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203B1 -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203B1
KR100555203B1 KR1019980710864A KR19980710864A KR100555203B1 KR 100555203 B1 KR100555203 B1 KR 100555203B1 KR 1019980710864 A KR1019980710864 A KR 1019980710864A KR 19980710864 A KR19980710864 A KR 19980710864A KR 100555203 B1 KR100555203 B1 KR 10055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rts
weight
average molecular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431A (ko
Inventor
코지 토미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71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2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08B17/04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by using removable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28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C08L2666/3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Abstract

접착제 조성물은 다량의 (1)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0 이상인 카르복실기 함유 접착성분과, 소량의 (2)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아미노기 함유 접착-향상 성분으로부터 제조된다. 그 접착제 조성물은 고온 및 상온에서도 플라스틱에 대한 양호한 상용성, 투명성, 및 접착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발포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플라스틱용 접착제 외에도, 플라스틱접착 시이트, 플라스틱보호 시이트, 접착테이프, 이중코팅접착테이프, 접착라벨, 또는 플라스틱 보호필름에도 유용하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나 접착 시이트와 같은 접착필름으로 사용될 경우에, 그 성분에 함유되어 있는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고온 및 상온에서도 플라스틱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 및 항발포 특성을 나타내고, 더욱이 그 자체로는 양호한 상용성과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한 플라스틱 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폴리카르보네이트(PC)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의 표면에, 그 플라스틱을 보호할 목적으로, 접착테이프나 접착 시이트와 같은 접착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왔다. 투명한 플라스틱에 적용되는 그 필름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내후성, 투명성, 접착력 조절의 용이함 등이 요구된다. 또한, 접착필름의 외관에 있어, 포말이나 발포는 심각할 정도로 치명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의 예방성능, 즉, 항발포성이 역시 요구된다.
다량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거대단량체와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그라프트 폴리머는, 플라스틱에 대한 항발포특성을 향상시키는 상기 요건들을 만족하는 접착제에 사용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왔다.
또한, 관능기를 갖는 주중합체를, 이와 가교결합이 가능한 다른 관능기를 갖는 저분자량 중합체와 혼합하고, 가교결합제로 그 두 중합체를 가교 결합함으로써 제조되는 접착제는 양호한 접착특성 뿐만 아니라 보다 좋은 투명성을 갖는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생성물은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전자의 접착제의 경우, 양끝에 비닐기를 갖는 불순물이 거대 단량체에 남아서 그 생성물의 겔화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투명성(상용성) 뿐만 아니라 공중합가능성의 관점에서도 사용량에 한계가 있다.
한편, 후자의 접착제의 경우, 접착제로서의 중요한 기술적 문제점은 없으나, 그의 항발포성이 완벽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후성, 투명성, 접착력 조절의 용이함 및 항발포특성과 같은 특성을 갖는 접착제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자가 어떠한 문제도 없는 투명한 접착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주중합체와 아미노기를 갖는 저분자량 중합체의 혼합함으로서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항발포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생성물이 내후성, 투명성, 접착력 조절의 용이함 등과 같은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1)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0 이상인 카르복실기 함유 접착성분 및 (2)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접착-향상 성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향상 성분(2) 1∼40중량부를 접착성분(1) 100 중량부에 가하고, 접착성분(1)을 가교 결합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타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의 내용에서 명료하게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0 이상인 접착성분(1) (이하,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조성물(1)"로 나타낸다)의 예로는 다량의 C1-1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그와 공중합이 가능한 0.5∼10 중량%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수지 조성물은 아래의 (a) 및 (b)의 중합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
(a) C1-1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 90∼99.5 중량%
(b) (a)와 공중합이 가능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 0.5∼10 중량%
상기 중에서, 성분(a)는 기초 접착력을 갖는 생성물을 제공하도록 요구되며, 성분(b)는 카르복실기를 접착제 조성물에 도입하도록 요구된다. 성분(b)의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크로톤산,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성분(a) 및 (b)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이 가능한 또 다른 불포화 단량체 0.5∼10 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아미노기를 갖고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접착-향상 성분(2) (이하, "아미노기 함유 수지조성물(2)"로 나타낸다)의 예로는 유리전이온도 (이하 "Tg"로 나타낸다)가 40 ℃ 이상인 다량의 C1-20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3-20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이 가능한 0.5∼10 중량%의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생성물은 아래의 (a) 및 (b)의 중합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
(c) Tg가 40 ℃ 이상인 C1-20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3-20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 : 90∼99.5 중량%
(d) (c)와 공중합이 가능한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 0.5∼10 중량%
