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097B1 -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 Google Patents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097B1
KR100561097B1 KR20050071832A KR20050071832A KR100561097B1 KR 100561097 B1 KR100561097 B1 KR 100561097B1 KR 20050071832 A KR20050071832 A KR 20050071832A KR 20050071832 A KR20050071832 A KR 20050071832A KR 100561097 B1 KR100561097 B1 KR 100561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weight
powder
additive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7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수
류영섭
백범렬
이양수
양영기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씨카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씨카코리아(주)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7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6Opacifiers
    • C04B2103/58Shrinkage 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0Grouts, e.g. injection mixtures for cables for prestressed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1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visc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카흄(silica fume)과 고미분말 슬래그와 메타카올린(metakaolin) 중 어느 하나인 포졸란계 초미분말 20.0 내지 60.0 중량%, 수축보상재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aluminate: CSA)계 팽창제 또는 산화칼슘(CaO)계 팽창성 무기질 혼합재 30.0 내지 70.0 중량%, 비메탈계 가스 발생제 0.1 내지 3.0 중량%, 분말 유동화제 1.0 내지 10.0 중량%, 분말 증점제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모르타르에 블리딩층이 형성되는 현상과 양생 중의 모르타르의 부피가 감소되는 현상과 모르타르 내부에 인입되는 케이블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모르타르의 유동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그라우팅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르타르 첨가제를 제공한다.
모르타르, 블리딩, 그라우팅, 강도, 유동성

Description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Additive for increasing strength of mortar structure}
도 1은 그라우팅이 완료된 종래 포스트 텐션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양생이 완료된 종래 포스트 텐션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모르타르 제조 시 첨가되는 첨가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발로 묶여진 여러 가닥의 강선들이 모르타르에 인입된 상태에서 모르타르가 양생될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상부에 물이 고이는 블리딩(Bleeding) 현상과 강선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고, 작업성 향상을 위해 그라우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며, 양생 시 그라우트의 부피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나 교량 시공 시, 내압축성과 내인장성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포스트 텐션 방식의 구조물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포스트 텐션 방식의 구조물은 덕트 내부에 인입되는 케이블과 덕트 내부를 채우는 시멘트계 모르타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포스트 텐션 방식의 구조물은 시멘트의 내압축성과 강선의 내인장성을 함께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포스트 텐션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그라우팅이 완료된 종래 포스트 텐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양생이 완료된 종래 포스트 텐션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포스트 텐션 구조물(10)은, 덕트(12) 내부에 케이블(14)이 인입된 후 시멘트계 모르타르(16)로 덕트(12) 내부가 그라우팅된다.
이때 케이블(14)은 여러 가닥의 강선들이 다발로 묶여지도록 구성되는데, 강선 사이의 틈이 매우 좁아 시멘트 입자는 강선 사이로 인입되지 못하고 물 입자만이 인입될 수 있다. 강선 사이로 인입된 물 입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케이블(14)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2)의 상단부에는 물 입자가 모여 블리딩층(B)이 형성된다.
또한 시멘트계 모르타르(16)는 양생 과정에서 부피가 줄어드는 특성이 있으므로, 시멘트계 모르타르(16)와 덕트(12) 사이에 공극(G)이 발생될 수 있다. 공극(G)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발생제와 같은 팽창성 첨가물을 시멘트계 모르타르(16)에 소량 혼합한 후 그라우팅하는 공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가스발생제는 시멘트계 모르타르(16)가 경화되기 이전에만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팽창효과로 덕트 내의 공간을 밀실하게 채워주고 시멘트계 모르타르(16)가 어느 정도 경 화된 이후에는 공극(G) 발생 방지효과가 없으므로, 장시간이 지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G)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블리딩층(B)이나 공극(G)이 형성되는 부위는. 시멘트계 모르타르(16)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아니하고, 시멘트계 모르타르(16)와 덕트(12)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지므로, 포스트 텐션 구조물(10)의 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팽창성 첨가물로 활용되는 종래의 가스발생제로는 주로 알루미늄 금속 분말이 사용되고 있는데, 알루미늄 금속 분말은 시멘트와의 반응으로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케이블(14)의 부식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계 모르타르(16)는 하절기와 같이 주변 온도가 섭씨 30~40도로 높은 경우 경화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유동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덕트(12) 내부로의 주입 및 충진 작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르타르 제조 시 모르타르에 일정 량 함유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한 블리딩층 형성과 양생 중의 부피 감소 현상과 모르타르 내부에 인입되는 케이블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모르타르의 유동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는, 포졸란계 