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579B1 - 표시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579B1
KR100554579B1 KR1020040062748A KR20040062748A KR100554579B1 KR 100554579 B1 KR100554579 B1 KR 100554579B1 KR 1020040062748 A KR1020040062748 A KR 1020040062748A KR 20040062748 A KR20040062748 A KR 20040062748A KR 100554579 B1 KR100554579 B1 KR 10055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line
information packet
addres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827A (ko
Inventor
기따무라유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의 통신 회선(L)에 접속 가능한 I/F 회로(17)를 내장시켜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컴퓨터 기기로부터 촬상 동작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화상 데이타에 원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부여해서 통신 회선(L) 상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 및 편리함이 양호한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DISPLAY DEVICE AND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수신 데이타 및 송신 데이타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도.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6은 종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비디오 캡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메모리
2 : 동기 검출 회로
3, 13 : 타이밍 제어 회로
4 : 인터페이스 회로
10 : 캡쳐 보드
11 : CCD 화상 센서
12 : 구동 회로
14 :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
15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16 :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17 : 인터페이스 회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기의 네트워크화에 따라서, 복수의 컴퓨터간에 각종 화상 데이타가 빈번하게 전송되게 되고, 동시에 컴퓨터에 각종 화상 데이타를 취입(capturing)하도록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에 화상 정보를 취입하는 경우, 비디오 캡쳐라 불러지는 확장 보드를 컴퓨터에 장착하고, 이 확장 보드에 접속한 비디오 카메라 혹은 전자 스틸 카메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정보를 소정의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여 취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컴퓨터에 취입된 화상 데이타는 일단 내부 기억 장치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다른 컴퓨터 기기에 전송된다.
도 6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형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통신 회선(L)은 동축 케이블과 트위스트페어(twisted pair) 케이블 또는 광섬유 등으로 구성되고, 서버기(C0) 및 복수의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가 접속된다. 서버기(C0)는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관리한다.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버기(C0) 또는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중 다른 하나 내지 복수개 사이에서 각종 데이타의 전송을 행한다.
서버기(C0) 및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에는 각각 고유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부여되고, 이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기초로 서버기(C0) 또는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가 상호간에 서로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의 각각은 서버기(C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와의 사이에서 데이타 또는 각종 하드웨어의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4)에 대해서는 화상 데이타의 입력 장치로서 카메라(V1, V2)가 접속되어 화상 데이타의 취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메라(V1, V2)로부터 클라이언트기(C1, C4)에 취입된 화상 데이타는 클라이언트기(C1, C4)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일단 기억된다. 이 화상 데이타는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의 임의 1개로부터의 전송 요구에 따라서 원하는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또는 서버기(C0)에 전송된다. 이 화상 데이타의 전송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프로그램에 따라서 1 화면 단위와 1 화면을 분할한 블럭 단위로 행해진다.
또, 네트워크 상에서 카메라(V1, V2)를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카메라 (V1, V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기(C2, C3, C5)로부터 클라이언트기(C1, C4)를 경유하여 카메라(V1, V2)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 데이타의 전송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프로그램에 따라서 1 화면 단위와 1 화면을 분할한 블럭 단위로 행해진다.
도 7은 전자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정보를 클라이언트기(퍼스널 컴퓨터)에 취입하기 위한 비디오 캡쳐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럭도이다. 또 이 도에서는 전자 카메라가 화상 정보를 디지털 데이타(화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캡쳐 보드(10)는 프레임 메모리(1), 동기 검출 회로(2), 타이밍 제어 회로(3) 및 인터페이스 회로(4)로 구성되고, 전자 카메라와 클라이언트기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프레임 메모리(1)는 전자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타를 1 화면 단위로 기억한다. 이 프레임 메모리(1)는 전자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타의 입력 레이트와 클라이언트기로의 화상 데이타의 전송 레이트와의 비에 따른 매수의 화면을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이 부여된다. 동기 검출 회로(2)는 전자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타에 포함되는 동기 성분을 검출하고,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각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 펄스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3)는 동기 검출 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펄스와 클라이언트기 측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서 프레임 메모리(1)에 대응한 화상 데이타의 기입 및 판독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I/F) 회로(4)는 프레임 메모리(1)와 클라이언트기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이밍 제어 회로(3)의 지시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1)로부터 판독되는 화상 데이타를 클라이언트기 측에 전송한다. 또 인터페이스 회로(4)는 타이밍 제어 회로(3)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럽트(interrupt) 지시를 클라이언트기 측에 송출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기 측으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명령을 수취하여 타이밍 제어 회로(3)에 지시를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 카메라(1)로부터 1화면 단위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타가 1 화면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기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1 화면 단위로 클라이언트기에 취입된다.
