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032B1 -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032B1
KR100554032B1 KR1020030099632A KR20030099632A KR100554032B1 KR 100554032 B1 KR100554032 B1 KR 100554032B1 KR 1020030099632 A KR1020030099632 A KR 1020030099632A KR 20030099632 A KR20030099632 A KR 20030099632A KR 100554032 B1 KR100554032 B1 KR 10055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weight
powder coating
bisphenol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346A (ko
Inventor
현재규
진일교
이상선
소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3009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03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그리고 안료, 충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로 당량이 700 ∼ 1200인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당량이 300 ∼ 60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를 일정비로 혼합사용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고, 경화제로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인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를 사용하여 속경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장 과정시 웹콤의 발생을 최소로 억제시키면서, 굴곡성을 유지시켜 특히, 철근의 피복 공정시 작업성과 생산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킨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 철근피복, 에폭시 분체도료

Description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The powder coating composition for reinforce bar}
본 발명은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그리고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로 당량이 700 ∼ 1200인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당량이 300 ∼ 60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를 일정비로 혼합사용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고, 경화제로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인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를 사용하여 속경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장 과정시 웹콤의 발생을 최소로 억제시키면서, 굴곡성을 유지시켜 특히, 철근의 피복 공정시 작업성과 생산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킨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철근 피복에 사용되는 분체도료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식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미국을 중심으로 80년대부터 확대 적용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의 주요성분 중의 하나인 모래는 품질이 양호한 강사가 부족 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해사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으나, 해사 속에 포함된 염분은 수차례의 세척 공정을 수행하다 하더라도 일정량이 잔존해 있으며, 잔존한 염분은 장기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철근을 부식시키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해안가의 위치한 구조물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반 구조물과 지하구조물의 철근 피복용으로 분체도료를 적용하는 것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철근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의 도장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철근 등의 원소재의 블라스팅 처리를 위한 고주파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공정, 분체 도장하는 공정, 수냉 및 방냉하는 공정의 순서로 진행되며, 일반적으로 각각의 공정은 롤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작업공정중 고주파 예열기를 통과한 철근은 통상적으로 220 ∼ 240 ℃의 고온에서 예열되고, 도장되는 부스 내에서 분체도료를 이용하여 피복이 융착됨과 동시에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가로 ×세로 ×높이가 대체적으로 1 ∼ 2 m ×2 ∼ 3 m ×1 ∼ 1.5 m 정도인 도장 부스내에 위치한 철근은 고온으로 예열되므로 잠열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10 ∼ 30 초의 철근통과 시간동안 분체 분진이 열화되므로 마치 실타래처럼 엉겨 붙는 현상 즉 실킹 또는 거미줄(이하, '웹콥' 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산물이 발생되면 도장 부스내를 수분 ∼ 수십분의 일정한 간격 단위로 청소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도장작업성 및 생산성에 저하가 발생되며, 또한 웹콥이 부스내에서 분체분진이 엉켜 일정한 중량이 되면 피도물 위로 떨어져 고화되어 외관이 불량해지고, 굴곡성 등의 물성의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굴곡성은 내식성(음극박리)과 함께 철근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에서 중요시 되는 물성으로, 내식성은 철근에 분체 에폭시도료를 도장하는 가장 궁극적인 목적이고, 굴곡성은 핵심 물성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서 철근이 여러 형태로 가공되어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굴곡성 저하로 인한 크랙의 발생은 치명적이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는 철근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는 예외 없이 웹콥이 발생하여, 외관이 불량해지고, 굴곡성등의 물성의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웹콥의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방면에서 실시되고 있으나, 분체도료의 점도와 경화속도 인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조절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웹콥의 억제를 위해서는 경화 속도는 빠르게, 점도는 낮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는 분체도료의 굴곡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에폭시 분체도료의 도장시 발생되는 웹콤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이와 상관관계에 있는 굴곡성 문제도 해결하고자 연구노력한 결과, 특정한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경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를 일정비로 혼합 사용하고, 속경화가 가능하여 굴곡성 개선시키는 특정한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를 사용하여, 웹콤 현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굴곡성은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웹콤 현상을 최소로 억제하고, 굴곡성은 유지되어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된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그리고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로 당량이 700 ∼ 1200인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20 ∼ 80 중량%와 당량이 300 ∼ 60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20 ∼ 8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로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인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 20 ∼ 45 중량부;
