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856B1 -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 Google Patents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8856B1 KR100558856B1 KR1020030053777A KR20030053777A KR100558856B1 KR 100558856 B1 KR100558856 B1 KR 100558856B1 KR 1020030053777 A KR1020030053777 A KR 1020030053777A KR 20030053777 A KR20030053777 A KR 20030053777A KR 100558856 B1 KR100558856 B1 KR 100558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tting
- notification
- switch
- bus
- stop notif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차알림 장치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킨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에서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가 작동되어 하차알림램프가 점등되면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면 상기 하차알림램프를 소등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버스 하차알림용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 여부를 검출하기 전에 하차알림 취소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먼저 검출하는 제2-1단계; 상기 하차알림 취소시스템이 동작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하차알림램프의 점등이 취소될 수 있도록 제한시간 내에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2-2단계;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이 검출된 때에는 버스의 출구 부근에 설치된 압력센서의 신호를 검출하여 압력센서의 신호가 있으면 상기 하차알림램프를 계속해서 점등하고,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가 없으면 상기 하차알림램프를 소등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제한시간을 초과하여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때에는 버스 운전자가 승객의 취소 요구를 인식한 경우에 한하여 운전자용 취소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하차알림램프의 점등을 강제로 취소하는 제2-4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버스에 구비된 하차알림 장치의 작동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작동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조건을 보이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5는 본 발명의 각 구성간의 논리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센서 2 : 압력센서
3 : 파워스위치 4 : 제어부
5 : 하차알림램프 sw1 : 하차알림용 스위치
sw2 : 운전자용 취소스위치
본 발명은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이 버스에서 자신이 내릴 정거장에 도착하기 전에 하차알 림용 스위치를 미리 눌러 자신의 하차를 운전자 및 주위 사람에게 미리 알리도록 하는 한편 이 하차알림용 스위치를 잘못 누른 경우 다시 취소할 수 있도록 하여 하차알림 장치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킨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하차알림 장치는 승객이 자신이 내릴 정거장에 버스가 도착하기 전에 스위치(벨)를 누름으로써, 운전자에게 다음 정거장에서 내릴 승객이 있음을 알리려는 목적으로 운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하차알림 장치는 하자의 의지가 있는 승객들이 누를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벨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벨에는 한번 누르면 점등되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목적하는 곳에 버스가 도착하여 버스의 도어가 열리면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다음의 승객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1은 종래의 버스에 구비된 하차알림 장치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살펴보면, 종래의 하차알림용 장치는 하차하고자 하는 승객이 수동으로 벨을 누르면 이어서 하차알림램프가 점등되고, 이 상태에서 원하는 목적지에 버스가 도착하여 도어가 열리면 다음 승객이 또 하차알림용 벨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하차알림램프가 소등된다.
즉, 종래의 하차알림용 벨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차알림용 벨이 작동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하여 하차알림용 벨이 작동되면 하차알림램프를 점등하고 이어서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하차알림램프를 소등하고 도어가 개방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하차알림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는 단계를 통하여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하차알림용 벨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하차알림용 벨을 누른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곳을 착각하여 벨을 잘못 눌렀다하더라도 종래에는 이를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승객은 운전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 양해를 구하게 되고, 운전자는 이러한 사실을 통보받으면 하차알림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해 하차할 승객이 없어도 일부러 도어를 개방하거나 아니면 하차알림램프가 계속 점등된 채로 주행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운전자는 버스가 주행하는 상태로 도어를 열어 하차알림램프를 소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객이 하차할 곳을 착각하여 하차알림용 벨을 잘못 눌렀다하더라도 곧바로 이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만약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운전자가 강제로 취소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정차와 도어 개방에 따른 불편을 해소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에서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가 작동되어 하차알림램프가 점등되면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면 상기 하차알림램프를 소등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버스 하차알림용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 여부를 검출하기 전에 하차알림 취소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먼저 검출하는 제2-1단계; 상기 하차알림 취소시스템이 동작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하차알림램프의 점등이 취소될 수 있도록 제한시간 내에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2-2단계;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이 검출된 때에는 버스의 출구 부근에 설치된 압력센서의 신호를 검출하여 압력센서의 신호가 있으면 상기 하차알림램프를 계속해서 점등하고,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가 없으면 상기 하차알림램프를 소등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제한시간을 초과하여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때에는 버스 운전자가 승객의 취소 요구를 인식한 경우에 한하여 운전자용 취소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하차알림램프의 점등을 강제로 취소하는 제2-4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작동 흐름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조건을 보이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고, 도5는 본 발명의 각 구성간의 논리회로를 보인 회로도이다.
