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389B1 -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389B1
KR100556389B1 KR1020030076927A KR20030076927A KR100556389B1 KR 100556389 B1 KR100556389 B1 KR 100556389B1 KR 1020030076927 A KR1020030076927 A KR 1020030076927A KR 20030076927 A KR20030076927 A KR 20030076927A KR 100556389 B1 KR100556389 B1 KR 10055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qualizer
channel
filter
virtual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678A (ko
Inventor
김종문
이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389B1/ko
Priority to US10/979,829 priority patent/US7457356B2/en
Priority to CN2004100871210A priority patent/CN1612553B/zh
Priority to CA2486466A priority patent/CA2486466C/en
Publication of KR2005004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114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 H04L25/0314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with a recursiv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375Passband transmission
    • H04L2025/03382Single of vestigal side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4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equaliser structure
    • H04L2025/03439Fixed structures
    • H04L2025/03445Time domain
    • H04L2025/03471Tapped delay lines
    • H04L2025/03484Tapped delay lines time-recursive
    • H04L2025/0349Tapped delay lines time-recursive as a feedback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4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equaliser structure
    • H04L2025/03439Fixed structures
    • H04L2025/03445Time domain
    • H04L2025/03471Tapped delay lines
    • H04L2025/03509Tapped delay lines fractionally spac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598Algorithms
    • H04L2025/03605Block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745Timing of adaptation
    • H04L2025/03764Timing of adaptation only during predefined intervals
    • H04L2025/0377Timing of adaptation only during predefined intervals during the reception of train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Abstract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통해 변조되어 전송되는 DTV(digital television)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이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DTV 수신기에서는 비최소 위상 다중 경로 채널과 같이 등화가 어려운 채널에 대해서도 등화가 가능해야 하고 동시에 등화기의 빠른 초기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등화기의 구조로 변형된 결정궤환 등화기를 고려한다. 변형된 결정궤환 등화기는 일반적인 결정궤환 등화기와 달리 역방향 필터 신호처리를 먼저 하고 순방향 필터 신호처리를 나중에 한다. 이 경우 역방향 필터는 채널 추정치를 이용해 쉽게 초기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순방향 필터의 초기화 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결정궤환 등화기에 비해 훈련 시간을 적게 필요로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DTV 수신기에서 변형된 결정궤환 등화기의 순방향 필터 초기화 기법으로 가상 훈련 신호(virtual training signal)를 이용한 초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기존의 방법으로는 DTV 수신기에서 등화기 초기화가 어려운 비최소 위상 다중 경로 채널 (nonminimum phase multipath channel) 조건에서도 제안된 초기화 기법을 사용하여 빠르게 등화기를 훈련시킬 수 있다.
등화기, 가상훈련 신호, FS-MDFE

Description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ization of the modifi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for 8-VSB based DTV system}
도 1 은 일반적인 잔류측파대 방식의 DTV 시스템 송수신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종래의 DTV 수신기에 사용될 수 있는 부분 심볼 간격의 변형된 결정궤환 등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심볼 간격을 갖는 결정궤환 등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추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가상훈련 신호 302 : 영상신호
310 : FS-FBF 320 : FS-FFF
330 : 채널 추정기 340 : FIR 필터
350 : 슬라이서 360, 410 : 메모리 버퍼
370 : 지연부 420 : 메모리 버퍼에 저장된 값
430 : 필터 계수 440 : 가산기
본 발명은 잔류측파대 DTV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등화기로 결정궤환 등화기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초기화 기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TV 시스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최소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빠른 초기화가 가능하게 하면서 실장 복잡도가 낮은 초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신신호는 대역폭이 제한된 다중경로 채널에 의해 왜곡되어 인접 심벌간의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송신된 신호를 왜곡시키고 수신기에서 비트 에러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심벌간 간섭으로 왜곡된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서 수신단에 등화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등화기의 초기화가 필요하다.
도 1 은 일반적인 잔류측파대 방식의 DTV 시스템 송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게 채널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송신기(110)와 수신기(120)로 구성된다 [ATSC Digital Television Standard, Doc. A/53B [online]. Available WWW:http://www.atsc.org/stan&rps.html, August 2001].
