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998B1 -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998B1
KR100559998B1 KR1020050036489A KR20050036489A KR100559998B1 KR 100559998 B1 KR100559998 B1 KR 100559998B1 KR 1020050036489 A KR1020050036489 A KR 1020050036489A KR 20050036489 A KR20050036489 A KR 20050036489A KR 100559998 B1 KR100559998 B1 KR 10055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extract
cordyceps sinensis
composition
cica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982A (ko
Inventor
안미영
조세연
지상덕
이용기
문창현
정이숙
이보경
김찬식
Original Assignee
문창현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현,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문창현
Priority to KR102005003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9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자체, 수용성 추출물 또는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및 체중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압상승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 및 체중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s comprising Isaria sinclairii as an effectiv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의 농도별 수축기 혈압강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선천성 고혈압쥐의 시간 변화에 따른 혈압강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최소농도(10㎎/㎏)에서 선천성 고혈압쥐의 시간 변화에 따른 심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정상쥐의 투여시간에 따른 혈압강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을 2주간 연속 선천성 고혈압쥐(SHR)에 경구 투여시 수축기혈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30㎎/㎏, 100㎎/㎏)과 열수 추출물(100㎎/㎏)의 투여일수에 따른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자체, 수용성 추출물 또는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및 체중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은 심장비대 및 혈관비대를 일으키고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부전증의 원인이 되고, 고혈압등 심혈관계질환은 식생활과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계속 증가되는 추세이다. 고혈압 중 신장질환, 부신피질의 기능증가, 부신수질종양, 임신중독증, 약물 등에 의한 중후성 고혈압(이차성고혈압)은 5~10%정도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본태성 고혈압이다.
통계적인 조사에 의하면 선진국 성인의 약 20%가 고혈압으로 고생을 할뿐만 아니라, 고혈압은 뇌졸중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증후군 X(Syndrome X)라 하여 당뇨병, 동맥경화와 함께 성인병의 대표적인 질환중의 하나이기도 하다[Giles et al., Lipid factors in the hypertension syndrome. J. cardiovascular risk 4, 257-259, 1997].
기존의 항고혈압 제제들로는 칼슘 차단제(calcium blocker)인 니페디핀(Nifedipine)과 안지오텐신 변형효소 억제제(angiotensine converting enzyme inhibitor)인 카프토프릴(Captopril)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Wu and Berecek, Prevention of genetic hypertension by early treatment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with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captopril, Hypertension 22, 139-146, 1993].
그러나 이들 약물의 독성과 약효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항고혈압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혈압 치료제 개발의 전략으로서 우선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는 약제들의 효과를 검색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고, 어느 정도 임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충하초(冬蟲夏草)는 겨울에는 벌레(蟲)상태로 있다가 여름이 되면 버섯(草)이 된다는 뜻에서 나온 것으로, 즉 토양에 함유된 곰팡이의 일종인 동충하초균이 주로 온·습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살아있는 곤충의 호흡기나 소화기, 관절 등을 통하여 몸 속으로 들어가 영양분을 섭취하며 발육증식을 하다가 기주(寄主)곤충이 죽으면, 얼마후 자실체(字實體)를 곤충의 표피에 형성하며, 감염된 곤충은 버섯이 나오기 전까지는 썩지 않고 미이라처럼 형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일종의 곤충기생성 약용버섯이며, 자낭균류(類) 맥각균목(目) 동충하초과(科)에 속한다.
원래 동충하초는 박쥐나방과의 유충에서 나온 동충하초 '코디셉스 시넨시스'(Cordyceps sinensis)를 지칭하는 것이나 오늘날에는 곤충뿐만 아니라 거미, 매미, 균류 등에서 나오는 버섯을 모두 총칭하여 동충하초라 부른다.
