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285A - 안구용 유체 도포기 - Google Patents

안구용 유체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285A
KR20010013285A KR19997011278A KR19997011278A KR20010013285A KR 20010013285 A KR20010013285 A KR 20010013285A KR 19997011278 A KR19997011278 A KR 19997011278A KR 19997011278 A KR19997011278 A KR 19997011278A KR 20010013285 A KR20010013285 A KR 2001001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handle
axis
ho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606B1 (ko
Inventor
마리아 벵크트존
헨릭 뱌르케
카를-괴란 크래포드
한스 힘베르트
슈티크 만베르크
안-마리에 스벤손
요나스 퇴른스텐
Original Assignee
크리스터 발스트룀
파마시아 앤드 업존 에이비
프레드릭 베르그
하랄트 알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터 발스트룀, 파마시아 앤드 업존 에이비, 프레드릭 베르그, 하랄트 알름 filed Critical 크리스터 발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1001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서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과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구멍을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이트 (구멍은 유체 전달축,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구멍을 갖도록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도을 갖는 세안컵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축을 따르는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구멍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로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이 이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구용 유체 도포기 {EYE FLUID APPLICATOR}
유체, 특히 액체를 눈에 전달하기 위한 도포기는 매우 다양한 목적으로 오랜 동안 사용되어 왔다. 편안함, 회복 또는 세정을 위한 통상적인 세안 배쓰는 눈의 침지를 위해 해부학적으로 적합하게 설계된 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무 장치에 의한 다량의 액체의 전달은 또한, 예를 들어 응급 상황에서 눈의 세척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주로 비교적 소량의 유체를 눈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도포기, 및 또한 자체 투여 상황에서 빈번한 사용을 용이하게 하거나 조장하도록 취급하는 데에 충분히 편리한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응용은 눈에 대한 약제의 투여이다. 대표적으로, 약제 제조물은 매우 잘 규정된 용량으로 전달되어 특정 투여량이 확실히 전달되거나 흡수되어야 한다. 다량의 잔여물은 눈물 채널을 통해 인후두 공동 내로의 다량의 비표적 조직 중에의 흡수 또는 배출로부터의 의 부적합한 생리학적 효과, 도는 얼굴 및 의복에 대한 과흐름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인해 허용될 수 없다. 또한, 고가의 약제에 대한 값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녹내장의 치료는, 예를 들어 프로스타글란딘, 베타-차단제 또는 다른 고가의 활성 성분의 빈번한 매일 투여를 필요로 하며, 이들은 모두 눈과는 다른 체조직에 의해 흡수될 경우에, 상이하지만 바람직한 압력 방출 작용을 한다. 더욱이, 소량의 바람직한 투여는 활성 성분이 눈에 들어갈 수 없지만 각막의 제한된 부분을 통해서는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복잡해진다. 본원에서 기술하려는 도포기는 임의의 목적으로 임의의 유체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지만, 편리함을 위해, 본 발명은 주로 의료 분야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언급되는 경우는 규정된 목적을 위한 도포기에 대한 강한 요구에 대한 것이다. 필연적으로 소량의 제조물이 눈에 조심스럽게 위치해야 하지만, 언급되는 투여, 과흐름, 부작용 및 포적화 실수를 야기시키지 않아야 한다. 위치 선정은 몸체, 머리 및 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리한 환자의 자세에서 가능해야 한다. 변형된 몸체 위치는 편리함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응력 작용 및 떨림으로부터의 강한 오차를 유발시킬 수 있다. 가능하게는 도포기 배향과는 매우 무관하게, 서기, 앉기 또는 눕기와 같은 다양한 몸체 위치에서 투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 접촉 및 자극 동안에 자연스럽고 이완된 팔 및 손잡이 위치가 동등하게 중요하다.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정확한 용량의 제조물을 전달하고, 너무 소량 또는 다량 또는 부주의하게 반복되는 방출을 허용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설계가 조절 없이 다양한 해부 구조에 맞춰져야 하고, 접촉 동통 또는 불편함에 대한 우려를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들 요건은 환자 자체 처리 및 조작자 보조 처리 둘 모두를 충족시켜야 한다. 투여 반응성이 환자에게 제기되는 경우, 시력 및 손의 강도의 감소된 어린이, 어른 및 폐질자가 간편함을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조적으로, 환자와 비교하여 가역적인 손의 위치에서 장치를 잡는 데에 보조가 필요하고, 환자의 촉각적 또는 시각적 피드백에 대한 대체에서 지지적 보조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기능적이고 편리한 도포기 장치가 간단한 용기 재충전 또는 대체, 간단한 구멍 개방 및 폐쇄, 병의 확인 및 충전 상태 조절의 용이함, 간단한 세척을 위한 개방 및 공동 없는 구성물, 매일 생활에서 사용 및 운반에 적합한 전반적인 설계 및 제조 및 조립에 대한 저비용과 같은 수가지 부수적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종래의 장치는 제한된 정도로만 상기 규정된 요구를 충족시킬 뿐이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는 소량 전달 응용에서 다루기 힘든 편의성, 위치 선정 및 투여를 해결하는 데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명세서 제1,846,763호에는 방부성 세정액의 반복 사용을 위한 세안 배쓰, 즉, 언급된 나머지 목적에 대한 특징을 보조하지 않으면서, 플라스크와 사용시에 플라스크 중량으로부터 눈을 이완시키기 위한 부착된 냉안배 사이에 경사를 갖는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광범위하게는, 소량용 안구용 유체 도포기의 존재는 점적 또는 분무 전달 원리에 근거한 것이다. 점적 도포기는 대표적으로 세안컵 또는 눈꺼풀 수축기에 의한 눈의 센터링 후에, 방출 후에, 예를 들어 탄성 병을 압착시킴으로써 중력에 의한 영향에 의존한다. 점적법은 그 자체로, 바람직하게 위치선정되는 경우에 집중된 전달을 제공하고, 불편하지만 도포기 배향에 의존하지 않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인 설계는 정교하지 않고, 조절을 거의 제공하지 않으며, 투여 순서에서 제한된 변동을 제공한다. 얼굴 부분과 일치시키기 위한 부분을 갖는 장치는, 부적합한 상대적 배향을 갖고 손잡이 부분을 보조하지 않더라도, 미국 특허 명세서 제3,872,866호, 제4,134,403호 및 제4,792,334호에 기술되어 있다. 장치의 예는 손잡이형 압착 보조수단을 갖지만 손잡이의 다른 이완 및 부적합한 배향을 갖지 않는 최소 지지 수단을 제공하는 특허 명세서 EP 335.513호에 기술되어 있다. 유사한 장치가 상표명 "옵티케어(Opticare)"로 시판되고 있다. 분무 도포기는 점적 도포기에 대해서와 유사한 수단으로 눈에 집중된 수동 레버의 사용에 의해 방출되는 것이 대표적인 샤워에 의존한다. 분무법은 그 자체로, 도포기 배향과는 매우 무관하며, 분배된 충격을 제공할 수 있지만, 에어로졸 형태로 손실이 일어나고 응용이 눈깜짝 반사를 해제시키려는 경향이 있기 전에 매우 소량으로 제한된다. 미국 특허 명세서 제5,201,726호에는 방지보다는, 비표적화 및 비응축 잔여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고가의 수단을 갖는 상기 종류의 장치의 예가 기술되어 있다. 손잡이가 제공되지만, 장치를 제동시키는 것은 환자 또는 보조자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는 경제적이지 않다.