카메라(V1, V2)가 접속되는 클라이언트기(C1, C4)에는 각 카메라(V1, V2) 및 각각의 비디오 캡쳐에 대응한 제어 프로그램이 인스톨(install)된다. 이 경우, 각 카메라(V1, V2)의 제어는 카메라(V1, V2)가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기(C1, C4) 에서만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V1, V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기(C2, C3, C5)에서 카메라(V1, V2)로부터의 화상 데이타를 취입할 때에는 카메라(V1, V2)가 접속된 클라이언트기(C1, C4)에 일단 화상 데이타를 취입하고, 그 클라이언트기(C1, C4)로부터 화상 데이타를 전송해서 취입된다. 또 카메라(V1, V2)가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는 경우에는 그 제어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기(C2, C3, C5)에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각 클라이언트기(C2, C3, C5)로부터 클라이언트기(C1, C4)를 경유해서 카메라(V1, V2)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각 카메라(V1, V2)는 각각 클라이언트기(C1, C4)를 통해서 통신 회선(L)에 접속된다. 환언하면, 각 카메라(V1, V2)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기(C1, C4)가 필요하다. 따라서, 카메라(V1, V4)를 접속한 클라이언트기(C1, C4)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외의 클라이언트기 (C2, C3, C5)에 인스톨되는 제어 프로그램에 상관없이 각 카메라(C1, C4)의 동작 제어는 할 수 없다. 따라서, 각 카메라(V1, V2)의 설치 장소가 클라이언트기(C1, C4)의 주변으로 제한되게 되고, 각 카메라(V1, V2)의 범용성이 낮게 되어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의 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대응한 범용성이 높은 카메라를 제공하고, 또 네트워크 시스템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특징은 수광한 피사체 화상에 따라서 정보 전하를 발생시키는 촬상 소자,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촬상 장치를 구동하고 상기 피사체 화상을 1 화면 단위로 나타내는 화상 신호를 얻는 구동 회로, 상기 화상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시행하여 신호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회로, 제어 명령에 응답해서 상기 구동 회로 및 상기 신호 처리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 및 정보 패킷이 전송되는 통신 회선에 접속되고 그 통신 회선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취입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에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신호 처리된 화상 신호를 통신 회선에 송출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통신 회선에 직접 접속하고 통신 회선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취입하여 동작시키는 것과 동시에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타를 통신 회선에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특징은 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회선, 상기 통신 회선에 접 속되고 상기 통신 회선으로부터 촬상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패킷을 취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정보 패킷의 내용에 응답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패킷을 상기 통신 회선상에 송출하는 촬상 장치, 및 상기 통신 회선에 접속되고 상기 통신 회선에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 회선상으로부터 상기 제2 정보 패킷을 취입하여 표시 또는 기억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텀에 따르면, 네트워크 통신 회선에 접속된 촬상 장치에 대해서 동일 통신 회선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기로부터 액세스해서 촬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촬상 장치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타를 통신 회선을 통해서 취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소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정보 패킷의 구성도이다. 촬상 소자로서 CCD 화상 센서(11)는 수광면에 복수의 수광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배열되고, 조사되는 광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정보 전하를 각 수광 화소에 축적한다. 또 CCD 화상 센서(11)의 수광면에는 예를 들면 모자이크 상의 칼라 필터가 장착되고, 각 수광 화소가 각각 특정 색성분에 대응하게 된다. 구동 회로(12)는 타이밍 제어 회로(13)으로부터 공급되는 수평 주사 및 수직 주사의 각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다상의 클럭 펄스를 발생하고, CCD 화상 센서(11)의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소정의 순서로 전송 출력한다. 전송 출력되는 정보 전하는 CCD 화상 센서(11)의 출력 부분에서 전압치로 변환되어,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의 양에 대응한 화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촬상 소자로서는 CCD 화상 센서와 다른 MOS 센서 등의 각종 고체 소자 또는 촬상관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4)는 CCD 화상 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해 샘플 홀드, 이득 조정 등의 처리를 시행하여 소정의 포맷에 따른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샘플 홀드에서는 기준 레벨과 신호 레벨이 교대로 반복되는 CCD 화상 센서(11)의 출력으로부터 각 레벨의 차가 취출되고, 이득 조정에서는 1 화면내의 평균 레벨을 소정의 적정한 범위로 안정되도록 화상 신호에 대한 이득이 조정된다.