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525B1 -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525B1
KR100557525B1 KR1020030041203A KR20030041203A KR100557525B1 KR 100557525 B1 KR100557525 B1 KR 100557525B1 KR 1020030041203 A KR1020030041203 A KR 1020030041203A KR 20030041203 A KR20030041203 A KR 20030041203A KR 100557525 B1 KR100557525 B1 KR 10055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hotodiode
screw
assembly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713A (ko
Inventor
안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5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신호를 검출하는 포토 다이오드(200)가 보드(300)에 부착되고, 이 보드는 스프링(400)과 스크류(500)를 통해 픽업 베이스(100)의 일면에 지지되는 것과 아울러 스크류를 풀고 조임에 따라 상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드를 픽업 베이스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를 풀고 조이면서 광 빔의 초점 거리 옵셋을 조정하기 때문에 옵셋 조정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조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픽업 베이스, 포토 다이오드, 보드, 스프링, 스크류, 엠보

Description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Photo diode assembly of optical pick-up and offset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광 픽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프링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포토 다이오드 옵셋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픽업 베이스 102: 엠보
104: 관통공 106: 너트
200: 포토 다이오드 202: 인쇄회로기판
300: 보드 302: 조립공
304: 조정홈 400: 스프링
410: 조립부 412: 텐션편
414: 엠보 416: 결합공
420: 가압부 422: 엠보
500: 스크류
본 발명은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토 다이오드가 부착된 보드를 스프링을 이용하여 베이스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풀고 조이면서 옵셋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픽업은 각종 광 디스크에 수록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기로, 도 1에는 일반적인 광 픽업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광 픽업은 기본적으로 광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1)과, 광원에서 출사된 광 빔을 분기시키는 그래이팅 렌즈(2)와, 그래이팅 렌즈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 빔을 광 디스크(D)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3)와,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된 빔을 광 디스크(D)의 한점에 집광시켜 주는 대물렌즈(4)와, 광 디스크(D)의 신호 트랙에 부딪쳐 반사된 광 빔을 집속시켜 주는 센서렌즈(5)와, 센서렌즈에 의해 집속되는 광 빔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광 픽업의 빔 경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광원(1)으로부터 발생된 광 빔은 그래이팅 렌즈(2)를 통과하면서 분기된 상태로 빔 스플리터(3)에서 광 디스크(D) 방향으로 반사되고, 대물렌즈(4)에 의해 광 디스크(D)의 한점에 집광된다. 그런 다음, 계속해서 광 디스크(D)의 신호 트랙에 부딪쳐 반사되고, 반사된 빔은 동일한 경로로 되돌아오다가 빔 스플리터(3)를 통과하여 센서렌즈(5)를 통해 포토 다이오드(6)의 한점에 집속되며, 포토 다이오드(6)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광 픽업의 중요한 기술 중 하나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 빔이 광 디스크에서 반사되어 포토 다이오드의 한 점에 정확하게 집광될 수 있도록 광 빔의 초점 거리를 옵셋 조정하는 기술이며, 통상 3가지 형태의 옵셋 조정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즉, 광원을 기구적인 공차에 의해 어긋난 초점거리만큼 광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방식과, 센서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방식 및 포토 다이오드를 광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중, 포토 다이오드를 통해 옵셋을 조정하는 방식은 별도의 조정기를 이용 하는 공간 조정방식과 스크류를 이용하는 조정방식이 적용된다.
도 2는 종래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공간 조정방식으로 포토 다이오드 옵셋을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 조정방식은 별도의 조정기로 포토 다이오드(20)가 부착된 보드(30)를 잡아 픽업 베이스(10) 상에서 3차원적으로 옵셋을 조정한 후, 조정기 상에서 UV경화를 통해 보드를 픽업 베이스에 본딩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조정기마다 UV경화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설비 투자비가 비싸고, 조정기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UV경화를 하기 때문에 그 본딩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으로 인해 조정 및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UV경화에만 의존해서 포토 다이오드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종래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스크류를 이용한 포토 다이오드 옵셋 조정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구성을 보면, 픽업 베이스(10) 상에 보드(40)가 부착 고정된다.
보드(40)는 하부의 고정판(42)과 상부의 조정판(44)으로 구분되며, 조정판(44)에는 포토 다이오드(20)가 부착된다.
