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428B1 -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428B1
KR101876428B1 KR1020180062872A KR20180062872A KR101876428B1 KR 101876428 B1 KR101876428 B1 KR 101876428B1 KR 1020180062872 A KR1020180062872 A KR 1020180062872A KR 20180062872 A KR20180062872 A KR 20180062872A KR 101876428 B1 KR101876428 B1 KR 10187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lower slider
slider
expans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명
Original Assignee
구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명 filed Critical 구태명
Priority to KR102018006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54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achine tool with respect to its 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반에 지지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감싸는 덮개부재;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기울기면이 마련된 하단슬라이더; 상기 몸체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헤드가 마련되며, 타측은 상기 하단슬라이더에 체결되어 상기 하단슬라이더와의 체결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정부재;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면은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기울기면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구면으로 형성된 상단슬라이더;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하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하단슬라이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홈과, 상기 베어링홈 내부에 삽입되어 구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단슬라이더와 상기 하단슬라이더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쇠시키는 다수의 구름볼이 마련된 리니어베어링;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할 수 있게 하단은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상면에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된 틸팅조정부재; 공작기계의 레그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 상기 틸팅조정부재, 상기 상단슬라이더, 상기 하단슬라이더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며, 일측 일부가 지반에 삽입고정된 고정앵커; 상기 틸팅조정부재가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구면을 따라 기울어진 기울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를 지지하는 기울기유지수단;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설정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 및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투과창이 마련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이의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작기계의 기울기를 유지시킬 수 있고, 가변되는 하단슬라이더를 원거리값으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INSTALLATION PLAC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MACHINE TOOL AND INSTALLATION PLACE ADJUSTING METHOD}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를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링머신을 비롯한 공작기계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장소에 지반을 다지고 그 위에 공작기계 레그를 설치하며 레그의 가이드면 또는 테이블 상면에 레벨 측정기를 올려놓고 기계 전체의 기초적인 레벨을 측정한다 이때, 레벨 측정기의 측정값에 따라 공작기계의 레벨을 맞추기 위해 레벨 조정장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레벨 조정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069929호(2011.09.27) "기계 레벨 조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조정장치는 지반에 지지되는 몸체, 몸체의 상부에 안착된 하단슬라이더, 하단슬라이더의 상부에 안착된 상단슬라이더, 상단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단슬라이더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재, 상단슬라이더의 상부와 공작기계의 레그 사이에 설치된 틸팅조정부재, 공작기계의 레그에 체결되며, 틸팅조정부재, 상단슬라이더,하단슬라이더 및 몸체를 관통하며, 일측 일부가 지반에 삽입고정된 고정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조정장치는 조정나사와 틸팅조정부재에 별도의 마찰력 가감수단을 구비하여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공작기계의 설치 높이 및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정장치는 공작기계의 설치 후, 틸팅조정부재의 기울기를 고정할 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개시되지 않고 있으며, 단순히 상단슬라이더로부터 틸팅조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각도한정부만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틸팅조정부재는 공작기계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기울기가 지속적으로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조정장치는 설치된 공작기계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진동이 발생되는 공작기계의 레벨 조정을 위해 설치된 경우, 공작기계에 의해 생산되는 가공물들이 균일하게 생산될 수 없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정장치는 공작기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정부재가 단순히 스프링와셔의 탄성력에 의해 풀림이 방지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정부재는 적은 힘으로도 하단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는 바, 공작기계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공작기계의 하중 등의 작용에 의해 점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조정부재는 회전이 방지된 상태가 아니라, 적은 힘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공작기계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공작기계의 하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회전되면서 하단슬라이더를 소정간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하단슬라이더는 최초로 배치된 원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결국, 공작기계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정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되는 공작기계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최초 설치상태로 조절하기 위하여, 공작기계를 작동시키기 전, 매번 공작기계의 레그의 가이드면 또는 테이블 상면에 레벨 측정기를 올려놓고 가변된 높낮이 및 기울기를 다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1)한국특허공보 제10-1069929호(2011.09.27) "기계 레벨 조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작기계의 작동시, 가공물을 가공하는 동안 틸팅조절부재의 기울기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기계의 기울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슬라이더가 공작기계의 진동 또는 하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이동될 경우, 작업전 또는 작업시 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동조절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최초 설치된 위치로 하단슬라이더를 다시 이동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는 지반에 지지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감싸는 덮개부재;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기울기면이 마련된 하단슬라이더; 상기 몸체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헤드가 마련되며, 타측은 상기 하단슬라이더에 체결되어 상기 하단슬라이더와의 체결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정부재;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면은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기울기면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구면으로 형성된 상단슬라이더;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하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하단슬라이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홈과, 상기 베어링홈 내부에 삽입되어 구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단슬라이더와 상기 하단슬라이더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쇠시키는 다수의 구름볼이 마련된 리니어베어링;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할 수 있게 하단은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상면에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된 틸팅조정부재; 공작기계의 레그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 상기 틸팅조정부재, 상기 상단슬라이더, 상기 하단슬라이더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며, 일측 일부가 지반에 삽입고정된 고정앵커; 상기 틸팅조정부재가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구면을 따라 기울어진 기울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를 지지하는 기울기유지수단;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설정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 및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투과창이 마련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기울기유지수단은 상기 