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637B1 -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637B1
KR100553637B1 KR1020050048782A KR20050048782A KR100553637B1 KR 100553637 B1 KR100553637 B1 KR 100553637B1 KR 1020050048782 A KR1020050048782 A KR 1020050048782A KR 20050048782 A KR20050048782 A KR 20050048782A KR 100553637 B1 KR100553637 B1 KR 10055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bject
response
power supply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호
Original Assignee
(주)정우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오피브이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오피브이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정우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5004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637B1/ko
Priority to JP2005379566A priority patent/JP2006345478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Input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사체가 위치하고 회전구동력에 따라 소정 회수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회전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 구동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지지대를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지지대 조절장치로 업 또는 다운신호를 출력하는 업/다운스위치로 구성된 피사체 촬영장치;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 촬영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컨트롤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컨트롤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줌렌즈, 4구간, 3차원, 등간격, 3차원 이미지, 업다운

Description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3-DIMENSION IMAGE GENER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이미지 촬영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테이블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도 5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피사체 200 : 턴테이블
300 : 턴테이블 구동장치 400 : 피사체 촬영장치
500 : 컨트롤 시스템 600 : 통신 인터페이스부
700 : 리모트 컨트롤러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줌렌즈가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시디롬(CD-ROM) 등과 같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가상 박물관, 디지털 백과사전 및 전자 카다로그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현실을 통한 물체를 접하게 될 때 좀 더 시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사진과 같은 평면 이미지뿐 아니라 마치 눈앞에 실제 대상물이 있는 것과 같은 양안 입체시에 의한 충분한 입체감과 사용자가 대상물을 보는 방향이나 자세 등을 자유로이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 3차원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교육 효과, 제품에 대한 실제적 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D 콘텐츠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3D 콘텐츠 제공 방법은 작업자가 촬영 대상물(예를 들어, 조각품, 판매용 제품 등)을 다수의 각도에서 수동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사진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3D 이미지로 생성하는 방법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제공되고 있다.
수동으로 촬영된 복수의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3D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수요자(예를 들어, 구매자, 관람자 등)의 요구에 따른 각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3D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촬영하여야 하는 사진의 수량이 많고, 촬영시 많은 시간을 요구하며 또한 3D 이미지 생성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3D 이미지 생성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모든 촬영 대상물을 복수회 촬영할 때 사진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은 사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촬영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수작업으로 다양한 각도를 재촬영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시각과 카메라 렌즈의 각도에 따른 작업 오차가 발행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비해, 동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은 우수한 촬영 기자재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촬영 대상물을 촬영한 후 하나의 전자 파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파일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자 파일 생성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요자가 원하는 각도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동영상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서 해당 파일을 제공하는 웹서버 (Web Serv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다수개의 제품 또는 자료를 홍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3D 콘텐츠 제공 방법은 3D 콘텐츠 생성 비용, 작업 시 간, 작업 비용, 수요자의 요구 불만족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줌렌즈가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하므로써,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시간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 비용도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에 줌렌즈를 구비시켜 피사체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위치를 컴퓨터등과 같은 시스템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원격지 또는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에 있어서, 피사체가 위치하고 회전구동력에 따라 소정 회수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회전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 구동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지지대를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지지대 조절장치로 업 또는 다운신호를 출력하는 업/다운스위치로 구성된 피사체 촬영장치;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 촬영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컨트롤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컨트롤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이미지 촬영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테이 블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의 실시예1에 대해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100)가 위치하고 회전구동력에 따라 소정 회수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200)과 후술하는 컨트롤 시스템(500)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턴테이블(200)이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 구동장치(300)와, 피사체 촬영장치(400)와,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 촬영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40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컨트롤 시스템(500)과,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400)와 상기 컨트롤 시스템(500)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구성된다.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400)는 상기 컨트롤 시스템(500)으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100)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410)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410)가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420)와, 상기 거치대(420)와 연결되어 후술되는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420)가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430)와, 업/다운 스위치(450)로부터 입력되는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지지대(430)를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와,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로 업 또는 다운신호를 출력하는 업/다운스위치(450)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410)는 줌 렌즈(4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 시스템(60)으로부터 입력되는 줌인/줌아웃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줌렌즈(415)가 인/아웃되어 피사체의 촬영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410)는 수평 및 수직 카메라(411)(414) 사이에 제 1, 제 2 경사 카메라(412)(4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 카메라(412)는 상기 피사체를 30°각도에서 촬영하고, 상기 제 2 경사 카메라(413)는 상기 피사체를 60°각도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출력한다.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는 LM 가이드(441)와, 상기 LM 가이드(441)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LM 베어링(442)과, 상기 LM 베어링(442)에 연결되어 상기 LM 베어링(442)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모터(443)와, 상기 업/다운 스위치(450)로부터 입력되는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443)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하는 모터구동부(444)와, 상기 LM 가이드(441)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LM 베어링(442)이 상승 한계점 또는 하강 한계점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 도달한 경우 상기 모터(443)가 정지되도록 하는 위치체크 센서(4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443)는 기어 모터이다.