코디셉스속 이외에도 포도넥트리아속 (Podonectria), 토루비엘라속 (Torrubiella), 이사리아속 (Isaria), 패실로마이세스속 (Paecilomyces), 기베룰라속 (Gibellular), 하이메노스틸베속 (Hymenostilbe), 히르수텔라속 (Hirsutella), 네오코디셉스속(Neocordyceps), 쉬미즈오마이세속(Shimizuomyces), 스패로코디셉스속(Sphaerocordyceps), 틸라크리디오프시스속(Tilachlidiopsis) 등의 다양한 동충하초가 있다.
동충하초의 화학적 성분은 수분 10.84%, 조단백질 25∼30%, 조지방 8.4%, 회 분 4.1%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백질 중에는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아미노산이 17종이나 들어있다. 지방 중에는 포화 지방산 13%, 불포화 지방산 82.2%가 들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크다. 또한, 키닉산의 이성체로 알려진 '코디세핀'이란 함유물질이 있으며, 이것이 세포의 유전정보에 관여하면서 저하된 면역기능을 활성화하여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동충하초에 약 7%정도 들어있는 '코디세픽산'은 D-만니톨이란 물질로서, 혈액 속에 들어가 순환하면서 머리의 내압을 내리고 또한 눈의 내압을 내리는 작용과 이뇨작용을 한다. 다당체는 질병으로부터 인체를 방어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심장과 간장을 지키며 암을 억제하거나 노화방지에 관여한다. 비타민 B12는 식물성 음식물에는 없고 동물성 음식물에만 있는 것으로 사람의 체내에서는 합성될 수 없는 물질이며, 반드시 음식물을 통하여 섭취하게 되는데 식물 중 유일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이 동충하초이다. 이 물질은 악성빈혈에 좋고 뇌 활동에 관여하면서 정신집중과 기억력을 강화시켜 주는 한편, 신경활동이나 간장을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양한 동충하초 중에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Isaria sinclairii)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작용효과가 밝혀지지 않고 있어 그 유용성이 극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다양한 질환에 대한 유용한 용도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의 여러가지 분획 중 작용효과가 오래 지속되면서 부작용이 가장 적은 분획을 찾음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혈압상승이 매개된 질환 즉, 고혈압, 뇌졸증,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부전증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체중증가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즉,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관절염, 관절부위의 질환, 담낭, 간질환, 통풍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는 감염누에, 미화용 감염번데기, 자실체형성 번데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실체형성 번데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인공 또는 자연 배지에서 대량 배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는 그 자체, 수용성 추출물 또는 알콜 추출물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알콜 추출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그 자체, 수용성 추출물 또는 알콜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성분에 다른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 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특히 추출 산제 또는 액제로 한 추출 엑기스 제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 중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및 동맥내 주사 및 주입 등의 투여방법을 포함한다.
특정 질환에 대한 구체적인 유효량은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의 종류,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예, 화학요법제)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나, 일일 투여량이 1 내지 10g의 양을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천적으로 본태성 고혈압쥐(SHR ;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를 이용한 실험에서 유의적인 항고혈압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천적으로 본태성 고혈압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유의적인 체중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선천성 고혈압쥐의 혈압강하 효과
1) 실험재료 및 시료의 추출
국내(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야생동충하초균을 순수분리한 후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Isaria sinclairii)를 선발·배양하고, 동충하초균 감염시기별로 5령기 감염누에, 미화용 감염번데기, 자실체형성 번데기 50g을 시료로 사용하여 냉동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물 추출물은 건조무게의 동량이상의 증류수(완충용액도 가능)로 추출시켜 저온상태에서 초음파를 30분 이하 간격으로 2~3회 투과하여 유용성분을 용출시키고, 1시간 이상 저온에 방치한 후, 여과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알콜 추출물은 건조무게의 동량의 50% 이상의 알콜로 초음파 투석을 3회 실시한 후, 저온보관 후 1시간 이상이 지난 후 추출하여 40℃에서 약 90분동안 감압 농축한 후, 다시 동결 건조하여 남은 알콜을 완전히 날려보내어 성분 파괴가 없으면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의 완전한 성분을 보유하고 있는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분말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
수득률 : 미화용 번데기(물 추출물 : 31.9%, 알콜 추출물 : 12.8%)
감염누에(물 추출물 : 25.6%, 알콜 추출물 : 18.9%)
자실체형성 번데기(물 추출물 : 38.6%,, 알콜 추출물 : 25.2%)
2)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중앙 실험동물로부터 일본에서 공급받은 9주령, 200±5g의 선천성 고혈압쥐(SHR rat) 수컷을 온도 23±2℃, 습도 55±10%, 12시간 조명주기의 조건하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선천성 고혈압쥐는 검체투여에 앞서 10주령 이상의 충분히 혈압이 발현된 수축기혈압이 150mmHg이상인 것을 혈압 모니터링 시스템(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일본 Muromachi사, MK-100)을 이용하여 선별하였다.