먼저, 도2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여 온(on), 오프(off)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센서(1)와, 버스의 객차 공간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하차를 알리도록 하거나 하차 취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승객용 스위치(sw1)와, 운전석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강제로 하차 취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용 스위치(sw2)와, 버스 출구 부근에 설치되어 하차하려고 준비중인 승객의 유무를 검출하는 압력센서(2)와, 본 발명의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파워스위치(3)로 이루어지는 센서부가 존재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연산제어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에 의하여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하차알림램프(5)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워스위치(3)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즉 하차알림 취소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전원스위치로서, 상기 파워스위치(3)를 오프하게 되면 상기의 장치는 동작하지 않는데, 이렇게 파워스위치(3)를 구성한 것은 버스가 만차인 상태에서는 하차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승객도 버스의 출구 부근에 위치할 수 있어 상기 압력센서(2)가 이를 하차하고자 하는 승객으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파워스위치(3)를 구성하였다[제2-1단계].
본 발명에 의하면, 하차하고자 하는 승객이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누르면 하차알림램프(5)가 점등되고 이어서 버스가 목적하는 곳에 정차하여 도어가 열리면 상기 하차알림램프(5)가 소등되는데, 이것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한번 누른 상태에서 잘못 눌렀음을 인지한 승객이 이를 취소하고자 할 때는 도어가 열리기 전에, 즉 도어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다시 눌러 이를 취소하여야 하는데, 이때는 반드시 상기 파워스위치(3)가 온(on)상태이어야만 한다.
만약, 상기 파워스위치(3)가 온 상태가 아니라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차알림램프(5)를 계속하여 점등하므로 종래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렇게 파워스위치(3)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제한시간 내에 다시 한번 누르면 초기에 점등되었던 하차알림램프(5)가 소등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하차알림램프(5)가 소등되기 위한 것에는 조건이 있다.
즉,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누른 후 3초 이내에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다시 2초 이상 눌러야 하차알림램프(5)가 소등되는데, 이렇게 설정한 이유는 타인이 악의로 하차알림램프(5)를 소등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4에서 보면,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누르면 하차알림램프(5)가 점등되는데, 이때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누르고 3초 이내에 2초 이상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다시 누르면 제어부(4)는 이러한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취소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차알림램프(5)를 제어한다[제2-2단계].
이때, 다른 승객이 다시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누르면 상기 하차알림램프(5)가 다시 점등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3초를 초과한 후에는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다시 눌러도 램프(5)가 소등되지 않고, 이때는 운전자용 취소스위치(sw2)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만 하차알림램프(5)가 소등된다.
그러나, 승객이 하차알림램프(5)를 소등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제한시간을 초과하여 램프(5)를 소등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운전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 운전자가 운전자용 취소스위치(sw2)를 작동시킴으로써 강제로 소등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제한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운전자가 승객의 취소 요구를 인식한 경우에 한하여 하차알림램프(5)를 강제로 소등할 수 있다[제2-4단계].
한편, 앞의 단계에서 승객이 하차알림용 스위치(sw1)를 제한시간 내에 누르면 바로 하차알림램프(5)가 소등되도록 할 수도 있겠으나, 이렇게 하면 하차알림램프(5)가 점등된 것을 보고, 내리려고 버스의 출구 부근에 준비하고 있는 또 다른 승객이 목적지에 내리지 못하고 버스가 그냥 지나쳐 버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에 의하여 취소가 선택되더라도 버스의 출구 주변에 설치된 압력센서(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압력센서(2)의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에만 상기 하차알림램프(5)를 소등하여야 한다.
만일, 상기 압력센서(2)의 신호가 온(on)이라면 하차하고자 하는 다른 승객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하차알림램프(5)를 계속해서 점등하여야 한다[2-3단계].