덮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측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의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일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의 제2레일을 갖는 다수의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공압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조정부재의 헤드가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이 마련되고,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이동되는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모듈;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팽창부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이루는 원통형태로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갖는 관로가 마련되고, 상기 관로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관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관로의 내측으로부터 관로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팽창부바디;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를 이루어 상기 중공으로 상기 공압이 유동되고, 일단이 상기 관로의 개구에 연통상태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연결브라켓의 제1레일을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제1가이드; 및 양측 끝단이 상기 플랜지의 테두리를 제각기 감싸면서 상기 관로를 상기 플랜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밀폐시켜 팽창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공압에 의해 팽창되는 상기 팽창공간과 함께 팽창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팽창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는 판재형의 지지부바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수직바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의 제3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바의 끝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가이드가 상기 연결브라켓의 제2레일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2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링크; 상기 지지부바디가 상기 제3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링크의 제3레일을 관통하는 상태로 일단이 상기 지지부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바디와 상기 연결링크를 서로 결합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지지부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바디는 상기 팽창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의 제3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연결링크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가 이루는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상기 레그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킹부재의 중앙에 함몰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센서의 접촉면은 상기 패킹부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재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지지부바디가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패킹부재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패킹부재의 상부 표면과 일치하게 될 경우,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에 면접촉됨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의 팽창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작기계의 설치를 위해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배치된 원거리값과,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는 설정된 허용범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설정된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이 상기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회전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발생되는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원거리값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은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설치한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하단슬라이더가 배치된 원거리값을 제1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정하는 원거리값 저장단계; 상기 원거리값 저장단계 후, 저장된 상기 원거리값을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원거리값 표시단계; 상기 원거리값 저장단계 후,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상기 원거리값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거리를 허용하는 허용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허용범위 저장단계; 상기 허용범위 저장단계 후, 저장된 상기 허용범위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른 일부분에 표시하는 허용범위 표시단계; 상기 허용범위 저장단계 후, 상기 공작기계를 작동시키기 전에 공작기계에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틸팅조정부재에 의해 기울기가 조정된 상기 공작기계의 기울기를 유지시키는 기울기유지수단이 작동되는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 후, 상기 공작기계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기울기유지수단의 작동을 해제하여 팽창부재를 축소시키는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 후,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위치를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재측정하고, 비교부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이동거리 비교단계; 상기 이동거리 비교단계 후, 재측정된 상기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또 다른 일부분에 표시하는 측정값 표시단계; 상기 이동거리 비교단계를 통해 상기 측정값이 상기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교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모터가 작동되고, 작동되는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상기 원거리값으로 이동되는 하단슬라이더 복귀단계;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는 기울기유지수단의 팽창부에 공압이 제공되고, 이의 공압에 의해 팽창부재가 팽창되는 팽창단계; 상기 팽창단계를 통해 팽창부재가 팽창되어 부피가 커짐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에 안착된 지지부의 지지부바디가 제1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지지부바디에 설치된 패킹부재와 함께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계; 및 상기 지지단계를 통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바디가 연결링크와의 연결구조에 의해 상기 레그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는 수평조절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는 상기 지지단계를 통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상기 패킹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패킹부재에 마련된 제2센서의 접촉면이 홀더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에 접촉될 경우, 상기 제2센서를 통해 접촉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팽창단계가 중지되면서 상기 팽창부재의 팽창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팽창유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에 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시, 기울기유지수단을 통해 가공물을 가공하는 동안 틸팅조절부재의 기울기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기계의 기울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물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팽창부는 공압에 의해 팽창부재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구조로, 공작기계의 레그와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축 또는 팽창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전술한 팽창부에 의해 상승되고, 이때 지지부바디와 연결링크의 연결을 통해 지지부바디가 공작기계 레그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공작기계의 레그를 수평상태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팽창부는 공작기계의 레그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통해 팽창부재의 팽창이 자동적으로 중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슬라이더가 공작기계의 진동 또는 하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이동되어 허용범위를 초과하게 된 경우, 복귀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단슬라이더가 원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공물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는 물론, 작업자가 수시로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의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울기유지수단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울기유지수단 및 복귀수단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기울기유지수단의 작동과정을 단면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1)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 덮개부재(22), 하단슬라이더(30), 상단슬라이더(40), 조정부재(50), 틸팅조정부재(60), 고정앵커(11)를 포함하고, 공작기계의 레그(12)를 지지하기 위한 기울기유지수단(200), 하단슬라이더(30)를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300) 및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400)을 포함한다.
