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314B1 -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314B1
KR100512314B1 KR10-2003-0011238A KR20030011238A KR100512314B1 KR 100512314 B1 KR100512314 B1 KR 100512314B1 KR 20030011238 A KR20030011238 A KR 20030011238A KR 100512314 B1 KR100512314 B1 KR 100512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lete delete
ganoderma lucidum
african ganoderma
afri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649A (ko
Inventor
김진동
이종성
김문보
Original Assignee
김진동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동, 이종성 filed Critical 김진동
Priority to KR10-2003-001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3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22Adjusting or registering devices for the base fabric, e.g. for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영지버섯(Ganoderma applanata.(Pers. Wallr) Pat.)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어,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frican ganoderma mushroom for protecting and treating viral diseases}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영지버섯(Ganoderma applanata.(Pers. Wallr) Pat.)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내바이러스, 수포성구내염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면서 세균질환은 항생제, 예방백신 등의 개발로 현저하게 억제되고 있지만, 바이러스 질환은 아직도 정복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대기오염, 환경오염 등을 통해 더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는 바이러스 질환은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바이러스성 독감, 간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을 비롯한 많은 질환들의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내바이러스는 피코나비리데(Picornaviridae)과에 속하는 단일가닥의 (+)RNA 바이러스이다. 소아, 영유아에서 빈발하는 무균성뇌수막염, 유행성 각결막염(아폴로눈병), 수족구병 등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68가지 이상의 혈청형으로 나뉘어지는 대표적인 인간 병원체이다. 일본의 경우 매년 장내바이러스성 질환자로부터 5000-6000여건 (1998년의 경우 5804건)의 바이러스가 분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산발적인 장내바이러스성 환자발생이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질병발생시 진단을 위한 세포배양을 통한 바이러스의 분리 및 이의 확인 (Kim 등. 1994. Journal of Korea Society of Virology 24:77-86), 또는 RT-PCR법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이 사용되고 있을 뿐 (Zoll 등. 1992.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30:160-165) 장내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한 방어를 목적으로 한 백신 제제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삭제
삭제
불로초과에 속하는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FR.) Karst) 은 불로초, 만년버섯 등으로 불리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북반구 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생목밑동이나 그루터기 위에 군생 또는 단생하는 근주심재(根株心材) 부후성 버섯으로, 여러 가지 아미노산과 수용성 단백질, 스테로이드물질, 안트라퀴논 유도체, 탄수화물, 각종 배당체, 소량의 알칼로이드 환원성 물질들과 리그닌을 분해하는 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영지버섯은 부작용이 없으며, 항암(抗癌)효과, 조압(調壓)작용, 정혈(淨血)작용, 감당(減糖)작용, 천식(喘息)억제 작용, 면역(免疫)작용, 보간(補肝)작용, 강정(强精)작용, 이뇨(利尿)작용, 해독(解毒)작용, 소염(消炎)작용, 강심(强心)작용 등 170여 가지의 각종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하여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탁월한 약리작용으로 인해 영지버섯 및 그 추출물은 이미 오래전부터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Ganoderma applanata.(Pers. Wallr) Pat.)은 불로초과(Ganodermataceae), 불로초속(Ganoderma)에 속하며, 아프리카 케냐의 고산 밀립지대에서 야생상태로 자생하는 활엽수 등에 기생하여 자라고 있는 버섯이다. 이곳의 생태적 특징은 적도부근의 열대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해발 5000m급의 고산지대로서 버섯의 생육에 최적환경을 갖추고 있다. 목질이 강한 활엽수의 고사목과 그루터기에 자생하며 그루터기에 직각으로 자란다. 그 모양은 말발굽 모양으로써 원형이다. 표면은 매끈하고 콩팥형, 반원형의 형태를 가진다. 앞면은 처음에 황백색을 띠고 있으나 생장하면서 먼저 자란 부분부터 적갈색 내지 자갈색으로 변해간다. 뒷면은 황백색을 띠고 관공이 무수히 나 있다. 대는 갓의 표면과 같은 색으로 약간 굴곡이 생긴다. 가벼운 접촉에 의해 흰색의 관공 표면에 갈색반점이 나타나기 때문에 예술가의 모자(artist conk)라 불리어진다.
기억력 감소 방지, 노화억제, 생리활성 세포활성, 항염, 항균작용, 혈압 강화작용, 항알레르기, 항히스타민, 항남성호르몬작용 등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추출물 역시 간암, 폐암 및 기타 여러 암들에 대한 우수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가짐이 임상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그러나, 상기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의 항바이러스 활성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되어진 바 없다.
케냐는 주민의 50% 이상이 바이러스성 질환에 걸려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이 자생하는 지역의 주민들이 다른 지역 주민들보다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사망률이 현저하게 낮은 점에 착안하여, 주민들의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사용하는 버섯류의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이 항바이러스 활성 특히, 장내바이러스, VSV 바이러스에 대해 탁월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콕삭키바이러스(Coxsackie virus)로 인한 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 추출물은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은, 건조된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을 세절하여 분쇄한 후 중량(kg)의 약 5배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내지 15배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내지 1:5의 혼합비(kg/l)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용매추출, 열수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따른 가용추출물을 추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지고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분획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종류 및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1.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아프리카산 영지버섯(Ganoderma applanata.(Pers. Wallr) Pat. 아프리카 케냐에서 채집) 2.1㎏을 세절하여 분말화한 후, 메탄올 5ℓ를 가하여 70℃에서, 2시간 동안 침적하였다. 시료에서 추출된 메탄올 용액을 여과지(filter No.1, Whatama사, 미국)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EYELA사제, 일본)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 85g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50g을 재증류수 1000㎖에서 3시간 이상 전자식 약탕기(Heating mentle, M-tops사제)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 20.8g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영지버섯 추출물의 장내바이러스 억제능 실험
세포생존율 시험(MTT Assay)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장내바이러스에 대해 각각 실험하였다. MTT 실험는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의 활성을 비색정량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미토콘드리아 산화환원전위 (mitochondrial redox potential)나 세포 생존율을 알아보는데 주로 이용된다(Mosmann et al. 1983).
본 실험을 위하여 RD-A 세포주(Rhabdomysarcoma, 국립보건원 소아기계바이러스과, 2002년 10월 18일 입수)를 사용하였으며, 장내바이러스로는 콕삭키바이러스(Coxsackie B Virus 100 TCID50(10-5/㎖), 이하, CB2 바이러스라 함)를 사용하였다(국립보건원 소아기계바이러스과, 2002년 10월 18일 입수).
RD-A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적당히 자랐을때 세포에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한 후 PBS를 제거하였다. 트립신(Trysin)을 처리하여 세포가 컬처플레이트(culture plate)에서 떨어져나가 1개의 콜로니씩 분리되도록 한 후 원심분리(1000rpm/10분)하여 펠렛(pallet)을 형성하였다. DMEM을 일정량 넣고 잘 혼합한 후 컬처플레이트에 옮겼다. RD-A세포(3×105세포/웰)를 동일 농도의 CB2 바이러스(10-5) 및 기준농도 30 ug/㎖로부터 순차적으로 4배씩 희석시킨 실시예 1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 용액을 포함하는 96개의 웰을 지닌 마이크로타이터플레이트에 첨가하고 5% CO2 인큐베이터의 37℃에서 3-4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대조군(이하, CC라함) 및 바이러스 대조군(이하, VC라함) 모두 본 발명의 추출물 대신 PBS액을 넣었으며, 세포대조군의 경우 바이러스 감염을 시키지 않았다. MTT 시약(Sigma, USA) ;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를 2 mg/㎖의 농도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인 후 0.22um 박막필터(membrane filter)로 멸균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50 ㎕의 MTT (0.5 ㎎/㎖의 농도)를 각 웰에 첨가하고, 37 ℃에서 3시간 배양 배양한 다음 10 ㎕의 0.1M HCl을 가하여 MTT-포르마잔(formazan)형성을 정지시켰다. 활동하는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살아있는 세포는 테트라졸리움 고리(tetrazolium ring)를 분해하여 짙은 남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하므로, 이를 녹여내기 위하여 여기에 100 ㎕의 10% SDS(sodium dodecylsulfate)를 첨가하고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MTT-포르마잔(formazan)을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57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였다. 세포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세포가 사멸되어 MTT 염색시 OD값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약제가 들어간 세포는 항바이러스 활성에 의해 어느 일정 농도에서 OD값이 일정하게 유지하게 될 것이다.
No. 역가(Titer) 처치(Treatment) 평균흡광도(Ave.OD)
1 세포대조군 CC 1.178
2 바이러스대조군(10-5) VC 0.264
3 기준농도의 추출물 30㎍/㎖ 0.062
4 기준농도의 4(-1) 7.5㎍/㎖ 0.135
5 기준농도의 4(-2) 1.8㎍/㎖ 1.706
6 기준농도의 4(-3) 450ng/㎖ 2.048
7 기준농도의 4(-4) 110ng/㎖ 1.326
8 기준농도의 4(-5) 20ng/㎖ 1.773
9 기준농도의 4(-6) 5ng/㎖ 1.038
10 기준농도의 4(-7) 1.25ng/㎖ 1.508
11 기준농도의 4(-8) 312pg/㎖ 1.794
12 기준농도의 4(-9) 78pg/㎖ 0.342
삭제
삭제
CC: 바이러스 및 추출물 첨가 하지 않은 세포대조군.
VC: 바이러스만 첨가하고 추출물은 첨가 하지 않은 바이러스대조군.
실험결과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의 경우 MTT 염색시 OD값이 현저히 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한 세포는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에 의해 일정농도에서 OD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3회에 걸친 반복실험 결과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의 추출물(실시예 1)은 CB2 바이러스에 대해 1.8ug/㎖ ~ 0.4pg/㎖ 의 농도에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험예 2. 독성 실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25±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와 235±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래트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실시예 1) 각각 20mg/㎏, 10mg/㎏, 1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삭제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어 각종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콕사기바이러스에 대한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삭제
삭제

