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606B1 - 안구용 유체 도포기 - Google Patents

안구용 유체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606B1
KR100555606B1 KR1019997011278A KR19997011278A KR100555606B1 KR 100555606 B1 KR100555606 B1 KR 100555606B1 KR 1019997011278 A KR1019997011278 A KR 1019997011278A KR 19997011278 A KR19997011278 A KR 19997011278A KR 100555606 B1 KR100555606 B1 KR 10055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handle
degrees
fluid applicato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3285A (ko
Inventor
마리아 벵크트존
헨릭 뱌르케
카를-괴란 크래포드
한스 힘베르트
슈티크 만베르크
안-마리에 스벤손
요나스 퇴른스텐
Original Assignee
화이자 헬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헬스 에이비 filed Critical 화이자 헬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1001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 및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오리피스를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트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축을 따라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오리피스와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부분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 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 축을 따라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오리피스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로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이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구용 유체 도포기 {EYE FLUID APPLICATOR}
본 발명은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 및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오리피스를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트(seat)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축을 따라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오리피스와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부분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 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 축을 따라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오리피스에 배열된다)를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유체, 특히 액체를 눈에 전달하기 위한 도포기는 매우 다양한 목적으로 오랜 동안 사용되어 왔다. 편안함, 회복 또는 세정을 위한 통상적인 세안 배쓰(eye bath)는 눈의 침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적합하게 설계된 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무 장치에 의한 다량의 액체 전달은 또한, 예를 들어 응급 상황에서 눈의 세척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주로 비교적 소량의 유체를 눈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도포기, 및 또한 자가 투여 상황에서 빈번한 사용을 용이하게 하거나 조장하도록 취급시에 충분히 편리한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적용은 눈으로의 약제 투여이다. 대표적으로, 약제 제조물은 매우 잘 규정된 용량으로 전달되어, 특정 용량이 확실히 전달되거나 흡수되어야 한다. 다량의 잔여물은 비표적 조직 중으로의 흡수 또는 눈물 채널을 통해 인후두 공동 내로의 다량의 배출로부터의 부적합한 생리학적 효과, 또는 얼굴 및 의복에 대한 과흐름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인해 허용될 수 없다. 또한, 고가의 약제에 대한 가격 고려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녹내장의 치료는, 예를 들어 프로스타글란딘, 베타-차단제 또는 다른 고가의 활성 성분의 빈번한 매일 투여를 필요로 하며, 이들은 모두 눈이 아닌 다른 체조직에 흡수되는 경우에 바람직한 혈압 완화 작용 이외의 작용을 한다. 더욱이, 적절한 소량의 투여는 활성 성분이 눈에 들어갈 수 없지만 각막의 제한된 부분을 통해서는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복잡해진다. 본원에서 기술하려는 도포기는 임의의 목적으로 임의의 유체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나 편리함을 위해 본 발명을 주로 의료 용도의 관점에서 설명할 것이다.
상기 상황은 상기 언급된 일반적인 목적을 위한 도포기에 대한 강력한 요구를 언급하고 있다. 필연적으로 소량의 제조물은 언급된 투여, 과흐름, 부작용 및 표적화 에러를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눈에 극도로 조심스럽게 위치해야 한다. 위치 선정(positioning)은 몸체, 머리 및 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리한 환자의 자세에서 가능해야 한다. 긴장된 몸체 위치는 편리함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응력 작용 및 떨림으로부터 강한 오차를 유발시킬 수 있다. 가능하게는 도포기 배향과는 완전히 무관하게, 서기, 앉기 또는 눕기와 같은 다양한 몸체 위치에서 투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 접촉 및 자극 동안에 자연스럽고 이완된 팔 및 손잡이 위치가 모두 중요하다.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정확한 용량의 제조물을 전달하고, 너무 소량 또는 다량이거나 부주의하게 반복되는 방출을 허용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설계는 조절없이도 다양한 해부 구조에 맞춰져야 하고, 접촉 동통 또는 불편함에 대한 우려를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들 요건은 환자 자가 처리 및 조작자 보조 처리 둘 모두를 충족해야 한다. 투여 책임이 환자에게 있는 경우, 낮은 시력 및 손의 힘이 약한 어린이, 노인 및 몸이 불편한 사람에게 맞게 하는 데는 간편함이 가장 중요하다. 대조적으로, 보조자는 환자와 비교하여 반대 손에서 장치를 잡아야 하고, 환자의 촉각적 또는 시각적 피드백을 대신하는 지지 겨냥 수단(support aiming means)이 필요할 수 있다. 결국, 기능적이고 편리한 도포기 장치는, 간단한 용기 재충전 또는 교체, 간단한 오리피스 개폐, 병 확인 및 충전 상태 조절의 용이함, 간단한 세척을 위한 개구 및 공동없는 구성, 일상 생활에서 사용 및 운반에 적합한 전반적인 설계, 및 제조 및 조립에 대한 저비용과 같은 수가지의 부수적인 요구를 충족해야 한다.
종래의 장치는 제한된 정도로만 상기 언급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뿐이었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는 소량 전달 적용에서 다루기 힘든 편의성, 위치 선정 및 투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명세서 제 1,846,763호에는 방부성 세정액의 반복 사용을 위한 세안 배쓰, 즉, 언급된 나머지 목적에 대한 특징을 보조하지 않으면서, 사용시에 플라스크 중량으로부터 눈의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플라스크와 그에 부착된 세안컵 사이에 경사를 갖는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광범위하게는, 기존의 소량용 안구용 유체 도포기는 점적 또는 분무 전달 원리에 근거한 것이다. 점적 도포기는 대표적으로 세안컵 또는 눈꺼풀 개검기로 눈을 중심에 맞추고 나서, 예를 들어, 탄성 병을 압착시킴으로써 방출시킨 후에 중력에 의한 영향에 의존한다. 점적법은 그 자체로, 적절하게 위치선정되는 경우에 집중된 전달을 제공하고, 일반적으로는 불편하지 않지만 도포기 배향에 영향을 받는다. 통상적인 설계는 정교하지 않고, 조절을 거의 제공하지 않으며, 투여 과정에서 제한된 변동을 제공한다. 얼굴 부분과 일치되는 부분을 갖는 장치는 미국 특허 명세서 제 3,872,866호, 제 4,134,403호 및 제 4,792,334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부적합한 상대적 배향을 가지며 보조적인 손잡이 부분을 갖지 않는다. 손잡이형 압착 보조수단을 갖지만 손잡이의 다른 이완 및 부적합한 배향을 갖지 않는 최소 지지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의 예는 특허 명세서 EP 335,513호에 기술되어 있다. 유사한 장치가 상표명 "옵티케어(Opticare)"로 시판되고 있다. 분무 도포기는 점적 도포기에 대해서와 유사한 수단으로 눈에 집중된, 수동 레버의 사용에 의해 방출되는 것으로 대표되는 샤워식에 의존한다. 분무법은 그 자체로 도포기 배향과는 매우 무관하며 분배된 충격을 제공할 수 있지만, 에어로졸 형태로 손실이 일어나고 이러한 적용이 눈깜짝 반사를 해제시키려는 경향이 있기 전의 매우 소량 처리로 제한된다. 통상의 도포기는 상기 개괄된 문제 또는 일반적인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미국 특허 제 5,201,726호의 명세서에는 이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보다는, 비표적화 및 비응축 잔여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넓은 수단을 갖는 상기 종류의 장치의 예가 기술되어 있다. 손잡이와 제동기(trigger)가 제공되어 있지만, 상기 장치는 환자 또는 보조자에 의한 사용에 대해서는 인체공학적이지 않다.