3) 검액의 제조
상기 동충하초의 물 추출물과 알콜 추출물 1g/㎖의 비율로 생리 식염수에 녹여 투여시료로 사용하였다.
4) 혈압강하 측정
평균 무게 200±5g인 9주령 웅성 선천성 고혈압 쥐(SHR)를 구입하여 동물실에서 1주일간 안정화시킨 후, 실험 당일 펜토바비탈(pentobarbital)로 마취하였다 (35㎎/㎏, i.p.).
폴리에틸렌 관을 사용하여 경동맥 및 경정맥으로 삽관하였다.
경동맥으로 삽입된 관을 Startham pressure transducer(Spectramed. Co, USA)에 연결하고 Grass 7P polygraph(Glass, Co., USA)를 통하여 혈압을 측정하였다. 이때 안정시 혈압이 150mmHg 이상인 쥐를 고혈압 쥐로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헤파린 용액(30 Unit/㎏)을 30분 간격으로 주입하였다.
심장 박동수는 타코미터(tachometer)를 이용하여 동맥압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실험 전과정 동안 심장 박동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마취정도, 체온유지에 주의하였다.
수술을 행한 지 10~20분 후에 혈압 및 심장 박동수가 안정화 되면, 경정맥으 로 용매투여군(vehicle, 대조군) 및 시료를 투여하고 시간에 따른 혈압 변화를 관찰하여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압 등을 측정하였다.
평균혈압 = (수축기 혈압 + 이완기 혈압) ÷ 2
맥압 = 수축기 혈압 - 이완기 혈압
5) 통계학적인 분석
모든 실험결과는 Student's t-test로 통계처리하였고, p<0.05인 경우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의 농도별 혈압강하 측정 결과는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농도(㎎/㎏)
0 10 30 100 300
정상쥐 (WKY) 수축기혈압 (mmHg) 116.7±7.3 114.0±6.7 106.7±3.3 110.7±2.9 89.7±18.3
이완기혈압 (mmHg) 83.3±6.7 79.0±4.9 67.3±4.3 52.7±6.5* 40.7±14.4
맥압(mmHg) 33.3±4.4 35.0±2.9 39.3±2.3 57.3±6.2* 49.0±13.2
심박동 (beat/min) 353.3±20.3 340.0±17.3 316.7±13.6 270.0±10.0* 256.7±76.7
선천성 고혈압쥐 (SHR) 수축기혈압 (mmHg) 161.3±9.0# 143.8±8.5 123.3±9.1* 110.0±6.1** 111.7±7.8*
이완기혈압 (mmHg) 133.8±5.5## 114.5±6.4 87.5±8.5** 66.3±4.3** 60.0±8.4**
맥압(mmHg) 27.5±3.8 29.3±1.9 35.8±1.5 43.8±4.3* 57.5±4.3*
심박동 (beat/min) 362.5±4.8 340.0±22.9 315.3±24.0 300.0±30.3 275.0±34.3*
대조군 대비 : * P<0.05, ** P<0.01
정상쥐(WKY)군 대비 : # P<0.05, ## P<0.01
표 1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천성 고혈압쥐의 경우에는 애매미유충 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 100㎎/㎏ 정맥주사시 수축기혈압이 정상혈압 수준으로 되어 강력한 혈압강하 효과를 나타내지만, 정상쥐의 경우에는 정맥주사시 100 mg/kg 이하에서는 정상혈압을 저혈압으로 만드는 정도가 미미하였다.