초미분말 20.0 내지 60.0 중량%, 수축보상재 30.0 내지 70.0 중량%, 분말 유동화제 1.0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는, 비메탈계 가스 발생제 0.1 내지 3.0 중량%, 분말 증점제 0.1 내지 3.0 중량%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분말 유동화제는 폴리카본산계(Polycarboxy) 분말 유동화제이고, 분말 증점제는 점도가 1000 내지 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졸란계 초미분말은 실리카흄(silica fume), 고미분말 슬래그 및 메타카올린(metakaolin)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수축보상재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aluminate: CSA)계 팽창제, 산화칼슘(CaO)계 팽창성 무기질 혼합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는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로 모르타르를 제조할 때 첨가되는 물질로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블리딩(Bleeding) 현상을 방지하고 양생 시 모르타르의 부피가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케이블이 인입된 덕트 내부를 시멘트계 모르타르로 그라우팅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케이블은 다발로 묶여진 다수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강선 사이의 간극은 시멘트 입자는 인입되지 못하고 물입자만이 인입될 수 있도록 미세하게 구성되므로, 모르타르 내부의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케이블을 타고 덕트의 상단에 고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에는 강선 사이의 간극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은 포졸란계 초미분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경우 강선 사이의 간극이 포졸란계 초미분말로 채워져 상기와 같은 블리딩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는, 포졸란계 초미분말이 20.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강선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게 되어 블리딩 현상 방지효과가 미미해지므로 20.0 중량% 이상의 포졸란계 초미분말이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졸란계 초미분말의 함량비가 커질수록 블리딩 현상 방지효과는 향상되지만, 포졸란계 초미분말의 함량비가 60.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블리딩 현상 방지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아니하므로, 포졸란계 초미분말의 함량비는 20.0 내지 60.0 중량%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에 함유되는 포졸란계 초미분말은, 실리카흄(silica fume), 고미분말 슬래그 및 메타카올린(metakaolin)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에는 모르타르의 양생 시 부피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축보상재가 함유된다. 수축보상재의 함유량이 30.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모르타르의 부피 변화 방지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아니하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의 부피가 과대 팽창되어 그 팽창압에 의해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에는 수축보상재가 30.0 내지 70.0 중량 %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축보상재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aluminate: CSA)계 팽창제, 산화칼슘(CaO)계 팽창성 무기질 혼합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르타르에 수축보상재가 함유되면, 양생이 완료되더라도 덕트 내부는 모르타르로 밀실하게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각 부위별로 고른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케이블과 덕트 사이의 결합력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에는 모르타르 경화 전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창제 역할을 하는 가스발생제가 0.1 내지 3.0 중량% 함유되고, 모르타르의 고유동성을 발현시키고 첨가될 물의 양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분말 유동화제가 1.0 내지 10.0 중량% 함유되며, 모르타르의 충진성을 향상시키고 블리딩을 억제하기 위한 분말 증점제가 0.1 내지 3.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발생제가 0.1중량% 미만이면 팽창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과대 팽창하여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분말 유동화제가 1.0중량% 미만이면 유동성이 좋지 못하게 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말 증점제가 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스발생제는 활성이 없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비메탈계 분말이고, 분말 유동화제는 소량으로 고유동성을 발현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도 일정시간의 가사시 간이 확보되는 폴리카본산계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 증점제는,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1000cps 미만일 경우)에는 증점제의 효과가 저하되고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5000cps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점도가 3000 내지 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의 실시예 및 실험결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배합비 (단위 : 중량%)
성분 첨가제 포졸란계 초미분말 수축 보상재 분말 증점제 유동화제 가스발생제 충진재
나프탈렌계 폴리카본산계 메탈계 비메탈계
실시예 40.0 50.0 0.4 - 6.0 - 0.6 3.0
비교예 1 - 50.0 0.4 12.0 - - 0.6 37.0
비교예 2 - 50.0 0.4 - 6.0 - 0.6 43.0
비교예 3 - - 1.0 50.0 - 0.4 - 48.6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첨가제에는 중량%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하여 충진재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충진재는 미립 탄산칼슘(CaCO3)으로 적용되는데, 이와 같은 충진재는 통상의 모르타르에 포함되는 충진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는 포졸란계 초미분말의 일종인 실리카흄 40.0 중량%, 수축보상재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팽창제 50.0 중량%, 메틸셀룰로오스계 분말 증점제 0.4 중 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6.0 중량%, 비메탈계 가스발생제 0.6 중량%, 충진재로 탄산칼슘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었다.