따라서, 설명된 특정 및 일반 설계 요구를 더욱 우수하게 충족시키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지금까지 공지된 장치보다 우수하게 상기 기술된 일반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목적은 눈에 소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에 적합한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유체 잔류물, 과흐름 또는 손실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눈의 표적 영역 내의 제조물의 배치에 대한 허용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있다. 추가의 목적은 다양한 몸체 자세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긴장된 몸체 위치, 및 기술적 및 생리학적 능력에 대한 요건으로부터 환자를 자유롭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용량을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를 보조하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추가의 목적은 환자 또는 보조자에 의한 사용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재충전, 개시, 조절, 세척, 취급 및 제조와 같은, 중간 처리 상황 이외에 적합한 부수적 성질의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들 목적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특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도포기는 우선 소량을 전달하도록 눈을 향해 하나 이상의 점적을 전달하는 기본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도포기는 손잡이, 용기 및 세안컵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앞서 설명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주축 및 주 방향을 갖는다.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에 예각을 형성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팔과 손을 들어올리는 부적합한 해부학적 상황을 피하여 눈에 대한 수용 방향을 갖는 부분의 공축 배열을 구성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손잡이와 얼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장치 및 제동 버튼과 같은 이것의 조절부를 편리하게 작동시키는 2가지 상반된 요건에 의해 최적 관계가 달성된다. 사실상, 완전히 이완된 상태의 사람의 손이 얼굴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손잡이는 자연스럽게 눈의 시야에 대해 기술된 예각을 정확하게 점유할 것이다. 여전히, 손잡이는 하나로 맞춰지지 않고, 대안적이지만 수개의 손잡이가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에게 대략 동일한 편리함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거나, 충분한 손바닥 접촉으로 감싸지며, 이들 모두는 손잡이의 임의의 측면에 위치한 제동 버튼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과 양립할 수 있다. 몸체에 비해 비교적 낮은 팔의 위치는, 예를 들어 누울 필요 없이 점적 전달을 보조하기 위해, 머리를 뒤로 젖힐 때에 유지되는 이완된 손잡이에 대한 충분한 여유 및 여분을 제공한다. 기술된 손잡이 관계가 건(gun) 또는 공구 손잡이와 유사성을 갖지만, 본 경우에서는 돌출된 세안컵에 대한 손의 위치가 완전히 상반되기 때문에 전적으로 상이함이 관찰된다. 또한 이러한 경미한 상황은 보조자가 자연적으로 환자를 향해 도포기를 유도하는 데에 있어서 건 또는 공구에 대한 표준 손잡이를 사용할 것이므로, 보조 조작자에 의한 사용에도 마찬가지로 적합한 도포기의 규정된 목적을 충족시킨다.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오리피스(orifice) 유체 전달 방향 사이의 각도 관계가 유사하게 고려된다. 오리피스가, 예를 들어 소형 병의 형태로 손잡이로부터 분리된 용기의 일부인 경우, 수가지의 부수적인 목적이 달성된다. 병은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교체될 수 있으며, 이의 오리피스에는 개구가 없으며 적어도 이의 측면 및 바닥 단부는 검사를 위해 접근가능하다. 도포기가 지지체 상에 원위 단부를 갖도록 위치하는 경우, 병의 내용물은 자연적으로 오리피스로부터 배출되어 오염 문제를 감소시킬 것이다.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 사이의 예각은 점적 전달 동안 머리 젖힘에 대한 요건을 감소시켜서, 편안함을 개선시키고 적용 범위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눈에 대해 방사상이기보다는 약간 접선으로의 점적 충돌은 부가적으로 감각(sensation)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눈의 경계 내에 액체를 유지시키 위해 하부 눈꺼풀 개검기와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오리피스에 대해 더 근위에 있는, 오리피스 유체 전달 축과 세안컵 접촉 축 사이의 편심적 배열은 하부 눈꺼풀에 대해 편심적이고 상향으로 변위된 눈의 위치 사이의 모든 방향에 대해 허용될 수 있는 표적 영역을 확대시킴으로써, 적합한 전달 기회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기술된 장점이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되어, 다양한 목적을 위한 조합적, 상승적 또는 다중적 장점을 달성시킬 수 있음이 자명하다.
추가의 더욱 특정화된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일반적인 사항
도입부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도포기는 의료 분야 내 및 그외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임의 용기 내에서 그리고 화학약품, 조성물 또는 혼합물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제조물에 사용되어 임의의 목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기술된 이유로, 시스템은 설계 제약이 대부분의 다른 용도에서보다 더욱 심한 의료용 전달 장치에 대해 일정한 특정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을 주로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 광범위하게는 눈 도포기 및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기 내용물은 펌프 기구의 사용 또는 사용없이 오리피스를 통해 전달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기체상 운반 매질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미립 또는 분말 조성물은 공지된 전달 기구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물질은 유체, 바람직하게는 에멀션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이다. 이들 관찰은 최종 제조물에 관한 것이며, 다른 성분, 특히 고체가 최종 제조 전에 존재할 수 있다. 용기 내용물의 상태는 또한, 광범위하게는 약제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가장 통상적으로는 약제가 공장에서 제조되더라도, 용기 내로 미리 충전되고 방출되는 천연 성분 및 체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서두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녹내장 치료용 제조물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조물은 결합(coherent) 스트림의 형태로 눈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물은 하나, 수가지 또는 다수의 이산 입자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물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나, 입자는 "점적" 등의 개념이 또한 별다르게 제시되지 않는 한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고체 또는 바람직하게는 액체일 수 있다. 이렇게 규정된 점적에 대해 공통적인 것은, 이들의 형태는 표면장력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이들의 점적 형태에 의한 영구적 형태 및 액체 점적에 의해 고유 성질의 고체 입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스트림의 형태가 역학적으로 그리고 불안정성인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서 스트림과 대조적이다. 점적을 눈을 향해 가속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주요 힘이 사용된 일반적 전달 원리를 규정한다. 바람직한 원리는 초기 궤적이 점적 속도를 규정하는 중력 전달 및 동력학적 전달, 특히, 분무 전달이며, 이들의 각각의 장점은 상이한 용도 및 상이한 목적으로 논의되고 이용될 수 있다. 분무 전달은 도포기 배향과 사실상 완전히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중력에 의한 점적 전달은 본 발명에 의해 도입된 정확도를 갖는 가요성으로부터 특정 방식으로 이점이 있다.
세안컵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많은 장점은, 또한, 도포기가 세안컵 부분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단 조작자에게 장치 배향 및 안정화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세안컵 부분이 조작자의 책임을 면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기에 적합한 세안컵 부분은 최소한 하나의 림 및 공동을 포함한다.
