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249B1 -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249B1
KR100561249B1 KR1020050014207A KR20050014207A KR100561249B1 KR 100561249 B1 KR100561249 B1 KR 100561249B1 KR 1020050014207 A KR1020050014207 A KR 1020050014207A KR 20050014207 A KR20050014207 A KR 20050014207A KR 100561249 B1 KR100561249 B1 KR 10056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frican
virus
viral diseas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618A (ko
Inventor
김진동
이종성
김문보
Original Assignee
김진동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동, 이종성 filed Critical 김진동
Priority to KR102005001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2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Phellinus baumi. Pilat)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어,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바이러스 질환, 항바이러스, 추출물,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health food product containing the extract of African phellinus mushroom for protecting and improving viral diseases}
도 1은 콕사기바이러스에 대한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VSV 바이러스에 대한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Phellinus baumi. Pilat)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내바이러스, 수포성구내염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면서 세균질환은 항생제, 예방백신 등의 개발로 현저하게 억제되고 있지만, 바이러스 질환은 아직도 정복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대기오염, 환경오염 등을 통해 더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는 바이러스 질환은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바이러스성 독감, 간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을 비롯한 많은 질환들의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내바이러스는 피코나비리데(Picornaviridae)과에 속하는 단일가닥의 (+)RNA 바이러스이다. 소아, 영유아에서 빈발하는 무균성뇌수막염, 유행성 각결막염(아폴로눈병), 수족구병 등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68가지 이상의 혈청형으로 나뉘어지는 대표적인 인간 병원체이다. 일본의 경우 매년 장내바이러스성 질환자로부터 5000-6000여건 (1998년의 경우 5804건)의 바이러스가 분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산발적인 장내바이러스성 환자발생이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질병발생시 진단을 위한 세포배양을 통한 바이러스의 분리 및 이의 확인 (Kim 등. 1994. Journal of Korea Society of Virology 24:77-86), 또는 RT-PCR법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이 사용되고 있을 뿐 (Zoll 등. 1992.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30:160-165) 장내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한 방어를 목적으로 한 백신 제제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수포성구내염 바이러스(Vesicular Stomatitis Virus; 이하 VSV 바이러스라 함.)는 랍도비리데(Rhabdoviridae), 베시쿨러 바이러스(Vesiculovirus)에 속하며, 바이러스 입자는 170×70㎚의 포탄형 형태를 나타낸다. 피막을 가진 단일 가닥의 RNA 바이러스로서 지질용매와 살균제에 높은 감수성이 있다. 특히, 소와 돼지에서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되는 수포성 질병은 임상적으로 구제역과 감별진단에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꾸준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상황(桑黃)버섯은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상이(桑耳)하고도 하여 뽕나무, 느릅나무, 사시나무, 오리나무 등의 활엽수의 심재부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섯속(Phellinus Ouel. Em.lmaz)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이다. 우리나라에서 상황버섯이라 함은 목질 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을 지칭한다. 상황버섯은 옛날부터 자궁출혈, 월경불순 등의 부인병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높은 항암율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 상황버섯의 약리작용에 대한 약학계 및 의학계의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 수술 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상황버섯의 효능이 다당류 베타글루칸에 의한 것으로 밝혀진 이후 다당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B2, B3 C, 섬유질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상황버섯은 이런 성분외에 다당류 베타글루칸(polysaccharide β-glucan)을 함유하고 있다. 베타글루칸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임으로써 몸안에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격퇴하고, 감염되어도 발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황버섯과 관련한 종래의 발명으로, 한국특허출원 제 2001-0003264호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 및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항암 면역활성 다당류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출원 제1998-0015617호는 펠리누스속 균주로부터 균사체 또는 자실체를 대량 배 양하여 그로부터 면역증강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다당류물질의 분리 정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10-0174433호는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주의 균사체로부터 분리 정제된 항암활성 다당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출원 제 2000-0054319호는 금사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암제로서의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 10-0348115호는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묘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황버섯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의약품 및 건강 식품들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진흙버섯에 속하는 모든 버섯이 이 같은 약효가 있는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목질진흙버섯, 말똥진흙버섯, 전나무진흙버섯 정도이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Phellinus baumi. Pilat)은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며, 아프리카 케냐의 고산 밀립지대에서 야생상태로 자생하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활엽수 등에 기생하여 자라고 있는 버섯이다. 이곳의 생태적 특징은 적도부근의 열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해발 5000m급의 고산지대로서 버섯의 생육에 최적환경을 갖추고 있다. 다년생이며, 표면은 회갈색 또는 암회색을 띄고 딱딱한 외피를 가져 매끈하다. 하면은 움푹하고 담갈색을 띠며 다공성이다. 포자는 작고 유구형이다. 해마다 층이 증가하며, 증가한 층이 뚜렷이 구분되어 쉽게 셀 수 있기에 이로부터 나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자실체는 다년생 경재이다. 일반적으로 갓은 말굽형이며 높이 11cm, 폭 20cm, 두께 8cm에 이른다. 자라면 윗부분은 검게 갈라지며, 암회색을 띄고 표면이 거칠어진다. 완전히 자라면 갓은 그을듯한 색을 띄게 되며, 평평해진다.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은 살아있거나 죽은 목재를 부패시켜 백목질 및 심재부에 백색 부패물을 생성한다.
