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654B1 -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654B1
KR100557654B1 KR1020040052167A KR20040052167A KR100557654B1 KR 100557654 B1 KR100557654 B1 KR 100557654B1 KR 1020040052167 A KR1020040052167 A KR 1020040052167A KR 20040052167 A KR20040052167 A KR 20040052167A KR 100557654 B1 KR100557654 B1 KR 10055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terminal
power supply
base assembly
vibratio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384A (ko
Inventor
이갑진
엄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6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진동발생기의 베이스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전원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링 형상의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는 상측면과; 상기 상측면의 내경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는,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끝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중 코일과 연결되는 연장부의 끝단이 나머지 연장부의 끝단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단자의 밴딩 부위가 펴져서 상기 전원 단자가 베이스 어셈블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원 단자와 베이스 수지물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낙하충격 등에 의하여 전원단자가 베이스 어셈블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발생기, 전원 단자

Description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TERMINAL STRUCTURE OF VIBRATOR }
도 1은 종래의 진동발생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진동발생기 105: 케이스
110: 베이스 어셈블리 115: 마그네트
120: 자성유체 125: 웨이트
130: 스프링 135: 돌출부
140: 코킹부 145: 베이스 수지물
150: 코일 가이드용 돌출부 155: (-)전원단자
156~159: (-)단자 연장부 160: 코일
165: (+)전원단자 170,175,185: 용접용 구멍
176: (+)전원단자의 상측면 177: (+)전원단자의 하측면
180: 기준돌출 수지물
본 발명은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발생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수신알림장치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진동발생기의 외경을 축소하면서도 진동량은 키울 수 있는 진동발생기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발생기(1)는 상호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중앙에 부착된 코일(30)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30)과의 전자기력에 상하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의 진동량을 키우기 위한 웨이트(50)와, 상기 웨이트(50)의 하단 중앙의 오목한 곳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그네트(40)와, 상기 웨이트(5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하부케이스의 외주연에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70)에 삽입, 접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코일(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기판(8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동발생기는 상기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 가이드로 인해서, 상기 웨이트가 차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감소하여, 웨이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동발생기는 낙하충격 등에 의해서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기판이 손상되어 코일 등에 원활히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원단자와 수지물 사이의 접합력을 강화시키고, 낙하충격 등에 의해서 전원 단자가 베이스 어셈블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를 제안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발생기의 베이스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전원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링 형상의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는 상측면과; 상기 상측면의 내경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는,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끝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중 코일과 연결되는 연장부의 끝단이 나머지 연장부의 끝단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100)는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05) 및 베이스 어셈블리(110)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하로 움직이면서 진동력을 가중시키기 위한 웨이트(125)와,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형성되는 코일(160)에 대향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트(1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는 표면실장용(SMD:Surface Mounted Device)타입으로 형성되며, 외부의 기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55) 및 (+)전원단자(165)와, 상기 전원단자(155,165)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자속을 발생하는 코일(160), 및 이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수지물(145)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단자(155), (+)전원단자(165) 및 베이스 수지물(145)은 함께 인써트(insert) 사출되며, 상기 베이스 수지물(145)의 코일 가이드용 돌출부(150)에는 권선된 코일(160)을 삽입하고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케이스(105)와 베이스 어셈블리(110)는 코킹(caulking)으로 고정된다. 상세히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외주연에 코킹부(140)를 형성하고, 케이스(105)의 코킹부위가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코킹부(140) 안쪽으로 접혀 들어감으로써 케이스(105)와 베이스 어셈블리(110)가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115)는 상기 웨이트(125)의 내경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트(115)의 두께는 웨이트(125)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두께 차이에 의한 상기 마그네트(115)의 돌출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130) 상측면의 내경(13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웨이트(125)의 하측면이 상기 스프링(13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15) 및 웨이트(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부의 적어도 일 면에는 자체의 점성에 의해 일종의 댐퍼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자성유체(120)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단자(165)의 상측면,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상측면, 및 스프링(130) 하측을 지지하는 바닥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상측면보다 높게 상기 스프링(130)의 회전반경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돌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5)와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결합 기준을 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5)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에는 기준돌출 수지물(18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5)와 베이스 어셈블리(11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코킹홈(140)을 내며, 상기 케이스의 코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코킹홈(140) 부위와 자리를 맞추어서 케이스(105)에는 케이 스 코킹부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상기 스프링의 하측단(132)은 (+)전원 단자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원단자(165)의 하측 베이스 수지물에는 용접용 전극 형상의 용접용 구멍(185)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용 구멍(185)를 통해 용접용 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측단(132)과 (+)전원단자(165)를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하측단(132)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135)와 용접용 구멍(185)의 개수는 상기 스프링 하측단의 개수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인써트 사출되어 고정된 (+)전원단자(165)와 코일(160)의 일측단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부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상측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며, 용접부의 하측 수지물에는 코일(160)의 (+)단과 (+)전원단자(165)의 용접부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용 구멍(175)이 뚫린다.
또한,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인써트 사출되어 고정된 (-)전원 단자(155)의 용접부는 상기 (+)전원단자(165)의 용접부와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단자의 용접부의 하측 수지물에는 코일(160)의 (-)단과의 결합을 위한 용접용 전극 형상의 용접용 구멍(170)이 뚫린다.
즉, 상기 코일(160)과 연결되는 상기 (+)(-)전원단자(155,165) 부분의 하측에는 베이스 수지물(145)에 용접용 전극의 삽입을 위한 용접용 구멍(170,175)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용 구멍(170,175)을 통해 용접용 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코일 (160)과 (+)(-)전원단자(155,165)를 용접하여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원단자와 코일의 끝단을 용접을 통해 연결하기 위한 상기 용접용 구멍(170,175)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배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하측면에는 SMD 공정시 외부 기기의 PCB와 납땜이 되는 (+)(-)전원단자(155,165)가 돌출되거나,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배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165)가 외부 기기의 PCB에 납땜되는 부위는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하측면의 외곽 부위에 배열되며, (-)전원 단자가 납땜되는 부위는 베이스 어셈블리(110) 하측면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에 사용되는 (+)(-)전원단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 단자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O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165)의 상측면은 베이스 어셈블리 형성시 코일의 일단과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위치되는 일부분을 제외하고 링 형상의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165)의 하측면(177)은 상기 상측면(176)의 내경으로부터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하측면(177)은 상기 상측면(176)의 내경으로부터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측면(176)과 하측면(177)은 'ㄷ'자형 또는 그 대칭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하측면(177)은 상기 (+)전원 단자의 내경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면(176)의 일부는 스프링의 하측단(132)을 용접하기 위한 면적으로 사용되며, 상측면의 또 다른 일부 면적은 코일(160)의 일측단을 용접하기 위한 면적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원 단자(165) 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측면(176)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면(176)과 연결부위 사이의 밴딩 부위가 잘 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단자의 하측면은 진동발생기의 제조시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비록 상기 (+)전원 단자의 하측면이 상측면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조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하측면과 연결부위 사이의 밴딩 부위가 잘 펴지지 않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단자(155)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O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O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단자(155)는 하나의 면으로 구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단자 연장부(156 내지 159)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단자(155)의 바닥면과 각각의 (-)단자 연장부(156 내지 159)의 끝단은 높이 차이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식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자 연장부(156 내지 159)와 바닥면과의 높이차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자 연장부(156 내지 159) 중 코일과 연결되는 (-)단자 연장부(156)의 끝단은, (+)전원 단자의 코일 일측단을 용접하기 위한 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과 연결되는 상기 (-)단자 연장부(156)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 연장부(157 내지 159)의 끝단은 코일과 연장되는 상기 (-)단자 연장부(156)의 끝단에 비하여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베이스 어셈블리(110) 제조시 베이스 수지물에 의해 몰딩되어 상기 (-)전원 단자(155)와 베이스 어셈블리(110)간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원 단자 구조에 의하면, 전원 단자의 밴딩 부위가 펴져서 상기 전원 단자가 베이스 어셈블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단자와 베이스 수지물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낙하충격 등에 의하여 전원단자가 베이스 어셈블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진동발생기의 베이스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전원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링 형상의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는 상측면과;
    상기 상측면의 내경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는, 하나의 면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끝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중 코일과 연결되는 연장부의 끝단이 나머지 연장부의 끝단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의 전원단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의 하측면은 상기 (+)전원 단자의 내경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의 연장부는, 상향 계단 형식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KR1020040052167A 2004-07-06 2004-07-06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KR10055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167A KR100557654B1 (ko) 2004-07-06 2004-07-06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167A KR100557654B1 (ko) 2004-07-06 2004-07-06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384A KR20060003384A (ko) 2006-01-11
KR100557654B1 true KR100557654B1 (ko) 2006-03-10