따라서, 설명된 특정 및 일반 설계를 더욱 우수하게 충족시키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서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과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구멍을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이트 (구멍은 유체 전달축,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구멍을 갖도록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축을 따르는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구멍에 배열된다)를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림과 공동을 가지는 개략적인 세안컵의 정면 측입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중력 전달 및 동력 분무 전달을 위한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포기 주요 부분 및 이의 주요한 공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세안컵에 대한 또 다른 용기와 함께 도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자동 투여 및 보조 투여에서의 가능한 수동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 6b 및 6c는 도포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a는 노출된 용기 시이트와 함께 도포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사용을 위해 제 위치에 있을 때의 도포기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설명
도 1에서, 세안컵은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되며, 림부(11) 및 공동(12)을 갖는다. 림은 일반적으로 눈구멍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타원형이다. 파선(13)은 이론상의 접촉 곡선을 나타낸다. 스폿(14)은 도시되어 있는 폐쇄된 연속적인 림이라기 보다는 안와 윤곽선에 대해 분명한 접촉 지점의 사용에 대한 선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론상의 접촉 곡선을 변경하지 않을 것이다. 아래 도면의 입면도는 림이, 타원의 단축은 직선으로 유지하고 장축은 구부러진 상태로 약간 구부러저 타원부가 장축을 따라 눈에 근접하도록 함을 도시하고 있다. 파선(15)은 이론상 접촉면, 즉 본원에서는 도면면에 수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면에 접촉 곡선(13)이 있으며, 접촉면 또한 곡선이 된다. 접촉면에 대해 수직이고, 림내 중심에 가상 눈을 향하는 접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머리(17)를 가지는 접촉축(16)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림은 또한 도면에서 수직으로 도시되는 측면도로 보여질 경우에 곡선이 된다. 개략적인 아암(18)은 접촉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림(11)으로부터 연장되며, 림 부착물로서 작용한다. 개략적인 눈꺼풀 견인기(19)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2b는 각각 중력 전달 및 동력 분무 전달을 위한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들 두 도면에서, 용기는 일반적으로 20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병부(21)과 오리피스부(22)를 포함하며, 오리피스는 유체 전달축(23)과 화살표머리(24)로 표시되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한다. 도 2a의 용기는 점적(25)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전달로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점적 궤도가 오리피스에서의 유체 전달 방향과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용기가 수직 위치에서 기울어진 경우는 아닐 것이다. 투시선(26)은 유체 전달 축과 동축인 병의 대칭축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병부가 오리피스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의 용기는 분무 콘(27)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로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상기 콘에서 유체 전달축(23)과 방향(24)는 중심에 있다. 흡출관(28)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구멍(22)에서 병 저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개략적인 작동기(29)는 직접적으로 또는 링크 시스템을 통해 작동되어 분무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3은 도포기의 주요 부분과 이의 주요한 공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포기는 일반적으로 300으로 표기된다. 도포기는 손잡이부(301)를 포함하며, 손잡이부는 일반적으로 말단(302) 및 인접 단부(303)를 가지며 이 사이에 축(304) 및 진한 화살표머리(305)로 도시되어 있는 기부 방향 및 빈 화살표머리(306)으로 도시되어 있는 말단 방향을 규정한다. 도포기(300)는 추가로 용기(307)을 포함하며, 용기의 구멍은 유체 전달축(308)과 화살표머리(309)로 도시된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한다. 도포기(300)는 추가로 본원에서 평평한 접촉면과 컵 형상 공동으로 도시된 세안컵(310)을 포함하며, 접촉면은 접촉축(311) 및 화살표(312)로 도시된 접촉 방향을 규정한다. 도시된 주된 각은 손잡이축의 방향(305)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312)(손잡이/컵) 각(313), 손잡이축과 오리피스 유체 전달 방향(손잡이/구멍) 각(314) 및 구멍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오리피스/컵) 각(315)이다. 상기 도면에서, 언급된 모든 각, 즉, 손잡이/컵 각(313), 손잡이/오리피스 각(314) 및 구멍/컵 각(315)은 예리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더욱이 손잡이/구멍 각(314)은 손잡이/컵 각(313)보다 크며, 구멍 유체 전달 방향(309)은 말단 방향(306)쪽으로 보다 치우져 있으며, 세안컵 접촉 방향(312)은 기부 방향(305) 쪽으로 보다 치우져 있으나, 이 외의 관계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도 4는 세안컵에 대해 대안적인 용기와의 관계를 갖는 도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포기는 일반적으로 40으로 표기되며, 손잡이부(41), 구멍 유체 전달축(43)과 유체 전달 방향(44)을 가지는 용기(42), 및 접촉축(46)과 접촉 바향(47)을 가지는 세안컵(45)을 포함한다. 용기(42)의 구멍 정점은 접촉축(46)에 대해 거리(48)을 갖는다. 또한, 유체 전달축(43)과 접촉축(46)은 대략 평행하고 편심되어 있으며, 유체 전달축(43)이 접촉축(46)보다 보다 인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각각 자동 투여 및 보조 투여에서의 가능한 수동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아암 상태가 약 90도이기는 하지만, 상이한 손잡이는 동등하게 처음 그대로이며, 풀려져 있다.