경화촉진제 0.2 ∼ 3 중량부; 그리고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5 ∼ 40 중량부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철근 피복에 사용되는 분체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220 ∼ 240 ℃의 고온에서 도장되는 철근이 지니는 잠열로 인해 도장 부스내에 부산물이 발생하고, 이 부산물은 실타래처럼 엉겨붙어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상기 작업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먼저, 이용되는 분체도료의 고화시간이 빨라야 하며, 이러한 고화시간을 위해서는 180 ℃에서 1 ∼ 10 초 정도의 겔타임을 보유해야 한다. 둘째로 도료의 유기 및 무기 분을 감소시켜야 하며, 셋째로 도료의 점도를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세가지 사항 중 첫째와 셋째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굴곡성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선택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이용되던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통상의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당량이 700 ∼ 1200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우수한 경화성을 가지는 당량이 300 ∼ 60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를 일정비로 혼합 사용하고, 굴곡성을 가지는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인 변성된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를 소정량 첨가하여 굴곡성은 보유하면서 작업성 즉 웹콥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성분으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는데, 상기 에폭시 수지로는 당량이 700 ∼ 1200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우수한 경화성을 가지는 당량이 300 ∼ 60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를 혼합 사용한다. 상기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는 당량이 700 ∼ 1200인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당량이 800 ∼ 11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당량이 700 미만에서는 분체도료의 점도가 낮아서 소지와의 웨팅성은 향상되지만 굴곡성이 떨어지고 도료의 저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2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굴곡성은 좋아지지만 소지와의 웨팅성이 떨어져 부착력이 저하되며 웹콥 발생되 현저 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성이 부족하여 일반적인 도료에는 사용이 제한되는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를 일정량 혼합하여 수지성분으로 사용되어 진다. 상기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는 당량이 300 ∼ 6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00 ∼ 6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당량이 300 미만일 경우에는 저장안정성이 취약하고 블록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6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요구하는 경화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에크레졸 노블락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노블락 에폭시 수지가 5 ∼ 35 중량% 치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변성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웹콥 발생 및 굴곡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20 ∼ 80 중량%와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 20 ∼ 80 중량%를 사용하며, 상기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가 20 중량% 미만에서는 굴곡성이 저하되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은 증가하지만 경화성에 문제가 있어 웹콥의 발생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와 함께 경화제로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으로 큰 범위를 나타내는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에 기술 구성상의 특징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던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 경화제에 비하여 유연성 및 경화 성이 우수하므로 속경화가 가능하고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작업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로 인한 굴곡성 문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는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700 ∼ 850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수산기 당량이 600 미만에서는 굴곡성이 저하되고 1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경화제 투입으로 인하여 도막이 연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는 예를 들면 KK700(KCC 사), KK400(KCC 사)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는 상기 혼합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45 중량부를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이 20 중량부 미만에서는 굴곡성이 저하되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이 연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화제와 함께 경화성 조절을 위하여 통상의 열경화성 경화촉진제를 첨가 사용하며, 예를 들면 2-메틸 이미다졸, 2-페닐 이미다졸, 에틸 메틸 이미다졸, 2-에틸 이미다졸, 1-벤질 2-메틸이미다졸, 2-부틸 이미다졸 등과 같은 이마다졸류와 트리페닐포스핀, 벤질드리페닐포스포늄크로라이드,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4급 암모늄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혼합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 3 중량부 사용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적절한 겔화 시간을 가질 수 없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조되는 분체도료의 물성 향상을 위해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40 중량부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굴곡성 및 내식성 등의 저하, 웹콥 생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안료는 유기 및 무기 안료가 포함되며, 예를 들면 티타늄디옥사이드, 울트라마린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및 카본블랙 등의 안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안료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굴곡성의 저하가 뚜렷이 나타나고 웹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충진제는 입도가 1 ∼ 10 ㎛,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 ∼ 5 ㎛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열경화성 분체도료의 웨팅력과 소지와의 밀착성 등이 향상되어 좋다. 충전제의 예를 들면 바륨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및 수산화알루미나 등의 무기 충전제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고 크레터링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흐름조절제는 예를 들면 폴리 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폴리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가 굴곡성을 유지하면서 작업성을 개선하는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첨가제도 이러한 목적을 해치지 않는 제시된 범위로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제 1 단계는 프리믹싱 단계로서, 상기 에폭시 수지로 당량이 600 ∼ 2000인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당량이 400 ∼ 85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수산기 당량이 500 ∼ 1000인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평량하여 프리믹싱 탱크에 삽입하고 프리믹싱 시킨다.