Claims (8)

  1.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삭키바이러스로 인한 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이 아프리카산 영지버섯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과 같은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03-0011238A 2003-02-22 2003-02-22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1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238A KR100512314B1 (ko) 2003-02-22 2003-02-22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238A KR100512314B1 (ko) 2003-02-22 2003-02-22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206A Division KR20050052416A (ko) 2005-02-21 2005-02-21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649A KR20040075649A (ko) 2004-08-30
KR100512314B1 true KR100512314B1 (ko) 2005-09-02

Family

ID=3736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238A KR100512314B1 (ko) 2003-02-22 2003-02-22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3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649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20120164253A1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1138461B1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97309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085774B1 (ko)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2314B1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12315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9301B1 (ko) 여우구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엔테로 바이러스 또는 콕사키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52416A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311887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1643B1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형 간염의 치료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561249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0839099B1 (ko)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바이러스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22173246A2 (ko) 구아바(Psidiuma guajava) 추출물 또는 이의 페오피틴화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메로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5929A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닌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220161908A (ko) 면역증진 또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10146463A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닌 발효 청폐 경옥고의 제조방법
KR20050036114A (ko) 아프리카산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감기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531642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
KR100504272B1 (ko) 백화사설초 및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0822B1 (ko) 아프리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형 간염의 치료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531645B1 (ko) 항 인유두종 바이러스 활성을 지닌 아프리카산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