도 6a, 6b 및 6c는 도포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a는 노출된 용기 시이트와 함께 도포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사용을 위해 제 위치에 있을 때의 도포기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A4 포맷)은 대략 원래 크기로 도포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포기(600)의 주요 부분은 손잡이(610), 용기 부분(630), 세안컵 부분(650) 및 펌프 기구 부분(670)이다. 손잡이는 말단(611), 인접 단부(612), 말단 방향(614) 및 기부 방향(615)를 가지는 손잡이축(613)을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손잡이 말단(611)은 손잡이축이 대략 수직 위치에 있는 도포기의 배치를 위한 기부(616)로서 설계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기부(61)의 밑면에는 병 캡의 제거 및 부착을 보조하는 병의 캡에 적용되는 홀이 구비된다. 기부 말단에, 손잡이는 병축과 사실상 평행인 슬릿(618)을 가지는 개방가능부(617)로 나뉘며, 슬릿은 고정핀(619)와 함께 작용한다. 도 6a에 도시된 개방 상태로부터, 개방가능부(617)는 핀(619) 둘레에 비켜져 있으며, 개방가능부(617)의 내면 상의 고정 레일(62) 및 상응하는 구조와 결합하여 도 6b 및 6c에 도시된 위치로 축상으로 밀려져 핀(619)는 슬릿(618)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개방가능부(617)의 개방은 용기(630)에 대해 시이트(621)을 노출시켜 용기의 삽입 또는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시이트는 병 저부를 노출시키는 후위 개구(622)를 가져, 병 내용물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고, 개방가능부(617)는 상부 개구(623)을 가져, 병 측부, 특히 병 상의 라벨을 관찰가능하게 한다. 개방가능부(617)에는 세안컵(650)이 부착되며, 이후 설명된다. 시이트(621)는 용기(630)을 수용하고, 개방가능부(617)의 폐쇄 후에 공동 내에서 용기(630)을 폐쇄시키고, 용기 개구부 아래에서 플랜지(624)를 결합시키므로써 용기(630)을 잠근다. 용기(630)은 일반적으로 병(631) 및 구멍 부분(632)을 포함하며, 구멍 부분은 유체 전달축(633) 및 유체 전달 방향(634)을 규정한다. 병 대칭축(미도시됨)은 사실상 유체 전달축과 동축인 것으로 추정된다. 세안컵(650)은 일반적으로 림(651) 및 공동(660)을 포함한다. 림(651)은 단축(652)에 평행한 축을 따라 대략적으로 타원형이고 약간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접촉축(653) 및 접촉 방향(654)을 규정한다. 돌출부(655)는 저부 눈꺼풀 견인기로서 작용한다. 공동(660)은 안구에 대한 공간 및 구멍(632)에 대해 안전 거리를 제공한다. 측면 아암(661)은 통합부가 되게 하므로써 림(651)을 개방가능부(617)에 연결시킨다. 상부 공동 개부(662) 및 저부 공동 개구(663)은 공동 및 구멍 구역을 접근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도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손잡이/컵, 손잡이/구멍 및 구멍/컵 각은 예리하며, 구멍 끝은 접촉축과 관련하여 약간 기부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포기는 또한 수동 제어부(671)를 포함하는 펌프 기구(670)를 포함하며, 이는 고정축 샤프트(673)(이 둘레에서 아암은 피봇가능하다)에 대해 말단 방향으로, 그리고 병(631)의 저부 측면에 대해 푸쉬 로드(push rod)(675)를 거쳐 수동 제어부(671)의 내측상의 생힌지(living hinge)(674)로부터 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672)의 일부이다. 수동 제어부(671)의 작동으로 푸쉬 로드(675)는 탄력성이 있는 병(631)을 가압하여 유체를 방출시키고 펌프 메카니즘부를 전복식 운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푸쉬 로드의 최대 변위는 아암(672) 및 푸쉬 로드(675)의 완전히 펼쳐진 위치로 제한되며, 이러한 운동은 가해진 수동적인 힘에 대해 지렛대 증폭을 제공하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기술된 도포기는 성형가능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통합 개방 가능부(617) 및 세안컵 부분(650)은 하나로 성형되며, 림(65)에 대해 별도의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손잡이 부분은 예를 들어, 2개의 절반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분리되거나 힌지될 수 있고, 도 3c에서와 같이 분리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추가의 부분으로서 펌프 기구(670)이 있을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지금까지 공지된 장치보다 우수하게 상기 기술된 일반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목적은 눈에 소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에 적합한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유체 잔류물, 과흐름 또는 손실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눈의 표적 부분 중의 제조물의 위치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있다. 추가의 목적은 다양한 몸체 자세에서 처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변형된 몸체 위치 및 기술적 및 생리학적 능력에 대한 요건으로부터 환자의 긴장을 경감시키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투여량을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를 보조하는 투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추가의 목적은 환자 또는 보조자에 의한 사용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재충전, 개시, 조절, 세척, 취급 및 제조와 같은, 중간 처리 상황 이외의 적합한 부수적 성질의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들 목적은 첨부된 청구의범위에 기재된 특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도포기는 첫번째 위치에서, 소량을 전달하도록 눈을 향해 하나 이상의 방울을 전달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도포기는 손잡이, 용기 및 세안컵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초기에 규정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주축 및 주방향을 갖는다.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의 실제 각도를 형성시킴으로써, 한편으로는 상승 아암 및 손의 부적합한 해부학적 상황을 눈에 대한 수용 방향을 갖는 부분의 공축 배열까지의 라인에 대해 최대로 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 및 제동 버튼과 같은 이것의 조절부를 편리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손잡이와 얼굴 사이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2가지 모순된 요건에 의해 최적 관계가 달성된다. 사실상, 전체적으로 이완된 상태로 사람의 손이 표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손잡이는 자연스럽게 눈의 시야에 대해 기술된 실제각을 실제로 점유할 것이다. 여전히, 손잡이는 하나로 맞추지지 않고, 대안적이지만 수개의 손잡이가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에게 동일한 편리함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거나, 충분한 손바닥 접촉으로 폐쇄되며, 이들 모두는 손잡이의 임의의 측면에 위치한 제동 버튼에 대한 용이한 접근과 양립할 수 있다. 몸체에 비해 비교적 낮은 팔의 위치는 예를 들어 누울 필요 없이 점적 전달을 보조하기 위해, 머리를 뒤로 젖힐 때에 유지되는 이완된 손잡이에 대한 많은 여유 및 여분을 제공한다. 기술된 손잡이 관계가 건 또는 공구의 관계와 유사성을 갖지만, 본 경우는돌출한 세안컵에 대한 손의 위치가 완전히 상반되기 때문에, 전적으로 상이함이 관찰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는 보조자가 자연적으로 환자를 향해 도포기를 향하게 하는 데에 있어서 건 또는 공구에 대한 표준 손잡이를 사용할 것이므로, 보조 조작자에 의한 사용에 동등하게 적합한 도포기의 규정된 목적을 충족시킨다. 유사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구벙 유체 전달 방향 사이의 각도 관계가 유사하게 고려된다. 구멍이 예를 들어 소형 병의 형태로 손잡이로부터 분리된 용기의 일부인 경우, 부수적 목적 중 수가지가 달성된다. 병은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서 용이하게 부착되고 대체될 수 있으며, 이것은 개방을 위한 자유 구멍을 갖고 검사를 위해 접근할 수 있는 측면 및 바닥 단부를 갖는다. 도포기가 지지체 상의 원위 단부를 갖도록 위치하는 경우, 병의 내용물은 자연적으로 구멍으로부터 배출되어 오염 문제를 감소시킬 것이다. 구멍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 사이의 정확한 각도는 점적 전달 동안 머리의 젖힘을 위한 요건을 감소시켜서, 편안함을 개선시키고 응용 범위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눈에 대해 방사상보다는 약간 접선인 방울 충돌은 부가적으로, 감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눈의 경계 내에서 액체를 유지시키 위해 더 낮은 눈꺼풀 수축기와 결합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구멍에 대한 더욱 근위에 있는 위치를 갖는, 구멍 유체 전달축과 세안컵 접촉축 사이의 편심적 배열은 더 낮은 눈꺼풀 아래의 편심적이고 상향으로 변위된 눈의 위치 사이의 모든 방향에 대해 허용될 수 있는 표적 부분을 확대시킴으로써 적합한 전달에 대한 기회를 매우 증가시킨다. 기술된 장점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되어, 다양한 목적을 위한 결합적, 상승적 또는 다중적 장점을 달성시킬 수 있음이 자명하다.