그리고, 보드(40)의 고정판(42)과 조정판(44)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부(46)에 의해 그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조정판(44)은 연결부(46)를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상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조정판(44)과 연결부(46)의 이음부분(48)은 조정판이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얇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드(40)의 타단부에는 스크류(50)가 조정판(44)을 관통하여 고정판(42)에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이 스크류를 풀고 조이는 방식에 따라 조정판(44)이 상하로 위치 조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스크류를 이용한 옵셋 조정방식은 별도의 조정기를 이용하여 포토 다이오드(20)가 부착된 보드(40)를 좌우로 조정하여 그 위치를 조정한 후, 조정된 위치에서 순간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시킨 다음, 스크류(50)를 풀고 조이면서 옵셋을 조정한다. 물론, 옵셋 조정이 완료되면 본딩 작업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옵셋 조정방식은 상술한 방식에 비해 옵셋 조정시간이 단축되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은 있지만, 상기 이음부분(48)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스크류(50)를 이용하여 조정판(44)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옵셋을 조정할 때 그 횟수가 많다 보면 이음부분이 꺾이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음부분(48)의 강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보드를 스프링을 이용하여 픽업 베이스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옵셋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옵셋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옵셋 조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킨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를 이용한 옵셋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는 일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픽업 베이스; 포토 다이오드가 저면에 부착되고, 일단부는 상기 픽업 베이스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엠보로 지지되며, 타단부에는 조립공이 형성된 보드; 보드의 조립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업 베이스의 관통공에 나사 체결되면서 보드의 타단부를 지지하고, 풀고 조이는 방향에 따라 보드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옵셋을 조정하는 스크류; 및 보드에 결합되어 보드를 픽업 베이스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보드에 끼워져 결합되게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조립부와, 조립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조립부에는 스크류가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스크류가 결합공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픽업 베이스에 체결되면서 스프링을 누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스프링의 가압부가 펼쳐지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보드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가압부에는 보드에 밀착되는 엠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에서 조립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텐션편은 보드의 저면보다 상방향으로 더 절곡되게 구성되어, 조립부가 텐션편의 복원력에 의해 보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각 텐션편에는 엠보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픽업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와 대응되는 너트가 부착 고정되어 스크류가 너트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단부는 상기 픽업 베이스의 관통공을 파고 들어갈 수 있게 뽀족하게 형성되고, 픽업 베이스의 관통공은 스크류가 체결되면서 나사홈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스크류가 관통공에 직접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드에 형성된 조립공은 스크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에 형성된 결합공은 스크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조정할 때 스프링도 함께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드의 상면 일부분에는 별도의 조정기가 끼워져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엠보는 보드와 픽업 베이스의 사이에서 보드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엠보는 보드와 픽업 베이스의 사이에서 픽업 베이스에 형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옵셋조정방법은 별도의 조정기로 보드를 잡고 포토 다이오드와 광 축이 일치되도록 보드를 수평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보다 먼 위치에서 맺히게 되면 스크류를 풀면서 포토 다이오드를 픽업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에 집광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에 도달하지 않게 되면 스크류를 조이면서 포토 다이오드를 픽업 베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에 집광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포토 다이오드의 조정이 완료되면, 본딩 경화를 통해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프링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신호를 검출하는 포토 다이오드(200)가 인쇄회로기판(202)에 부착된 상태로 보드(300)의 저면 즉, 픽업 베이스 방향의 면에 부착된다.
보드(300)는 픽업 베이스(100)의 일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배치되며, 그 일단부는 픽업 베이스(100)에 형성된 엠보(102)로 지지되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스크류(500)로 지지되도록 스크류가 관통되는 조립공(302)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엠보(102)는 보드(300)와 픽업 베이스(100)의 사이에서 픽업 베이스(100)에 형성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보드(300)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드(300)의 상면 일부분에는 별도의 조정기(미도시)가 끼워져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홈(304)이 형성된다.
이때, 조정홈(304)은 조정기를 통해 보드(300)를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드(300)에는 스프링(400)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 스프링(400)은 보드(300)가 픽업 베이스(100)에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400)은 보드(300)의 일부분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조립부(410)와, 조립부의 중간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가압부(420)로 구분된다.
