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189A -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189A
KR20220032189A KR1020200113673A KR20200113673A KR20220032189A KR 20220032189 A KR20220032189 A KR 20220032189A KR 1020200113673 A KR1020200113673 A KR 1020200113673A KR 20200113673 A KR20200113673 A KR 20200113673A KR 20220032189 A KR20220032189 A KR 2022003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hicle body
unit
adhesive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진
오헌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189A/ko
Priority to DE202021104786.0U priority patent/DE202021104786U1/de
Priority to US17/468,236 priority patent/US11834101B2/en
Priority to CN202122148102.6U priority patent/CN216140084U/zh
Publication of KR2022003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차체부에 구비된 차체 사이드 실부와, 차체부에 결합되는 섀시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며 배터리모듈이 장착되는 사이드멤버부를 포함하고, 사이드멤버부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배터리모듈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고, 차체 사이드 실부를 향하는 상면이 본체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배터리결합부를 포함하고, 차체 사이드 실부는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용 파이프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너트부가 구비되고, 배터리결합부에 안착되도록 사이드멤버부를 향하는 하면이 몸체부의 하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본 발명은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고 강성이 증대시키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를 말한다.
전기차는 주행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을 배출하지 않는 등 친환경적이며, 전기모터로만 구동할 경우 운행비용이 가장 저렴해 경제적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차량의 바디 하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바퀴가 설치되는 전륜 샤시모듈과 후륜 샤시모듈도 차량의 바디의 하부에 설치된다.
배터리는 섀시프레임에 조립되고, 섀시프레임은 차량의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종래 섀시프레임의 사이드멤버(2)와 차량의 바디에 구비된 사이드실(side sill, 1)의 결합구조가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볼트(5)가 배터리장착부(4)와 사이드멤버(2)를 관통하여 사이드실(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드멤버(2)에는 체결볼트(5)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용 파이프(3)가 구비되고, 볼트 관통용 파이프(3)는 사이드멤버(2)에 관통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볼트 관통용 파이프(3)를 사이드멤버(2)에 용접 시에, 사이드멤버(2)의 차체 안착면(2a)과 배터리 마운팅면(2b)에 용접하는 경우 용접비드(w)로 인해 평탄면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이드멤버(2)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압출재로 제작되므로 사이드멤버(2)의 내측에 용접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사이드멤버(2)에 볼트 관통용 파이프(3)를 용접하기 용이하면서, 사이드멤버와 사이드실의 결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9752호(2009.10.2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섀시 프레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드멤버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체결용 파이프부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구간을 확보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사이드 실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사이드멤버부와 차체 사이드 실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합 부위에서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량 전체의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이 증대시키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차량의 차체부에 구비된 차체 사이드 실부와, 상기 차체부에 결합되는 섀시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며 배터리모듈이 장착되는 사이드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멤버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모듈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를 향하는 상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배터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너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결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사이드멤버부를 향하는 하면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를 향하는 면인 제1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결합부는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 안착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이드멤버부를 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면에 접하는 제1 접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접착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접하는 제2 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2 안착면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안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접착면과 상기 제2 접착면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접착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접착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와 상기 사이드멤버부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1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2 안착면과 상기 제2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착부와, 상기 수직 안착면과 상기 수직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접착면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2 접착면에 관통되는 파이프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멤버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체결용 파이프부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구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사이드 실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사이드멤버부와 차체 사이드 실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합 부위에서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량 전체의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이 증대되어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차체부와 섀시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3의 차체부와 섀시프레임부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사이드 실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멤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사이드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차체부와 섀시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3의 차체부와 섀시프레임부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사이드 실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멤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 사이드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100)는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를 포함한다.
차체 사이드 실부(200)는 차량의 차체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사이드 실부(200)는 차체부(2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멤버부(300)는 차체부(20)에 결합되는 섀시프레임(30)부에 구비되고, 차체 사이드 실부(2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사이드멤버부(300)에는 배터리모듈(4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멤버부(300)는 차체 사이드 실부(200)에 결합되도록 차체 사이드 실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섀시프레임(30)부는 내부에 배터리모듈(40)이 장착되도록 사각 틀 형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멤버부(300)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배터리모듈(40)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멤버부(300)는 본체부(310)와, 배터리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사이드멤버부(300)의 몸체를 이룰 수 있다.