상기 턴테이블 구동장치(300)는 전원공급라인 수만큼 구비되어 일측은 전원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전원공급단자(310)와, 상기 전원공급단자(310)와 전원공급단자(310) 사이에 절연부재(32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310)가 상기 전원공급라인(330)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33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중공형 도전부재(340)와, 상기 도전부재(340)의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턴테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턴테 이블(20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350)과, 상기 도전부재(340)의 중공(360)에 상기 회전봉(350)과 함께 구비되는 전원공급라인(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700)는 IEEE1394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피사체(100)를 턴테이블(200)의 소정 위치에 올려두고 일차적으로 각 카메라에 구비된 LCD 창(416)을 통해 피사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놓여있는지를 확인한다.
또는 컨트롤 시스템(600)의 "미리보기"항목을 이용하여 각 카메라(410)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화면상에 미리 본 후 피사체의 위치가 정확한 경우 작업자가 컨트롤 시스템(600)을 이용하여 촬영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각 카메라(410)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컨트롤 시스템(600)으로 출력한다.
한편, 작업자는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410)의 위치를 수직으로 변경시켜야 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작업자는 피사체 촬영장치(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업/다운 스위치(450)를 조작하여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를 이용하여 지지대(430)가 수직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하고, 상기 카메라(410)가 부착된 거치대(420)는 상기 지지대(430)에 연동하여 수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한다. 즉, 피사체의 크기가 클 경우 상기 작업자는 업/다운 스위치(450)에서 업스위치를 눌러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에 의해 지지대가 상승하여 카메라(410)가 피사체(100)로부터 멀어지 게 되고, 상기 피사체의 크기가 작을 경우 다운스위치를 눌러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에 의해 지지대가 하강하여 카메라(410)가 피사체(100)로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업/다운 스위치(450)에서 업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누른 회수만큼 모터(443)가 정회전되도록 모터구동부(444)가 모터(443)로 구동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443)에 축이 연결된 지지대(430)가 LM 베어링(442)에 의해 LM 가이드(441)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위치체크 센서(445)는 상기 LM 베어링이 상승 한계점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 상승 한계점에 도달한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444)로부터 상기 모터(443)로 공급되던 구동전류가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카메라(410)에 구비된 줌렌즈(415)를 이용하여 카메라(41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사체(100)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시킨 상태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해 낼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카메라(410)의 촬영조건을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설정한 후 컨트롤 시스템(600)을 이용하여 피사체 촬영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 시스템(600)의 피사체 촬영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411~414)로 동시에 출력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411~414)는 상기 피사체 촬영신호에 응하여 피사체(100)를 동시에 촬영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컨트롤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수평카메라(411)는 피사체(100)를 0°, 즉 수평방향에서 촬영하여 수평방향에서 본 피사체(100)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출력하고, 제1 경사 카메라(412)는 피사체(100)를 30°경사각도로 촬영하여 30°측면에서 본 피사체(100)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출력하고, 제2 경사 카메라(413)는 60°경사각도로 촬영하여 60°측면에서 본 피사체(100)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출력하고, 수직 카메라(414)는 90°, 즉 수직방향에서 촬영하여 수직방향에서 본 피사체(100)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출력한다.