제 2 단계는 분산단계로서, 상기 프리믹싱한 도료를 익스트루더 및 니더(PLK-46, PCM-30, ZSK-25)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70 ∼ 100 ℃ 용융 분산시켜 분쇄에 문제되지 않을 정도 두께의 칩으로 제조한다.
제 3 단계는 분쇄단계로서, 상기 칩을 냉각하여 고속믹서(함마밀, 에이씨엠밀, 터버밀)로 분쇄하고 100 ∼ 200 매시포로 필터하여 평균입도 30 ∼ 60 ㎛, 입자평균 크기가 60 ∼ 100 ㎛인 분체도료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입자의 크기가 10 ㎛ 이하는 3%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작업성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과정으로 제조된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은 특정한 에폭시 수지의 혼합사용으로 작업성을 개선하였으며, 이로 인한 유연성 문제를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의 사용으로 도장 과정시 부산물 발생이 최소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굴곡성이 개선되어 건자재 내부, 농기계, 굴곡이 요구되는 도장물, 특 히, 철근 피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원료를 헨쉘 믹서를 사용하여 3,000 rpm으로 400초 동안 건식 혼합한 후, 트윈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90 ℃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하였다. 상기 용융 혼합된 원료를 롤과 쿨링벨트를 통과시켜 크기 50 ∼ 100 ㎜, 두께 1 ∼ 5 ㎜인 칩으로 제조한 후, ACM밀을 이용하여 평균입도가 60 ∼ 100 ㎛인 분체도료를 제조하였다.
구 분 (g)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에폭시 수지 CNE002171) 70 - - - 100 - -
CNE001052) - 70 65 - - 70 -
N80903) - - - - - - 80
N80204) - - - 70 - - -
N80395) 40 30 30 40 - 20 30
경화제 KK7006) 30 35 30 30 - - 30
KK4007) - - - - 15 20 -
경화촉진제 2MI8) 1.2 1.2 0 1.2 1.2 0.3 1
핀홀방지제 BENZOIN9) 0.5 0.5 0.5 0.5 0.5 0.5 0.5
PE154410) 0.5 0.5 0.5 0.5 0.5 0.5 0.5
흐름성 조절제 PLP-10011) 1 1 1 1 1 1 1
충전제 HB-M12) 15 20 35 20 20 20
안료 PEARL 140013) 1 1 1 1 1 1 1
1):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700 ∼ 800(KCC사 제품) 2):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1000 ∼ 1200(KCC사 제품) 3):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500 ∼ 600(KCC사 제품) 4):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2000 ∼ 2300(KCC사 제품) 5): 페놀 노브락 변성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500 ∼ 600(KCC사 제품) 6): 페놀릭 하드너, 수산기 당량 700 ∼ 750(KCC사 제품) 7): 페놀릭 하드너, 수산기 당량 250 ∼ 300(KCC사 제품) 8): 이미다졸계(사국화성, 일본) 9): 미원상사 10): 폴리에칠렌 왁스(루비로즐사, 미국) 11): KS 케미칼 12): 바라이트, 무기계충전제(한국 반도체 소재) 13): 흑색안료(바이엘사 제품)
실험예
[물성 측정방법]
1) 작업성(웹콥 평가방법) 평가 방법
가) 230 ℃로 예열된 도장시편(지름 25 ㎜, 길이 30 ㎝)을 바닥에서 50 ㎝ 높이의 틀로 가로 방향의 양쪽 끝을 지지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한다.