이때, 상기 송신기(110)는 신호가 스크램블러(scrambler)(111), RS 인코더(Reed-Solomon encoder)(112), 인터리버(interleaver)(113) 및 TCM 인코더(Trellis encoder)(114)를 통해 인코딩(encoding)되며, 8 레벨의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신호로 바뀌게 된다.
이 PAM 신호에 Mux(115)에서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가 추가되며, 파일럿 삽입부(116)를 통해 파일럿(pilot) 신호를 추가한 후 잔류측파대 정형 필터(VSB shaping filter)(117)와 변조기(modulator)(118)를 거쳐 수신단(120)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송신단(110)에서 수신단(120)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채널을 통과하면서 선형 왜곡을 겪게 된다. 그리고 채널을 통과한 신호는 반송파 복원 (carrier recovery)(121)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로 바뀌며, Rx 필터(receive filter)(122)를 거친 후 보간기(interpolator)(123), 타이밍 복구기(timing recovery)(124) 및 동기 검출기(sync detector)(125)를 통해 동기를 맞추게 된다. 그리고 신호의 채널에 의한 선형 왜곡을 보상해 주기 위해서 등화기(126)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송신단의 역과정으로 펄스 트랙커(phase tracker), 디먹스, TCM 디코더, 디인터리버, RS 디코더, 디스크램블러를 통과하며 신호를 복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등화기(126)는 디지털 TV 시청이 가능할 만큼 높은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 SNR)를 갖는 등화기 출력이 요구되며, 시청자가 지연 시간을 느끼지 못하도록 등화기를 빠르게 초기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DTV 수신기에 사용될 수 있는 등화기는 부분 심볼 간격의 변형된 결정궤환 등화기이다[S. Ariyavisitakul and L. J. Greenstein, Reduced-complexity equalization techniques for broadband wireless channels, IEEE J. Select. Areas Commun., vol. 15, no. 1, pp. 5-15, Jan. 1997.][H. Lee, Fast start-up fractionally-spaced modified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in slow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2.]
도 2 는 종래의 DTV 수신기에 사용될 수 있는 부분 심볼 간격의 변형된 결정궤환 등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결정궤환 등화기는 먼저 순방향 필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현재 심볼 이후의 심볼들에 의한 간섭 성분인 precursor를 제거하고, 이후 역방향 필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현재 심볼 이전의 심볼들에 의한 간섭 성분인 postcursor를 제거하게 된다.
반면,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FS-MDFE(Fractionally-Spaced Modifi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는 역방향 필터의 신호처리를 먼저 수행하고 그 출력을 순방향 필터의 입력으로 주어 신호처리 하는 구조로서, 채널 특성을 추정한 후 이를 이용해 역방향 필터의 계수를 쉽게 초기화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FS-MDFE는 훈련을 통해 등화기를 초기화 할 경우 순방향 필터의 계수만을 훈련시키면 되기 때문에 초기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등화기가 부분 심볼 간격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도 1의 타이밍 복구기(124) 과정에서 생기는 위상 오차를 등화기에서 보상할 수 있게 되어 DFE의 출력에서 심볼 간격의 등화기 보다 큰 신호 대 잡음비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FS-MDFE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S-MDFE에서 순방향 필터의 입력(210)은 역방향 필터에서 계산된 post-cursor 성분(220)과 감산되어 순방향 필터의 첫 번째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값이 순방향 필터의 메모리(230)에 차례로 저장되면서 각 메모리에 연결된 역방향 필터 계수(240)와 역방향 필터 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 검출된 심볼(260)과의 곱을 빼 주게 된다. 그리고 이 빼준 값은 순차적으로 각 순방향 필터 탭에서 역방향 필터 신호 처리를 통해 제거해 주어야 하는 postcursor 성분을 계산하면서 제거해 주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값(270)이 순방향 필터의 계수(280)와 곱해지고 그 결과들의 모든 polyphase의 합이 슬라이서(292)의 입력(291)이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서(292)의 출력(293)은 역방향 필터의 입력으로 차례로 저장된다.
위 과정들이 반복되면서 상기 슬라이서(292)의 출력(293)에서 전송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순방향 필터의 계수는 초기화되어 있다고 가정했지만, 실제로는 순방향 필터 계수의 적절한 초기화가 필요하다.