선천성 고혈압쥐의 시간 변화에 따른 혈압강하 측정 결과는 표 2와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최소농도(10㎎/㎏)에서 선천성 고혈압쥐의 시간 변화에 따른 심박동에 미치는 영향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정상쥐의 투여시간에 따른 혈압강하 측정결과는 표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측정시간
주입전 주입시 2분 4분 6분 8분 10분
선천성 고혈압쥐(SHR) 수축기혈압 (mmHg) 161.3±9.0 112.5±12.7 145.0±15.4 140.0±12.7 142.5±10.1 147.5±10.9 143.8±8.5
이완기혈압 (mmHg) 133.8±5.5 77.5±12.7 111.3±12.8 108.3±8.4 110.8±6.8 114.5±6.4 114.5±6.4
맥압(mmHg) 27.5±3.8 35.0±0.0 33.8±3.2 31.8±3.9 31.8±3.0 33.0±3.9 29.3±1.9
심박동 (beat/min) 362.5±4.8 273.3±15.3 297.5±17.0 316.7±10.4 310.0±8.7 330.0±17.3 340.0±22.9
측정시간
주입전 주입시 2분 4분 6분 8분 10분
정상쥐 (WKY) 수축기혈압 (mmHg) 116.7±7.3 93.3±3.3 100.7±7.4 113.3±6.7 115.0±5.8 115.7±5.7 114.0±6.7
이완기혈압 (mmHg) 83.3±6.7 52.3±6.4 62.3±11.6 76.7±8.8 80.0±5.0 80.7±3.5 79.0±4.9
맥압(mmHg) 33.3±4.4 41.0±3.1 38.3±4.2 36.7±3.3 35.0±2.9 35.0±2.9 35.0±2.9
심박동 (beat/min) 353.3±20.3 306.7±42.6 331.7±24.6 331.7±18.8 333.3±17.6 333.3±23.3 340.0±17.3
표 2, 표 3,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최소농도인 10㎎/㎏에서 0~10분에 걸쳐 정맥주사시 선천성 고혈압쥐에서는 수축기혈압이 강하하여 혈압강하 효과를 가지나, 정상쥐에서는 혈압강하 효과가 선천성 고혈압쥐에 비해 비선택적으로 일어나 혈압약으로서 어느 정도의 안전성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선천성 고혈압쥐에만 작용하는 우수성이 있다. 또한, 심박동의 약화를 맥압으로 보충하는 성질을 가진다. 정상쥐의 혈압강하, 맥압 및 심장에 미치는 영향이 선천적 고혈압쥐에 비하여 미미하므로, 선천적 고혈압쥐에 대하여 보다 선택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미화용 번데기, 감염누에, 자실체형성 번데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과 알콜 추출물을 선천성 고혈압쥐에 대하여 정맥투여 10분 후에 측정한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심장박동수의 측정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고, 애매미눈꽃동충하초의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물 추출물을 경구투여시 각각에 대하여 수축기혈압 측정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수축기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심박동(beat/min)
주입전 100㎎/㎏ 주입전 100㎎/㎏ 주입전 100㎎/㎏
물추출물 미화용 번데기 150.0±1.7 145.0±4.8 125.0±0.0 120.0±1.4 350±4.3 343±1.5
감염누에 158±10.9 138.3±20.9 130.0±2.9 100.0±7.3 385.0±12.2 295.0±20.4
자실체형성 번데기 175.0±2.1 160.0±2.4 135.0±2.7 120.0±3.5 340.0±1.2 330.0±2.4
알콜 추출물 미화용 번데기 138.0±37.5 42.5±42.5 102.5±22.5 27.5±27.5 430.0±2.4 280.0±2.2
감염누에 182.0±10.1 120±1.7** 141.7±8.8 70.5±8.4** 363.0±3.3 176.7±21.9**
자실체형성 번데기 161.3±9.0# 110.0±6.1** 133.7±5.5## 66.3±8.3** 362.0±4.8 300.0±30.3
주입전 대조군에 대하여 *P<0.05, **P<0.01의 유의성 가짐
정상쥐에 대하여 #P<0.05, ##P<0.01의 유의성을 가짐