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시편으로부터 정면에(시편 12 ∼ 18 ㎝ 부분) 도장건을 30 ㎝ 이격시켜 설치한다. 도장건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 시험전에 시료, 즉 도료를 컵건에 1 kg 정량 평량하여 투입한다.
라) 상기 시험기기가 세팅되면, 230 ℃로 예열된 상기 시편을 10초 이내로 설치하고 도료를 도포하여 웹 콥이 발생하는 시점을 초시계로 측정한다.
마) 도장건의 토출압은 50 ㎜ BAR, 전압은 80 KV 고정한다.
바) 시편(철근)은 SA 2.5 수준(준나금속) 블라스팅 처리하고, KS D 3504철근 콘크리트 봉강의 SD-35을 기준으로 한다.
2) 겔타임 측정방법
경화성 즉 겔타임은 특정온도에서 분체 조성물의 상대 반응성을 나타내고, 통상적으로 겔화에 도달하기 위한 초로 표시한다. 써모 큐어 열판(핫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180 ℃ 온도조건(실측온도)에서 2 g의 분체 시료를 칭량하여 겔화점을 측정하였다.
3) 피복 철근의 제조 방법
상기 작업성 평가에서 사용된 동일한 철근을 사용하여 분말 피복 조성물을 도포한다. 철근을 232 ℃ 전기 열풍 오븐에서 30분간 예열하고 정전도장을 한다. 이때 도장조건은 작업성 평가와 동조건이다. 도장 후 1분간 상온에서 방냉하고 수 냉각하면 피복 철근이 완성된다.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도료 및 시편을 사용하여 굴곡성 및 음극박리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굴곡성 및 음극박리시험은 널리 사용되는 규격인 ASTM A775 /A775M(미국 표준 규격)으로 실시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겔타임 (180 ℃. ") 5 6 8 7 30 50 18
웹콥 발생지점 (") 120 93 94 130 5 2 13
굴곡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양호
음극박리 시험 (㎜) 1.5 1.9 2.2 1.3 3.2 2. 4
상기 표 2의 물성측정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된 에폭시 수지와 특정의 경화제를 사용한 실시예 1 ∼ 3이 종래의 비교예 2의 경우보다 대부분 향상된 물성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비교예 1과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모든 조성이 동일하고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의 당량이 본 발명의 범위인 600 ∼ 2000을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초과하는 비교예 1의 경우 굴곡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고, 미만인 비교예 4의 경우 웹콥 발생시점 즉 작업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보여 사용되는 수지의 당량 범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3은 굴곡성, 웹콥 발생시점 및 겔타임 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된 에폭시 수지와 함께 특정의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량 범위가 한정된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와 노블 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수지를 혼합사용하고, 특정한 페놀경화제를 사용하여 부산물 발생이 최소화되어 도장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굴곡성이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건자재 내외부, 농기계, 울타리와 같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효과로 철근 피복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촉진제, 그리고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로 당량이 700 ∼ 1200인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20 ∼ 80 중량%와 당량이 300 ∼ 600인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 20 ∼ 8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로 수산기 당량이 600 ∼ 1000인 폴리하이드릭 페놀 경화제 20 ∼ 45 중량부;
    경화촉진제 0.2 ∼ 3 중량부; 그리고
    안료, 충전제 및 흐름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5 ∼ 40 중량부가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블락 변성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에이형 에폭시 수지에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수지 또는 페놀 노블락 에폭시수지가 5 ∼ 35 중량%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제는 2-메틸 이미다졸, 2-페닐 이미다졸, 에틸 메틸 이미다졸, 2-에틸 이미다졸, 1-벤질 2-메틸이미다졸, 2-부틸 이미다졸 의 이마다졸류 및 트리페닐포스핀, 벤질드리페닐포스포늄크로라이드,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클로라이드의 4급 암모늄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KR1020030099632A 2003-12-30 2003-12-30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KR10055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632A KR100554032B1 (ko) 2003-12-30 2003-12-30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632A KR100554032B1 (ko) 2003-12-30 2003-12-30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346A KR20050068346A (ko) 2005-07-05
KR100554032B1 true KR100554032B1 (ko) 2006-02-22

Family