상기 FS-MDFE의 순방향 필터를 빠르게 훈련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며, 첫째는 등화기를 빠르게 적응 훈련시키는 방법이고, 둘째는 채널 특성을 추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등화기를 초기화한 후 훈련시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첫 번째 방법은 DTV 시스템에서 훈련 신호의 길이가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비해 매우 짧기 때문에 기존의 LMS(Least Mean Square) 훈련 방식으로 초기화 할 경우 비최소 위상 채널에 대해 훈련 신호만으로 FS-MDFE의 순방향 필터를 초기화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두 번째 방법은 채널 추정치를 바탕으로 등화기를 초기화한 후 훈련시키는 방법으로 MMSE(Minimum Mean Squared Error) 관점에서 최적인 해를 이용하여 초기화하는 방법이 있으나, 행렬의 역 연산으로 인해 실장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기는 힘들다.
따라서, MMSE 초기화 방법을 사용하되 순방향 필터 계수의 일부만을 초기화 시켜 실장 복잡도를 줄인 partial MMSE(이하 PMMSE) 초기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방법 역시 행렬의 역 연산을 필요로 하고, 특히 DTV 시스템에서는 FS-MDFE를 사용할 경우 순방향 필터 계수의 일부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계수가 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이 방법 역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채널 조건에 무관하면서 실장 복잡도를 줄여 FS-MDFE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 순방향 필터의 초기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널 조건에 무관하게 빠른 시간 내에 DTV 시청이 가능한 등화기 출력을 얻기 위하여 가상 훈련 신호(virtual training signal)를 발생시켜 빠르면서도 큰 실장 복잡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초기화 기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의 특징은 채널추정기를 이용하여 채널 충격응답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 채널치를 이용하여 결정궤환 등화기의 역방향 필터를 초기화 하는 단계와, 채널 추정에서 얻어진 채널의 충격응답값을 계수로 갖는 FIR 필터에 수신단에서 발생시킨 가상 훈련 시퀀스를 입력시켜 순방향 필터를 초기화 하기 위한 가상훈련 신호를 만드는 단계와, 상기에서의 FIR 필터 출력에서 얻어진 가상훈련 신호와 가상 훈련 시퀀스를 이용하여 등화기의 순방향 필터 계수를 초기화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훈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R 필터의 계수가 상기 산출된 채널 추정치의 계수로 설정되면, 수신단에서 발생시킨 가상 훈련 시퀀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가상 훈련 시퀀스를 차례로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이 저장된 값들을 각각 추정된 채널의 충격 응답을 값으로 갖는 필터의 계수들과 곱해 그 결과들을 가산하여 가상 훈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화기의 순방향 필터 계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신기 입력의 표본화된 신호를 메모리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장치의 특징은 채널의 충격 응답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채널 추정기가 출력하는 채널 특성을 계수로 저장하고, 입력되는 가상 훈련 시퀀스와, 상기 저장된 계수와 곱해 채널 추정오차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가상 훈련 신호를 채널을 통해 전송했을 때 수신단에서의 신호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FIR 필터와, 가상 훈련 시퀀스 길이 이상의 크기를 갖고 순방향 필터가 초기화 되는 동안 수신기 입력의 표본화된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버퍼와, 상기 메모리 버퍼를 통해 메일 경로보다 이전에 들어오는 신호를 제거하는 FS-FFF(FS-Feedforward Filter)와, 상기 메모리 버퍼를 통해 메인 경로보다 이후에 들어오는 신호를 제거하는 FS-FBF(Fraction-Spaced Feedback Filter)로 구성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기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채널 추정기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채널의 충격 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DTV 시스템의 채널 추정기로는 훈련 시퀀스의 행렬 연산을 통해 채널 추정 결과를 얻는 LSA(Least-Square Algorithm)을 이용한 채널 추정기를 사용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심볼 간격(FS)을 갖는 결정궤환 등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입력되는 채널의 충격 응답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330)와, 입력되는 가상 훈련 시퀀스(301)와 기 저장된 추정된 채널계수와 곱해 가상 훈련 신호를 출력하는 FIR 필터(340)와, 상기 가상 훈련 시퀀스의 길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 순방향 필터가 초기화 되는 동안 수신기 입력의 표본화된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버퍼(360)와, 그리고 FS-FBF(Fraction-Spaced Feedback Filter)(310)와, FS-FFF(FS-Feedforward Filter)(320)와, 슬라이서(350) 및 지연부(3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결정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DTV 수신기의 기저대역 등가 입력 신호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1
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3
는 DTV 시스템의 훈련 심볼,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4
는 심볼의 간격,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5
는 시스템의 송수신 필터와 채널을 포함한 기저대역 등가 채널,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6
는 복소 가우스(Gaussian) 잡음 신호 성분을 나타낸다.