여기서, 조립부(410)의 하부를 형성하는 텐션편(412)은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의 저면보다 상방향으로 더 절곡되게 구성된다. 텐션편(412)이 이렇게 구성된 것은 조립부(410)가 보드(300)에 끼워질 때 텐션편(412)을 벌려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텐션편(412)의 복원력에 의해 조립부(410)가 보드(3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프링(400)의 가압부(420)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것은 스프링(400)의 조립부(410)가 보드(30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부(420)를 보드 방 향으로 누르게 되면 절곡부가 펼쳐지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보드(300)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스프링(400)의 가압부(420)가 보드(300)의 한쪽 부분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보드(300)는 상대적으로 반대쪽 부분이 상승하려는 힘을 갖게 되는데, 후술하는 스크류(500)의 머리 부분에 걸려서 상승할 수 없기 때문에 보드(300)는 픽업 베이스(1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프링(400)의 가압부(420)에는 보드(300)의 일면에 밀착되는 엠보(422)가 돌출 형성되며, 텐션편(412)에도 보드(300)의 타면에 밀착되는 엠보(41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엠보는 우수한 접촉성을 갖도록 하고,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조립부(410)에는 상기 보드(300)의 조립공(302)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416)이 관통 형성된다.
스크류(500)는 스프링(400)의 결합공(416)과 보드(300)의 조립공(302)에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되어 픽업 베이스(100)에 나사 체결되면서 보드(300)의 타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500)를 풀고 조이는 방향에 따라 보드(30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로 인해 옵셋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500)가 픽업 베이스(100)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 머리부분을 통해 스프링(400)을 누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스프링(400)의 가압부(420)가 펼쳐지게 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복원력에 의해 보드(300)를 픽업 베이스(10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스크류(500)를 픽업 베이스(100)에 나사 체결하는 방식은 픽업 베이스(100)의 일면에 스크류(500)가 삽입되는 관통공(104)을 형성하고, 대향되는 반대면에는 관통공(104)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106)가 부착 고정되어, 스크류(500)가 너트(106)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물론, 스크류(500)의 단부는 픽업 베이스(100)의 관통공을 파고 들어갈 수 있게 뽀족하게 형성되고, 픽업 베이스(100)의 관통공(104)은 스크류가 체결되면서 나사홈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스크류(500)가 관통공(104)에 직접 파고 들어가면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의 조정기로 보드(300)의 조정홈(304)을 잡고 보드(300)와 스프링(400)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포토 다이오드(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보드(300)에 형성된 조립공(302)과 스프링(400)에 형성된 결합공(416)은 스크류(5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물론, 보드(300)의 조립공(302)만 스크류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보드(300)만 수평으로 이동시켜 포토 다이오드(200)의 위치를 조정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옵셋 조정방법 및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조정기로 보드(300)를 잡고 포토 다이오드와 광 축이 일치되도록 보드(300)의 위치를 수평 이동시킨다.
이때, 보드(300)의 조립공(302)과 스프링(400)의 결합공(416)이 스크류(500) 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보드(300)와 스프링(400)의 위치 이동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스프링(400)의 가압부(420)가 보드(300)를 픽업 베이스(100) 방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보드(300)는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렇게 포토 다이오드(200)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는 스크류(500)를 풀고 조이면서 옵셋 조정을 한다.