그러면 컨트롤 시스템(500)의 제어부(510)는 상기 통시 인터페이스부(600)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부(520)에 저장시키는 한편, 표시부(530)를 통해 출력시켜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저장부(520)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로 변환시켜 원하는 컨텐츠를 제작한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는 실시예1과는 달리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20)를 컨트롤 시스템(500)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시스템(500)은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20)로 지지대를 업 또는 다운시킬 수 있는 지지대 업/다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는 제어부(446)를 더 포함하고 있 어, 상기 제어부(446)가 상기 지지대 업/다운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444)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 구동부(444)에 의해 모터(44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를 원격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실시예1과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3은 실시예1 및 실시예2와는 달리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20)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생성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지대 업/다운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20)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로부터 송출되는 지지대 업/다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47)와, 상기 수신부(447)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지지대 업/다운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444)로 모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48)를 더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700)를 이용하여 업 또는 다운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수신부(447)에 원격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48)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48)는 상기 원격신호를 인식하여 모터 구동부(444)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소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440)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1, 2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줌렌즈가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하므로써,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시간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 비용도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의 크기에 무관하게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에 줌렌즈를 구비시켜 피사체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3차원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위치를 컴퓨터등과 같은 시스템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원격지 또는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동선거리를 단축시켜 줌으로써, 3차원 이미지의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에 있어서,
    피사체가 위치하고 회전구동력에 따라 소정 회수만큼 회전하는 턴테이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회전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되도록 하는 턴테이블 구동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지지대를 업 또는 다운되도록 하는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지지대 조절장치로 업 또는 다운신호를 출력하는 업/다운스위치로 구성된 피사체 촬영장치;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 촬영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 촬영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컨트롤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컨트롤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가,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LM 베어링과, 상기 LM 베어링에 연결되어 상기 LM 베어링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모터와, 상기 업다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LM 가이드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LM 베어링이 상승 한계점 또는 하강 한계점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하여, 도달한 경우 상기 모터가 정지되도록 하는 위치체크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줌 렌즈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줌인/줌아웃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줌렌즈가 인/아웃되어 피사체의 촬영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수평 및 수직 카메라 사이에 제 1, 제 2 경사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카메라는, 상기 피사체를 30°각도에서 촬영하고, 상기 제 2 경사 카메라는, 상기 피사체를 60°각도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시스템은,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로 지지대를 업 또는 다운시킬 수 있는 지지대 업/다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지지대 업/다운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로 모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지대 업/다운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지지대 업/다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지지대 업/다운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로 모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구동장치는,
    전원공급라인 수만큼 구비되어 일측은 전원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전원공급단자 사이에 절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중공형 도전부재와, 상기 도전부재의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턴테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과, 상기 도전부재의 중공에 상기 회전봉과 함께 구비되는 전원공급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KR1020050048782A 2005-06-08 2005-06-08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KR10055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82A KR100553637B1 (ko) 2005-06-08 2005-06-08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JP2005379566A JP2006345478A (ja) 2005-06-08 2005-12-28 三次元イメージ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82A KR100553637B1 (ko) 2005-06-08 2005-06-08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637B1 true KR100553637B1 (ko) 2006-02-22

Family

ID=3717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782A KR100553637B1 (ko) 2005-06-08 2005-06-08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45478A (ko)
KR (1) KR10055363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6B1 (ko) * 2007-06-14 2008-06-10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카메라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입체촬영장치
KR101012758B1 (ko) 2010-09-06 2011-02-08 (주) 미니미드림 3차원 인체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89362A1 (ko) * 2011-12-16 2013-06-20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및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KR101293733B1 (ko) 2011-12-16 2013-08-07 대한민국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KR101453757B1 (ko) 2012-11-26 2014-10-27 대한민국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CN104269125A (zh) * 2014-10-20 2015-01-07 西安冉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多角度拍摄和图像处理的三维展示方法
GB2544600A (en) * 2015-09-21 2017-05-24 Metail Ltd Garment digitis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53967B1 (ko) * 2015-12-30 2018-05-02 (주)컨트릭스랩 모바일 기기에서 원격 미리 보기 및 제어가 가능하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삼차원 모델링과 그 결과의 공유가 가능한, 고속 입체 스캐너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1071A (en) * 2009-06-12 2010-12-22 Michael John Chantler System for producing virtual or digital interactive material swatches.