Family

ID=3710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167A KR100557654B1 (ko) 2004-07-06 2004-07-06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6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384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5828A1 (en) Voice coil motor
US8106546B2 (en) Reciprocating vibrator
KR100431061B1 (ko) 진동모터
US9246375B2 (en) Vibrator for generating horizontal vibration
CN207368854U (zh) 振动马达
EP1895590A1 (en) Passive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module
KR101228294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4939879B2 (ja)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1087189B1 (ko) 유도성 구성체와 그 구성체를 제작하는 방법
JP5961986B2 (ja) トランス
US6023518A (en)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or
US6696909B2 (en) Circuit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KR100615963B1 (ko) 면실장 인덕터
JP2003068531A (ja) インダクタ及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KR100557654B1 (ko) 진동발생기의 전원 단자 구조
KR101654991B1 (ko) 유도 구성품
KR101388705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0557653B1 (ko) 진동발생기
JP2013115379A (ja) 縦型トランス
CN210534500U (zh) 透镜驱动马达、相机及移动终端
WO2019244761A1 (ja) コイル部品、電子装置
JP2005285901A (ja)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1254322B1 (ko) 인보드형 인덕터 및 그의 조립 방법
KR200338233Y1 (ko) 초박형 인덕터
JP5465229B2 (ja) 電気接触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