즉,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200)보다 더 먼 위치에서 맺히게 되면,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200)에 맺히도록 스크류(500)를 풀면서 포토 다이오드(200)를 도 9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스프링(400)의 가압부(420)가 펼쳐지면서 보드(300)의 한쪽 부분을 픽업 베이스(100)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류(500)를 풀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보드(300)의 반대쪽 부분이 엠보(102)를 중심으로 픽업 베이스(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200)에 도달하지 않게 되면,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200)에 맺히도록 스크류(500)를 조이면서 포토 다이오드(200)를 도 9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베이스(1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광 빔의 옵셋을 조정하고 나면, 마지막 작업으로 포토 다이오드(200)가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보드(300)를 픽업 베이스(100)에 본딩 작업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를 풀고 조이는 방식으로 광 빔의 초점 거리 옵셋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되고 옵셋 조정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공간 조정방식으로 옵셋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드를 픽업 베이스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옵셋을 조정한 후 본딩 작업을 통해 고정시키기 때문에 옵셋 조정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보드를 픽업 베이스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를 풀고 조이면서 광 빔의 초점 거리 옵셋을 조정하기 때문에 옵셋 조정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조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일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픽업 베이스;
    포토 다이오드가 저면에 부착되고, 일단부는 상기 픽업 베이스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엠보로 지지되며, 타단부에는 조립공이 형성된 보드;
    상기 보드의 조립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업 베이스의 관통공에 나사 체결되면서 보드의 타단부를 지지하고, 풀고 조이는 방향에 따라 보드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옵셋을 조정하는 스크류; 및
    상기 보드에 결합되어 보드를 픽업 베이스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보드에 끼워져 결합되게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조립부와,
    조립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부에는 스크류가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스크류가 결합공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픽업 베이스에 체결되면서 스프링을 누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스프링의 가압부가 펼쳐지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보드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가압부에는 보드에 밀착되는 엠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서 조립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텐션편은 보드의 저면보다 상방향으로 더 절곡되게 구성되어, 조립부가 텐션편의 복원력에 의해 보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텐션편에는 엠보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와 대응되는 너트가 부착 고정되어 스크류가 너트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단부는 상기 픽업 베이스의 관통공을 파고 들어갈 수 있게 뽀족하게 형성되고, 픽업 베이스의 관통공은 스크류가 체결되면서 나사홈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스크류가 관통공에 직접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에 형성된 조립공은 스크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형성된 결합공은 스크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조정할 때 스프링도 함께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상면 일부분에는 별도의 조정기가 끼워져 보드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엠보는 보드와 픽업 베이스의 사이에서 보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엠보는 보드와 픽업 베이스의 사이에서 픽업 베이스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13. 별도의 조정기로 보드를 잡고 포토 다이오드와 광 축이 일치되도록 보드를 수평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단계;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보다 먼 위치에서 맺히게 되면 스크류를 풀면서 포토 다이오드를 픽업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에 집광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광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에 도달하지 않게 되면 스크류를 조이면서 포토 다이오드를 픽업 베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 빔의 초점이 포토 다이오드에 집광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포토 다이오드의 조정이 완료되면, 본딩 경화를 통해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옵셋조정방법.
KR1020030041203A 2003-06-24 2003-06-24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KR100557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03A KR100557525B1 (ko) 2003-06-24 2003-06-24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03A KR100557525B1 (ko) 2003-06-24 2003-06-24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13A KR20050000713A (ko) 2005-01-06
KR100557525B1 true KR100557525B1 (ko) 2006-03-03

Family

ID=3721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203A KR100557525B1 (ko) 2003-06-24 2003-06-24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6167B2 (en) 2014-07-31 2016-11-15 Applied Materials, Inc. Integrated bit-line airgap formation and gate stack post clean
KR102164746B1 (ko) * 2019-01-09 2020-10-13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방수·방진이 가능한 rfid 태그, 이를 포함하는 pc부재 및 이들을 활용한 pc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13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2607A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557525B1 (ko)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조립체 및 그 옵셋조정방법
JP4322058B2 (ja) 光学素子の固定構造、および光ヘッド装置
EP0483830B1 (en) Optical head
US5493425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a quadrant hologram and a quadrant photo detector
KR20040018772A (ko) 광픽업의 렌즈 위치 결정 장치
US20040101349A1 (en) Fastening element
JP2003223735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用レンズホルダ
JP3166301B2 (ja) 平行平板型光学部品の支持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432660B1 (ko) 광픽업 장치
KR100457945B1 (ko) 광 픽업의 수광소자 조정장치
US6952389B2 (en) Optical pickup device
JP4515555B2 (ja) 光ピックアップ
CN206505718U (zh) 一种dvd的激光头
KR100457948B1 (ko) 광 픽업용 2파장 광원모듈
KR930002128Y1 (ko) 촛점생성과 에러검출을 겸한 광픽업대물렌즈
JP3568439B2 (ja) 光学ヘッドの光検出器取付装置
JP3095451U (ja) 光ピックアップ
KR200346425Y1 (ko) 광픽업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포토 다이오드 조정장치
KR20030006584A (ko) 광 픽업용 프리즘 고정장치
KR100455399B1 (ko) 광픽업의 렌즈 위치 조정 장치
JP2823075B2 (ja) 光記録再生装置
JPH0719229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172721Y1 (ko) 광픽업용 홀로그램 소자의 옵티컬 엘리멘트 결합구조
KR100467826B1 (ko) 광 픽업의 포토 다이오드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