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회로(15)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CCD 화상 센서(11)의 출력 동작에 동기해서 A/D 변환하여 CCD 화상 센서(11)의 각 수광 화소에 대응되는 화상 데이타를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6)은 A/D 변환 회로(1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타에 대해서 색성분의 분리나 각 매트릭스 연산 등의 처리를 시행하고, 휘도 정보를 표시하는 휘도 데이타 및 색 정보를 표시하는 색차 데이타를 생성한다. 또, 디지털 신호 처리부(16)에서는 생성된 휘도 데이타 및 색차 데이타에 대해서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압축 처리를 시행하여 압축 화상 데이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알고리즘에 따른 경우, 1 화면을 8×8 화소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각 블럭마다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 양자화 및 부호화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I/F) 회로(17)은 통신 회선(L)상에서 전송되는 정보 패킷을 취입 하고, 타이밍 제어 회로(13)에 대해서 제어 정보를 공급한다. 이 I/F 회로(17)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일하게 부여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이 어드레스와 통신 회선(L)상의 정보 패킷에 부여된 송신 선두 어드레스와의 일치를 검출해서 정보 패킷을 취입하도록 구성된다. 또, I/F 회로(17)은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6)으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화상 데이타를 통신 프로그램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여, 통신 회선(L)상에 송출한다. 이 때, I/F 회로(17)은 정보 패킷의 헤드 부분에 자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부여함과 동시에 정보 패킷의 송신 선두 어드레스를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회선(L)에는 1 내지 복수의 클라이언트기(퍼스널 컴퓨터)가 접속되고, 각각에 부여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기초해서 소정의 클라이언트기로부터 촬상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I/F 회로(17)이 통신 회선(L)로부터 취입하는 수신 데이타 및 통신 회선(L)에 송출하는 송신 데이타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 소정의 바이트수로 통합된 헤드와 사용자 데이타로 구성된다. 수신 데이타의 헤드에는 촬상 장치에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기의 어드레스(송신원 어드레스)와 촬상 장치 자체의 어드레스(송신 선두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사용자 데이타에는 촬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 포함된다. 또, 송신 데이타의 헤더에는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는 1 내지 복수의 클라이언트기의 어드레스(송신 선두 어드레스)와 촬상 장치 자체의 어드레스(송신원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사용자 데이타에는 화상 정보가 포함된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기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패킷이 수신 데이타로서 촬상 장치로 취입되고, 그 수신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해서 촬상 장치의 동 작이 제어된다. 그리고, 그 촬상 동작에 따라 얻어지는 화상 데이타가 1 내지 복수의 클라이언트기에 대해서 송신된다. 이 화상 데이타의 송신에 관해서는 수신 데이타의 헤드에 포함되는 송신원 어드레스에 회답하는 것, 사용자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지시되는 임의의 1 내지 복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동작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 CCD 화상 센서(11)은 복수의 수광 화소가 행렬 배치된 촬상부 및 촬상부의 수광 화소에 대응해서 복수의 축적 화소가 행렬 배치된 축적부를 가지고 있는 프레임 전송 방식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는 CCD 화상 센서(11)의 수직 주사의 타이밍을 설정하고, 수평 주사 타이밍 신호(HT)는 수평 주사의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각 타이밍은 각각 일정 주기로 설정되고,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의 1 주기가 1 수직 주사 기간(1V)이 되며, 수평 주사 타이밍 신호(HT)의 1 주기가 1 수평 주사 기간(1H)가 된다. 이들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 및 수평 주사 타이밍 신호(HT)는 타이밍 제어 회로(13)에서 I/F 회로(17)에 취입되는 제어 명령 및 일정 주기의 기준 클럭에 기초해서 생성된다. 그리고, 배출 타이밍 신호(DT)는 1 수직 주사 기간의 도중에 CCD 화상 센서(11)의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배출하는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배출 타이밍 신호(DT)에 관해서도 타이밍 제어 회로(13)에서 I/F 회로(17)에 취입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해서 생성된다.