배터리결합부(330)는 본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배터리모듈(4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파이프부(350)가 관통되고, 차체 사이드 실부(200)를 향하는 상면이 본체부(31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결합부(330)는 본체부(310)와 일체로 제작되고 본체부(310)의 배터리모듈(40)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결합부(330)에는 체결용 파이프부(350)가 관통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멤버부(300)에서 섀시프레임(30)부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이 할 때, 배터리결합부(330)의 상면은 본체부(31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사이드멤버부(300)에 용접하기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결합부(330)에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관통한 상태로, 배터리결합부(330)의 상면에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결합부(330)의 상면이 본체부(310)의 상면보다 낮은 형성되므로, 본체부(310)에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때 용접비드(W)에 의해 사이드멤버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가 들뜨는 현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사이드멤버부(300)에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용접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차체부(20)와 섀시프레임(30)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차체 사이드 실부(200)는 몸체부(210)와 체결부(23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차체 사이드실부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본체부(3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체결부(230)는 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관통하는 체결부(230)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너트부(250)가 구비된다. 또한 체결부(230)는 배터리결합부(330)에 안착되도록 사이드멤버부(300)를 향하는 하면이 몸체부(210)의 하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230)는 몸체부(210)와 일체로 제작되고 몸체부(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30)에는 체결너트부(250)가 형성되어, 배터리모듈(40)과 사이드멤버부(300)를 관통한 체결부(230)재가 체결너트부(250)에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230)에서 사이드멤버부(300)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향이라 할 때, 체결부(230)의 하면은 몸체부(210)의 하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210)와 체결부(230)의 단차는 본체부(310)와 배터리결합부(330)의 단차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몸체부(210)와 함께 체결부(230)도 사이드멤버부(300)에 안착됨으로써 사이드멤버부(300)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멤버부(300)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결합 부위에서의 단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차량의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멤버부(300)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구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사이드멤버부(300)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합 부위에서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량 전체의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이 증대되어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사이드멤버부(300)를 설명하면, 본체부(310)는 차체 사이드 실부(200)를 향하는 면인 제1 안착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결합부(330)는 체결용 파이프부(350)가 관통되고 제1 안착면(31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안착면(3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0)는 제1 안착면(311)과 제2 안착면(331)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1 안착면(31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안착면(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멤버부(300)의 차체 사이드 실부(200)를 향하는 상면은, 제1 안착면(311)과 제2 안착면(331) 및 수직 안착면(312)을 포함하여 단차자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면(331)은 제1 안착면(311)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구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체 사이드 실부(200)를 설명하면, 몸체부(210)는 사이드멤버부(300)를 향하여 구비되고 제1 안착면(311)에 접하는 제1 접착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30)는 제1 접착면(21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제2 안착면(331)에 접하는 제2 접착면(2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30)는 제1 접착면(211)과 제2 접착면(231)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 접착면(23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접착면(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사이드멤버부(300)를 향하는 하면은, 제1 접착면(211)과 제2 접착면(231) 및 수직 접착면(232)을 포함하여 단차자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면(231)은 제1 집착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사이드멤버부(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차체 사이드 실부(200)는 사이드멤버부(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2 접착면(231)이 형성된 영역을 추가함으로써 단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단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사이드멤버부(300)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결합 부위 전체의 단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차량의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멤버부(300)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결합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멤버부(300)와 차체 사이드 실부(200)의 조립 시에, 수직 안착면(312)과 수직 접착면(232)이 서로 접하도록 마련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멤버로 작용하는 하중은, 서로 접하는 수직 안착면(312)과 수직 접착면(232)을 통해 차체 사이드 실부(200)로 전달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500)는 제1 안착면(311)과 제1 접착면(21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접착부(510)와, 제2 안착면(331)과 제2 접착면(23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착부(520)와, 수직 안착면(312)과 수직 접착면(2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접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사이드 실부(200)가 사이드멤버부(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늘어남으로써, 늘어난 접촉 부위에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즉 제1 안착면(311)과 제1 접착면(211)의 사이 이외에도, 제2 안착면(331)과 제2 접착면(231)의 사이 및, 수직 안착면(312)과 수직 접착면(232)의 사이에도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 사이의 접착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 사이의 들뜸 공간이 축소되어 두 부재 사이의 이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체결용 파이프부(350)의 상단부는 제1 접착면(211)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체결부(230)는 체결용 파이프부(350)가 관통되도록 제2 접착면(231)에 관통되는 파이프관통홀(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를 조립 시에, 체결용 파이프부(350)가 파이프관통홀(233)에 삽입됨으로써,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 사이의 조립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 시에 차체 사이드 실부(200)와 사이드멤버부(300) 사이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관통홀(233)의 크기는 체결용 파이프부(3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접착면(231)과 제2 안착면(331)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제2 안착면(331)에 관통시킨 후 제2 안착면(331)에 체결용 파이프부(3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용 파이프부(350)외면과 이에 접하는 제2 안착면(331)에 용접비드(W)가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관통홀(233)은 이러한 용접비드(W)가 형성된 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체결용 파이프부(350)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이프관통홀(233)의 직경은 체결용파이프부의 외면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의 차이는 용접비드(W)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멤버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체결용 파이프부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구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사이드 실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사이드멤버부와 차체 사이드 실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합 부위에서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량 전체의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이 증대되어 충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20: 차체부 30: 섀시프레임