몸체(20)는 지반에 설치되어 공작기계를 지지하며, 후술되는 고정앵커(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홀(29)이 형성되어 있다. 공작기계가 지면과의 수평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몸체(20)는 평평한 지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는 일측면에 조정부재(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부(21)가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21)는 조정부재(5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게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1)는 관통홀(28)을 중심으로 후술되는 풀림방지부재(52)가 결합부(21)에 매몰되어 조정부재(50)에 체결될 수 있게 풀림방지부재(52)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22)는 몸체(20)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고, 몸체(20)의 상부에 안착된 하단슬라이더(30)와 상단슬라이더(40)의 접촉부위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단슬라이더(30)는 몸체(20)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하단슬라이더(30)의 후방 단부는 후술되는 고정앵커(11)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슬라이더(30)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일정간격으로 분기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단슬라이더(30)의 전방 측면에는 후술되는 조정부재(50)의 나사부(51)가 체결될 수 있게 암나사산이 마련된 결합홀(31)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슬라이더(30)의 상면은 상단슬라이더(40)와의 마찰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상단슬라이더(40)와의 접촉면에 설치된 리니어베어링(41)을 구비한다. 리니어베어링(41)은 하단슬라이더(30)의 분기된 부분의 각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베어링홈(42)과, 베어링홈(42) 내부에 삽입되어 구름력을 제공하여 상단슬라이더(40)와 하단슬라이더(3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쇠시키는 다수의 구름볼(43)을 구비한다.
상단슬라이더(40)는 하단슬라이더(3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면은 상기 하단슬라이더(30)의 기울기면(32)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단슬라이더(40) 상면의 중심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앵커(11)가 관통 삽입될 수 있게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부재(50)는 결합부(21)에 일측이 풀림방지부재(5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하단슬라이더(30)의 결합홀(31)에 체결될 수 있게 수나사형태의 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부재(50)는 육각구멍붙이 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림방지부재(52)는 조정부재(50)의 헤드와 결합부(21)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정부재(50)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정부재(50)의 풀림을 방지하는 스프링와셔(53)와, 상기 스프링와셔(53)와 결합부(21)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정부재(50)에 체결되어 설치자가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조정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게 스러스트베어링(54)과, 스프링와셔(53)와 스러스트베어링(54) 사이의 조정부재(50)에 체결되어, 공작기계의 하중에 의해 스러스트베어링(54)를 가압하는 칼라(55)를 구비한다.
틸팅조정부재(60)는 상기 상단슬라이더(4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단은 상기 상단슬라이더(40)의 상면의 오목한 형상에 대응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틸팅조정부재(60)의 중심부는 고정앵커(11)가 관통 삽입될 수 있게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틸팅조정부재(60)의 관통구는 고정앵커(11)가 삽입된 상태에서 틸팅조정부재(60)를 움직일 수 있게 고정앵커(11)와 유격을 갖게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앵커(11)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틸팅조정부재(60)의 하부 구면에는 상기 상단슬라이더(40)와의 접촉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상단슬라이더(40)와의 접촉면에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몸체(20), 덮개부재(22), 하단슬라이더(30), 상단슬라이더(40), 조정부재(50), 틸팅조정부재(60) 및 고정앵커(11)의 구성은 공작기계의 레그(12)와 연결한 상태로 설치를 마친 후, 조정부재를 통해 하단슬라이더(30)를 이동시켜 공작기계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틸팅조정부재(60)를 통해 공작기계의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이의 구성을 통해 공작기계의 설치를 위한 높낮이 및 평행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특허문헌 1) 제10-1069929호(2011.09.27) "기계 레벨 조정장치"에 개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통해 설치가 완료된 공작기계를 작동시킬 경우, 공작기계 전체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틸팅조정부재(60)는 공작기계의 설치를 위해 조정된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나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작기계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공작기계의 기울기가 수시로 가변되는 문제점은 물론, 하단슬라이더(30)가 적은 힘에 의해서도 조정될 수 있는 가고정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공작기계의 진동이나 하중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이동되어 공작기계의 높낮이가 수시로 가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 설명하는 기울기유지수단(200), 복귀수단(300) 및 표시수단(400)을 통해 이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기울기유지수단(200)은 틸팅조정부재(60)가 상단슬라이더(40)의 구면을 따라 기울어진 기울기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22)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앵커볼트(11)를 중심으로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울기유지수단(200)은 연결브라켓(210), 팽창부(230) 및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연결브라켓(210)은 후술할 팽창부(230) 및 지지부(250)를 일측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를 이루고, 내측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의 제1레일(211) 및 제1레일(211)의 양측에 제1레일(21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의 제2레일(213)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2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덮개부재(2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기울기유지수단(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기울기유지수단(200)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지지부(250)의 지지부바디(251)가 이루는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지지부(250)와 함게 설명한다.