수직 전송 클럭(øv)는 배출 타이밍 신호(DT)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폭을 가지는 배출 펄스(cd)를 발생함과 동시에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에 응답하여 CCD 화상 센서(11)의 수직 화소에 대응한 수의 판독 펄스군(vr)을 발생한다. 배출 클럭(ød)는 배출 타이밍 신호(DT)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폭을 가지는 배출 펄스(dd)를 발생한다. 이 배출 펄스(dd)는 판독 구동 클럭(øv)의 배출 펄스(cd)와 동일 시간폭을 가지고 있다. CCD 화상 센서(11)의 촬상부에 있어서는 각 배출 펄스(cd), (dd)의 작용에 의해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된 정보 전하가 배출된다. 예를 들면, 수광 화소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과잉 전류 전하 흡수용 드레인에 배출 클럭(ød)를 인가하고, 정보 전하의 축적을 제어하는 전극에 수직 전송 클럭(øv)를 인가하도록 하여 정보 전하의 배출 동작, 즉 전자 셔터 동작이 달성된다. 또 CCD 화상 센서(11)의 촬상부 및 축적부에서는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가 판독 펄스군(vr) 및 후술하는 판독 펄스군(sr)의 작용에 의해 축적부의 축적 화소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배출 펄스(cd), (dd)의 종료로부터 판독 펄스군(vr)의 개시까지의 시간(T)에서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된 정보 전하가 축적부의 각 축적 화소에 축적된다.
축적 전송 클럭(øs)는 수직 전송 클럭(øv)의 판독 펄스군(vr)에 대응하는 판독 펄스군(sr)을 발생함과 동시에, 수평 주사 타이밍 신호(HT)에 응답하여 라인 전송 펄스(lt)를 발생한다. 그리고, 수평 전송 클럭(øh)는 수평 주사 타이밍 신호(HT)에 응답해서 CCD 화상 센서(11)의 수평 화소수에 대응한 수의 판독 펄스군(hr)을 발생한다. CCD 화상 센서(11)의 축적부에서는 라인 전송 펄스(lt)의 작용 에 의해 축적부에 인접하는 수평 전송부에 정보 전하가 1 행씩 판독되고, 그 1 행분의 정보 전하가 판독 펄스군(hr)의 작용에 의해 직렬로 판독된다. 이것에 의해, 1행 단위로 연속하는 화상 신호가 CCD 화상 센서(11)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은 CCD 화상 센서(11)의 동작에 있어서, I/F 회로(17)로부터 타이밍 제어 회로(13)에 공급되는 제어 명령은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의 주기와, 배출 타이밍 신호(DT)의 발생 타이밍 등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의 주기에 따라 단위 시간당의 화면수(프레임 레이트)가 설정되고, 수직 주사 타이밍 신호(VT)에 대하는 배출 타이밍 신호(DT)의 위상차에 따라 수광 화소의 정보 전하의 축적 시간(노광 시간)이 설정된다.
CCD 화상 센서(1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4)에서, CCD 화상 센서(11)의 출력 동작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가 시행된 후, A/D 변환기(15)에서 화상 데이타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6)에 입력된다. 그리고, 화상 데이타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6)에서 화상 데이타가 압축 처리된 후 I/F 회로(17)에 입력된다. 이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6)의 처리 동작에서, 제어 명령은 압축 처리의 조건, 즉 압축 처리의 방식이나 압축율 등을 설정한다.
I/F 회로(17)에 입력된 화상 데이타는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그램에 대응한 소정의 바이트 수마다로 통합되고, 또 전송 선두 어드레스와 자신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헤드가 붙여진 정보 패킷을 형성한다. 이 정보 패킷의 형성에서 제어 명령은 정보 패킷의 포맷과 전송 선두의 각 어드레스 등을 설정한다.
이상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기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통신 회선(L)과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네트워크 상의 임의 클라이언트기로부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임의 클라이언트기에 대하여 화상 데이타르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는 도 6과 동일한 클라이언트/서버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신 회선(L)은 동축 케이블과 트위스트페어 케이블, 또는 광섬유 등으로 구성되고, 서버기(C0), 복수의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및 복수의 카메라(V1 내지 V3)가 접속된다. 또한 통신 회선(L)에는 인터페이스를 내장한 디스플레이(D1)이 접속된다.
