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415B1 -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 Google Patents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415B1
KR100558415B1 KR1020040053520A KR20040053520A KR100558415B1 KR 100558415 B1 KR100558415 B1 KR 100558415B1 KR 1020040053520 A KR1020040053520 A KR 1020040053520A KR 20040053520 A KR20040053520 A KR 20040053520A KR 100558415 B1 KR100558415 B1 KR 10055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frame
carrier
stopper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412A (ko
Inventor
강희곤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4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이드프레임(100)에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디엔드멤버(200)와 크로스멤버(300) 사이에 와이어타입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는 프레임(4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 및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는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에 접하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각각 용착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용착되는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부가 후부로 절곡된 상태로 양측단부가 사이드프레임(100)에 각각 용착되어,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를 이용해 프레임(400)에 스페어타이어(500)를 수납시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용착되어 있는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와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에 의해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이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비포장도로를 주행시에도 스페어타이어(500)가 바디엔드멤버(200)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찰음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Vehicle Substructure with Carrier for Spare Tire}
도 1은 일반적인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페어타이어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스페어타이어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종래 스페어타이어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에 스페어타이어가 보관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스페어타이어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이드프레임 200 : 바디엔드멤버
300 : 크로스멤버 310 :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
400 : 프레임 410 :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
500 : 스페어타이어 600 : 스페어타이어캐리어
본 발명은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스페어타이어가 안정적으로 상부면이 지지되면서 보관되어, 차량을 운행시에도 스페어타이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을 운행 시 타이어가 관리소홀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도 운행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페어타이어를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를 이용해 보관시켜 가면서 운행하고 있다.
특히, 화물차량이나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의 경우에는 스페어타이어를 적재할 만한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차량의 하부에 와이어 타입(Wire Type)의 캐리어를 주로 설치하여 스페어타이어를 수납시키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00)에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디엔드멤버(200)와 크로스멤버(300) 사이에 와이어타입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는 프레임(4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 및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는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에 접하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각각 용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400)의 저면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프레 임(400)의 중앙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트(610)와, 상기 마운팅브라켓트(610)와 와이어(620)로 연결되어 있는 스페어타이어마운팅부(630)와, 상기 스페어타이어마운팅부(630)가 승하강되면서 스페어타이어(500)가 프레임(400)에 수납 및 인출되도록 와어어(620)를 감거나 푸는 와이어권취장치(640)로 구성되어 있는 와이어타입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는 와이어권취장치(640)를 작동시켜 와이어(620)를 감아올리는 것에 의해 스페어타이어마운팅부(630)가 스페어타이어(530)와 결합된 상태로 상부로 승강되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500)가 프레임(400)에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 및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의 저면에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이 접촉하면서 보관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는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이 접하는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좌우 양측 저면에 용착되어 있는 프레임(400)이 직선타입인 관계로, 상기 프레임(400)에 스페어타이어(500)를 수납시 시, 상기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이 차량의 제작시 발생되는 레이아웃상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 가 스페어타이어(500)의 센터를 중심으로 직삼각형의 모양이 이루어지면서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를 이용해 스페어타이어(500)를 보관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시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에 용착되어 있는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에 의해 스페어타이어(500)의 좌우 양측상부는 안정적으로 지지되지만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용착되어 스페어타이어(500)의 전방부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는 반발력을 일으키면서 스페어타이어(500)의 후부를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차량을 운행시 상기 스페어타이어 후부가 바디엔드멤버(200)와 접촉되면서 마찰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마찰음에 의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에 수납된 스페어타이어의 상부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포장도로등을 운행시에도 스페어타이어가 바디엔드멤버와 접촉하지 않아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과 크로스멤버가 상호 연결되어는 것에 의해 차체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프레임(100)에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디엔드멤버(200)와 크로스멤버(300) 사이에 와이어타입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는 프레임(4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 및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는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에 접하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각각 용착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용착되는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부가 