추가의 더욱 특정화된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일반
도입부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도포기는 의료 분야 내 및 그외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용기 내에서 그리고 임의의 목적으로 화학약품, 조성물 또는 혼합물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제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기술된 이유로, 시스템은 설계 제한이 대부분의 다른 응용에서보다 더욱 심한 경우에, 그리고 본 발명이 주로 기술되는 전후관계에서, 의료적 전달 장치와 관련하여 일정한 특정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원리는 광범위하게는 눈 도포기 및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기 내용물은 펌프 메카니즘의 사용 또는 사용없이 구멍을 통해 전달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기체상 운반 매질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미립 또는 분말 조성물은 공지된 전달 메카니즘의 사용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물질은 유체, 바람직하게는 에멀션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이다. 이들 관찰은 최종 제조물에 관한 것이며, 다른 성분, 특히 고체가 최종 제조 전에 존재할 수 있다. 용기 내용물의 상태는 또한, 광범위하게는 약제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가장 통상적으로는 약제가 공장에서 제조되더라도, 용기 내로 사전 충전되고 방출되는 천연 성분 및 체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서두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녹내장의 치료용 제조물에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조물은 결합 스트림의 형태로 눈을 향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물은 하나, 수가지 또는 다중 불연속 입자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물의 성질에 의존하여, 입자는 "방울" 등의 개념이 또한 다른식으로 제시되지 않는 한은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고체 또는 바람직하게는 액체일 수 있다. 이렇게 규정된 방울에 대해 공통적인 것은, 이들의 형태가 표면장력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이들의 방울 형태에 의해 영구적 형태 및 액체 방울에 의해 고유 성질의 고체 입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스트림과는 대조적으로, 이것의 형태는 역학적으로 그리고 불안정성인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눈을 향한 방울을 촉진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원리적 힘은 사용되는 일반적 전달 원리를 규정한다. 바람직한 원리는 중력 전달성 및 동력학적 전달성이며, 초기 궤도가 방울 속도, 특히 분무 전달을 규정하고, 이것의 각각의 장점은 상이한 응용 및 상이한 목적으로 논의되고 이용될 수 있다. 분무 전달은 도포기 배향과 전적으로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중력에 의한 방울 전달은 본 발명에 의해 도입되는 정확도를 갖는 유연성으로부터 특정 방식으로 잇점이 있다.
세안컵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많은 장점은 또한, 도포기의 세안컵 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단 조작자는 장치 배향 및 안정화에 대한 반응성을 취한다. 그러나, 세안컵 부분이 이들 반응성으로부터 조작자의 긴장을 경감시키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기에 대한 적합한 세안컵은 최소한 하나의 림 및 공동을 포함한다.
림의 용도는 도포기와 얼굴 사이의 접촉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눈에 대한 예정된 위치에서의 도포기의 자체 센터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촉은 이마, 코 및 턱과 같은 얼굴의 어느 부분에 대한 것일 수 있지만, 림이 눈구멍과 접촉하는 경우에 더 우수한 센터링이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림"은 가장 우수한 센터링을 위해 2차원으로 분포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3개 또는 수개의 접촉 지점으로서 광범위하게 이해된다. 이들 지점은 하나 또는 수개의 연속 가장자리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속 루프로서 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접촉 지점을 "접촉 곡선"에 연결시키도록 라인이 그려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이론적 얼굴 접촉 지점이 림에 의해 실제로 접촉되지 않고, 폐쇄된 연속 림의 경우에 접촉 곡선 및 림 가장자리가 일치하게 됨을 나타낸다. 접촉 곡선을 함유하도록 그려진 평면은 이론적 "접촉 평면"을 형성한다. 평면에 수직으로 그려진 라인은 눈을 향한 도포기로부터, 또는 림을 향한 공동으로부터 또 다른 방식으로 축을 따라 "접촉축" 또는 "접촉 방향"을 형성한다. 접촉축 및 접촉 방향은 장치와 관련하여 이들이 접촉 곡선 내에 집중되는 경우, 또는 환자와 관련하여 이들이 안구에 대해 방사상인 경우에, "대칭형"으로 간주된다. 적합한 림 형태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에 대해 매우 중요하지는 않다. 유사한 손잡이를 사용하여 양쪽 눈 모두에 대해 동등하게 유용해지도록 좌우 대칭인 림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눈구멍에 대한 크기 및 형상으로 개조된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접촉 곡선을 갖는 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상화된 형태를 통한 접촉 평면은 타원형의 단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종종 약간 굽어져 있을 지락도 평평할 수 있다. 림은 공지된 방식으로, 눈꺼풀을 변위시키고 유지시키도록 최소한 더 낮지만, 바람직하게는 또한 더 높은 눈꺼풀과의 특정 접촉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접촉 방향으로 눈꺼풀 수축기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적으로, 림은 최소한 임의의 눈꺼풀 수축기 부분에서 편안함을 위한 연질 가장자리 및 바람직하게는 고마찰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림은 공동 부분과 일체화될 수 있지만, 분리된 부분이 자유 재료 또는 색 대비 선택을 위해 공동 부분에 부착되거나, 접착되거나 융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공동은 돌출 안구에 대한 접촉 곡선 경계 내에서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안구의 전방에 있는 임의의 부분, 특히 추가로 설명하려는 구멍에 대해 안구에 대한 안전한 거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동은 광범위하게는, 상기 목적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구성인 것으로 이해된다. 공동은 세안 배쓰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진정한 컵일 수 있지만, 그 자체로 마찰은 없으며, 예를 들어 개방 및 폐쇄용 구멍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제조물 축적을 방지하고 세척을 촉진시키고, 보조 조작자가 구멍 배향 및 전달을 가시적으로 모니터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등을 위하여 더욱 개방된 설계를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또는 수개의 아암이 에를 들어 케이지형 설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최소 요건은 공동 구조가 림에 대한 지지체 및 부착물, 예를 들어 접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림으로부터 연장한 단일 아암 또는 바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세안컵은 눈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용기의 구멍에서, 그리고 특히 림의 접촉 곡선 내에서 배열된다. 관련성은 점적 전달에서의 특정 자유로움과 함께 사용되는 전달 원리에 의존하지만, 구멍이 접촉 방향, 접촉 곡선 및 곡선 내에서의 접촉 방향에 따르는 돌출부의 반대쪽에서 관찰하였을 때 뒤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방향과 평행한 유체 전달 방향 성분에 의해 공동 내로 뾰족해지거나 공동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임의의 예견할 수 있는 개별적 해부에 대해 안구와의 접촉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8mm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의 거리에서 이러한 접촉에 대한 환자의 긴장을 방지하도록, 구멍 정점과 접촉 평면 사이에 일정한 안전 거리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 구조를 통한 림의 상기 지지 및 부착이 용기 또는 이것의 구멍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비방해 대체물 또는 용기를 제공하도록 손잡이 부분에 림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제조물용 용기는 눈에 1회 전달용 단일 용량, 예를 들어 GB 2.255.918호 또는 WO 96/06581호로부터 공지된 계수 장치에 연결된 장치의 투여 위치 내로 간헐적으로 공급하려는 용기의 각각의 투여 용량 또는 밴드의 분리 대체 가능한 용기를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다중 투여를 위한 수가지 용량을 함유한다. 용기는 병 부분 및 제조물을 눈을 향해 통과시키기 위한 제조물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멍은 전달 원리가 사용되는 지에 의존하여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멍의 최종 부분은 채널 내에서 집중된 "유체 전달축" 및 이것의 흐름,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눈으로 향하는 흐름 방향으로의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는 최종 부분 내의 유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는 채널로서 관찰될 수 있다. 스트림 또는 분무 전달과 같은 운동학적 전달에서, 제조물은 구멍으로부터의 방출 후에 유체 전달 방향으로 눈을 향해 계속 투여되는 것이 통상적일 것이다. 스트림은 유체 전달축을 따라 계속해서 집중될 것이다. 분무는 노즐 유형 및 전달 압력에 의존하여 다양한 샤워 형태 및 편심각으로 주어질 수 있으며, 샤워는 유체 전달축 둘레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노즐은 필요한 경우, 및 흐름 순서 중에 초기에 첨가되지 않는 경우에, 운반 매체, 예를 들어 압축 기체용 분리 유입부를 갖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점적 전달에서, 구멍에서 방출되는 방울(들)은 중력 방향으로 계속되어, 세안컵에 대해, 그러나 수직 하영으로 뾰족해지는 경우에만 유체 전달 방향으로 유체 전달 방향의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 선정을 제공하며, 후자가 가장 간단한 설계 및 방출된 방울의 가장 안전한 위치 선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점적 전달에서, 구멍 물리적 설계는 매우 간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약간의 펌핑 작용 후에만 조절하기 위해, 일시에 한방울보다 많이 방출하지 않도록 충분히 좁아진다.