ID=3725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632A KR100554032B1 (ko) 2003-12-30 2003-12-30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810B1 (ko) * 2007-05-30 2014-08-26 주식회사 케이씨씨 파이프 코팅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18B1 (ko) * 2006-06-05 2006-12-05 김민우 비가열 급속경화성 살포식 박층포장 및 차선도색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1734711B1 (ko) * 2015-12-08 2017-05-12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열성능이 우수한 진공증착 하도용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187A (en) * 1977-04-01 1979-09-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wder coating composition of a mixture of epoxy resins
US4393181A (en) * 1982-06-30 1983-07-12 Shell Oil Company Polyfunctional phenolic-melamine epoxy resin curing agents
US5112888A (en) * 1988-02-16 1992-05-12 Somar Corporation Epox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long chain aliphatic diacids and/or diphenylol derivatives
JP2000191954A (ja) * 1998-12-28 2000-07-11 Nippon Steel Corp ポリオレフィン被覆鋼材用エポキシ粉体プライマ―組成物
KR20010002939A (ko) * 1999-06-18 2001-01-15 김충세 3겹 강관 하도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US6177487B1 (en) * 1995-11-03 2001-01-23 Basf Coatings Ag Aqueous powder paint dispersions
KR20040071489A (ko) * 2003-02-06 2004-08-12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분말 융착식 다층 강관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다층 강관 피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187A (en) * 1977-04-01 1979-09-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wder coating composition of a mixture of epoxy resins
US4393181A (en) * 1982-06-30 1983-07-12 Shell Oil Company Polyfunctional phenolic-melamine epoxy resin curing agents
US5112888A (en) * 1988-02-16 1992-05-12 Somar Corporation Epox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long chain aliphatic diacids and/or diphenylol derivatives
US6177487B1 (en) * 1995-11-03 2001-01-23 Basf Coatings Ag Aqueous powder paint dispersions
JP2000191954A (ja) * 1998-12-28 2000-07-11 Nippon Steel Corp ポリオレフィン被覆鋼材用エポキシ粉体プライマ―組成物
KR20010002939A (ko) * 1999-06-18 2001-01-15 김충세 3겹 강관 하도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KR20040071489A (ko) * 2003-02-06 2004-08-12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분말 융착식 다층 강관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다층 강관 피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810B1 (ko) * 2007-05-30 2014-08-26 주식회사 케이씨씨 파이프 코팅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346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9811T2 (de) Härtbarer alkanolaminhaltiger epoxidpulverlack
KR100647072B1 (ko) 액상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린트배선판의 영구 구멍 매립 방법
EP2585546B1 (en) Powder coatings compositions
EP1618156B1 (en)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US6616979B2 (en) Powder coating with non-crystalline and crystalline epoxy resins and curing agent
EP0747434B1 (e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adhesive based thereon
KR100554032B1 (ko) 철근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KR100904279B1 (ko) 열경화형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KR101432810B1 (ko) 파이프 코팅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KR101138470B1 (ko)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분체도료용 에폭시 수지의 제조방법및 분체도료 조성물
EP1302517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the curing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KR102401306B1 (ko) 도료 조성물
JP3511051B2 (ja) 低温硬化型粉体塗料組成物及びこの粉体塗料を用いた金属管の内面に塗膜を形成する方法
JP2004136525A (ja) エポキシライニング材組成物
JPS59193970A (ja) 粉体塗料組成物
EP3894457B1 (en) Fusion bonded epoxy amine rebar powder coatings
JPH07258384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1292354B1 (ko) 엔진블록용 에폭시 반광 분체도료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도장방법
KR101316649B1 (ko) 나노 세라믹 코팅 강관
JPH09100425A (ja) 鋳造物用粉体塗料
RU2791395C1 (ru) Клеевая композиция холодного отверждения
JP5474552B2 (ja) Pcストランド塗装用粉体塗料組成物、塗装方法及び塗膜
JP3123272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補強鉄骨用粉体塗料
JP2657384B2 (ja) 静電塗装用エポキシ樹脂粉体塗料組成物
KR20050070292A (ko) 저독성 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