팽창부(230)는 후술할 지지부(250)의 지지부바디(251)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팽창부바디(231), 제1가이드(233) 및 팽창부재(235)를 포함한다.
팽창부바디(231)는 팽창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체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이루는 원통형태로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갖는 관로(231a)가 마련되고, 관로(231a)의 양측 단부로부터 관로(23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플랜지(231b)가 마련되며, 관로(231a)의 내측으로부터 관로(231a)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231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231b)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팽창부바디(231)가 공작기계의 레그(12)와 덮개부재(2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가이드(23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전술한 팽창부바디(231)의 관로(231a)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233)는 일단이 관로(231a)의 개구에 연통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브라켓(210)의 제1레일(211)을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233)는 제1레일(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233)에 의해 팽창부바디(231)가 제1레일(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233)는 타단에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공압을 중공으로 전달하기 위한 에어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공압은 예컨대, 공작기계에 사용되거나 별도로 마련되는 에어컴프레서(air-compressor)(미도시)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공압은 별도의 체크밸브(미도시)를 통해 공급 또는 배출이 가능하고, 공급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팽창부재(235)는 전술한 팽창부바디(231)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단이 플랜지(231b)의 테두리를 제각기 감싸면서 관로(231a)를 플랜지(231b)가 이루는 형태로 밀폐시킴에 따라 팽창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팽창부재(235)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팽창부재(235)는 전술한 제1가이드(233)를 통해 공급받는 공압에 의해 팽창공간이 팽창됨과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부(230)는 에어호스를 통해 제공되는 공압이 제1가이드(233)의 중공을 지나 관로(231a)에 형성된 유입홀(231c)을 통해 팽창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팽창부재(235)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팽창부(230)는 팽창되는 팽창부재(235)의 부피변화를 통해 후술하는 지지부바디(251)를 제1레일(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시킬 수 있다.
지지부(250)는 공작기계의 레그(1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지지부바디(251), 연결링크(253), 결합부재(255) 및 패킹부재(257)를 포함한다.
지지부바디(251)는 후술하는 패킹부재(257)를 공작기계의 레그(12)의 하단에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판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바디(251)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양측면에 후술할 결합부재(255)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크(253)는 지지부바디(251)를 전술한 연결브라켓(210)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253a) 및 제2가이드(253b)를 포함한다.
수직바(253a)는 지지부바디(251)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바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의 제3레일(253c)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바(253a)는 후술할 결합부재(255)가 제3레일(253c)을 관통하는 상태로 지지부바디(251)의 고정홀에 연결됨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부바디(251)는 제3레일(253c)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가이드(253b)는 지지부바디(251)를 연결브라켓(210)의 제2레일(21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수직바(253a)의 끝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253b)는 연결브라켓(210)의 제2레일(213)에 관통상태로 연결되고, 제2레일(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이드(253b)는 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미도시)에 의해 제2레일(2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부재(255)는 연결링크(253)를 지지부바디(251)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마련된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255)는 핀부분이 연결링크(253)의 수직바(253a)에 형성된 제3레일(253c)을 관통하고, 관통된 일단이 지지부바디(251)의 고정홀에 관통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255)는 연결링크(253)와 지지부바디(251)를 일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패킹부재(257)는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이루고, 지지부바디(251)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패킹부재(257)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우레탄폼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부바디(251)의 상부에 마련된 상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257)는 전술한 지지부바디(251)가 팽창부(230)에 의해 상승되면서 지지부바디(251)와 함께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50)는 홀더(257a) 및 제2센서(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257a)는 후술할 제2센서(259)가 마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257)의 중앙에 홈형태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257a)는 소정의 깊이를 이루는데,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제2센서(259)가 이루는 두께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센서(259)는 공작기계의 레그(12)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57a)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센서(259)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 즉 홀더(257a)의 내측에 마련된 상태로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패킹부재(257)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두고 배치될 수 있는 두께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제2센서(259)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압전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접촉이 감지된 접촉신호를 후술할 제어부(355)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센서(259)는 홀더(257a)의 내측에 마련되나, 후술하는 기울기유지수단(200)의 작동과정 중에 접촉면이 패킹부재(257)의 상부면과 일치되면서 홀더(257a)로부터 노출될 수 있는데, 후술할 기울기유지수단(200)의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지지부(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되는 팽창부(230)의 팽창부재(235)에 의해 지지부바디(251)가 제2레일(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면서 패킹부재(257)와 함께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면접촉 상태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울기유지수단(200)의 작동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재(235)가 수축된 상태에서 에어호스를 통해 팽창공간으로 공압이 주입된다.