림의 용도는 도포기와 얼굴 사이의 접촉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눈에 대한 예정된 위치에서 도포기 자체의 센터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촉은 이마, 코 및 턱과 같은 얼굴의 어느 부분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림이 안와(eye socket)와 접촉하는 경우에 더 우수한 센터링이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림"은 넓은 의미로 접촉지점 또는 접촉지점들로 이해되고, 가장자리 또는 다른 연장된 부분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가장 우수한 센터링을 위해 2차원으로 분포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3개 또는 수개의 접촉 지점으로서 제공된다. 이들 지점은 하나 또는 수개의 연속 가장자리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속 루프로서 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촉 지점이 "접촉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라인이 그려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이론적 얼굴 접촉 지점이 림에 의해 실제로 접촉되지 않고, 폐쇄된 연속 림의 경우에 접촉 곡선 및 림 가장자리가 일치하게 됨을 의미한다. 접촉 곡선을 함유하도록 그려진 평면은 이론적 "접촉 평면"을 형성한다. 평면에 수직으로 그려진 라인은 눈을 향한 도포기로부터, 또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림을 향한 공동으로부터 축을 따라 "접촉 축" 또는 "접촉 방향"을 형성한다. 접촉 축 및 접촉 방향은 장치에 대해 이들이 접촉 곡선 내에 집중되는 경우, 또는 환자와 관련하여 이들이 안구(eye ball)에 대해 방사상인 경우에, "대칭형"으로 간주된다. 적합한 림 형태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유사한 손잡이를 사용하여 양쪽 눈 모두에 대해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좌/우 대칭인 림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안와에 대한 크기 및 형상으로 개조된, 사실상 접촉 곡선을 갖는 타원형의 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상화된 형태를 통한 접촉 평면은 타원형의 단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종종 약간 굽어져 있을지라도 평평할 수 있다. 림은 공지된 방식으로, 눈꺼풀을 변위시키고 유지시키도록 최소한 하부 눈꺼풀,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부 눈꺼풀과의 특정 접촉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접촉 방향으로 눈꺼풀 개검기 돌출부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림은 최소한 임의의 눈꺼풀 개검기 부분에서 편안함을 위한 연질 가장자리 및 바람직하게는 고마찰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림은 공동 부분과 일체화될 수 있지만, 자유 재료 또는 색 대비 선택을 위해 공동 부분에 부착되거나 접착되거나 융합된 개별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은 돌출 안구에 대한 접촉 곡선 경계 내에서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안구의 전방에 있는 임의 부분, 특히 추가로 설명될 오리피스에 대해 안구에 대한 안전 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동은 광범위하게는 상기 목적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구성인 것으로 이해된다. 공동은 공지된 세안 배쓰에서와 같이 전형적인 컵일 수 있지만, 그 자체로는 기능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개폐용 오리피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제조물 축적을 방지하고 세척을 촉진시키고, 보조 조작자가 오리피스 배향 및 전달을 시각적으로 모니터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등의 더욱 다양한 설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또는 수개의 아암이 예를 들어 케이지형 설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최소 요건은 공동 구조가 림에 대한 지지체 및 부착물, 예를 들어, 접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림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일 아암 또는 바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세안컵은 눈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용기의 오리피스에, 그리고 특히 림의 접촉 곡선 내에서 배열된다. 관련성은 점적 전달에서의 특정 자유도와 함께 사용된 전달 원리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오리피스가 접촉 방향, 접촉 곡선 및 곡선 내에서의 접촉 방향에 따르는 돌출부의 반대쪽에서 관찰하였을 때 뒤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접촉 방향과 평행한 유체 전달 방향 성분과 함께 공동 내로 향하거나 공동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임의의 예견할 수 있는 개별적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안구와의 접촉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8mm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의 거리에서 이러한 접촉에 대한 환자의 긴장을 방지하도록, 오리피스 정점과 접촉 평면 사이에 일정한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 구조를 통한 림의 상기된 지지 및 부착이 용기 또는 이것의 오리피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비방해 대체물 또는 용기를 제공하도록 손잡이 부분에 림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제조물용 용기는 눈에 1회 전달용의 단일 용량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B 제 2.255.918호 또는 WO 96/06581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계수 장치에 연결된 장치의 분배 위치 내로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개별의 교체가능한 각각의 단일 용량 용기 또는 그러한 용기 그룹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용기는 수회 투여를 위한 다수 용량을 함유한다. 용기는 병 부분, 및 제조물을 눈을 향해 통과시키기 위한 제조물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리피스는 어떠한 전달 원리가 사용되는 지에 따라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의 끝 부분(last part)은 끝 부분 내의 유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여, 채널 및 이의 흐름에 집중된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눈으로 향하는 흐름 방향으로의 축을 따라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는 채널로서 관찰될 수 있다. 스트림 또는 분무 전달과 같은 동력학적 전달에서, 제조물은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된 후에 유체 전달 방향으로 눈을 향해 계속 투여되는 것이 통상적일 것이다. 스트림은 유체 전달 축을 따라 계속해서 집중될 것이다. 분무는 노즐 유형 및 전달 압력에 따라 달라지나, 다양한 샤워 형태 및 발산 각으로 주어질 수 있으며, 샤워는 유체 전달 축 둘레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노즐은 필요한 경우, 및 흐름 과정 중에 초기에 첨가되지 않는 경우에, 운반 매체, 예를 들어 압축 기체용의 별도 유입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점적 전달에서, 오리피스에서 방출된 점적(들)은 중력 방향으로 연속되어, 세안컵에 대해 유체 전달 방향의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선정을 제공하지만, 수직 하향으로 향하는 경우에만 유체 전달 방향으로 계속되는데, 후자가 가장 간단한 설계 및 방출된 점적의 가장 안전한 위치 선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점적 전달에서, 오리피스의 물리적 설계는 매우 간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약간의 펌핑 작용 후에만 조절하도록, 일시에 하나 이상의 점적이 방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좁을 수 있다.
병 부분은 세안컵과 같은 도포기의 다른 부분,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부분과 일체화되어, 예를 들어 손잡이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물용 공동을 갖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병은 장치내에서 교체될 수 있는 별도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리피스 부분은, 특히 오리피스 구조가 점적 전달 장치에서와 같이 간단한 경우에 분리되고 교체될 수 있는 반면, 더욱 정교한 구조, 예를 들어 동력학적 노즐 유형은 재사용될 수 있다. 병과 오리피스 사이에 관과 같은 도관, 예를 들어 병 바닥으로부터 연장되어, 오리피스에 대해 매우 자유로운 위치선정을 제공할 수 있는 관이 존재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설계는 오리피스에 직접 연결된 개구를 갖는 병에 의해 얻어진다. 병의 형태는 중요하지 않지만, 광범위하게는 병은 저부로부터 개구를 향해 대칭 축을 갖는다. 상기 축은 규정된 바와 같은 유체 전달 축에 대한 임의의 각, 예를 들어 직각 또는 둔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병 대칭 축이 유체 전달 축과 사실상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공축이어서, 병의 완전한 비움 및 병 둘레의 불순물 흐름의 감소를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 설계 그 자체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대칭 축에 수직인 비원통형 단면 및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단면으로 표현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 넓은 축과 좁은 축을 갖는 비회전성 대칭 단면을 갖는 병의 설계를 사용하는 것이 약간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병 구조는 기술된 바와 같은 더 우수한 비움 및 오염 방지의 장점을 가지며, 부가적으로, 하기 추가로 설명되는 더 우수한 병 유형의 확인 및 충전 상태를 제공한다.