이때, 부분 심볼 간격으로 등화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7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8
의 간격으로 과표본화하면 시간
Figure 112003041221311-pat00009
에서의 등화기 입력 벡터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0
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2
이다.
이때, 상기 채널 추정기(330)를 통해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추정하려는 채널의 길이 K와 필요한 수신 신호의 길이 L을 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K 및 L값이 정해지면 LS(Least-Square) 알고리즘에 필요한 행렬식 X는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3
크기의 행렬로 수학식 3의 형태로 표현된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4
행렬식 X의 pseudo inverse 행렬을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5
라고 정의하고, 이 행렬 값은 LS(Least-Square) 연산을 위해 메모리 버퍼(360)에 저장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추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DTV 시스템의 훈련 시퀀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6
이 채널을 통과해 수신된 신호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7
의 추정하려는 채널의 길이 K만큼 지연된 신호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8
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이 신호를
Figure 112003041221311-pat00019
이라 한다(501,502).
이어 상기 저장한 신호의 길이가 L이상이 되면 저장을 멈추고(503,504), 행렬 연산을 통해 채널 추정 결과를 얻어낸다(505).
이 연산 과정에 얻어지는 행렬식 H가 채널 추정의 결과이며 행렬식 H와 R은 각각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20
이와 같이, 상기 채널 추정기(330)에서 얻은 채널 추정치를 이용해 FS-MDFE의 역방향 필터인 FS-FBF(310)를 초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추정기(330)에서 얻은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FS-MDFE(310,320) 및 그 밖의 장치를 이용해 순방향 필터인 FS-FFF(320)의 초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340)의 계수가 채널 추정기(330)에서 얻어진 채널의 충격 응답 계수로 설정되면, 이 FIR 필터(340)에 수신단에서 발생시킨 가상 훈련 시퀀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21
(301)이 입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FIR 필터(340)는 일반적인 필터와 동일한 구조로서, 도 4에서 상기 FIR 필터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신호
Figure 112003041221311-pat00022
을 차례로 필터의 메모리(410)에 저장하면서 메모리에 저장된 값(420)들을 각각 추정된 채널의 충격 응답을 값으로 가지는 필터의 계수들(430)과 곱해 그 결과들을 가산기(440)에서 더해서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상 훈련 시퀀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23
의 길이는 비최소 위상 채널에 대해서도 수렴이 가능할 만큼 충분한 길이 N을 가지며, 랜덤 시퀀스 및 그 밖의 다른 시퀀스도 가상 훈련 시퀀스로 사용할 수 있다.
DTV 시스템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대부분의 모든 채널에 대해 5000 심볼 정도의 가상 훈련 시퀀스로 초기화가 가능하다.
이렇게 얻어진 필터의 출력은 채널 추정 오차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송신단에서 훈련 신호를 채널을 통해 전송했을 때 수신단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동일하며, 채널 추정 오차가 작다면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FIR 필터로부터 얻어진 가상훈련 신호를 FS-MDFE의 입력으로 넣어 주면서 순방향 필터를 상용의 LMS 적응 훈련 알고리즘을 사용해 훈련시킬 수 있다.
이때, FS-MDFE의 역방향 필터의 입력과 등화기 출력의 오차를 구하기 위한 기준 값(380)으로 가상 훈련 시퀀스
Figure 112003041221311-pat00024
을 FS-MDFE의 결정 지연 시간(decision delay) (370) 만큼 지연시킨 값을 사용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가상 훈련 시퀀스를 이용해 FS-MDFE의 순방향 필터를 초기화시키는 동안 FS-MDFE로 들어오는 수신기 입력의 표본화 된 신호
Figure 112003041221311-pat00025
을 메모리 버퍼(360)에 저장시켜야 한다.