서버기(C0)은 도 6과 마찬가지로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한다.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버기(C0)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한다. 각 카메라(V1 내지 V3)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정보 패킷 단위로 통신 회선(L)상에 송출한다. 표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D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내장하고,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또는 서버기(C0)의 지시에 응답해서 카메라(V1 내지 V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타를 취입하여 1 화면 단위로 표시한다.
서버기(C0),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각 카메라(V1 내지 V3) 및 디스 플레이(D1)에는 각각 고유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지고, 이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기초로 서버기(C0),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카메라(V1 내지 V3) 또는 디스플레이(D1)가 임의로 지정된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 각각은 서버기(C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에 대해서 원하는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메라(V1 내지 V3)에 대해서 촬상 동작의 제어 및 화상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떨어져 배치되는 디스플레이(D1)에 대해서 카메라(V1 내지 V3)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타를 전송하고 표시시킬 수 있다.
이상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각 카메라(V1 내지 V3)가 각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와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전체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로부터 각 카메라(V1 내지 V3)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디스플레이(D1)가 카메라(V1 내지 V3)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기(C1 내지 C5)와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D1)의 표시를 떨어진 위치로부어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D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디스플레이(D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내장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인터페이스(I/F) 회로(21)은, 도 1에 도시한 I/F 회로(17)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상에서 유일하게 부여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유지하고, 이 어드레스와 정보 패킷에 부여되는 송신 선두 어드레스와의 일치를 검출하여 정보 패킷을 취입 한다. 정보 패킷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데이타와 각종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제어 데이타가 포함되고, 이들 중 화상 데이타가 화상 메모리(22)에 공급되고, 제어 데이타가 타이밍 제어 회로(28)에 공급된다.
화상 메모리(22)는 적당한 프레임 수 분량의 화상 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고, I/F 회로(2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타를 순차 기억함과 동시에 기억된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독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23)에 공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3)은 화상 메모리(2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타에 대해서 화소 밀도 변환과 오차 확산 등의 처리를 시행한다. 또 화상 데이타가 압축 처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압축 방식에 대응한 확장 처리를 시행함과 동시에 데이타 배열을 표시계에 대응하도록 변환한다. 예를들면, 화상 데이타에 JPEG 알고리즘에 따른 압축 처리가 시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압축된 화상 데이타에 대해서 복호화, 역양자화 및 IDCT(Inversed 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 처리를 시행해서 8×8 화소 단위로 확장 화상 데이타를 생성한다.
D/A 변환 회로(24)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3)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타를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5)는 D/A 변환 회로(24)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해서 왜곡 보정과 블러킹 등의 처리를 시행하여 소정의 포맷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회로(26)은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타이밍 제어 회로(28)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동기 신호에 따른 타이밍에서 LCD 패널(27)에 공급한다. 표시 디바이스로서 LCD 패널(27)은 행렬 배치되는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가지고 있 고, 각 표시 화소에서 화상 신호에 대응한 영상을 표시한다. 또 표시 디바이스로서는 LCD 패널로 제한되지 않고 CRT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 그 외의 표시 기기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이밍 제어 회로(28)은 I/F 회로(2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데이타에 기초해서 LCD 패널(27)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 회로에 공급함과 동시에 그 동기 신호에 동기한 각종 타이밍 신호를 각부(22 내지 25)에 공급하고, 각각의 동작을 동기시킨다. 또 타이밍 제어 회로(28)에 있어서는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지시되는 각종 신호 처리 조건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23)과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5)의 신호 처리 조건를 지시한다. 예를들면, 화상 데이타의 압축 방식과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고, 화상 데이타를 정확하게 확장하여 소정의 주기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통신 회선(L)에 직접 접속하여 클라이언트기 또는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의 배치 위치를 클라이언트기의 배치 위치와는 무관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서버형의 네트워크를 예시했지만 그 외의 방식, 예를 들면 피어투피어(peer to peer)형에 있어서도 적용은 용이하다. 