질병치료와 관련한 의학적 효능은 이미 오래전부터 동양의학에서 잘 알려져 있다.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추출물 역시 간암, 폐암 및 기타 여러 암들에 대한 우수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가짐이 임상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그러나, 상기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의 항바이러스 활성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되어진 바 없다.
케냐는 주민의 50% 이상이 바이러스성 질환에 걸려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이 자생하는 지역의 주민들이 다른 지역 주민들보다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사망률이 현저하게 낮은 점에 착안하여, 주민들의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사용하는 버섯류의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이 항바이러스 활성 특히, 장내바이러스, VSV 바이러스에 대해 탁월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바이러스는 장내바이러스 또는 VSV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은, 건조된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을 세절하여 분쇄한 후 중량(kg)의 약 5배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내지 15배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내지 1:5의 혼합비(kg/l)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용매추출, 열수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따른 가용추출물을 추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이 외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아프리카산 상황버섯(Phellinus baumi. Pilat 아프리카 케냐에서 채집) 2.1㎏을 세절하여 분말화한 후, 메탄올 5ℓ를 가하여 70℃에서, 2시간 동안 침적하였다. 시료에서 추출된 메탄올 용액을 여과지(filter No.1, Whatama사, 미국)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EYELA사제, 일본)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 85g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50g을 재증류수 1000㎖에서 3시간 이상 전자식 약탕기(Heating mentle, M-tops사제)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 20.8g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상황버섯 추출물의 장내바이러스 억제능 실험
세포생존율 시험(MTT Assay)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장내바이러스에 대해 각각 실험하였다. MTT 실험는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의 활성을 비색정량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미토콘드리아 산화환원전위 (mitochondrial redox potential)나 세포 생존율을 알아보는데 주로 이용된다(Mosmann et al. 1983).
본 실험을 위하여 RD-A 세포주(Rhabdomysarcoma, 국립보건원 소아기계바이러스과, 2002년 10월 18일 입수)를 사용하였으며, 장내바이러스로는 콕삭키바이러스(Coxsackie B Virus 100 TCID50(10-5/㎖), 이하, CB2 바이러스라 함)를 사용하였다(국립보건원 소아기계바이러스과, 2002년 10월 18일 입수).
RD-A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적당히 자랐을때 세포에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한 후 PBS를 제거하였다. 트립신(Trysin)을 처리하여 세포가 컬처플레이트(culture plate)에서 떨어져나가 1개의 콜로니씩 분리되도록 한 후 원심분리(1000rpm/10분)하여 팔렛(pallet)을 형성하였다. DMEM을 일정량 넣고 잘 혼합한 후 컬처플레이트에 옮겼다. RD-A세포(3×105세포/웰)를 동일 농도의 CB2 바이러스(10-5) 및 기준농도 30 ug/㎖로부터 순차적으로 4배씩 희석시킨 실시예 1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 용액을 포함하는 96개의 웰을 지닌 마이크로타이터플레이트에 첨가하고 5% CO2 인큐베이터의 37℃에서 3-4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대조군(이하, CC라함) 및 바이러스 대조군(이하, VC라함) 모두 본 발명의 추출물 대신 PBS액을 넣었으며, 세포대조군의 경우 바이러스 감염을 시키지 않았다. MTT 시약(Sigma, USA) ;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를 2 mg/㎖의 농도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인 후 0.22um 박막필터(membrane filter)로 멸균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50 ㎕의 MTT (0.5 ㎎/㎖의 농도)를 각 웰에 첨가하고, 37 ℃에서 3시간 배양 배양한 다음 10 ㎕의 0.1M HCl을 가하여 MTT-포르마잔(formazan)형성을 정지시켰다. 활동하는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살아있는 세포는 테트라졸리움 고리(tetrazolium ring)를 분해하여 짙은 남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므로, 이를 녹여내기 위하여 여기에 100 ㎕의 10% SDS(sodium dodecylsulfate)를 첨가하고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MTT-포르마잔을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57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였다.
세포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세포가 사멸되어 MTT 염색시 OD값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약제가 들어간 세포는 항바이러스 활성에 의해 어느 일정 농도에서 OD값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될 것이다.