40: 배터리모듈 100: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200: 차체 사이드 실부 210: 몸체부
211: 제1 접착면 230: 체결부
231: 제2 접착면 232: 수직 접착면
233: 파이프관통홀 250: 체결너트부
300: 사이드멤버부 310: 본체부
311: 제1 안착면 312: 수직 안착면
330: 배터리결합부 331: 제2 안착면
350: 체결용 파이프부 500: 접착부
510: 제1 접착부 520: 제2 접착부
530: 제3 접착부 W: 용접비드

Claims (7)

  1. 차량의 차체부에 구비된 차체 사이드 실부; 및
    상기 차체부에 결합되는 섀시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며 배터리모듈이 장착되는 사이드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멤버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모듈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를 향하는 상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배터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너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결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사이드멤버부를 향하는 하면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를 향하는 면인 제1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결합부는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 안착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이드멤버부를 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면에 접하는 제1 접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접착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면에 접하는 제2 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2 안착면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안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접착면과 상기 제2 접착면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접착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접착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와 상기 사이드멤버부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안착면과 상기 제1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접착부;
    상기 제2 안착면과 상기 제2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착부; 및
    상기 수직 안착면과 상기 수직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접착면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2 접착면에 관통되는 파이프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체결용 파이프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0200113673A 2020-09-07 2020-09-07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220032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3A KR20220032189A (ko) 2020-09-07 2020-09-07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DE202021104786.0U DE202021104786U1 (de) 2020-09-07 2021-09-06 Verbindungsstruktur einer Fahrzeugkarosserie und eines Chassisrahmens
US17/468,236 US11834101B2 (en) 2020-09-07 2021-09-07 Coupl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CN202122148102.6U CN216140084U (zh) 2020-09-07 2021-09-07 车身和底盘框架的联接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3A KR20220032189A (ko) 2020-09-07 2020-09-07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89A true KR20220032189A (ko) 2022-03-15

Family

ID=7917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73A KR20220032189A (ko) 2020-09-07 2020-09-07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4101B2 (ko)
KR (1) KR20220032189A (ko)
CN (1) CN216140084U (ko)
DE (1) DE202021104786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3517A1 (de) * 2018-08-10 2020-02-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tteriespeicheranordnung, Verwendung eines Trägers,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Batteriespeicheranordnung sowie Arbeitsvorrichtung
US11584448B2 (en) * 2020-11-12 2023-02-21 Rivian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a vehicl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752A (ko) 2008-04-16 200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섀시 프레임
JP2011111141A (ja) * 2009-11-30 2011-06-09 Hitachi Ltd 電気自動車のシャーシフレームおよび電気自動車
KR101415897B1 (ko) * 2012-03-26 2014-07-09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섀시 프레임 조립구조
KR101795399B1 (ko) * 2016-06-22 2017-1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KR102579358B1 (ko) * 2018-10-12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측부 보강구조
JP7252148B2 (ja) * 2020-01-30 202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車体下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1104786U1 (de) 2021-12-16
US20220073143A1 (en) 2022-03-10
US11834101B2 (en) 2023-12-05
CN216140084U (zh)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515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US660478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10459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26564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20220032189A (ko)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JP2016196207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02337526A (ja)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
US1180730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114473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2492896B1 (ko) 프레임 타입 전기차의 배터리 장착 공간 확보 및 측면 충돌 개선 구조
JP4471308B2 (ja) 車体下部構造
KR100569994B1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20220086056A (ko) 전기 자동차의 차체 연결 구조
CN210941439U (zh) 一种汽车前排座椅安装横梁
KR20230028853A (ko) 차량의 하부 차체
CN218986772U (zh) 一种顶盖前横梁总成及车辆
CN218577877U (zh) 一种汽车前围加强结构及汽车
US20240051611A1 (en) Floor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CN216184307U (zh) 汽车后减震器安装结构
KR101347524B1 (ko)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리어 크로스 멤버
CN212685733U (zh) 汽车轮罩后柱外板总成
CN213008406U (zh) 一种地板横梁安装结构及汽车
US20240051612A1 (en) Floor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KR100320856B1 (ko) 자동차의 리어휠하우징 보강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