또 브리지와 게이트웨이에 의해 복수의 네트워크가 상호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컴퓨터를 촬상 장치와의 접속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통신 회선에 직접 접속할 수 있 도록 되고,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촬상 동작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통신 회선에 접속되는 1 내지 복수의 클라이언트기와, 동일한 통신 회선에 병렬로 접속되는 1 내지 복수의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서 임의로 촬상 동작의 제어 및 화상 데이타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통신 회선이 접속 가능한 위치라면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를 단독으로 설치하고, 떨어진 장소에 배치된 클라이언트기로부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임의의 클라이언트기에 대하여 화상 데이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 있어서, 카메라에 IP 어드레스를 부여해둔다면 인터넷상의 모든 단말로부터 그 카메라에 대해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범용성이 확대되는 것과 동시에 네트워크 시스템의 간략화가 얻어지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패킷이 전송되는 통신 회선에 접속되고, 상기 통신 회선으로부터 상기 정보 패킷을 페치(fetch)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상기 정보 패킷에 포함된 상기 화상 정보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제공된 상기 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신호 처리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내에서 고유한 인히어런트(inherent)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인히어런트 어드레스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정보 패킷에 첨부되는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어드레스 사이의 일치를 검출하여 상기 정보 패킷의 취입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 패킷에 포함된 상기 화상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회선;
    상기 통신 회선에 접속되고, 수신기 어드레스가 상기 화상 정보에 첨부되는 상기 정보 패킷을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정보 패킷을 상기 통신 회선에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및
    상기 통신 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 정보에 첨부된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정보 패킷을 페치하고 표시하는 표시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통신 회선으로부터 상기 정보 패킷을 페치하며, 상기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인히어런트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상기 인히어런트 어드레스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송신된 정보 패킷에 첨부된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나타난 어드레스 사이의 일치를 검출하여 상기 정보 패킷의 취입을 허용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에 연결된 제 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통신 회선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정보 패킷은 상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중 하나와 상기 표시 장치중 하나 사이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40062748A 1997-12-08 2004-08-10 표시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100554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7-00337078 1997-12-08
JP33707897A JP3649883B2 (ja) 1997-12-08 1997-12-08 撮像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33A Division KR100501851B1 (ko) 1997-12-08 1998-12-07 촬상장치및네트워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827A KR20040075827A (ko) 2004-08-30
KR100554579B1 true KR100554579B1 (ko) 2006-02-24

Family

ID=183052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33A KR100501851B1 (ko) 1997-12-08 1998-12-07 촬상장치및네트워크시스템
KR1020040062748A KR100554579B1 (ko) 1997-12-08 2004-08-10 표시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33A KR100501851B1 (ko) 1997-12-08 1998-12-07 촬상장치및네트워크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438587B2 (ko)
JP (1) JP3649883B2 (ko)
KR (2) KR100501851B1 (ko)
TW (1) TW4041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0709B1 (en) * 1997-12-04 2005-08-16 Pentax Of America, Inc. Integrated internet/intranet camera
US7194474B2 (en) * 1999-12-01 2007-03-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ocessing test information
JP4286420B2 (ja) * 2000-02-18 2009-07-01 Hoya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カメラ
JP2001238199A (ja) * 2000-02-25 2001-08-31 Asahi Optical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カメラシステム
JP4262384B2 (ja) * 2000-02-28 2009-05-13 Hoya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カメラ
US20050213146A1 (en) * 2000-03-24 2005-09-29 Parulski Kenneth A Configuring image storage products to provide selected imaging services
US20020036990A1 (en) * 2000-09-11 2002-03-28 Ben Chodor Still picture capture, editing and distribution system utilizing a publicly accessible wide area network
US7562380B2 (en) * 2000-10-27 2009-07-14 Hoya Corporation Internet camera system
FR2835366B1 (fr) * 2002-01-29 2004-06-18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formation d'un signal numerique compresse reduit
US20040201688A1 (en) * 2002-03-18 2004-10-14 Eastman Kodak Company Accessing image files stored in a digital camera by a host computer
GB0300056D0 (en) * 2003-01-03 2003-02-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sensor
JP4333263B2 (ja) * 2003-07-30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装置
US7552242B2 (en) * 2004-12-03 2009-06-23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having processor and switch capabilities
JP2007228019A (ja) * 2006-02-21 2007-09-06 Olympus Corp 撮像装置
US9166883B2 (en) 2006-04-05 2015-10-20 Joseph Robert Marchese Network device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TW200948079A (en) * 2008-05-08 2009-11-16 Fitivision Technology Inc Image surveillance system and a method