상기 메모리 버퍼(360)의 크기는 가상 훈련 시퀀스의 길이 N, 혹은 그 이상의 크기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은 구조를 갖는 FIR 필터를 통해 가상 훈련 시퀀스에 의한 FS-MDFE의 초기화가 끝나면 FS-MDFE의 순방향 필터 및 역방향 필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값들을 0으로 초기화 한 후, FS-MDFE의 입력을 메모리 버퍼의 출력으로 바꿔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FS-MDFE의 역방향 필터의 입력과 등화기 출력의 오차를 구하기 위한 기준 값(380)은 슬라이서(slicer)(350)의 출력으로 바꾸어 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통해 변조되어 전송되는 DTV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이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DTV 수신기에서는 비최소 위상 다중 경로 채널과 같이 등화가 어려운 채널에 대해서도 등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등화기의 빠른 초기화가 가능하다.
셋째, 일반적인 결정궤환 등화기에 비해 훈련 시간을 적게 필요로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수신기에서 채널 추정기를 통해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추정값을 바탕으로 결정 궤환 등화기의 역방향 필터를 초기화 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채널 추정치를 계수로 갖는 FIR 필터에 가상 훈련 시퀀스를 통과시켜 가상훈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훈련 신호를 이용하여 등화기의 순방향 필터 계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훈련신호가 채널을 통과해 수신된 신호의 추정하려는 채널의 길이만큼 지연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신호의 길이가 상기 정의된 수신신호 길이 이상이 되면, 채널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3. 제 1 향에 있어서, 상기 가상훈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FIR 필터의 계수가 상기 산출된 채널 추정치의 계수로 설정되면, 수신단에서 발생시킨 가상 훈련 시퀀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가상 훈련 시퀀스를 차례로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이 저장된 값들을 각각 추정된 채널의 충격 응답을 값으로 갖는 필터의 계수들과 곱해 그 결과들을 가산하여 가상훈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의 순방향 필터 계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신기 입력의 표본화된 신호를 메모리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버퍼의 크기는 입력되는 가상 훈련 시퀀스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훈련 시퀀스는 랜덤 시퀀스 및 그 밖의 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7. 입력되는 채널의 충격 응답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채널 추정기가 출력하는 채널 특성을 계수로 저장하고, 입력되는 가상 훈련 시퀀스와, 상기 저장된 계수와 곱해 가상 훈련 신호를 채널을 통해 전송했을 때 수신단에서의 신호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FIR 필터와,
    가상 훈련 시퀀스 길이 이상의 크기를 갖고 순방향 필터가 초기화 되는 동안 수신기의 입력의 표본화 된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버퍼와,
    상기 메모리 버퍼를 통해 메인 경로보다 이전에 들어오는 신호를 제거하는 FS-FFF(FS-Feedforward Filter)와,
    상기 메모리 버퍼를 통해 메인 경로보다 이후에 들어오는 신호를 제거하는 FS-FBF(Fraction-Spaced Feedback Filt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장치.
  8.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 사용되는 등화기를 훈련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랜덤 시퀀스 및 그 밖의 시퀀스를 사용한 가상 훈련 신호를 발생시켜 채널 추정치를 계수로 가지는 FIR 필터에 통과시켜 훈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상훈련 신호를 이용하여 등화기의 필터 계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FS-MDFE(Fractionally-Spaced Modifi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결정궤환 등화기(Decision Feedback Equalizer : DFE), 채널 등화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궤환 등화기의 초기화 방법.