후부로 절곡된 상태로 양측단부가 사이드프레임(100)에 각각 용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00)의 중앙부에는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의 단부를 연장 용착시켜, 상기 크로스멤버(300)와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400)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차체의 동간성이 향상되게 됨을 밝혀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인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는 사이드프레임(100)에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디엔드멤버(200)와 크로스멤버(300) 사이에 좌우 양측부가 후부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400)이 설치되는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크로스멤버(300)와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정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프레임(400)에 스페어타이어(500)를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를 이용해 수납시키면, 상기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이 안정적으로 스톱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프레임(400)에 스페어타이어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비포장도로를 운행시에도 스페어타이어의 후부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게 됨으로써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어 타입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스페어타이어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는 도 5의 평면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00)에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디엔드멤버(200)와 크로스멤버(300) 사이에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 좌우 양측에 각각 용착되어 있는 좌우 양측이 후부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400)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400)의 중앙부에는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가 후부로 연장되어 용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400)의 중앙부 저면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전후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의 마운팅브라켓트(61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400)의 내외부로 수납 및 인출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는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용착되어 있는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와 크로스멤버(300)의 중앙 부에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 (310)가 정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크로스멤버(300)와 바디엔드멤버(200)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일측단부가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가 연장되어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용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과 크로스멤버(300)가 연결 됨으로써, 차체의 동강성이 향상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어타이어캐리어장치를 이용해 프레임(400)에 수납시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용착되어 있는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와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에 의해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이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비포장도로를 주행시에도 스페어타이어(500)가바디엔드멤버(200)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찰음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00)에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가 후부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차체 전체의 동강성이 향상 되어 차량의 실차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사이드프레임(100)에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디엔드멤버(200)와 크로스멤버(300) 사이에 와이어타입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600)가 설치되는 프레임(4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 및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는 스페어타이어(500)의 상부면에 접하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와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각각 용착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2스페어타이어스톱퍼(410)가 용착되는 프레임(400)의 좌우 양측부가 후부로 절곡된 상태로 양측단부가 사이드프레임(100)에 각각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300)의 중앙부에 일측단부가 용착되어 있는 제1스페어타이어스톱퍼(310)가 연장되어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KR1020040053520A 2004-07-09 2004-07-09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KR10055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520A KR100558415B1 (ko) 2004-07-09 2004-07-09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520A KR100558415B1 (ko) 2004-07-09 2004-07-09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412A KR20060004412A (ko) 2006-01-12
KR100558415B1 true KR100558415B1 (ko) 2006-03-10

Family

ID=3711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520A KR100558415B1 (ko) 2004-07-09 2004-07-09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7227B2 (ja) * 2018-04-17 2022-05-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2022106316A (ja) * 2021-01-07 2022-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412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3292B2 (ja) 電動車両
JP5435350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CN102729791A (zh) 用于电动车的电池安装结构
JP5435347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4878609B2 (ja) 車体フロア構造
JP2007283972A (ja) 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及び自動車組立て方法
JPWO2008023685A1 (ja) 台車
JP5446853B2 (ja) 車体上部構造
KR100558415B1 (ko) 스페어타이어용 캐리어가 설치되는 차량의 하부구조
KR20220032189A (ko)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JP2011131711A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4479299B2 (ja) 車体下部構造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CN210941439U (zh) 一种汽车前排座椅安装横梁
JP6236049B2 (ja) 車体上部構造
JP2008149822A (ja) 車両のリヤフロア構造
JP5332286B2 (ja) スペアタイヤの収納構造
JP3355960B2 (ja) 車体構造
CN215553581U (zh) 碳纤维汽车中控台支架
JP2000255455A (ja) 車体構造
CN220974328U (zh) 一种减震器安装结构及车辆
KR100439965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강성구조
KR20080054990A (ko) 차량의 센터 플로워 보강구조
KR102621231B1 (ko) 트럭의 이륜차 탑재 기구
KR100320867B1 (ko) 버스용 프론트 바디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