다음, 팽창공간으로 공압이 주입됨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재(235)가 팽창되고, 이와 동시에 팽창부재(235)에 안착된 지지부바디(251)가 팽창부재(235)에 의해 상승되면서 패킹부재(257)와 함께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바디(251)는 패킹부재(257)와 함께 공작기계의 레그(12)에 지지될 경우, 연결링크(253)와의 연결구조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평행한 기울기로 조정된 공작기계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공작기계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패킹부재(257)는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되고, 패킹부재(257)의 팽창에 의해 가압되면서 점차적으로 압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이 제2센서(259)의 접촉면에 일치하는 만큼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센서(259)의 접촉면은 홀더(257a)로부터 노출되어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에 면접촉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 제2센서(259)의 접촉면과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이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접촉신호가 후술할 제어부(355)로 전달된다.
다음, 제어부(355)는 전달받은 접촉신호에 따라 공압의 공급을 중지시키고, 체크벨브를 차단하여 팽창공간을 팽창된 상태 그대로 유지시킨다.
한편, 제어부(355)는 공작기계의 작업이 완료된 후, 전술한 팽창부(230)의 팽창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서 팽창부재(235)를 원상태로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술한 기울기유지수단(200)의 작동과정을 통해 공작기계의 레그(12)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유지수단(200)은 공작기계의 작업시, 공작기계의 레그(12)가 이루는 평행도를 유지시켜 가공물이 균일하게 가공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팽창부재(235) 및 패킹부재(257)를 통해 공작기계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가공물의 정밀가공을 가능하게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기울기유지수단(200)은 공작기계의 작업전, 공작기계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후술할 컨트롤박스에 마련되는 제1버튼(P1)을 통해 수동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즉, 기울기유지수단(200)은 공작기계의 설치를 위하여 작업자가 틸팅조정부재(60)를 직접적으로 조정하지 않더라도 제1버튼(P1)을 통해 공작기계의 평행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복귀수단(300)은 전술한 하단슬라이더(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모터(310), 제1센서(330) 및 제어모듈(350)을 포함한다.
회전모터(310)는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정부재의 헤드가 연결되는 고정부재(311)가 마련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11)에 조정부재(50)의 헤드가 연결된 상태로 조정부재(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모터(310)는 고정부재(3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모터로 구성되고, 후술할 제어부(355)에 의해 작동되며, 고정부재(31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제1센서(330)는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슬라이더(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센서(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일측 중, 덮개부재(22)의 가로막힌 내측면과 마주보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서(330)는 하단슬라이더(30)의 일측면으로부터 덮개부재(22)의 마주보는 내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기계를 설치하기 위해 조정된 하단슬라이더(30)가 위치하는 덮개부재(22)의 내측면과의 거리(원거리값)와, 공작기계의 진동 또는 하중에 의해 이동된 하단슬라이더(30)가 위치하는 덮개부재(22)의 내측면과의 거리(측정값)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모듈(350)은 하단슬라이더(3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35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351), 비교부(353) 및 제어부(355)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351)는 제1센서(330) 및 설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제1센서(330)를 통해 측정된 원거리값 및 측정값이 저장되고, 별도의 설정을 통해 하단슬라이더(30)가 원거리값으로부터 일정간격 만큼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허용범위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허용범위는 원거리값이 측정된 후, 원거리값에 ±0.1~0.5mm의 거리를 더한 값을 입력할 수 있다.