KR1020030076927A 2003-10-31 2003-10-31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KR10055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927A KR100556389B1 (ko) 2003-10-31 2003-10-31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US10/979,829 US7457356B2 (en) 2003-10-31 2004-11-01 Method of initializing equalizer of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equalizer using the same
CN2004100871210A CN1612553B (zh) 2003-10-31 2004-11-01 初始化数字电视接收器的均衡器的方法及使用其的均衡器
CA2486466A CA2486466C (en) 2003-10-31 2004-11-01 Method of initializing equalizer of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equaliz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927A KR100556389B1 (ko) 2003-10-31 2003-10-31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678A KR20050041678A (ko) 2005-05-04
KR100556389B1 true KR100556389B1 (ko) 2006-03-03

Family

ID=3451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927A KR100556389B1 (ko) 2003-10-31 2003-10-31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7356B2 (ko)
KR (1) KR100556389B1 (ko)
CN (1) CN1612553B (ko)
CA (1) CA248646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9628B1 (en) * 2005-01-10 2012-03-20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device to compensate for baseline wander
KR100804462B1 (ko) * 2006-05-15 2008-0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렬 연결된 양방향 등화기
KR100717587B1 (ko) * 2006-07-05 2007-05-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광정보 처리장치
US20080063041A1 (en) * 2006-09-08 2008-03-13 Noam Galperin Fast training equalization of a signal
US7760821B2 (en) * 2006-11-13 2010-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versampled channel response identification
US8073046B2 (en) * 2007-06-14 2011-12-06 Zoran Corporation Fast training equalization of a signal by using adaptive-iterative algorithm with main path phase correction
US8711916B2 (en) * 2007-07-27 2014-04-29 Intel Corporation Tap initialization of equalizer based on estimated channel impulse response
US20140047497A1 (en) * 2008-03-12 2014-02-13 Iberium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symbol-rate-independent adaptive equalizer initialization
CN102340465B (zh) * 2010-07-16 2014-11-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频域均衡的方法及均衡装置
CN110518894B (zh) * 2019-08-23 2023-01-03 极芯通讯技术(南京)有限公司 高速低复杂度的二阶全通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0480A1 (en) * 2001-03-28 2002-10-10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errestrial high-definition television reception
KR100398138B1 (ko) 2001-04-03 2003-09-19 이용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채널 충격 응답 줄임 방법
US6894728B2 (en) * 2001-04-16 2005-05-17 Thomas Licensing S.A. Method for equalizing a VSB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in the presence of co-channel interference
US7180963B2 (en) * 2002-11-25 2007-02-20 Ali Corporation Digital receiver capable of processing modulated signals at various data rates
US8149960B2 (en) * 2003-05-23 2012-04-03 Zenith Electronics Llc Channel estimation for frequency selective multipath channels with long delay spreads based on an assumed physical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86466C (en) 2010-07-20
US20050123034A1 (en) 2005-06-09
KR20050041678A (ko) 2005-05-04
US7457356B2 (en) 2008-11-25
CN1612553B (zh) 2010-12-08
CN1612553A (zh) 2005-05-04
CA2486466A1 (en) 200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068B1 (ko) 하이브리드 주파수-시간 영역 등화기
JP4845246B2 (ja) トレーニングモードを有する適応チャネル等化器
EP1152602B1 (en) Adaptative channel equalizer
US7688888B2 (en) CIR estimat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phase tracker
KR100535775B1 (ko)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의 판정 궤환 등화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심볼 검출 방법
US6816548B1 (en) HDTV channel equalizer
KR100728257B1 (ko) 채널 특성 변화를 이용한 판정 궤환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EP1236324A2 (en) Frequency-domain equalizer for single carrier digital television
US7907691B2 (en) Dual-mode equalizer in an ATSC-DTV receiver
KR100556389B1 (ko) 잔류측파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용 결정궤환 등화기의초기화 방법 및 장치
KR101051081B1 (ko) 결정 피드백 등화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296799A1 (en) Channel identification, emula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201400474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mbol-rate-independent adaptive equalizer initialization
US20050163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KR100913080B1 (ko) 디지털 송수신 시스템의 채널 응답 추정 및 등화기 계수초기화 방법
JP4425520B2 (ja) 高精細度テレビジョン信号用のブラインド等化装置
KR100556387B1 (ko) 시간영역 적응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Baek et al. Fast start-up decision feedback equalizer based on channel estimation for 8VSB DTV system
Kim et al. Fast initialization of equalizers for VSB-based DTV transceivers in multipath channel
Wilson Robust baud rate blind equalization for ATSC DTV receivers
Kim et al. Fast initialization of equalizers for VSB-based DTV systems in multipath channel
MXPA00012800A (en) Hdtv channel equa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