비교예 1은 수축보상재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팽창제 50.0 중량%, 메틸셀룰로오스계 분말 증점제 0.4 중량%, 나프탈렌계 유동화제 12.0 중량%, 비메탈계 가스발생제 0.6 중량%, 충진재로 탄산칼슘 37.0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었다.
비교예 2는 수축보상재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팽창제 50.0 중량%, 메틸셀룰로오스계 분말 증점제 0.4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6.0 중량%, 비메탈계 가스발생제 0.6 중량%, 충진재로 탄산칼슘 43.0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었다.
또한, 비교예 3은, 분말 증점제 1.0 중량%, 나프탈렌계 유동화제 50.0 중량%, 메탈계 가스발생제 0.4 중량%, 충진재 48.6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었다.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에 상기 4 종류의 첨가제가 각각 첨가되어 제조된 각 모르타르별 유동성 및 블리딩율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동성 및 블리딩율 측정결과
특성 모르타르 종류 유동성(sec) 블리딩율(%)
제조 직후 30분 경과 1시간 경과 3시간 경과
실시예 첨가 모르타르 19.5 19.5 20.0 0.0
비교예 1 첨가 모르타르 20.5 25.0 31.5 1.2
비교예 2 첨가 모르타르 20.0 20.5 21.0 1.3
비교예 3 첨가 모르타르 18.0 23.5 31.0 3.2
표 2에 기재된 유동성 수치는, 유동성 측정장비의 하나인 ASTM-C939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이다. ASTM-C939는 용적이 1725㏄인 콘 형상의 용기에 측정물질 을 담은 후 측정물질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재어 측정물질의 유동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교예 1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의 경우에는, 제조 직후 콘 형상의 용기에 완전히 채워졌다가 완전히 배출될 때 까지 20.5초의 시간이 소요되고, 제조 후 30분이 경과된 때에는 25초의 시간이 소요되며, 제조 후 1시간이 경과된 때에는 31.5초가 소요됨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유동성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은, 시간 경과에 따라 모르타르 중의 시멘트가 수화반응하여 경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의한 첨가제와 비교예 3에 의한 첨가제에는 나프탈렌계 유동화제가 함유되고 비교예 2에 의한 첨가제와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에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가 함유되는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와 비교예 3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가 비교예 2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와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에 비해 유동성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결과를 통하여 나프탈렌계 유동화제에 비하여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동화제는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모르타르의 유동성이 일정 기준 이상 유지되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그라우팅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 2에 기재된 블리딩율은, 수직으로 세워진 원통 형상의 덕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을 인입시키고 각 모르타르를 그라우팅 하였을 때, 그라우팅 완료 3시간 이후 모르타르 전체 높이 중 상단에 고이는 물의 높이를 백분율로 환산한 값이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포졸란계 초미분말이 함유되어있지 아니한 첨가제 즉, 비교예 1에 의한 첨가제, 비교예 2에 의한 첨가제, 비교예 3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에는 블리딩 현상이 발생하고, 포졸란계 초미분말이 함유된 실시예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에는 블리딩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블리딩 현상을 방지하는 데에는 포졸란계 초미분말이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에 상기 4 종류의 첨가제가 각각 첨가되어 제조된 모르타르 별 부피변화율 및 강도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표 3]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특성 측정결과
특성 모르타르 종류 부피변화율(%) 밀도 (g/㎤) 압축강도(kg/㎠)
1일 28일 1일 3일 7일 28일
실시예 첨가 모르타르 0.01 0.02 2.02 201 356 492 602
비교예 1 첨가 모르타르 0.01 0.01 2.02 210 321 445 511
비교예 2 첨가 모르타르 0.01 0.02 2.02 148 315 461 546
비교예 3 첨가 모르타르 -1.00 -1.08 1.95 115 205 272 355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축보상재가 함유된 첨가제(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가 첨가된 모르타르는 부피가 감소되지 아니하지만, 수축보상재가 함유되지 아니한 비교예 3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피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밀도 역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압축강도에 있어서도, 수축보상재가 함유된 첨가제(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가 첨가된 모르타르에 비하여 수축보상재가 함유되지 아니한 비교예 3에 의한 첨가제가 첨가된 모르타르는 강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를 사용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모르타르에 블리딩층이 형성되는 현상과 양생 중의 모르타르의 부피가 감소되는 현상과 모르타르 내부에 인입되는 케이블이 부식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구조물의 강도가 증대되고, 모르타르의 유동성이 증대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포졸란계 초미분말 20.0 내지 60.0 중량%, 수축보상재 30.0 내지 70.0 중량%, 분말 유동화제 1.0 내지 10.0 중량%, 비메탈계 가스 발생제 0.1 내지 3.0 중량% 및 점도가 1000 내지 5000cps인 분말 증점제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이 인입된 포스트 텐션 구조물용 모르타르 첨가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졸란계 초미분말은, 실리카흄(silica fume), 고미분말 슬래그 및 메타카올린(metakaolin)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이 인입된 포스트 텐션 구조물용 모르타르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보상재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aluminate: CSA)계 팽창제, 산화칼슘(CaO)계 팽창성 무기질 혼합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이 인입된 포스트 텐션 구조물용 모르타르 조성물.