투여일수 대조군 부탄올 추출물 (30㎎/㎏)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30㎎/㎏) 열수 추출물 (100㎎/㎏)
0 215.3±20.5 198.3±13.1 208.8±28.5 203.4±12.5
1 188.0±10.4 204.2±39.3 173.8±12.2 199.5±15.3
2 197.0±10.5 159.3±28.0 156.4±27.5 193.8±36.0
4 205.0±22.3 182.2±38.9 155.4±24.9 173.4±27.4
5 199.0±20.4 162.2±18.8 204.0±19.8 187.8±37.5
6 191.0±16.1 187.6±18.9 167.3±13.1 184.8±30.7
7 203.3±21.0 183.4±15.5 176.5±13.9 175.0±22.5
8 226.3±44.9 191.0±12.9 181.8±44.1 178.8±32.2
각군당 대조군 대비 유의성 p<0.05
표 4와 표 5에서 보듯이, 미화용 번데기, 감염누에, 자실체형성 번데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과 알콜 추출물 그리고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500g을 마쇄하여 아세톤에 추출 후 천연물화학 정제법에 따라 얻은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물 추출물의 각각에 대하여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심박동수, 맥압을 지표로 하여 비교해보았을 때, 자실체형성 번데기의 알콜 추출물의 경우가 수축기압의 저하, 심박동수의 감소둔화 및 맥압의 증가로 가장 좋았다.
실시예 2 : 선천성 고혈압쥐에서의 간접측정법에 의한 2주간 혈압강하 효과
1) 시료투여
음성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복강 주사하였고, 시험군(동충하초 투여군)으로는 자실체형성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을 100㎎/㎏의 용량으로 14일간 복강주사하였다.
2) 혈압측정방법
혈압은 혈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투여직전과 투여한 지 1시간 후에 비마취 미압 간접측정법으로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이완기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및 심박동(heart rate)을 측정하였다.
혈압측정시 랫트를 고정틀에 넣어 적당한 크기의 꼬리 커프 센서(tail cuff sensor)를 꼬리에 끼운 다음 5분 정도 환경에 적응시키고, 혈압 및 심박동을 측정하였다.
혈압측정 쳄버내의 온도는 33℃로 고정하였고, 4~6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3) 실험결과
본 발명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을 2주간 연속 복강 투여시 혈압강하 측정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으며, 경구 투여시 수축기혈압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수축기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심박동(beat/min)
시간(일) 대조군 투여군 혈압차 대조군 투여군 대조군 투여군
1 158.5±9.9 152.6±12.7 5.9 103.5±10.2 65.6±20.9 362.5±19.4 304.2±22.5
2 140.5±19.5 122.8±21.5 17.7 128.3±10.9 79.2±29.4 391.2±31.0 314.8±43.7
4 171.8±7.8 101.2±15.3 70.6 125.8±42.8 45.0±34.3 490.5±13.1 290.4±23.1
6 232.8±34.7 83.6±9.0 149.2 197.3±66.3 45.6±16.3 467.3±10.9 321.6±15.8
8 165.3±17.8 129.2±16.0 36.1 102.3±26.3 78.2±31.4 479.8±13.1 425.0±13.8
10 226.0±35.4 105.6±19.0 120.4 131.0±26.0 51.8±18.6 440.3±14.9 262.0±19.0
12 171.8±35.9 116.4±19.7 55.4 191.0±64.4 19.2±7.6 450.5±13.6 400.6±26.1
14 172.5±37.1 126.0±7.7 46.6 138.0±42.8 74.3±14.0 441.0±24.5 353.3±23.4
심박동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유의성은 비처치군에 대해 P<0.001이다.