기술된 최소 요건 이외에, 용기 부분은 편리함을 위한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오리피스는 각각의 투여 사이에 대표적으로 개구 뚜껑을 오리피스에 나사조임으로써 폐쇄되어, 누출 또는 오염을 방지한다. 이러한 간단한 조작도, 제한된 손 힘을 갖는 몸이 불편한 환자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뚜껑과 일체화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며, 일반적으로 폐쇄된 병을 개방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자에게 레버에 의한 보조를 제공하는 뚜껑 오프너를 임의의 제조물 병에 포함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예를 들어 상기 기술된 세안컵 공동의 개방된 설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제조하거나,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에 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약간의 도움을 제공한다.
손잡이
손잡이는 사용자를 위한 편리한 그립을 제공하며, 나머지 부분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는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전체 손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구형 루프 등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는 접힌 손바닥에 수용되거나 손가락끝에 의해 쥐어질 수 있는 일반적으로 연장된(elongated)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안컵의 경우와 같이, 어느 한 손으로 사용하고, 두 눈 모두를 위해, 접촉 방향에서 볼 때, 일반적인 좌/우 대칭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연장된 형태는, 광범한 견지에서 대칭 실린더로부터, 손 또는 팔의 해부학적 구조, 또는 그립 자체에 의해 제공된 특징에 대해 미학적 또는 실용적 특징을 갖는 다소 완전한 개작까지 이해되어야 한다. 형태와 무관하게, 손잡이의 한 부분은 눈 및 눈에서 멀리 떨어진 또 다른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반드시 의도될 것이며, 이들 부분은 각각 상응하는 근위 방향 및 원위 방향에 대해, 각각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로서 언급될 것이다. 상기 단부는 이들 사이에 "손잡이 축"을 규정할 것이다. 위치에 대해, 손잡이 축은 손잡이 내에서 사실상 중심에 있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매우 복잡한 손잡이 형태의 경우, 축의 중심화는 어려울 수 있지만, 장치 관점에서 중심화는 그립핑에 대해 특히 고안된 부분 또는 일반적으로 그립핑에 가장 쉽게 이용되는 세안컵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부분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사용자 관점에서, 중심화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손바닥의 그립 축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세안컵은 원위 단부보다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근접한 곳에,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최근위 단부에 위치할 것이다. 세안컵이 손잡이에 대해 옆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손과 얼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 것, 즉, 세안컵이 손잡이 축으로부터 접촉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normal distance)로서 표현되는 경우, 이 거리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일 수 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2㎝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연장된 손잡이 설계에 대해, 이들 거리는 그립 축에 비례하기보다는 세안컵에 대한 그립 전방부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오리피스가 세안컵 내부를 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한 조건이 오리피스에 대해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오리피스가 손잡이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그리고 손잡이 축에 대해 옆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거리는 앞서 설명된 안전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용기가 세안컵에 부착되는 경우, 용기는 손잡이에 부착될 필요가 없지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오리피스 부분을 통해 손잡이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손잡이 내의 공동은 용기 또는 적어도 이것의 병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포기 부분의 재사용을 위해, 용기 또는 적어도 이것의 병 부분이 별도 부분으로, 교체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손잡이가 손잡이 상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내부에 용기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은, 이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라벨,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충전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각각 판독되고 모니터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개구 또는 투명 윈도우가 손잡이 상의 중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용기 병 부분과 오리피스 사이에 도관, 예를 들어 흡입관이 존재하는 경우에 용기의 가장 다양한 정위가 가능하며, 병은 본질적으로 어느 위치에든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병이, 예를 들어, 점적 전달에서와 같이 오리피스내로의 직접적인 연속부를 형성하거나, 병 대칭 축 및 오리피스 축이 동축인 경우에, 용기 시트는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초기 언급된 배수 및 접근성의 측면에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된 병 노출을 위해서도 적당하며, 기재된 평면 설계가 넓고 협소한 축을 갖는 경우에 더욱 적당한데, 그 이유는 삽입이 용이해지고, 더 큰 측면 및 바닥 표면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병이 이것의 좁은 횡단면 축이 이것의 넓은 축보다 손잡이 축에 더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에 적당하다.
용기 또는 병이 손잡이에 부착되는 경우, 간단한 교체를 허용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피스 부분이 도포기 상에 다소 영구적으로 배열되고, 병 부분만이 교체되는 경우에, 병을 임의의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나사산, 베이어닛(bayonet), 류에르(luer), 마찰, 스냅 잠금(snap-lock) 또는 임의의 다른 접합 수단(fit)으로 오리피스에 부착시키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병이 오리피스와 함께 교체되는 경우, 병 및/또는 오리피스 부분을 시트에 수용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내에서 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밀봉시키는 데 몇몇 이점, 예를 들어 공간을 절약하고, 병 및 이것의 위치를 보호하고, 압착가능한 병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용기가 용기내의 오리피스를 통해 손잡이내로 도입될 수 있지만, 손잡이를, 분리 또는 바람직하게는 힌지 기구에 의해 분리되고 다시 폐쇄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병 시트가 손잡이내에 깊이 묻혀있는 경우, 이것을 전체 횡단면에 대해 나누는 것, 예를 들어 이것의 축에 대해 사실상 수직으로, 그러나 이것의 축을 따라 평면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용기 시트가 근위 단부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의 각 조건에 의해 용이해지는 유리한 설계는, 예를 들어, 손잡이 축에 대해 사실상 수직인 섹션, 가장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축에 대해 규정된 유체 전달 축 또는 병 축과 손잡이 축에 대해 사실상 동일한 각 관계를 갖는 섹션에 의해 개방가능해질 수 있는 근위 상단 부분을 만드는 것이다. 개방가능한 손잡이 부분 사이의 연결은 임의의 공지된 유형, 예를 들어 완전히 별도의 힌지 기구 또는 레일 기구일 수 있어서, 상기 섹션내의 부분 및 이들의 조합체의 이동을 시어링(shearing)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장치는 편리한 잠금 및 해제 기구, 예를 들어 해제 열쇠를 포함한다. 