비교부(353)는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부(351)의 허용범위와 측정값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제1센서(330)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설정된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측정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회전모터(3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후술할 제어부(35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55)는 회전모터(31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비교부(353)로부터 발생되는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회전모터(310)를 작동시켜 하단슬라이더(30)를 데이터베이스부(351)의 원거리값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5)는 별도의 설정을 통해 회전모터(310)의 고정부재(31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55)는 전술한 제2센서(259)로부터 발생되는 접촉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air-compressor)(미도시) 등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체크벨브(미도시)를 차단하여 팽창부재(235)의 팽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공작기계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 별도의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기울기유지수단(200)의 작동을 해제하여 팽창부재(235)를 원상태로 수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복귀수단(300)은 공작기계의 작동시 또는 작동후, 하단슬라이더(30)가 공작기계의 진동 또는 하중에 의해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어부(355)를 통해 하단슬라이더(30)를 원거리값으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표시수단(400)은 전술한 원거리값, 허용범위 및 측정값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10) 및 투과창(4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10)는 원거리값, 허용범위 및 측정값을 수치상으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덮개부재(2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410)는 후술할 컨트롤박스에 마련되는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410)는 화면 일측에 제1센서(330)로부터 측정된 원거리값을 표시하고, 다른 일측에 설정된 허용범위를 표시하며, 또 다른 일측에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거리가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410)는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된 거리를 수치상으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투과창(430)은 덮개부재의 일부분을 투과하여 내부를 바라볼 수 있는 구성으로, 덮개부재의 내부에 마련된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유리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투과창(430)은 겉면에 눈금자가 마련되어 하단슬라이더(30)가 원거리값으로부터 이동된 거리를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수단(400)은 디스플레이(410)를 통해 전술한 원거리값, 허용범위 및 측정값을 수치상으로 표시하거나 투과창(430)을 통해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가 하단슬라이더(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하단슬라이더(30)의 복귀를 위한 조취를 좀더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1)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는 전술한 제어모듈(350) 및 디스플레이(4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기판이 내장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박스는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버튼(P1) 및 제2버튼(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버튼(P1)은 전술한 기울기유지수단(200)을 수동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울기유지수단(200)을 작동시키거나 작동해제시킬 수도 있다.
제2버튼(P2)은 전술한 복귀수단(300)을 수동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허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하단슬라이더(30)를 원거리값으로 즉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컨트롤박스의 제1버튼(P1) 및 제2버튼(P2)을 통해 상황에 따라 기울기유지수단(200) 및 복귀수단(300)을 수동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형 기계 레벨 장치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500)은 전술한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1)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설치한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하단슬라이더(30)가 배치된 원거리값을 제1센서(330)를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351)에 저정하는 원거리값 저장단계(S510); 원거리값 저장단계(S510) 후, 저장된 원거리값을 디스플레이(410)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원거리값 표시단계(S515); 원거리값 저장단계(S510) 후, 하단슬라이더(30)가 상기 원거리값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거리를 허용하는 허용범위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351)에 저장하는 허용범위 저장단계(S520); 허용범위 저장단계(S520) 후, 저장된 허용범위를 디스플레이(410)의 다른 일부분에 표시하는 허용범위 표시단계(S245); 허용범위 저장단계(S520) 후, 공작기계를 작동시키기 전에 공작기계에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틸팅조정부재(60)에 의해 기울기가 조정된 공작기계의 기울기를 유지시키는 기울기유지수단(200)이 작동되는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S530);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S530) 후, 공작기계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 기울기유지수단(200)의 작동을 해제하여 팽창부재(235)를 축소시키는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S540);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S540) 후, 하단슬라이더(30)의 위치를 제1센서(330)를 통해 재측정하고, 비교부(353)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이동거리 비교단계(S550); 이동거리 비교단계(S550) 후, 재측정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410)의 또 다른 일부분에 표시하는 측정값 표시단계(S555); 이동거리 비교단계(S550)를 통해 측정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비교부(353)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355)에 의해 회전모터(310)가 작동되고, 작동되는 회전모터(310)에 의해 하단슬라이더(30)가 원거리값으로 이동되는 하단슬라이더(30) 복귀단계(S560);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S530)는 기울기유지수단(200)의 팽창부(230)에 공압이 제공되고, 이의 공압에 의해 팽창부재(235)가 팽창되는 팽창단계(S531); 팽창단계(S531)를 통해 팽창부재(235)가 팽창되어 부피가 커짐에 따라 팽창부재(235)에 안착된 지지부(250)의 지지부바디(251)가 제1레일(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면서, 