No. 역가(Titer) 처치(Treatment) 평균흡광도(Ave.OD)
1 세포대조군 CC 1.178
2 바이러스대조군(10-5) VC 0.264
3 기준농도의 추출물 30㎍/㎖ 0.477
4 기준농도의 4(-1) 7.5㎍/㎖ 0.642
5 기준농도의 4(-2) 1.8㎍/㎖ 0.699
6 기준농도의 4(-3) 450ng/㎖ 1.315
7 기준농도의 4(-4) 110ng/㎖ 1.362
8 기준농도의 4(-5) 20ng/㎖ 1.534
9 기준농도의 4(-6) 5ng/㎖ 1.791
10 기준농도의 4(-7) 1.25ng/㎖ 1.604
11 기준농도의 4(-8) 312pg/㎖ 1.645
12 기준농도의 4(-9) 78pg/㎖ 0.115
Figure 112005009094865-pat00001
CC: 바이러스 및 추출물 첨가 하지 않은 세포대조군.
VC: 바이러스만 첨가하고 추출물은 첨가 하지 않은 바이러스대조군.
실험결과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의 경우 MTT 염색시 OD값이 현저히 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한 세포는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에 의해 일정농도에서 OD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3회에 걸친 반복실험 결과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의 추출물(실시예 1)은 CB2 바이러스에 대해 1.8ug/㎖ ~ 0.4pg/㎖ 의 농도에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VSV 바이러스 억제능 실험
본 발명의 추출물의 VSV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MDCK(Marbin & Darby Canine Kidney, 국립보건원 호흡기계바이러스과, 2002년 10월 18일 입수)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VSV 바이러스(Vesicular Stomatitis Virus 100 TCID50(10-5/㎖), 국립보건원 소화기계바이러스과, 2002년 10월 18일 입수)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No. 역가(Titer) 처치(Treatment) 평균흡광도(Ave.OD)
1 세포대조군 CC 1.178
2 바이러스대조군(10-5) VC 0.297
3 기준농도의 추출물 30㎍/㎖ 0.078
4 기준농도의 4(-1) 7.5㎍/㎖ 0.416
5 기준농도의 4(-2) 1.8㎍/㎖ 0.945
6 기준농도의 4(-3) 450ng/㎖ 0.988
7 기준농도의 4(-4) 110ng/㎖ 1.815
8 기준농도의 4(-5) 20ng/㎖ 1.164
9 기준농도의 4(-6) 5ng/㎖ 1.964
10 기준농도의 4(-7) 1.25ng/㎖ 1.378
11 기준농도의 4(-8) 312pg/㎖ 1.000
12 기준농도의 4(-9) 78pg/㎖ 0.262
Figure 112005009094865-pat00002
CC: 바이러스 및 추출물 첨가 하지 않은 세포대조군.
VC: 바이러스만 첨가하고 추출물은 첨가 하지 않은 바이러스대조군.
3회에 걸친 반복실험 결과,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VSV 바이러스에 대해서 0.5㎍/㎖ ~ 7.3pg/㎖의 농도에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독성 실험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의 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25±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와 235±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래트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실시예 1) 각각 20mg/㎏, 10mg/㎏, 1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2.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어 각종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 B virus) 또는 수포성구내염 바이러스(Vesicular Stomatitis virus)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2. 삭제
  3. 삭제
KR1020050014207A 2005-02-21 2005-02-21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56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07A KR100561249B1 (ko) 2005-02-21 2005-02-21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07A KR100561249B1 (ko) 2005-02-21 2005-02-21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239A Division KR100512315B1 (ko) 2003-02-22 2003-02-22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618A KR20050050618A (ko) 2005-05-31
KR100561249B1 true KR100561249B1 (ko) 2006-03-15

Family

ID=3866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207A KR100561249B1 (ko) 2005-02-21 2005-02-21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2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618A (ko)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901761B1 (ko) 헛개나무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871399B1 (ko) 면역 활성 증강용 동충하초 액체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균체내 다당체와 균체외 다당체 및 그 생산 최적 배양조건
KR100597711B1 (ko) 백화사설초 및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0561249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419191B1 (ko)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전염성 위장염 코로나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효모변이주 아이에스2 유래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1633B1 (ko) 국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독감 또는 감기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46878B1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413283B1 (ko) 면역력 증강을 위한 면역증강복합물을 이용한 인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 조성물
KR100512315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6551B1 (ko)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50052416A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0531665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감기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210003614A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7328B1 (ko) 생약 추출물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241620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0531642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
KR20050036114A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감기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512314B1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1644B1 (ko) 항 인유두종 바이러스 활성을 지닌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31645B1 (ko) 항 인유두종 바이러스 활성을 지닌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30092710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