이상과 같은 하차알림램프(5)의 점등을 취소하기 위해서 제어부(4)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논리회로를 갖는다.
즉,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와 압력센서(2)의 값을 논리곱으로 하여 그 출력값과 운전자용 취소스위치(sw2)의 값을 논리합으로 하고, 거기서 나온 출력값을 다시 파워스위치(3)의 값과 논리곱으로 하여 이 출력값과 도어센서(1)의 값을 논리합하여 그 최종 출력값으로 상기 하차알림램프(5)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차알림용 스위치를 잘못 누른 경우에도 승객 자신이 먼저 취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만일 취소가 안되면 운전자에게 의뢰하여 강제로 취소할 수 있도록 하여 하차할 승객이 없는 버스가 불필요하게 정거장에 정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과 같이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어져 승객 안전도 보장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 버스에서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sw1)가 작동되어 하차알림램프(5)가 점등되면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면 상기 하차알림램프(5)를 소등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버스 하차알림용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취소 입력 여부를 검출하기 전에 하차알림 취소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먼저 검출하는 제2-1단계; 상기 하차알림 취소시스템이 동작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하차알림램프(5)의 점등이 취소될 수 있도록 제한시간 내에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취소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2-2단계;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취소 입력이 검출된 때에는 버스의 출구 부근에 설치된 압력센서(2)의 신호를 검출하여 압력센서(2)의 신호가 있으면 상기 하차알림램프(5)를 계속해서 점등하고, 상기 압력센서(2)의 신호가 없으면 상기 하차알림램프(5)를 소등하는 제2-3단계; 및, 상기 제한시간을 초과하여 하차알림용 스위치(sw1)의 취소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때에는 버스 운전자가 승객의 취소 요구를 인식한 경우에 한하여 운전자용 취소스위치(sw2)를 통하여 상기 하차알림램프(5)의 점등을 강제로 취소하는 제2-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알림용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알림용 스위치의 취소에 필요한 제한시간은 3초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알림용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3777A KR100558856B1 (ko) | 2003-08-04 | 2003-08-04 |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3777A KR100558856B1 (ko) | 2003-08-04 | 2003-08-04 |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6861A KR20050016861A (ko) | 2005-02-21 |
KR100558856B1 true KR100558856B1 (ko) | 2006-03-10 |
Family
ID=3722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3777A KR100558856B1 (ko) | 2003-08-04 | 2003-08-04 |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88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8089A (zh) * | 2019-10-15 | 2020-01-21 |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出行服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2003
- 2003-08-04 KR KR1020030053777A patent/KR1005588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6861A (ko) | 2005-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4606B2 (en) | Elevator system control responsive to hoistway access detection | |
JP507408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558856B1 (ko) | 하차알림 장치가 구비된 버스의 하차알림 취소방법 | |
JP2003341955A (ja) |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 |
JP2004035249A (ja) | 防犯機能付き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装置 | |
JP2001002331A (ja) |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 |
JPH06271257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2003237505A (ja) | ワンマンバスの乗降扉開閉制御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乗降扉開閉制御方法 | |
KR100452205B1 (ko) | 버스 도어의 안전 개폐방법 | |
JP2003238042A (ja) |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装置 | |
KR100295878B1 (ko) | 홈엘리베이터의도어닫힘연장방법 | |
KR100221969B1 (ko) | 버스의 개문 발차 방지장치 | |
KR200156244Y1 (ko) | 차량의 자동개폐문 제어회로 | |
JPS6149235B2 (ko) | ||
JP2870428B2 (ja) | 警備端末装置 | |
KR0119283B1 (ko)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 |
JPH08231138A (ja) | 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装置 | |
JP2004338897A (ja) |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装置 | |
JPH1148826A (ja) | 車両の速度制御装置 | |
JPH0253649A (ja) | 自動車の室内灯装置 | |
JP2875951B2 (ja) | エレベータの着床時段差報知装置 | |
JPH07144840A (ja) | エレベーターの乗場照明装置 | |
JPH0270684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H0570090U (ja) | 機能重要度別出力リモコン | |
JPH0881151A (ja) |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