ITUB20160784A1 (it) * 2016-02-16 2017-08-16 Tofit S R L Apparato fotogrammetrico di scansione tridimensionale
CN109027574A (zh) * 2018-10-15 2018-12-18 江西师范大学 基于智能转盘的立体拍照装置及物体三维重现方法
CN112394835A (zh) * 2020-11-05 2021-02-23 王照斌 一种购物平台实时动态展示物人交互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123A (ja) 1999-11-10 2001-05-25 Shimane Pref Gov 三次元表示装置用の画像撮影装置
KR20020013034A (ko) * 2000-08-10 2002-02-20 (주)포지셔닝애드컴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
KR20030016452A (ko) * 2001-08-16 2003-03-03 다본정보기술 주식회사 3차원 촬영장치
KR20040049832A (ko) * 2004-05-07 2004-06-12 주식회사 오피브이알솔루션 네트워크 환경에서 3차원 물체의 시각화와 조작을 위한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123A (ja) 1999-11-10 2001-05-25 Shimane Pref Gov 三次元表示装置用の画像撮影装置
KR20020013034A (ko) * 2000-08-10 2002-02-20 (주)포지셔닝애드컴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
KR20030016452A (ko) * 2001-08-16 2003-03-03 다본정보기술 주식회사 3차원 촬영장치
KR20040049832A (ko) * 2004-05-07 2004-06-12 주식회사 오피브이알솔루션 네트워크 환경에서 3차원 물체의 시각화와 조작을 위한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6B1 (ko) * 2007-06-14 2008-06-10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카메라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입체촬영장치
KR101012758B1 (ko) 2010-09-06 2011-02-08 (주) 미니미드림 3차원 인체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89362A1 (ko) * 2011-12-16 2013-06-20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및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KR101293733B1 (ko) 2011-12-16 2013-08-07 대한민국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KR101453757B1 (ko) 2012-11-26 2014-10-27 대한민국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CN104269125A (zh) * 2014-10-20 2015-01-07 西安冉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多角度拍摄和图像处理的三维展示方法
GB2544600A (en) * 2015-09-21 2017-05-24 Metail Ltd Garment digitis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53967B1 (ko) * 2015-12-30 2018-05-02 (주)컨트릭스랩 모바일 기기에서 원격 미리 보기 및 제어가 가능하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삼차원 모델링과 그 결과의 공유가 가능한, 고속 입체 스캐너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45478A (ja)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637B1 (ko)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US73949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3-dimensional image
AU2014290798B2 (en) Wireless video camera
EP1750431B1 (en) Imaging system, camera control apparatus, panorama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7980704B2 (en) Audiovisual system including wall-integrated audiovisual capabilities
EP3065049A2 (en) Interactive video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JP5063749B2 (ja) 撮影制御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700356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pace magnification for stereoscopic images
KR102193974B1 (ko) 영상 정합을 이용한 3d 실내공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01145123A (ja) 三次元表示装置用の画像撮影装置
KR20120050436A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촬상 장치, 프로그램, 촬상 시스템
CN105516617A (zh) 三轴动态稳定和角度跟踪全景摄照一体机
JP4243883B2 (ja) リモコン雲台システム
CN112995501A (zh) 摄像头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190566A1 (en) Spherical virtual reality camera
JP2007264592A (ja) 3次元イメージ自動生成装置及び方法
KR200348130Y1 (ko) 카메라 고정식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JP5351733B2 (ja) ロボットカメラ及びバーチャルスタジオシステム
KR100452839B1 (ko)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465587B1 (ko) 동시에 다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및 방법
JP2004264492A (ja) 撮影方法及び撮像装置
KR101521352B1 (ko) 파노라마 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CN105611131B (zh) 线阵相机全景成像的方法
CN211063717U (zh) 一种影片立体拍摄用摄像设备
CN111147840A (zh) 一种3d摄像摇臂的视音频采集自动控制与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