표 6와 도 5에서 보듯이,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의 알콜 추출물 100㎎/㎏을 2주간 연속 선천성 고혈압쥐(SHR)에 복강 주사 및 경구 투여한 직후부터, 혈압은 강하하여 투여 2일째부터는 정상혈압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혈압강하 효과는 매일 1회 동량투여로 2주간 지속되었다.
실시예 3 : 선천성 고혈압쥐에서의 직·간접측정법에 의한 4주간 혈압강하 효과
1) 시료투여
선천성 고혈압쥐(SHR)에 자실체형성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 30㎎/㎏을 4주간 연속 경구내 주사로 투여하였다.
2) 실험결과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을 4주간 경구투여시 직접측정법에 의한 혈압강하 측정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으며, 간접측정법에 의한 수축기혈압의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수축기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심박동(beat/min)
정상쥐 (WKY) 대조군 101.7±4.4 75.0±5.0 340.0±0.5
알콜추출물 (30㎎/㎏) 105.0±8.8 83.0±10.0 300.0±4.1
선천성 고혈압쥐 (SHR) 대조군 188.3±4.4 148.3±4.4 370.0±0.5
알콜추출물 (30㎎/㎏) 116.3±11.4# 90.0±13.4* 353.3±23.3
카프토프릴 (40㎎/㎏) 131.7±7.3# 100.0±10.0* 360.0±11.6
대조군 대비 : # P<0.005, * P<0.05
투여일수 선천성 고혈압쥐(SHR) 정상쥐(WKY)
대조군 알콜추출물 (30㎎/㎏) 카프토프릴 대조군 알콜추출물 (30㎎/㎏)
0 199.0±23.5 206.0±14.3 201.0±32.5 125.2±10.3 125.4±14.5
1 196.3±10.0 200.1±22.4 179.0±3.8 119.3±3.8 116.8±18.8
2 194.6±35.1 186.0±18.8 176.1±25.1 124.3±10.5 119.8±8.3
4 204.6±28.7 155.3±23.9 158.3±30.2 140.3±8.0 112.4±12.1
6 204.6±11.5 104.3±23.5 141.5±26.5 128.3±11.9 115.4±11.1
8 200.0±8.7 120.0±10.8 131.1±25.7 125.3±13.6 106.6±5.12
10 220.0±9.6 110.0±15.4 124.0±16.0 127.6±16.6 112.0±6.4
12 222.3±16.7 116.6±8.0 124.8±19.6 117.6±18.2 116.2±7.0
14 225.3±11.9 126.8±18.3 136.2±19.1 126.6±22.2 108.4±8.4
16 219.0±15.1 154.8±9.6 136.0±27.0 125.6±14.3 110.8±2.6
18 212.3±7.6 155.8±20.6 144.8±12.9 143.0±4.6 112.4±4.6
20 213.0±10.6 166.6±10.8 141.8±32.7 127.3±10.6 109.6±16.5
22 211.3±7.2 159.2±5.1 143.0±26.7 138.0±4.2 117.0±9.1
24 214.7±9.8 123.9±16.9 145.3±16.5 130.0±28.7 114.5±7.3
26 208.3±16.0 118.6±15.6 123.5±10.0 112.3±4.2 104.8±4.1
28 207.8±5.4 112.2±4.9 129.9±4.1 104.2±3.9 116.5±6.1
정상쥐, 선천성 고혈압쥐는 각 대조군에 대해 유의성 p<0.001
표 7와 표 8에서 보듯이, 경구투여 직후부터 혈압은 강하하여 투여 2일째부터는 정상혈압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혈압강하 효과는 매일 1회 동량투여로 4주간(한달간)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달동안 시판 안지오텐신 변형효소 억제제인 혈압약(Captopril)과 비교 경구투여하였을 때, 본 발명의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이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선천성 고혈압쥐에서의 체중감소 효과
1) 실험재료, 시료의 추출,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2) 검액의 제조
상기 자실체형성 번데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1㎖의 비율로 체중 200g당 생리 식염수에 녹여 투여시료로 사용하였다.