병 부분은 세안컵과 같은 도포기의 다른 부분,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부분과 일체화되어, 손잡이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물용 공동을 가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병은 장치에서 대체될 수 있는 별개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멍 부분은 특히 구멍 구조가 점적 전달 장치에서와 같이 간단한 경우에 분리되고 교체될 수 있는 반면, 더욱 정교한 구조, 예를 들어 운동학적 노즐 유형이 재사용될 수 있다. 병과 구멍 사이에 관과 같은 도관, 예를 들어 병 바닥으로부터 연장한 관이 존재하여, 구멍에 대해 매우 자유로운 위치선정이 제공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설계는 구멍에 직접 연결된 개구를 갖는 병에 의해 얻어진다. 병의 형태는 중요하지 않지만, 광범위하게는, 병은 개구를 향해 병으로부터의 대칭축을 갖는다. 상기 축은 규정된 바와 같은 유체 전달축에 대한 임의의 각, 예를 들어 직각 또는 둔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병 대칭축이 유체 전달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공축이어서, 병의 완전한 비움 및 병 둘레의 불순물 흐름의 감소를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의 설계 자체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대칭축에 수직인 비원통형 단면 및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각인 단면에 의해 표현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 넓은 축과 좁은 축을 갖는 비회전성 대칭 단면을 갖는 병의 설계를 사용하는 데에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병 구조는 기술된 바와 같은 더 우수한 비움 및 오염 방지의 장점을 가지며, 부가적으로,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더 우수한 병의 유형 확인 및 충전 상태를 제공한다.
기술된 최소 요건 이외에, 용기 성분은 편리함을 위한 다른 특징을 합체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구멍은 대표적으로 개구 뚜껑을 구멍에 나사조임에 의해 각각의 투여 사이에 폐쇄되어, 누출 또는 오염을 방지한다. 이러한 간단한 조작도, 제한된 손의 강도를 갖는 무능력자에 대해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캡과 일체화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고, 일반적으로 폐쇄된 병을 개방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지레적 보조를 제공하는 뚜껑 오프너를 임의의 제조물 병에 포함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예를 들어 상기 기술된 세안컵 공동의 개방 설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을 제조하거나,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에 병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약간의 보조를 제공한다.
손잡이
손잡이는 사용자를 위한 편리한 그립을 제공하며, 나머지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는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전체 손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구형 루프 등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는 접힌 손바닥에 수용되거나 손가락끝에 의해 쥐어질 수 있는 일반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안컵의 경우와 같이, 양손에 의해 사용하고, 두 눈 모두를 위해, 접촉 방향에서 볼 때, 일반적인 좌/우 대칭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연장된 형태는, 대칭 실린더로부터, 손 또는 팔의 해부학적 구조 또는 그립 자체에 의해 규정되는 특징에 대해 미학적 또는 실용적 특징을 갖는 다소 완전한 적합까지, 광범한 견지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형태와 무관하게, 손잡이의 한 부분은 눈 및 눈에서 멀리 떨어진 또 다른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반드시 의도될 것이며, 이들 부분은 각각 근위 방향 및 원위 방향에 대해, 각각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로서 언급될 것이다. 상기 단부는 이들 사이에 "손잡이축"을 규정할 것이다. 위치에 대해, 손잡이 축은 손잡이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매우 복잡한 손잡이 형태의 경우, 축의 중심화는 어려울 수 있지만, 장치 관점에서, 중심화는 그립핑에 대해 특히 고안된 부분 또는 일반적으로, 그립핑에 가장 쉽게 이용되는 세안컵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부분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사용자 관점에서, 중심화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손바닥의 그립 축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세안컵은 원위 단부 보다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근접한 곳에,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최근위 단부에 위치할 것이다. 세안컵이 손잡이에 대해 옆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손과 얼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 것, 즉, 세안컵이 손잡이 축으로부터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손잡이 축으로부터, 원위 단부에 최근접한 곳에 위치하는 접촉 만곡점 또는 가장자리 부분까지의 정상 거리로서 표현되는 경우, 이 거리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일 수 있다. 거리는 일반적으로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2㎝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연장된 손잡이 설계에 대해, 이들 거리는 그립 축에 비례하기 보다는 세안컵에 대한 그립 전방부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구멍이 세안컵 내부를 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한 조건이 구멍에 대해 적용되며, 예를 들어 구멍이 손잡이 근위 단부에 근접하고, 손잡이에 대해 옆으로 이격된 곳에 또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거리는 초기 공지된 안전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용기가 세안컵에 부착된 경우, 이것은 손잡이에 부착될 필요가 없지만, 용기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구멍 부분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손잡이 내의 공동은 용기 또는 적어도 이것의 병 부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포기 부분의 재사용을 위해, 용기 또는 적어도 이것의 병 부분이 별도의 부분이며, 치환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손잡이가 손잡이 상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내부에 용기에 대한 자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은, 이것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라벨,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충전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각각 판독되고, 모니터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개방 또는 투명 윈도우가 손잡이 상의 중요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용기의 가장 가요성인 정위는 용기 병 부분과 구멍 사이에 도관, 예를 들어 흡입관이 존재하는 경우에 가능하며, 병은 본질적으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 자리가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특히, 병이 예를 들어, 낙하 전달에서와 같이 구멍내로의 직접적 연속부를 형성하거나 병 대칭 축 및 구멍 축이 동축인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초기 언급된 배수 및 접근성 측면에 대해 적당하지만, 또한 상기 언급된 병 노출을 위해 적당하며, 기재된 평면 설계가 넓고 협소한 축을 갖는 경우에 더욱 적당한데, 이는 삽입이 용이해지고, 큰 측면 및 바닥 표면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병이 이것의 협소한 횡단면축이 이것의 넓은 축 보다 손잡이 축에 보다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에 적당하다.