다수의 섹션 및 구획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된 형태로, 세척 또는 검사를 위해 손잡이를 개방시키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세안컵이 손잡이에 부착되는 경우, 손잡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물리적 연결이 이루질 수 있지만, 손잡이의 근위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가 용기의 삽입을 위해 나누어지는 경우, 세안컵을 구획의 근위 부분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안컵은 일반적으로 손잡이 또는 이 부분과일체부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세척, 수송, 교체와 관련된 분리, 또는 예를 들어 상이한 해부학적 구조 또는 안전성 요건에 적합한 오리피스 거리에 대한 눈에서의 조정성을 위해, 영구적 또는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별도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손잡이는 추가의 보조적인 상세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기가 평평한 수평 지지체상에 안정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축,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대칭 축이 안전성 요건내에서 사실상 수직인 성분을 갖도록 풋(foot)을 구비한 원위 단부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풋은 아마도 중력 지점을 낮추기 위해 확장되거나 증가된 중량을 갖는 원위 단부 평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이것의 주 목적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고 기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내부 용적 및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병 뚜껑에 적합한 홀(hole) 또는 기타 그립이 개폐를 보조하는 도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위 단부 및 존재하는 경우 풋 아래에 배열된다. 손잡이가 하기 추가 설명되는 펌프 기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펌프 기구
기술된 도포기는 임의의 특정 펌프 기구 없이, 예를 들어 충분한 폭의 오리피스로부터 중력 전달에 의해 사용되어, 스트림 또는 개개의 점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포기 중에 펌프 기구를 포함시키는 것, 예를 들어 방출 모멘트 및 투여량에 대한 조절을 양호하게 하거나 대안적인 전달 방법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오리피스를 통한 제조물 전달을 위한 펌프 기구는 근본적으로 사용된 용기 및 제조물 유형 또는 특정 유형에 대해 선택되어야 하는 한 가지 이상의 유형의 펌프를 포함해야 한다. 펌프는 용기 내에 조절을 위한 임의 종류의 압력원, 예컨대 기계적 또는 전해질 압력 형성원 및 적합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매질 및 액체 스트림 또는 점적을 통한 전달로 수행되는 경우 사실상 분말을 포함하는 임의 종류의 생성물 및 임의 종류의 용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전체적으로 탄성인 경우에, 과압을 형성시키는 공통적인 압착 방법은, 특히 저속 점적 전달과 같이 적게 요구되는 용도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 많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예를 들어 분무 전달에서의 투여, 전달 속도, 분무화, 제조물 점도 등의 관점에서, 조절된 정 변위(positive displacement)에 기초한 펌프, 예를 들어 연동 작용에 기초한 펌프, 막 유형 펌프, 바람직하게는 주사기에서와 같은 일방향 작용 또는 흡입에서와 같은 반복된 작용을 갖는 개별 실린더 및 피스톤 작용에 기초한 펌프, 및 방출 유형 펌프가 바람직하다. 언급된 대부분의 펌프 유형은 오리피스와 또 다른 용기 부분 사이의 관 연결부, 또는 병과 오리피스 사이의 직접 연결부와 양립할 수 있으며, 단, 이들 부분은 오리피스를 향한 유체 흐름을 위해 적당한 관계에서 유지된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펌프 기구를 갖는 여러개의 용기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제조물 및 담체 매질 또는 구동 및 분무화 매질을 개별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펌프 작용에 요구되는 에너지는, 수동 작업만으로도 대부분 충분하고 바람직할지라도, 공지된 어떠한 형태, 예를 들어 기체 압력, 진공, 수력, 스프링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
펌프 기구는 또한 사용자와 실제 펌프 이동 사이에 계면을 형성하는 수동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에너지의 경우에, 조절은 제동기, 방출, 예를 들어 밸브 또는 기계적 잠금 장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작동의 경우에, 조절은 펌프 운동을 수행하는 링크 시스템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작동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링크 시스템은, 가해지는 손의 힘을 감소시키는데, 예를 들어 제조물이 너무 쉽게 방출되거나 감소된 스트로크 길이(stroke length)가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손 힘을 증폭시키거나 작동기에 대한 스트로크 길이를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레버 장치를 포함한다. 수동 조절부는 어린이에게 안전한 장치를 제공하는 공통적인 조건 또는 무장 잠금 장치와 같은 공통적인 안전 세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기구는 또한 전달된 용량을 조절하고, 과도하고 반복된 용량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량 조절은 특히 저장된 에너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적당한 펌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는 개방 시간 또는 배출 용적, 및 허용되는 변위 범위에 의한 이동가능한 펌프 부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용량 조절은, 대안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동 조절 수단이 작동기 형태인 경우에, 유사하게 제한된 스트로크 길이 또는 압력에 의한 수동 조절 수단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바람직한 링크 시스템은, 초기에 밴드에 가해지는 측면 힘에 의해 일직선이 되는 곡선 구성을 갖는 전복형(upesetting type) 레버 장치를 포함하며, 기구는 레버 작용 이외에 사전 결정된 제한된 가능한 연장화, 및 임계 변위의 통과 후에 전술적으로 민감한 임의적인 휴식을 제공한다.
펌프 기구는 용기 위에서 또는 용기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용기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에서나 그 안에 이것을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 조절부는 손잡이에 상당히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안컵에 대해 떨어진 면에서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지만, 세안컵에 대해 가까운 면에 이것을 배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부분 관계
본 발명에 따라서, 도포기의 주요 부분은 여러 가지 가능한 공간 관계 중 하나 이상을 가져서 제시된 장점을 제공해야 한다. 하기에 기재되는 각도는 360도 각도 범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규정된 방향을 기준으로 벡터 사이에서의 가장 작은 각도로서 제공된다.
손잡이 축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손잡이/컵)의 접촉 방향은 이들 사이에 예각, 즉 90°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도는 8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5°미만이다. 바람직하게, 각도는 2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이상이다. 이러한 예각 요건은, 손잡이 축의 원위 방향이 눈 접촉 방향으로부터의 일직선과 얼굴 아래 이에 대한 수직선 사이를 가리킴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들 둘 모두는 상기 기재된 이유로 매우 부적합하다.
유사하게, 손잡이 축의 근위 방향 및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손잡이/오리피스)도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각에 바람직한 일반적인 한계는 손잡이/컵 관계에 대해 이전 단락에서 제공된 것과 같다. 그러나, 손잡이/오리피스 각도는 손잡이/컵 각도보다 큰 것, 바람직하게는 5°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이상 크나, 바람직하게는 45°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이하만큼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큰 각도에 대한 이러한 요건은, 서로 관련하여,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이 원위 방향 쪽으로 더 치우치고, 세안컵 접촉 방향이 근위 방향 쪽으로 더 치우치는 것을 의미한다.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 및 세안컵 접촉 방향(오리피스/컵)은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고, 바람직한 범위는 손잡이를 기준으로 근위면 상의 세안컵 접촉 방향 및 원위면 상의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을 갖는 동일한 바람직한 배열을 갖는, 이전 단락에서 "큰" 각도에 대해 주어진 범위이다.
오리피스 유체 전달 축 및 세안컵 접촉 축은 서로 편심이며, 오리피스는 세안컵 접촉 축에 대해 근위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접촉 축 사이에서 오리피스 끝까지의 정상 거리는 2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mm이다.