지지부바디(251)에 설치된 패킹부재(257)와 함께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계(S533); 및 지지단계(S533)를 통해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바디(251)가 연결링크(253)와의 연결구조에 의해 공작기계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는 수평조절단계(S535);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S530)는 지지단계(S533)를 통해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을 지지하는 패킹부재(257)가 압축되면서, 패킹부재(257)에 마련된 제2센서(259)의 접촉면이 홀더(257a)를 통해 노출되어 공작기계의 레그(12) 하단에 접촉될 경우, 제2센서(259)를 통해 접촉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355)에 의해 팽창단계(S531)가 중지되면서 팽창부재(235)의 팽창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팽창유지단계(S5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1)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은 전술한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1)의 구성 및 작동과정들을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500)은 공작기계의 기울기를 유지시킬 수 있고, 가변되는 하단슬라이더(30)를 원거리값으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1 :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11 : 고정앵커 20 : 몸체
20 : 하단슬라이더 40 : 상단슬라이더
50 : 조정부재 60 : 틸팅조정부재
200 : 기울기유지수단 210 : 연결브라켓
211 : 제1레일 213 : 제2레일
230 : 팽창부 231 : 팽창부바디
231a : 관로 231b : 플랜지
231c : 유입홀 233 : 제1가이드
235 : 팽창부재 250 : 지지부
251 : 지지부바디 253 : 연결링크
253a : 수직바 253b : 제2가이드
253c : 제3레일 255 : 결합부재
257 : 패킹부재 257a : 홀더
259 : 제2센서 300 : 복귀수단
310 : 회전모터 330 : 제1센서
350 : 제어모듈 351 : 데이터베이스부
353 : 비교부 355 : 제어부
400 : 표시수단 410 : 디스플레이
430 : 투과창
500 : 설치위치 조정방법
S510 : 원거리값 저장단계 S515 : 원거리값 표시단계
S520 : 허용범위 저장단계 S525 : 허용범위 표시단계
S530 :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 S531 : 팽창단계
S533 : 지지단계 S535 : 수평조절단계
S537 : 팽창유지단계 S540 :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
S550 : 이동거리 비교단계 S555 : 측정값 표시단계
S560 : 하단슬라이더 복귀단계

Claims (4)

  1. 지반에 지지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감싸는 덮개부재;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기울기면이 마련된 하단슬라이더;
    상기 몸체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헤드가 마련되며, 타측은 상기 하단슬라이더에 체결되어 상기 하단슬라이더와의 체결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정부재;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면은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기울기면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구면으로 형성된 상단슬라이더;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하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하단슬라이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홈과, 상기 베어링홈 내부에 삽입되어 구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단슬라이더와 상기 하단슬라이더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쇠시키는 다수의 구름볼이 마련된 리니어베어링;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촉할 수 있게 하단은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상면에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된 틸팅조정부재;
    공작기계의 레그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 상기 틸팅조정부재, 상기 상단슬라이더, 상기 하단슬라이더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며, 일측 일부가 지반에 삽입고정된 고정앵커;
    상기 틸팅조정부재가 상기 상단슬라이더의 구면을 따라 기울어진 기울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를 지지하는 기울기유지수단;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설정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 및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투과창이 마련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유지수단은,
    상기 덮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측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의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일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의 제2레일을 갖는 다수의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공압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조정부재의 헤드가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이 마련되고,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이동되는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하단슬라이더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이루는 원통형태로 일측이 개방된 개구를 갖는 관로가 마련되고, 상기 관로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관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는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관로의 내측으로부터 관로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팽창부바디;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를 이루어 상기 중공으로 상기 공압이 유동되고, 일단이 상기 관로의 개구에 연통상태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연결브라켓의 제1레일을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제1가이드; 및
    양측 끝단이 상기 플랜지의 테두리를 제각기 감싸면서 상기 관로를 상기 플랜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밀폐시켜 팽창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공압에 의해 팽창되는 상기 팽창공간과 함께 팽창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팽창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는 판재형의 지지부바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수직바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의 제3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바의 끝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가이드가 상기 연결브라켓의 제2레일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2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링크;
    상기 지지부바디가 상기 제3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링크의 제3레일을 관통하는 상태로 일단이 상기 지지부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바디와 상기 연결링크를 서로 결합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지지부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바디는,