KR20050071832A 2005-08-05 2005-08-05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KR100561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1832A KR100561097B1 (ko) 2005-08-05 2005-08-05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1832A KR100561097B1 (ko) 2005-08-05 2005-08-05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097B1 true KR100561097B1 (ko) 2006-03-15

Family

ID=3717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71832A KR100561097B1 (ko) 2005-08-05 2005-08-05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0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435B1 (ko) 2008-01-07 2010-06-28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주입용 모르타르의 블리딩 측정기구 및 측정방법
KR101604378B1 (ko) 2013-11-13 2016-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섬유보강 무수축 그라우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5651B1 (ko) * 2016-11-01 2017-09-07 (주)에이치비티 방청성능을 향상시킨 케이블 충진 그라우트 조성물
KR102591448B1 (ko) 2022-10-17 2023-10-20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블리딩 프리 그라우트재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블리딩 프리 그라우트재, 이를 이용한 포스트 텐션 구조물 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435B1 (ko) 2008-01-07 2010-06-28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주입용 모르타르의 블리딩 측정기구 및 측정방법
KR101604378B1 (ko) 2013-11-13 2016-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섬유보강 무수축 그라우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5651B1 (ko) * 2016-11-01 2017-09-07 (주)에이치비티 방청성능을 향상시킨 케이블 충진 그라우트 조성물
KR102591448B1 (ko) 2022-10-17 2023-10-20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블리딩 프리 그라우트재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블리딩 프리 그라우트재, 이를 이용한 포스트 텐션 구조물 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2579B2 (ja) グラウト材
KR100561098B1 (ko) 구조물 강도 증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45586B1 (ko) 초조강형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기인장 그라우팅 공법
EP2246315A1 (en)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and concrete containing the cement admixture
KR100561097B1 (ko) 모르타르 구조물의 강도 증대를 위한 첨가제
JP2019085304A (ja) 無収縮グラウト組成物、及び無収縮グラウト材
KR101654568B1 (ko)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JPH1149549A (ja) セメント系無収縮性高強度グラウト材
KR101315847B1 (ko) 균열자기치유 성능을 가지는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의 제조방법
KR102393545B1 (ko) 순환 잔골재 및 동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0899048B1 (ko)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 주입재
JP5514790B2 (ja) 耐酸性乾式吹付け用モルタル材料及び該吹付け材料の製造方法
KR101978151B1 (ko) 이중 팽창성 팽창재를 함유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용 그라우트 조성물
KR102591448B1 (ko) 블리딩 프리 그라우트재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블리딩 프리 그라우트재, 이를 이용한 포스트 텐션 구조물 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KR10183485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용 고성능 저점도 프리믹싱 그라우트
JP6160911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工法
JP6639917B2 (ja) コンクリ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2730234B2 (ja) 遮塩性に優れた高流動・高耐久性繊維補強充填モルタル
KR101603270B1 (ko) 폴리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KR1020324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쉬스관 내부 충진용 그라우트 조성물
TWI616422B (zh) 用以填充於裂縫的混凝土修補材料及其膠結材
KR101627189B1 (ko) 침상 무기질 필러를 포함한 어스앵커 그라우트재 조성물
JP3638941B2 (ja) 無機系遅延硬化性グラウト
JP7187090B1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7360673B1 (ja) ケミカル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及びケミカル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