사용 방법
도포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본질적으로 주해가 있는 부품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져야 한다. 장치와 통합된 용기는 먼저, 가능하게는 고체의 용해와 같은 초기 제조 단계 후에, 장치상의 시트내로 삽입된 별도의 병 또는 제조물로 충전되고, 바람직하게는 병 라벨은 제공된 임의의 윈도우를 통해 노출된다. 교체가능한 병은 자체의 오리피스를 가질 수 있거나 내장 오리피스 배열로의 연결이 필요할 수 있다. 그 다음, 분리된 손잡이는 개폐가 필요할 수 있다. 삽입 전후에, 병 또는 오리피스 상의 뚜껑은, 예를 들어 기재된 모든 보조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경우에 따라 림과 얼굴 부분 사이의 접촉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눈에 대해 세안컵을 위치시킨다. 장치가 중력 전달로 작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실질적이지만 반드시 완벽하지는 않는, 정의된 바와 같은 오리피스의 수직 정렬(이것은 헤드 또는 본체의 경사를 필요로 할 수 있다)을 보증한다. 장치가 동력학적 전달로 작동되는 경우, 이것은 헤드 및 본체 위치에서 작용할 수 있다. 장치에 손잡이와 같은 수동 조절부가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는 도포기의 적당한 배향 후에 필요할 때마다 제조물 용량을 전달시키고 손잡이를 놓아서 이러한 조절부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은 손잡이 주위의 그립이 다소 상이할 수 있을 지라도, 자가 투여 및 보조자 지지된 작동 2가지 모두에 대해 유사하다. 사용후에, 도포기는 오리피스로부터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이의 원위 단부의 풋 상에 위치시키거나, 수직인 이의 손잡이 축을 사용하여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제조물의 수회 용량을 함유하며, 오리피스에 대해 밀폐 또는 보호 뚜껑을 재위치시켜 도포기를 완전히 이송가능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반복된 사용에서, 병 라벨을 조사함으로써 제조물 유형을 확인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된 임의의 윈도우를 통해 하부 단부를 조사함으로써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오리피스에 대한 어떠한 보호물이라도 다시 제거되며, 공정이 반복된다. 용기가 비워지는 경우, 병은 가능하게는 밀폐 기구를 위한 키를 해제시킨 후에, 손잡이 위의 임의 구획을 개방시킴으로써 제거된다. 깨끗한 병을 삽입하기 전에, 도포기를 불순물 또는 오염에 대해 조사하고, 예를 들어 세척기중에서 장치를 가동시킴으로써 클리닝시킨 후, 예를 들어 힌지 주위를 밀폐시킴으로써 부품을 재조립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림과 공동이 구비된 개략적인 세안컵의 정면 측입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중력 전달 및 동력 분무 전달을 위한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포기 주요 부분 및 이의 주요한 공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세안컵에 대한 또 다른 용기 관계를 갖는 도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각각 자가 투여 및 보조 투여에서 가능한 손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 6b 및 6c는 도포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a는 노출된 용기 시트와 함께 도포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사용을 위해 제 위치에 있을 때의 도포기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설명
도 1에서, 세안컵은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되며, 림부(11) 및 공동(12)을 갖는다. 림은 일반적으로 안와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타원형이다. 파선(13)은 이론상의 접촉 곡선을 나타낸다. 스폿(14)은 도시되어 있는 폐쇄되고 연속적인 림이라기보다는 안와 윤곽선에 대해 이산된 접촉 지점의 사용에 대한 선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론상의 접촉 곡선을 변경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래 도면의 입면도는 림이, 타원의 단축은 직선으로 유지하고 장축은 구부러진 상태로 약간 굽어서 타원부가 장축을 따라 눈에 근접하도록 함을 도시하고 있다. 파선(15)은 이론상 접촉면, 즉 본원에서는 도면면에 수직인 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면에 접촉 곡선(13)이 있으며, 접촉면 또한 곡선이 된다. 접촉면에 대해 수직이고, 림 중심에, 가상(hypothetical) 눈을 향한 접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머리(17)를 갖는 접촉 축(16)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림은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로 보는 경우에 곡선이 된다. 개략적인 아암(18)은 접촉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림(11)으로부터 연장되며, 림 부착물로서 제공된다. 개략적인 눈꺼풀 개검기(19)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2b는 각각 중력 전달 및 동력 분무 전달을 위한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들 두 도면에서, 용기는 일반적으로 (20)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병부(21)과 오리피스부(22)를 포함하며,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23)과 화살표머리(24)로 표시되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한다. 도 2a의 용기는 점적(25)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전달로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점적 궤도가 오리피스에서의 유체 전달 방향과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용기가 도시된 수직 위치에서 기울어진 경우는 아닐 것이다. 투시선(26)은 유체 전달 축과 동축인 병의 대칭 축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병부가 오리피스에 대해 임의의 각 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의 용기는 분무 콘(27)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로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상기 콘에서 유체 전달 축(23)과 방향(24)이 중심에 있다. 흡출관(28)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오리피스(22)에서 병 저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개략적인 작동기(29)는 직접적으로 또는 링크 시스템을 통해 작동되어 분무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3은 도포기의 주요 부분과 이들의 주요한 공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포기는 일반적으로 (300)으로 표기된다. 도포기는 손잡이부(301)를 포함하며, 손잡이부는 일반적으로 원위 단부(302) 및 근위 단부(303)를 가지며 이 사이에 축(304), 및 진한 화살표머리(305)로 도시되어 있는 근위 방향 및 빈 화살표머리(306)으로 도시되어 있는 원위 방향을 규정한다. 도포기(300)는 용기(307)를 추가로 포함하며, 용기의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308)과, 화살표 머리(309)로 도시된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한다. 도포기(300)는 추가로, 본원에서 평평한 접촉면과 컵 형상 공동으로 도시된 세안컵(310)을 포함하며, 세안컵의 접촉면은 접촉 축(311) 및 화살표(312)로 도시된 접촉 방향을 규정한다. 도시된 주요 각은 손잡이 축의 근위 방향(305)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312)(손잡이/컵) 각(313), 손잡이 축과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손잡이/오리피스) 각(314), 및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오리피스/컵) 각(315)이다. 상기 도면에서, 언급된 모든 각, 즉, 손잡이/컵 각(313), 손잡이/오리피스 각(314) 및 오리피스/컵 각(315)은 예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더욱이 손잡이/오리피스 각(314)은 손잡이/컵 각(313)보다 크며,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309)은 원위 방향(306)을 향해 더 치우쳐 있으며, 세안컵 접촉 방향(312)은 근위 방향(305)을 향해 더 치우쳐 있으나, 이 외의 관계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도 4는 세안컵에 대한 대안적인 용기 관계를 갖는 도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포기는 일반적으로 (40)으로 표기되며, 손잡이부(41), 오리피스 유체 전달 축(43)과 유체 전달 방향(44)을 가지는 용기(42), 및 접촉 축(46)과 접촉 방향(47)을 가지는 세안컵(45)을 포함한다. 용기(42)의 오리피스 정점은 접촉 축(46)에 대해 일정 거리(48)를 갖는다. 또한, 유체 전달 축(43)과 접촉 축(46)은 대체로 평행이고 편심되어 있으며, 유체 전달 축(43)이 접촉 축(46)보다 더 인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각각 자가 투여 및 보조 투여시의 가능한 손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아암 위치가 약 90도이기는 하지만, 상이한 손잡이는 모두 자연스럽게 이완되어 있다.
