입의 헤밍장치
CN110605686A (zh) 波发生器用装配装置
JP2019527149A (ja) 電動クランピング装置
JPS6052000B2 (ja) シ−ト材料の裁断装置
KR102216991B1 (ko) 커플링 그리드 성형장치
WO2013111401A1 (en) Electric clamp apparatus
KR101640110B1 (ko) 봉강 벤딩장치
CN108311566A (zh) 一种弯管机
CN110026455B (zh) 一种全自动软排线折弯系统
CN208214002U (zh) 一种弯管机
CN208747096U (zh) 机械手结构及线束加工设备
KR200424554Y1 (ko) 드럼 플랜징 장치
CN211029839U (zh) 波发生器用装配装置
CN205834535U (zh) 全自动焊接机械手臂
CN108941393A (zh) 一种用于钢筋骨架滚焊机上料的钢筋续接装置
KR101741716B1 (ko) 그리드 커플링의 그리드 절곡장치
CN216262844U (zh) 一种汽车尿素管加工用的弯管机
CN207534943U (zh) 塑料制品快速加工治具
CN111790844A (zh) 一种适用于不同粗细的可调式钢筋生产用折弯装置及方法
CN217512739U (zh) 一种多工位弯线设备
KR101629490B1 (ko) 그리드 커플링 성형시스템
CN212794651U (zh) 一种双驱动的工件夹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