여기서 열수 추출물은 자실체형성 번데기를 믹서로 갈아 4g을 2ℓ의 증류수에 녹여 1시간 이상 90℃ 이상의 물로 중탕한 후 식혀 잔사를 여과한 것을 말한다. 즉 한방의 중탕액에 해당한다.
3) 체중 측정
체중 200g인 선천성 고혈압쥐(SHR)와 정상쥐(WKY)를 동물실에서 충분히 안정화시킨 후, 어른 쥐가 된 후 평균 무게 230±10g인 10주령 웅성 선천성 고혈압 쥐에 대해 체중을 매일 시료투여 후 저울로 측정하였다.
4) 통계학적인 분석
모든 실험결과는 Student's t-test로 통계처리하였으며, p<0.05인 경우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알콜 추출물(30㎎/㎏, 100㎎/㎏)과 열수 추출물(100㎎/㎏)의 투여일수에 따른 체중 측정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실체형성 번데기 시기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열수 추출물(100㎎/㎏)은 투여 이틀째부터 체중감소 현상을 보였으며, 알콜 추출물 보다 열수 추출물이 체중감소 효과가 더 좋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인체에 해가 거의 없는 천연 곤충 추출물로서, 그 효과가 고혈압 질환 및 체중감소에 선택적으로 우수하므로 고혈압 용도 및 체중감소용 의약품 및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 자체, 수용성 추출물 또는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체중감소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는 감염누에, 미화용 감염번데기, 자실체형성 번데기, 인공 또는 자연 배지에서의 배양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소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050036489A 2005-04-30 2005-04-30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055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89A KR100559998B1 (ko) 2005-04-30 2005-04-30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89A KR100559998B1 (ko) 2005-04-30 2005-04-30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669A Division KR20050002704A (ko) 2004-11-22 2004-11-22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982A KR20050045982A (ko) 2005-05-17
KR100559998B1 true KR100559998B1 (ko) 2006-03-15

Family

ID=3724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489A KR100559998B1 (ko) 2005-04-30 2005-04-30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9286B (zh) * 2010-05-14 2015-12-23 浙江泛亚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蝉拟青霉的发酵产物的用途
CN107996901A (zh) * 2016-11-02 2018-05-08 浙江泛亚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蝉花沙棘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993A (ko) * 1999-07-06 2001-02-05 임상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993A (ko) * 1999-07-06 2001-02-05 임상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영양학회지 34(3) 265-270면(2001, 고진복 외1명)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982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3921B (zh) 一种人工栽培桑黄子实体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658479B2 (ja) 脂肪減少等の活性を示す組成物
EA014070B1 (ru) Применение растительной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DE382762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trocknetem regenwurmpulver und antihyperlipaemische, antidiabetische, antihypertonische und antihypotonische zubereitungen, die getrocknetes regenwurmpulver als aktiven bestandteil enthalten
KR101682697B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9792B1 (ko) 호박벌 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지방축적억제 용도
KR100559998B1 (ko)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0505217B1 (ko)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050002704A (ko) 애매미유충눈꽃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EP1368045B1 (en) Process for obtention of decoctions of vitis labrusca and vitis vinifera skins
WO2021249402A1 (zh) 无细胞脂肪提取液对巨噬细胞极化调节与疾病治疗的作用
KR20200036669A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182706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6317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KR20170047544A (ko) 호박벌 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지방축적억제 용도
KR100573375B1 (ko)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060015055A (ko) 고혈당 및 고지혈증 억제 활성을 갖는 감차수국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US8206760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transplant rejection containing the cordyceps mycell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824329B1 (ko) 목단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47585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03277279A (ja) エンドセリン拮抗剤
KR101485107B1 (ko) 천마, 희첨 및 방풍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101045551B1 (ko) 복분자 발효주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