US10244080B2 (en) * 2013-03-15 2019-03-26 VCE IP Holding Company LLC Accessing multiple converged IT infra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0381B2 (ja) * 1993-06-24 2005-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対応カメラおよびネットワーク対応カメラから得られる画像の処理方法
SG67927A1 (en) * 1993-10-20 1999-10-19 Videoconferencing Sys Inc Adaptive videoconferencing system
US5689242A (en) * 1994-07-28 1997-11-18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Connecting a portable device to a network
JP3893480B2 (ja) * 1994-09-28 2007-03-14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電子カメラ
US5606365A (en) * 1995-03-28 1997-02-25 Eastman Kodak Company Interactive camera for network processing of captured images
US6122005A (en) * 1995-04-14 2000-09-19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system having list of camera names updated in accordance with frequency of use and other ease of use features
JP3604766B2 (ja) 1995-05-19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H08298581A (ja) * 1995-04-25 1996-11-12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317374A (ja) 1995-05-18 1996-11-29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859018B2 (ja) 1995-07-12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仮想現実空間共有方法、3次元仮想現実空間共有システム、アドレス管理方法、並びにアドレス管理サーバ端末
CA2180891C (en) 1995-07-12 2010-01-12 Junichi Rekimoto Notification of update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sharing system
US5926209A (en) * 1995-07-14 1999-07-20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Video camera apparatus with compression system responsive to video camera adjustment
JPH0937013A (ja) * 1995-07-25 1997-02-07 Fujitsu Ltd イメージスキャナ並びにイメージスキャナ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式
DE69632384T2 (de) * 1995-12-19 2005-05-04 Canon K.K. Gerät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Mehrzahl von Fernkameras
JPH09289631A (ja) * 1996-02-20 1997-11-04 Canon Inc 撮像制御方法及び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と前記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09288684A (ja) 1996-04-24 1997-11-04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5982362A (en) * 1996-05-30 1999-11-09 Control Technology Corporation Video interface architecture for programmable industrial control systems
EP0838950A1 (de) * 1996-10-23 1998-04-29 Alcatel Terminal für Videokommunikation
JP3817312B2 (ja) * 1996-11-29 200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方法及び装置と撮像システム及び表示操作装置とのその方法
JP3796310B2 (ja) 1997-01-07 2006-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654060B1 (en) 1997-01-07 2003-11-25 Canon Kabushiki Kaisha Video-im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6003065A (en) * 1997-04-24 1999-12-14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applications on host and peripheral devices
US6166729A (en) * 1997-05-07 2000-12-26 Broadcloud Communications, Inc. Remote digital image view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866A (ko) 1999-07-26
US20020013857A1 (en) 2002-01-31
KR100501851B1 (ko) 2005-09-26
US6438587B2 (en) 2002-08-20
US20020156847A1 (en) 2002-10-24
TW404135B (en) 2000-09-01
JPH11177967A (ja) 1999-07-02
US6988131B2 (en) 2006-01-17
KR20040075827A (ko) 2004-08-30
JP3649883B2 (ja)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579B1 (ko) 표시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6005613A (en) Multi-mode digital camera with computer interface using data packets combining image and mode data
US72962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signals of images having different exposure times via a signal transmission path,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reof, an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reof
US5841471A (en) Timing control for a digitally interfaced camera using variable line readout intervals
US6130420A (en) Solid state image sensing apparatus, camera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apparatus
JP4948090B2 (ja) 撮像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JP3216864B2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信号処理装置
US93196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real-time motion video
JPH08331285A (ja) 画像入力装置
US7054916B2 (en) Imaging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20040169759A1 (en) Server and a server system
JP3650075B2 (ja) 表示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9270958A (ja) ディジタル電子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645906B2 (ja) 固体撮像装置
KR100219176B1 (ko) 영상데이타의 스케일링방법 및 장치
KR100396318B1 (ko) 고화소ccd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처리방법
JPH09270950A (ja) 画像入力装置
JP3403788B2 (ja) 画像入力装置
JPH0846871A (ja) 撮像装置
JPH09270959A (ja) ディジタル電子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方法
JPH11103458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00253381A (ja) 撮像画像通信装置
JPH06253203A (ja) 固体撮像素子検査装置
JP2001036793A (ja) ビデオカメラ
JPH0933149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