용기 또는 병이 손잡이에 부착되는 경우, 단순한 치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 부분이 도포기에 대해 다소 영구적으로 배열되고, 병 부분만이 치환되는 경우에, 병을 임의의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나사산, 베이어닛, 류에르, 마찰, 스냅 록 또는 임의의 다른 맞춤에 의해 구멍에 부착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병이 구멍과 함께 치환되는 경우, 병 및/또는 구멍 부분은 자리에 수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손잡이 부분내에 넣는 데에는 몇몇 잇점, 예를 들어 공간을 절약하고, 병 및 이것의 위치를 보호하고, 쥐어짤수있는 병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잇점이 있다. 이를 위해, 용기가 손잡이내로 그 안의 구멍을 통해 도입될 수 있지만, 손잡이를, 분리 또는 바람직하게는 힌지 메카니즘에 의해 분리되고, 다시 폐쇄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병 자리가 손잡이내에 깊이 묻혀있는 경우, 이것을 전체 횡단면에 대해 나누는 것, 예를 들어 이것의 축에 대해 계속 수직으로, 그러나 이것의 축을 따라 평면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용기 자리가 근위 단부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의 각 조건에 의해 용이해지는 유리한 설계가, 예를 들어, 손잡이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섹션, 가장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축에 대해 규정된 유체 전달 축 또는 병 축과 손잡이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 관계를 갖는 섹션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근위 상단 부분을 만들도록 이루어진다. 개방성 손잡이 부분 사이의 연결은 임의의 공지된 타입,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별도의 힌지 메카니즘 또는 레일 메카니즘을 가져서, 상기 섹션내의 부분 및 이들의 조합체의 이동을 시어링(shear)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장치는 편리한 록킹 및 해제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해제 열쇠를 포함한다. 다수의 섹션 및 구획이, 유일하게 또는 조합된 형태로, 세척 또는 검사를 위해 손잡이를 개방시키도록 추가로 작용할 수 있다.
세안컵이 손잡이에 부착되는 경우, 물리적 연결이 손잡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루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근위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손잡이가 용기의 삽입을 위해 나누어지는 경우, 세안컵을 구획의 근위 부분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안컵은 일반적으로 손잡이 또는 이것의 부분의 일체부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세척, 수송, 치환과 관련된 분리 또는 예를 들어 상이한 해부학적 구조 또는 안전성 요건에 적합한 구멍 거리에 대한 눈에서의 조정성을 위해, 영구적 또는 분리적으로 부착된 별도의 성분으로서 제조된다.
손잡이는 추가의 보조적 상세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기가 평평한 수평 지지체상에 안정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핸드 그립 축,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것의 대칭축이 안전성 요건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성분을 갖도록 풋(foot)을 갖는 원위 단부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풋은 아마도 중력점을 낯추기 위해 광범하거나 증가된 중량을 갖는 원위 단부 평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이것의 주목적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기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내부 부피 및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병뚜껑에 적합한 호울(hole) 도는 기타 그립이 개방 및 폐쇄를 보조하는 도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위 단부 및 존재하는 경우 풋 아래에 있는 위치에 배열된다. 손잡이는 우선적으로 하기 추가 설명되는 펌프 기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펌프 기구
기술된 도포기는 어느 특정의 펌프 기구 없이, 예를 들어 충분한 폭의 구멍으로부터의 중력 전달에 의해 사용되어 스트림 또는 개개의 방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포기 중에 펌프 기구를 포함시키는 것, 예를 들어 방출 모멘트 및 투여량에 대한 조절을 양호하게 하거나 대안적인 전달 방법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구멍을 통한 제조물의 전달을 위한 펌프 기구는 근본적으로 사용되는 용기 및 제조물 유형 또는 특이한 유형에 대해 선택되어야 하는 한 가지 이상의 유형의 펌프를 포함하여야 한다. 펌프는 조절을 위한 용기 및 적합한 밸브 수단중에, 모든 유형의 압력원, 예컨대 기계적 또는 전해질 압력 형성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체 스트림 또는 방울을 통한 매질 및 전달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궁극적으로 분말을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생성물 및 모든 유형의 용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병이 일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탄성인 경우에, 과압을 형성시키는 공통적인 압착 방법이, 특히 저속 점적 전달과 같이 적게 요구되는 적용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 많이 요구되는 적용에서, 예를 들어 분무 전달에서의 투여, 전달 속도, 원자화, 제조물 점도 등의 관점에서, 조절된 양성 배치에 기초를 두는 펌프, 예를 들어 연동 작용에 기초를 두는 펌프, 막 유형 펌프, 바람직하게는 흡입과 같은 주사기 또는 반복된 작용에서의 한 가지 작용을 갖는 분리 실린더 및 피스톤 작용에 기초를 두는 펌프 및 방출 유형 펌프가 바람직하다. 언급된 대부분의 펌프 유형은 구멍과 또 다른 용기 부분 사이의 관 연결부 또는 병과 구멍 사이의 직접 연결부와 양립할 수 있으며, 단, 이들 부분은 구멍을 향한 유체 흐름을 위해 적당한 관계가 유지된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펌프 기구를 갖는 여러개의 용기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제조물 및 담체 매질 또는 구동 및 원자화 매질을 분리적으로 운반한다. 펌프 작용에 요구되는 에너지는 수동 작업이 대부분 충분하고 바람직할지라도, 공지된 어떠한 형태, 예를 들어 기체 압력, 진공, 수력, 탄력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
펌프 기구는 또한 사용자와 실제 펌프 이동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수동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에너지의 경우에, 조절은 트리거, 방출, 예를 들어 밸브 또는 기계적 록킹 장치의 형태로 취해질 수 있다. 수동 작동의 경우에, 조절은 펌프 이동을 수행하는 직접 또는 링크 시스템을 통해 작동기의 형태로 취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링크 시스템은 가해진 손의 힘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예를들어 제조물의 경우에 너무 쉽게 추진되거나, 감소된 행정 길이가 요구되지만, 손힘을 증폭시키거나 작동기에 대한 행정 길이를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지레를 이용한다. 수동 조절부는 어린이에게 안전한 장치를 제조하는 공통적인 조건 또는 무장 록킹 장치와 같은 공통적인 안전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기구는 또한 전달된 투여량을 조절하고 과도하고 반복된 투여량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 조절은 특히 저장된 에너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적당한 펌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는 개방 시간 또는 배출 용적 및 허용되는 배치 범위에 의한 이동가능한 펌프 부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투여량 조절은 대안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동 조절 수단이 작동기의 형태로 취해지는 경우, 유사하게 제한된 행정 길이 또는 압력에 의해 수동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바람직한 링크 시스템은 초기에 벤드에 가해지는 측면 힘에 의해 일직선이 된 곡선 구성을 갖는 전복 유형의 지레를 함께 이용하며, 기구는 지레 작용 이외에 사전 결정된 제한된 가능한 연장화 및 임계 배치의 통과 후에 전술적으로 민감한 임의의 릴리프를 제공한다.
펌프 기구는 용기 위에서 또는 용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손잡이에서나 그 안에서 이것을 다루는 것, 예를 들어 용기 교체를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 조절부는 손잡이상에서 상당히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안컵에 대해 떨어진 면상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하기 쉽게 배치될 수 있지만, 세안컵에 대해 가까운 면상에 이것을 배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부분적인 관계
본 발명에 따라서, 도포기의 주요 부분은 여러 가지 가능한 공간 관계 중 하나 이상을 가져서 제시된 장점을 제공하여야 한다. 하기에 기재되는 각도는 360도 각도 범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정의된 방향으로 벡터 사이의 가장 작은 각도로서 주어진다.