상기에서, 성분(c)는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요구되며, 성분(d)로는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피리딘과 같은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각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조성물(1)과 아미노기 함유 수지 조성물(2)은 라디칼중합에 의해 벤조일퍼옥시드 또는 라우릴퍼옥시드와 같은 유기 과산화물 및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과 같은 아조계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액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조성물(1)과 상기 아미노기 함유 수지조성물(2)을 혼화하고, 가교결합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혼화비는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조성물(1) 100중량부에 대해, 아미노기 함유 수지조성물(2) 1∼40중량부이지만, 실제로는 최선의 상용성과 투명성을 얻기 위해,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2) 1∼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접착성능 및 생성물의 항발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교결합제를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가교결합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결합, 에폭시 가교결합, 금속콜레이트 가교결합, 또는 아미노수지 가교결합을 이용하여 행해지는데, 그들 중, 에폭시 가교결합이 특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가교결합의 가교결합제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다기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 크실렌디아민과 같은 다기능 에폭시 화합물; 알루미늄, 니켈, 또는 아연, 등의 콜레이트 화합물; 및 멜라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하여 얻은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고온 및 상온에서도 플라스틱에 대한 양호한 접착특성, 상용성, 투명성 및 항발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플라스틱에 대한 양호한 접착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제로서의 사용에 부가하여, 투명접착 시이트, 투명 플라스틱보호 시이트, 투명접착테이프, 이중코팅접착테이프, 또는 투명라벨과 같은 플라스틱접착필름 또는 투명 플라스틱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투명 시이트나 투명테이프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플라스틱 접착필름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스티렌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에 적용할 경우에는, 기포 및/또는 발포를 방지하는 동시에,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서 나타나는 양호한 접착성능, 상용성, 투명성, 항발포성 등은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조성물(1)의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 함유 수지조성물(2)의 아미노기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효과라고 설명할 수 있다. 즉,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 사이의 이온 인력으로 인해 중합체들이 결합되어 상용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그 상호작용으로 인해 분자간 힘이 접착력을 증대시킨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기능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1)과 아미노기 함유 수지조성물(2)과의 가교결합에서 비롯된다. 즉, 가교결합의 결과로서,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가스가 발생되더라도, 그 물질이 그 가스를 품기 때문에 기포발생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는 양호한 항발포성을 나타내게 된다.
후술할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다수의 예들에 근거하여 제시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이들 예에 사용되는 부 및 %는 중량부 및 중량%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였다.
제조예 1
교반기, 환류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충전 파이프를 갖춘 화학반응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5부, 아크릴산 5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150부를 가하고, 아조(비스)이소니트릴 0.2부를 첨가한 후, 질소기류하 68 ℃에서 8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고형분 함량을 20 %로 조정하여, 점도가 7,20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50,000인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의 화학반응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5부, 아크릴산 5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180부를 가하고, 아조(비스)이소니트릴 0.4부를 첨가한 후, 질소기류하 70 ℃에서 8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을 25 %로 조정하여, 점도가 6,00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3
제조예 1의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100부를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9부(Tg: 105 ℃),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1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깔때기로 2시간에 걸쳐 적하한 후,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8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을 45 %로 조정하여, 점도가 98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4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7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3부를 사용하고, 제조예 3과 같은 설비와 조건으로, 고형분 함량이 45 %이며, 점도가 95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5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5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부를 사용하고, 제조예 3과 같은 설비와 조건으로, 고형분 함량이 45 %이며, 점도가 9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6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부인 단량체를 사용하고, 제조예 3과 같은 설비와 조건으로, 고형분 함량이 45 %이며, 점도가 10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7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6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5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0.5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이후는 제조예 3과 같이 실행하여, 고형분 함량이 45 %이며, 점도가 96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8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6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Tg: 56 ℃) 95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0.5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이후는 제조예 3과 같이 실행하여, 고형분 함량이 45 %이며, 점도가 8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9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6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Tg: -10 ℃) 95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0.5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이후는 제조예 3과 같이 실행하여, 고형분 함량이 45 %이며, 점도가 85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0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13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g: 20 ℃) 99.5부 및 메타크릴산 0.5부를 깔때기로 2시간에 걸쳐 적하한 후,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첨가하고, 5시간 동안 환류 중합했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을 40 %로 조정하여, 점도가 4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 (또는 수평균분자량이 7,4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1