도 6a, 6b 및 6c는 도포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a는 노출된 용기 시트와 함께 도포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사용을 위한 위치에 있을 때의 도포기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A4 크기)은 대략 원래 크기의 도포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포기(600)의 주요 부분은 손잡이(610), 용기 부분(630), 세안컵 부분(650) 및 펌프 기구 부분(670)이다. 손잡이는 원위 단부(611), 근위 단부(612), 원위 방향(614) 및 근위 방향(615)를 갖는 손잡이 축(613)을 규정한다 할 수 있다. 손잡이 원위 단부(611)는 손잡이 축이 대략 수직 위치에 있는 도포기의 배치를 위한 풋(616)으로서 설계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풋(616)의 밑면에는 병 뚜껑의 제거 및 부착을 보조하는 병 뚜껑에 맞는 홀이 구비되어 있다. 근위 단부에서, 손잡이는 병 축과 사실상 평행인 슬릿(618)을 가지는 개방가능부(617)로 나뉘며, 슬릿은 고정핀(619)과 함께 작용한다. 도 6a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부터, 개방가능부(617)는 핀(619) 둘레로 치우쳐 있으며, 개방가능부(617)의 내면 상의 고정 레일(620) 및 상응하는 구조와 결합하여 도 6b 및 6c에 도시된 위치로 축상으로 밀려져 핀(619)이 슬릿(618)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개방가능부(617)의 개방은 용기(630)에 대해 시트(621)을 노출시켜 용기의 삽입 또는 제거를 가능케 한다. 시트는 병 저부를 노출시키는 후위 개구(622)를 가져 병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게 하고, 개방가능부(617)는 상부 개구(623)를 가져 병 측부, 특히 병 상의 라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개방가능부(617)에는 세안컵(650)이 부착되며, 이는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시트(621)는 용기(630)을 수용하고, 개방가능부(617)의 폐쇄 후에 공동 내에서 용기(630)을 폐쇄시키고 용기 개구부 아래에서 플랜지(624)를 결합시키므로써 용기(630)를 잠근다. 용기(630)는 일반적으로 병(631) 및 오리피스 부분(632)을 포함하며, 오리피스 부분은 유체 전달 축(633) 및 유체 전달 방향(634)을 규정한다. 병 대칭 축(미도시됨)은 사실상 유체 전달 축과 동축인 것으로 추정된다. 세안컵(650)은 일반적으로 림(651) 및 공동(660)을 포함한다. 림(651)은 단축(652)에 평행한 축을 따라 대략적으로 타원형이고 약간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접촉 축(653) 및 접촉 방향(654)을 규정한다. 돌출부(655)는 저부 눈꺼풀 개검기로서 작용한다. 공동(660)은 안구에 대한 공간 및 오리피스(632)에 대한 안전 거리를 제공한다. 측면 아암(661)은 통합부가 되게 하므로써 림(651)을 개방가능부(617)에 연결시킨다. 상부 공동 개구(662) 및 하부 공동 개구(663)는 공동 및 오리피스 구역에 접근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도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손잡이/컵, 손잡이/오리피스 및 오리피스/컵 각은 예각이며, 오리피스 끝은 접촉 축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약간 변위되어 있다. 도포기는 또한 수동 조절부(671)를 포함하는 펌프 기구(670)를 포함하며, 이는 고정축 샤프트(673)(이 둘레에서 아암은 피봇가능하다)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그리고 병(631)의 저부 측면에 대해 푸쉬 로드(push rod)(675)를 거쳐 수동 조절부(671)의 내측상의 리빙 힌지(living hinge)(674)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672)의 일부이다. 수동 조절부(671)의 작동으로, 푸쉬 로드(675)가 탄력성이 있는 병(631)을 가압하여 유체를 방출시키고 펌프 기구를 전복식 운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푸쉬 로드의 최대 변위는 아암(672) 및 푸쉬 로드(675)의 완전히 직선으로 펼쳐진 위치로 제한되며, 이러한 운동은 가해진 수동적인 힘에 대해 지렛대 증폭을 제공하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기술된 도포기는 성형가능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통합 개방가능부(617) 및 세안컵 부분(650)은 하나로 성형되며, 림(651)에 대해 별도의 물질이 추가될 수 있다. 손잡이 부분은 예를 들어, 2개의 절반으로 나누어져서 분리되거나 힌지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도 3c에서와 같이 분리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추가의 부분으로서 펌프 기구(670)가 구비될 수 있다.

Claims (102)

  1.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 및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오리피스를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트(seat)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축을 따른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오리피스와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부분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 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 축을 따라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오리피스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있어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에서 손잡이/컵이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2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3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4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2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3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4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2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3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4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세안컵의 림이 안와(eye socket)에 맞춰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세안컵의 림이 연속 또는 불연속의 타원형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세안컵의 림이 하나 이상의 눈꺼풀 개검기(retracto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세안컵이 손잡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의 병 부분이 손잡이 및 세안컵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6. 제 1항에 있어서, 병이 횡단 평면에서 넓은 축 및 좁은 축을 갖는 횡단면을 가지며, 병이 넓은 축보다는 손잡이 축과 더 평행한 좁은 횡단 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오리피스가 점적 전달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용기용 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시트가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시트가 병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1. 제 18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시트를 노출시키는 개방가능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개방가능부가 근위 단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3.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원위 단부에 풋(foot)을 구비하여, 도포기가 거의 수직인 손잡이 축을 사용하여 세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4.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병 뚜껑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리피스 또는 다른 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5. 제 1항에 있어서, 도포기가 펌프 기구(pump mechanism)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용기 부분을 압착시킴으로써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7.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수동으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8.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사용자와 펌프 기구 사이의 계면을 형성하는 수동 조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9. 제 28항에 있어서, 수동 조절부가 세안컵 측면에서 손잡이 상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0.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전복형(upsetting type) 레버 장치를 포함시킨 링크 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1.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용량 제한기(dose limit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2.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 오리피스 또는 이들 모두가 점적 전달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3.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 오리피스 또는 이들 모두가 동력학적 전달(kinetic delivery)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4. 제 25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 오리피스 또는 이들 모두가 분무 전달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5.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에서 손잡이/오리피스가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2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7.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3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8.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4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9.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2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0.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3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1.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4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2.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2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3.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3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4.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4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5.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컵의 각보다 5도 내지 45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6.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컵의 각보다 5도 내지 30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7.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컵의 각보다 10도 내지 45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8. 제 35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컵의 각보다 10도 내지 30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9. 제 1항에 있어서,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에서 오리피스/컵이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0. 제 49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5도 내지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1. 제 49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5도 내지 3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2. 제 49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10도 내지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3. 제 49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10도 내지 3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4. 제 49항에 있어서,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이 원위 방향을 향해 더 치우쳐 있고, 세안컵 접촉 방향이 근위 방향을 향해 더 치우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5. 제 1항에 있어서, 오리피스 유체 전달 축과 세안컵 접촉 축이 서로 편심되며, 오리피스가 세안컵 접촉 축에 대해 근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6.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normal distance)가 2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7.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8.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59.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3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0.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3mm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1.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3mm 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2.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4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3.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4mm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4. 제 55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4mm 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5.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1cm 이상 15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6.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1cm 이상 12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7.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1cm 이상 10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8.