손잡치 축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손잡이/컵)의 접촉 방향은 이들 사이에 예각, 즉 90°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도는 8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5°미만이다. 바람직하게, 각도는 2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이상이다. 이러한 예각 조건은 손잡이 축의 원위 방향이 눈 접촉 방향으로부터의 일직선과 그 선 아래의 수직선 사이에 정해질 것이며, 이들 둘 모두는 기재된 이유로 매우 부적합하다.
유사하게, 손잡이 축의 근위 방향 및 구멍 유체 전달 방향(손잡이/구멍)은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각에 바람직한 일반적인 한계는 손잡이/컵 관계에 대해 이전 단락에 주어진 것과 같다. 그러나, 손잡이/구멍 각도는 손잡이/컵 각도 보다 큰 경우, 바람직하게는 5°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이상 크기지만, 바람직하게는 45°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이하 만큼 큰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렇게 큰 각도에 대한 조건은 서로 관련하여, 구멍 유체 전달 방향이 원위 방향 쪽으로 바뀌고, 세안컵 방향이 근위 방향 쪽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구멍 유체 전달 방향 및 세안컵 접촉 방향(구멍/컵)은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고, 바람직한 범위는 손잡이를 기준으로 근위면상의 세안컵 접촉 방향 및 원위면상의 구멍 유체 전달 방향을 갖는 동일한 바람직한 배열을 갖는 이전 단락에서 "큰" 각도로 주어진 범위이다.
구멍 유체 전달 축 및 세안컵 접촉 축은 서로 편심이며, 구멍은 세안컵 접촉 축에 대해 근위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구멍 끝과 접촉 축 사이의 정상적인 거리는 2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mm 이다.
사용 방법
도포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본질적으로 주해가 있는 성분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야 한다. 장치를 갖는 일체형 용기는 먼저, 가능하게는 고체의 용해와 같은 초기 제조 단계 후에, 장치상의 시트내로 삽입된 별도의 병 또는 제조물로 충전되고, 바람직하게는 병 라벨은 제공된 윈도우를 통해 노출된다. 교체가능한 병은 자체의 구멍을 가질 수 있거나 내장 구멍 배열에 연결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 다음, 분리된 손잡이는 밀폐되고 잠궈질 수 있다. 삽입 전후에, 병 또는 구멍 상의 뚜껑은 예를 들어 기재된 모든 보조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케이스로서 림과 앞면 부분 사이의 안전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눈에 대해 세안컵을 놓는다. 장치가 중력 전달로 작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실질적이지만, 필수적이지 않는 완벽함, 정의된 바와 같은 구멍의 수직 정렬(이것은 헤드 또는 본체의 경사를 필요로 할 수 있다)을 확실하게 한다. 장치가 동력학적 전달로 작동되는 경우, 이것은 헤드 및 본체 위치로 작업할 수 있다. 장치에 손잡이와 같은 수동 조절부가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는 도포기의 적당한 배향 후에 제조물의 투여를 운반하고 손잡이를 방출할 때마다 이러한 조절부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은 손잡이 주위의 그립이 다소 상이할 수 있을 지라도, 자가 투여 및 보조자 지지된 작동 2가지 모두와 유사하다. 사용후에, 도포기는 구멍으로부터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멀리 떨어진 단부에 놓거나 손잡이 축과 함께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제조물의 다수 투여량을 함유하며, 구멍에 대해 밀폐 또는 보호 뚜껑을 재위치시켜 도포기를 완전히 이송가능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반복된 사용에서, 병 라벨을 조사함으로써 제조물 유형을 확인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된 어떠한 윈도우를 통해 하부 단부를 조사함으로써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에 대한 어떠한 보호물이라도 다시 제거되며, 공정이 반복된다. 용기가 비워지는 경우, 병은 가능하게는 밀폐 메카니즘을 위한 키를 풀은 후에, 손잡이 위의 어떠한 구획을 개방시킴으로써 제거된다. 깨끗한 병을 삽입하기 전에, 도포기를 불순물 또는 오염에 대해 조사하고, 예를 들어 세척기중에서 장치를 가동시킴으로써 클리닝시킨 후, 예를 들어 힌지 주위를 밀폐시킴으로써 부품을 재조합시키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Claims (49)

  1.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서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과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구멍을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이트 (구멍은 유체 전달축,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구멍을 갖도록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축을 따르는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구멍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로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에서 손잡이/컵이 이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85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80도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컵의 각이 2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도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세안컵 림이 눈구멍에 맞춰지도록 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세안컵 림이 실질적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 타원형의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6. 제1항에 있어서, 세안컵이 하나 이상의 눈꺼풀 수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7. 제1항에 있어서, 세안컵이 손잡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8.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용기의 병 부분이 손잡이 및 세안컵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9. 제1항에 있어서, 병이 횡단 평면에서 넓은 축 및 좁은 축을 갖는 횡단면을 갖고, 병이 넓은 축보다는 손잡이 축과 더 평행한 좁은 횡단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0. 제1항에 있어서, 구멍이 점적 전달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용기용 시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시이트가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시이트가 병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시이트를 노출시키는 개방성 부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개방성 부분이 근위 단부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6.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원위 단부에서 풋을 가져서 도포기가 수직으로 손잡이 축으로 세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7.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병뚜껑을 수용하도록 개조된 구멍 또는 다른 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8. 제1항에 있어서, 도포기가 펌프 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19.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용기 부분을 압착시킴으로써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0.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수동으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1.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사용자와 펌프 기구 사이의 계면을 형성하는 수동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수동 제어부가 세안컵 측면에서 손잡이 상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3.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전복형 레버 장치를 합체시킨 링크 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4.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가 투여량 제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5.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 구멍 또는 이들 모두가 점적 전달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6. 제18항에 있어서, 펌프 기구, 구멍 또는 이들 모두가 운동학적 전달 및 바람직하게는 분무 전달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7. 제1항에 있어서, 세안컵이 손잡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구멍 유체 전달 방향에서 손잡이/구멍이 이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29. 제27항에 있어서, 손잡이/구멍의 각이 85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80도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손잡이/구멍의 각이 손잡이/컵의 각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더 크지만,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만큼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1. 제32항에 있어서, 구멍 유체 전달 방향 및 세안컵 접촉 방향에서, 구멍/컵이 이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2. 제31항에 있어서, 구멍/컵의 각이 5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이지만,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3. 제31항에 있어서, 구멍 유체 전달 방향이 원위 방향을 향해 더 회전하고, 세안컵 접촉 방향이 근위 방향을 향해 더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4. 제1항에 있어서, 구멍 유체 전달축과 세안컵 접촉축이 서로 편심되며, 구멍이 세안컵 접촉축과 관련하여 근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접촉축과 구멍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mm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6. 제34항에 있어서, 접촉축과 구멍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7.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축으로부터 대부분 원위 단부에를 향해 위치한 접촉 곡선 지점 또는 림까지의 정상 거리가 1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c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cm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38.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서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과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구멍을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이트 (구멍은 유체 전달축,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구멍을 갖도록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축을 따르는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구멍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로서,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구멍 유체 전달 방향에서 손잡이/구멍이 이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손잡이/구멍의 각이 85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80도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5도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0. 제38항에 있어서, 손잡이/구멍의 각이 2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도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1. 제38항에 있어서, 손잡이 구멍의 각이 손잡이의 근위 방향과 세안컵의 접촉 방향 사이에서 손잡이/컵의 각보다 크며, 손잡이/컵의 각보다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더 크지만,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만큼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2. 제38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3.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서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과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구멍을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이트 (구멍은 유체 전달축,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구멍을 갖도록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축을 따르는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구멍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로서, 구멍 유체 전달 방향과 세안컵 접촉 방향에서 구멍/컵이 이들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고, 구멍 유체 전달 방향이 원위 방향을 향해 더 회전하고, 세안컵 접촉 방향이 근위 방향을 향해 더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4. 제43항에 있어서, 구멍/컵의 각이 5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이지만,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5. 제43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6. (a)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 부분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는 이들 사이에서 축을 규정하고, 축을 따라 원위 방향 및 근위 방향을 규정한다), (b) 병 부분과 스트림 또는 점적 전달용 전달 구멍을 갖는 용기 또는 용기용 시이트 (구멍은 유체 전달축, 및 병으로부터 구멍을 통해 축을 따르는 유체 전달 방향을 규정하고, 용기는 원위 단부보다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구멍을 갖도록 배열된다), 및 (c) 림 및 공동을 갖는 세안컵 (림은 접촉 평면, 접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접촉축, 및 공동으로부터 림을 향해 접촉축을 따르는 접촉 방향을 규정하며, 세안컵은 구멍에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로서, 구멍 유체 전달축과 세안컵 접촉축이 서로 편심되며, 구멍이 세안컵 접촉축과 관련하여 근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용 유체 도포기.