    상기 팽창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의 제3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연결링크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가 이루는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상기 레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4.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설치한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하단슬라이더가 배치된 원거리값을 제1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정하는 원거리값 저장단계;
    상기 원거리값 저장단계 후, 저장된 상기 원거리값을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원거리값 표시단계;
    상기 원거리값 저장단계 후,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상기 원거리값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거리를 허용하는 허용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허용범위 저장단계;
    상기 허용범위 저장단계 후, 저장된 상기 허용범위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다른 일부분에 표시하는 허용범위 표시단계;
    상기 허용범위 저장단계 후, 상기 공작기계를 작동시키기 전에 공작기계에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틸팅조정부재에 의해 기울기가 조정된 상기 공작기계의 기울기를 유지시키는 기울기유지수단이 작동되는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 후, 상기 공작기계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기울기유지수단의 작동을 해제하여 팽창부재를 축소시키는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해제단계 후, 상기 하단슬라이더의 위치를 상기 제1센서를 통해 재측정하고, 비교부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이동거리 비교단계;
    상기 이동거리 비교단계 후, 재측정된 상기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또 다른 일부분에 표시하는 측정값 표시단계;
    상기 이동거리 비교단계를 통해 상기 측정값이 상기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비교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회전모터가 작동되고, 작동되는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상기 하단슬라이더가 상기 원거리값으로 이동되는 하단슬라이더 복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유지수단 작동단계는,
    기울기유지수단의 팽창부에 공압이 제공되고, 이의 공압에 의해 팽창부재가 팽창되는 팽창단계;
    상기 팽창단계를 통해 팽창부재가 팽창되어 부피가 커짐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에 안착된 지지부의 지지부바디가 제1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지지부바디에 설치된 패킹부재와 함께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계; 및
    상기 지지단계를 통해 상기 공작기계의 레그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바디가 연결링크와의 연결구조에 의해 상기 레그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는 수평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KR1020180062872A 2018-05-31 2018-05-31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KR101876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72A KR101876428B1 (ko) 2018-05-31 2018-05-31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72A KR101876428B1 (ko) 2018-05-31 2018-05-31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428B1 true KR101876428B1 (ko) 2018-08-02

Family

ID=6325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872A KR101876428B1 (ko) 2018-05-31 2018-05-31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254B1 (ko) * 2022-01-21 2022-05-03 (주)대유철강 레이저 절단기용 철판 지지판의 교체시기 표시구
CN114469093A (zh) * 2022-03-14 2022-05-1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通道测量心理表象的装置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71Y1 (ko) * 1993-07-29 1999-01-15 윤양중 절삭가공물 고정용 레벨링 블록
JP2000334631A (ja) * 1999-05-25 2000-12-05 Toshiba Mach Co Ltd レベリングブロック
KR20060075912A (ko) * 2004-12-29 2006-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볼와셔를 이용한 기계 레벨 조정 장치
KR101069929B1 (ko) 2009-04-08 2011-10-05 문재철 기계 레벨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71Y1 (ko) * 1993-07-29 1999-01-15 윤양중 절삭가공물 고정용 레벨링 블록
JP2000334631A (ja) * 1999-05-25 2000-12-05 Toshiba Mach Co Ltd レベリングブロック
KR20060075912A (ko) * 2004-12-29 2006-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볼와셔를 이용한 기계 레벨 조정 장치
KR101069929B1 (ko) 2009-04-08 2011-10-05 문재철 기계 레벨 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254B1 (ko) * 2022-01-21 2022-05-03 (주)대유철강 레이저 절단기용 철판 지지판의 교체시기 표시구
CN114469093A (zh) * 2022-03-14 2022-05-1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通道测量心理表象的装置系统
CN114469093B (zh) * 2022-03-14 2023-06-2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通道测量心理表象的装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428B1 (ko) 공작기계의 설치위치 자동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위치 조정방법
KR100581697B1 (ko) 진공흡착식 자동 나사체결기
KR101876430B1 (ko) 자동형 기계 레벨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계 레벨 조정방법
EP3005687B1 (en) Wall mount system
KR101656614B1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160121052A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150142642A (ko) 가정용 소형 레이저 레벨기
CN117001580A (zh) 组装工装
US5941663A (en) Automated quill drive assembly for a milling machine
KR101274141B1 (ko) 자동차 엔진용 실린더 헤드 가스켓 압축 시험장치
CN213209053U (zh) 一种建筑工程检测用角度可调式全站仪
CN108267367B (zh) 一种滑轨
US20230122591A1 (en) Clamping device and machining method
KR100941005B1 (ko) 헤파필터박스 고정장치
KR102424996B1 (ko) 파이프 가공 거치장치
KR102221216B1 (ko) 다용도 높낮이 조절 장치
CN210108611U (zh) 封堵机构及缸体侧漏封堵装置
KR101479654B1 (ko) Gps 정보를 이용한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측정장치
CN114754737A (zh) 基于建筑施工的功能型建筑倾斜检测装置
KR100561544B1 (ko) 봉합선 밀봉 테이프 부착 장치
CN112554482A (zh) 一种便于拆换的装配式墙板安装结构及使用方法
JP6281478B2 (ja) タイヤ圧縮試験機
CN107511674B (zh) 一种压合旋接装置
CN216860029U (zh) 一种打孔机
CN217276238U (zh) 一种平面度可调的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