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2cm 이상 15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69.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2cm 이상 12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0.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2cm 이상 10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1.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3cm 이상 15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2.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3cm 이상 12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3.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가 3cm 이상 10cm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4.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 및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오리피스를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트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축을 따라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오리피스와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부분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 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 축을 따라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오리피스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있어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에서 손잡이/오리피스가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5.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2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6.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3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7.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40도 이상 8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8.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2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79.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3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0.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40도 이상 80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1.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2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2.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3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3.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40도 이상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4.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의 각인 손잡이/컵의 각보다 5도 내지 45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5.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의 각인 손잡이/컵의 각보다 5도 내지 30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6.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의 각인 손잡이/컵의 각보다 10도 내지 45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7. 제 74항에 있어서, 손잡이/오리피스의 각이,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의 각인 손잡이/컵의 각보다 10도 내지 30도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8.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 및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오리피스를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트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축을 따라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오리피스와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부분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 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 축을 따라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오리피스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있어서,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에서 오리피스/컵이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고,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이 원위 방향을 향해 더 치우쳐 있고, 세안컵 접촉 방향이 근위 방향을 향해 더 치우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89. 제 88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5도 내지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0. 제 88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5도 내지 3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1. 제 88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10도 내지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2. 제 88항에 있어서, 오리피스/컵의 각이 10도 내지 3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3.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 및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오리피스를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트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 축, 및 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해 축을 따라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오리피스와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부분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 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 축을 따라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오리피스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있어서,
    오리피스 유체 전달 축과 세안컵 접촉 축이 서로 편심되며, 오리피스가 세안컵 접촉 축에 대해 근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4.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5.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6.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7.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3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8.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3mm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99.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3mm 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00.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4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01.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4mm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102. 제 93항에 있어서, 접촉 축과 오리피스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4mm 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KR1019997011278A 1997-06-02 1998-05-28 안구용 유체 도포기 KR100555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2082A SE9702082D0 (sv) 1997-06-02 1997-06-02 Eye fluid applicator
SE9702082-0 1997-06-02
PCT/SE1998/001020 WO1998055059A1 (en) 1997-06-02 1998-05-28 Eye fluid appl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285A KR20010013285A (ko) 2001-02-26
KR100555606B1 true KR100555606B1 (ko) 2006-03-03

Family

ID=2040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278A KR100555606B1 (ko) 1997-06-02 1998-05-28 안구용 유체 도포기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1) EP0986354B1 (ko)
JP (1) JP2002502289A (ko)
KR (1) KR100555606B1 (ko)
CN (2) CN1265773C (ko)
AR (1) AR014875A1 (ko)
AT (1) ATE285210T1 (ko)
AU (1) AU734910B2 (ko)
BR (1) BR9809907A (ko)
CA (1) CA2291250A1 (ko)
CZ (1) CZ297161B6 (ko)
DE (1) DE69828275T2 (ko)
ES (1) ES2232951T3 (ko)
HK (1) HK1070555A1 (ko)
HU (1) HUP0002233A3 (ko)
IL (1) IL133200A0 (ko)
NO (1) NO315924B1 (ko)
PL (1) PL188028B1 (ko)
PT (1) PT986354E (ko)
RU (1) RU2215499C2 (ko)
SE (1) SE9702082D0 (ko)
TW (1) TW456247U (ko)
WO (1) WO1998055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8837B2 (en) 2001-02-08 2004-07-06 Pharmacia Ab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SE0100418D0 (sv) * 2001-02-08 2001-02-08 Pharmacia Ab Liquid delivery device and use method
US7077831B2 (en) 2003-12-11 2006-07-18 Stephanie Skolik Ophthalmic fluid dispenser
JP5137956B2 (ja) * 2006-09-29 2013-02-06 テイアサイエ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流体ジェットを用いてマイボーム腺機能不全を治療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642742B2 (en) 2012-10-02 2017-05-09 Harold D. Mansfield Eye drop applicator and drop transfer method
EP3089748A4 (en) * 2014-01-02 2017-09-27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Treating ocular neovascularization
JP2017006656A (ja) * 2015-06-18 2017-01-12 参天製薬株式会社 点眼補助具
DE202016002788U1 (de) * 2016-04-28 2016-06-16 Lohmann & Rauscher Gmbh Applikationshilfe für die Behandlung von Wunden
CN110072502B (zh) 2016-12-15 2022-05-06 参天制药株式会社 滴眼辅助器
CN108992242A (zh) * 2018-08-01 2018-12-14 马科 一种眼药瓶点滴器
CN110327153A (zh) * 2019-08-07 2019-10-15 仇星火 一种眼药液点滴仪器
FR3131834B1 (fr) * 2022-01-14 2024-01-12 Philippe Daull Dispositif de délivrance d’une goutte de colly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07728D0 (en) * 1988-03-31 1988-05-05 Dispomed Ltd Device for assisting dispensing
CA1325568C (en) * 1988-06-24 1993-12-28 Pineway (Uk) Ltd. Eye-bath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702082D0 (sv) 1997-06-02
NO995875D0 (no) 1999-12-01
HUP0002233A2 (hu) 2000-10-28
AU734910B2 (en) 2001-06-28
CA2291250A1 (en) 1998-12-10
JP2002502289A (ja) 2002-01-22
HUP0002233A3 (en) 2001-04-28
CN1259031A (zh) 2000-07-05
EP0986354B1 (en) 2004-12-22
PL188028B1 (pl) 2004-11-30
KR20010013285A (ko) 2001-02-26
CN1265773C (zh) 2006-07-26
ES2232951T3 (es) 2005-06-01
WO1998055059A1 (en) 1998-12-10
EP0986354A1 (en) 2000-03-22
AR014875A1 (es) 2001-04-11
HK1070555A1 (en) 2005-06-24
DE69828275D1 (de) 2005-01-27
AU8044898A (en) 1998-12-21
PL337512A1 (en) 2000-08-28
CZ297161B6 (cs) 2006-09-13
CN1596852A (zh) 2005-03-23
NO995875L (no) 2000-01-28
TW456247U (en) 2001-09-21
DE69828275T2 (de) 2005-12-08
NO315924B1 (no) 2003-11-17
BR9809907A (pt) 2000-08-01
CZ429099A3 (cs) 2000-08-16
ATE285210T1 (de) 2005-01-15
IL133200A0 (en) 2001-03-19
RU2215499C2 (ru) 2003-11-10
PT986354E (pt) 2005-04-29
CN1200659C (zh)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040B1 (en) Eye fluid applicator
US20090182291A1 (en) Eye medicament dispenser
EP2525762B1 (en) Handheld apparatus for eye-washing
US5578021A (en) Eye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EP0347084B1 (en) Ophthalmic device
US5030214A (en) Ocular delivery system
US8012136B2 (en)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555606B1 (ko) 안구용 유체 도포기
US20090192443A1 (en)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90212133A1 (en)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20220233350A1 (en) Ocular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CA3143648A1 (en) Ocular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EP3813743A1 (en) A dispenser for a single drop administration of liquid for a pharmaceutical application, being registered as medicine or being a medical product, especially of an ophthalmic liquid, a dispensing set,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