  47. 제46항에 있어서, 접촉축과 구멍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mm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8. 제46항에 있어서, 접촉축과 구멍 끝 사이의 정상 거리가 2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49. 제46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으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기.
KR1019997011278A 1997-06-02 1998-05-28 안구용 유체 도포기 KR100555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2082A SE9702082D0 (sv) 1997-06-02 1997-06-02 Eye fluid applicator
SE9702082-0 1997-06-02
PCT/SE1998/001020 WO1998055059A1 (en) 1997-06-02 1998-05-28 Eye fluid appl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285A true KR20010013285A (ko) 2001-02-26
KR100555606B1 KR100555606B1 (ko) 2006-03-03

Family

ID=2040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278A KR100555606B1 (ko) 1997-06-02 1998-05-28 안구용 유체 도포기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1) EP0986354B1 (ko)
JP (1) JP2002502289A (ko)
KR (1) KR100555606B1 (ko)
CN (2) CN1265773C (ko)
AR (1) AR014875A1 (ko)
AT (1) ATE285210T1 (ko)
AU (1) AU734910B2 (ko)
BR (1) BR9809907A (ko)
CA (1) CA2291250A1 (ko)
CZ (1) CZ297161B6 (ko)
DE (1) DE69828275T2 (ko)
ES (1) ES2232951T3 (ko)
HK (1) HK1070555A1 (ko)
HU (1) HUP0002233A3 (ko)
IL (1) IL133200A0 (ko)
NO (1) NO315924B1 (ko)
PL (1) PL188028B1 (ko)
PT (1) PT986354E (ko)
RU (1) RU2215499C2 (ko)
SE (1) SE9702082D0 (ko)
TW (1) TW456247U (ko)
WO (1) WO1998055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100418D0 (sv) * 2001-02-08 2001-02-08 Pharmacia Ab Liquid delivery device and use method
US6758837B2 (en) 2001-02-08 2004-07-06 Pharmacia Ab Liq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077831B2 (en) 2003-12-11 2006-07-18 Stephanie Skolik Ophthalmic fluid dispenser
JP5137956B2 (ja) * 2006-09-29 2013-02-06 テイアサイエ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流体ジェットを用いてマイボーム腺機能不全を治療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642742B2 (en) 2012-10-02 2017-05-09 Harold D. Mansfield Eye drop applicator and drop transfer method
EP3089748A4 (en) 2014-01-02 2017-09-27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Treating ocular neovascularization
JP2017006656A (ja) * 2015-06-18 2017-01-12 参天製薬株式会社 点眼補助具
DE202016002788U1 (de) * 2016-04-28 2016-06-16 Lohmann & Rauscher Gmbh Applikationshilfe für die Behandlung von Wunden
CN110072502B (zh) 2016-12-15 2022-05-06 参天制药株式会社 滴眼辅助器
CN108992242A (zh) * 2018-08-01 2018-12-14 马科 一种眼药瓶点滴器
CN110327153A (zh) * 2019-08-07 2019-10-15 仇星火 一种眼药液点滴仪器
FR3131834B1 (fr) * 2022-01-14 2024-01-12 Philippe Daull Dispositif de délivrance d’une goutte de colly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07728D0 (en) * 1988-03-31 1988-05-05 Dispomed Ltd Device for assisting dispensing
CA1325568C (en) * 1988-06-24 1993-12-28 Pineway (Uk) Ltd. Eye-bath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044898A (en) 1998-12-21
HUP0002233A3 (en) 2001-04-28
DE69828275T2 (de) 2005-12-08
RU2215499C2 (ru) 2003-11-10
SE9702082D0 (sv) 1997-06-02
PT986354E (pt) 2005-04-29
HK1070555A1 (en) 2005-06-24
NO315924B1 (no) 2003-11-17
CN1259031A (zh) 2000-07-05
EP0986354B1 (en) 2004-12-22
JP2002502289A (ja) 2002-01-22
ES2232951T3 (es) 2005-06-01
CN1200659C (zh) 2005-05-11
BR9809907A (pt) 2000-08-01
CZ429099A3 (cs) 2000-08-16
CA2291250A1 (en) 1998-12-10
IL133200A0 (en) 2001-03-19
HUP0002233A2 (hu) 2000-10-28
CN1596852A (zh) 2005-03-23
NO995875L (no) 2000-01-28
TW456247U (en) 2001-09-21
DE69828275D1 (de) 2005-01-27
EP0986354A1 (en) 2000-03-22
AR014875A1 (es) 2001-04-11
CN1265773C (zh) 2006-07-26
WO1998055059A1 (en) 1998-12-10
PL337512A1 (en) 2000-08-28
CZ297161B6 (cs) 2006-09-13
ATE285210T1 (de) 2005-01-15
NO995875D0 (no) 1999-12-01
PL188028B1 (pl) 2004-11-30
KR100555606B1 (ko) 2006-03-03
AU734910B2 (en)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687B2 (en) Eye fluid applicator
US5578021A (en) Eye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US20090182291A1 (en) Eye medicament dispenser
CA2011734C (en) Liquid droplet dispensing apparatus
US8012136B2 (en)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5848999A (en) Dispensing eye drops
EP0347084B1 (en) Ophthalmic device
US20090192443A1 (en)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JPH0337066A (ja) 目薬用点眼具
KR100555606B1 (ko) 안구용 유체 도포기
JP6092194B2 (ja) 液体ディスペンサー
WO1998012511A2 (en) Fluid dispenser
EP3308757B1 (en) Device for ocular administration of fluids
JP2005508666A (ja) 薬液を投与するディスペンサ
PH26430A (en) Liquid droplet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