톨루엔 120부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Tg: 48 ℃)를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대신 사용하고, 제조예 10과 같은 설비와 조건으로, 고형분 함량이 40 %이며, 점도가 55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6,000 (또는 수평균분자량이 8,5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2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14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49.8부,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Tg: 155 ℃) 49.8부, 메타크릴산 0.5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깔때기로 2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5시간 동안 환류 중합했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을 40 %로 조정하여, 점도가 20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9,000 (또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3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15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95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5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깔때기로 2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5시간 동안 환류 중합했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을 40 %로 조정하여, 점도가 18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8,500 (또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4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를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대신 사용하고, 제조예 13과 동일한 설비와 조건으로, 고형분 함량이 40 %이며, 점도가 15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8,500 (또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제조예 15
제조예 1과 동일한 화학반응기에, 톨루엔 140부를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90 ℃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49.8부,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49.8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0.5부, 및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깔때기로 2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아조(비스)이소니트릴 1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5시간 동안 환류 중합했다. 반응 완결후,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을 40 %로 조정하여, 점도가 25 cp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9,000 (또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0)인 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3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가하고, 가교결합제로서 에폭시레진인 테트라드C 0.05부를 추가로 첨가한 후, 25 ㎛ 두께의 접착층을 얻기 위해 그 혼합물을 두께 25 ㎛인 알루미늄 증기석출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다시 열건조하고, 실리콘 코팅된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분리제로 접착층을 커버하여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2
제조예 4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3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4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3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5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25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6
제조예 8에서 얻은 중합체 3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7
제조예 8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8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4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9
제조예 13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10
제조예 14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11
제조예 15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만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2
제조예 6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3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2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4
제조예 7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5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5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6
제조예 9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7
제조예 5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가하고, 25 ㎛ 두께의 접착층을 얻기 위해 그 혼합물을 두께 25 ㎛인 알루미늄 증기석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다시 열건조하고, 실리콘 코팅된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분리제로 접착층을 커버하여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8
제조예 10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9
제조예 10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0
제조예 11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1
제조예 11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2
제조예 12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3
제조예 12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4
제조예 13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5
제조예 14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비교예 16
제조예 15에서 얻은 중합체 10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중합체 100부에 첨가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필름을 제조했다.
시험예 1
<접착 시험>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16에서 제조된 접착필름의 접착력을 180°박리 접착측정 및 일정 하중(constant-load) 박리 접착측정을 통해 시험했다.
180°박리 접착측정은 접착필름의 너비를 20 mm, 시험패널의 재질을 폴리카르보네이트로 하고, JIS Z 0237 8절에 따라 실시하여, 박리 속도를 300 mm/min에서 시험필름을 시험패널에 놓은 지 20분 및 24시간 후의 박리강도를 측정했다. 일정 하중 박리 접착측정은 시험필름의 치수를 20/50 mm으로 하여 실시하고, 60분 동안 300 g의 하중에 의한 전위(dislocation)도를 측정했다. 그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
표 1
시험예 2
<접착 시험>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16에서 제조된 접착필름의 전단접착(유지력), 항발포성, 및 투명도를 측정했다.
전단 접착측정은 JIS Z 0237 11절에 따라, 너비 20 mm의 시험접착필름을 스테인레스스틸 패널에 놓고, 20/20 mm의 접착면적에 대해, 40 ℃에서 1 kg의 하중에 의한 전위를 측정했다. 항발포성을 평가하기 위해, 치수가 50/50 mm인 접착필름을 폴리카르보네이트 패널에 하루동안, 80 ℃에서 1시간 동안 정치한 후, 육안검사를 통하여 외관의 발포상태를 검사하고, 후기의 판단기준에 따라 등급을 매겼다.
<항발포성에 대한 판단기준 등급>
등급 접착면의 상태
◎ 무발포, 검체에 0∼20의 인식가능한 기포
○ 무발포, 검체에 21∼50의 인식가능한 기포
△ 무발포, 검체에 51∼100의 인식가능한 기포
× 뚜렷한 발포, 또는 101 이상의 인식가능한 기포
<투명도에 대한 판단기준 등급>
등급 접착면의 상태
◎ 완전 투명
○ 약간 어두움
△ 보통 어두움
× 아주 어두움
<결과>
표 2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고온 및 상온에서도 플라스틱에 대한 양호한 상용성, 투명성 및 접착특성을 가진다. 더욱이, 그러한 조성물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접착테이프나 플라스틱접착 시이트와 같은 제품은 발포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통상의 플라스틱용 접착제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접착 시이트, 플라스틱보호 시이트, 접착테이프, 이중코팅접착테이프, 접착라벨, 또는 플라스틱보호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접착용 접착제로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1)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0 이상인 카르복실기 함유 접착성분, (2)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아미노기 함유 접착-향상 성분 및 (3) 가교제를 함유하며, 접착성분(1) 100중량부에 접착-향상 성분(2) 1∼40중량부를 가하여 가교제(3)에 의하여 접착성분(1)을 가교하여 제조되는 접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성분(1)이 다량의 C1-1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이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 0.5∼10 중량%와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접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접착-향상 성분(2)가 40 ℃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다량의 C1-20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3-20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이 가능한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불포화단량체 0.5∼10 중량%와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접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접착-향상 성분(2)의 아미노기가 제3급 아민인 접착제 조성물.
  5. (1)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0 이상인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접착성분 및 (2)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접착-향상 성분을 함유하며, 그 접착성분(1) 100중량부에 접착-향상 성분(2) 1∼40중량부를 가하여 제조되는 접착제 조성물로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접착필름.
  6. 청구항 5 기재의 플라스틱 접착필름을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스티렌 수지인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
KR1019980710864A 1997-05-13 1998-05-12 접착제 조성물 KR10055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864A KR100555203B1 (ko) 1997-05-13 1998-05-12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7488/1997 1997-05-13
US8/998,905 1997-12-11
US08/998,905 1997-12-11
KR1019980710864A KR100555203B1 (ko) 1997-05-13 1998-05-12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431A KR20000022431A (ko) 2000-04-25
KR100555203B1 true KR100555203B1 (ko) 2006-05-23

Family

ID=4174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64A KR100555203B1 (ko) 1997-05-13 1998-05-12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505A (ko) * 2017-04-10 2018-10-18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5878A (ja) * 1989-05-19 1990-12-19 Nitto Denko Corp 膨脹型粘着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5878A (ja) * 1989-05-19 1990-12-19 Nitto Denko Corp 膨脹型粘着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505A (ko) * 2017-04-10 2018-10-18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2306382B1 (ko) 2017-04-10 2021-09-29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431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8339B1 (en) Adhesive composition
US20160185083A1 (en)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4753196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を用いた光学部材用粘着シート
JP5015648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5048994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2006002140A (ja) 粘着剤用重合体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1240830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10085543A (ko) 감압성 접착 시이트, 및 기능성 필름의 고정방법
JP2012012537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該粘着剤を用いた光学部材
EP0912648B1 (en) Adhesive composition
CN113528065B (zh) 丙烯酸系压敏胶组合物、其制品及相关制备方法
US11384263B2 (en) Adhesive compound in particular for curved surfaces
US20160209566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020011341A (ko) 감압성 접착 시이트 및 기능성 필름의 고정방법
KR100385720B1 (ko) 재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이용한 라미네이트
JPH10168407A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TWI793330B (zh) 雙面黏著帶
JPH1112553A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透明粘着フィルム
KR100555203B1 (ko) 접착제 조성물
JPH06340851A (ja) 金属薄膜層を有する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3444423B2 (ja) カルバメート官能性モノマーを含む紫外線硬化性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から調製された接着剤
JP7019782B2 (ja) 光拡散粘着フィルム
JP7339323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7339322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7121171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