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757B1 -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757B1
KR101453757B1 KR1020120134329A KR20120134329A KR101453757B1 KR 101453757 B1 KR101453757 B1 KR 101453757B1 KR 1020120134329 A KR1020120134329 A KR 1020120134329A KR 20120134329 A KR20120134329 A KR 20120134329A KR 101453757 B1 KR101453757 B1 KR 10145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ball screw
unit
lin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284A (ko
Inventor
정낙은
이진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757B1/ko
Priority to PCT/KR2012/010033 priority patent/WO2013089362A1/ko
Publication of KR2014006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75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며 회전구동부(143)와 상기 회전구동부(143)의 상부로 구비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형구동부(145)로 이루어진 구동부(140)와, 상기 구동부(145)의 선형구동부(145)에 설치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145)와 함께 회전하며 선형구동부(145)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이동되는 판상의 이동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피사체를 용이하게 적치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피사체에 표식수단을 부착시키지 않고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의 높이 조정 없이 용이하게 초점을 조정하여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A System For Object Of Three-Dimension Photographing}
본 발명은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촬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촬영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며, 길이가 진 물체의 촬영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이미지는 단순한 2차원 이미지가 있고, 가상현실 등의 구축시에 이용되는 3차원 이미지가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이미지는 제품을 여러 각도에서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하고, 이후 이 여러 장의 사진을 그래픽 처리한 후, 이 여러 장의 사진을 연결시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제품 또는 상품을 다각도에서 촬영하며, 각 이미지마다 물체의 중심 및 카메라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야 하므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지지체(11)와 고정지지체(11)의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받침대(12)로 이루어진 피사체용 테이블(10)에 피사체를 올려놓고, 3차원 사진촬영용 카메라로 회전받침대(12)를 회전시키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였다. 피사체 촬영시 피사체에 복수의 기준 마크를 붙여서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의 사진을 기준 마크를 기준으로 합성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3은 고정지지체(11)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회전축(13)이 회전받침대(12)에 하부로 삽입되어 회전받침대(12)를 회전 구동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피사체용 테이블(10)은 회전 작동만 되는 구조이므로, 피사체를 선형 이동시켜 원하는 부분을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피사체를 선형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피사체를 테이블(10) 위에서 움직여 위치시켜야 하였으며, 피사체에 직접 기준 마크를 접착시켜 촬영하여야 하므로 피사체가 골동품이나 귀중품인 경우 손상 염려가 있었으며, 피사체가 평탄한 구조가 아닌 도자기(예를 들면, 물병)와 같은 경우 안정되게 적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촬영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며 촬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 제20-01948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의 이동 없이 피사체의 원하는 부위를 용이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구조로서 피사체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피사체를 용이하게 적치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피사체에 표식수단을 부착시키지 않고 촬영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길이에 관계없이 자동 설정으로 피사체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피사체 테이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인 입력부와, 입력된 명령 등이 연산되는 연산부와, 촬영된 영상이나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사체 테이블은 구동부가 설치되는 수용부와, 회전 운동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상부로 구비되어 회전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며 선형 운동하는 선형구동부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선형구동부에 설치되어 회전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와 함께 회전하며 선형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이동되는 판상의 이동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이동패널에는 복수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복수의 지지막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동부는 수직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수직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직구동부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동부는 수직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구동부는 선형구동부와 이동패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구동부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용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수용본체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수용본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볼스크루와, 상기 제1 볼스크루가 삽입되며 회전구동부에 설치되는 제1 볼나사와, 상기 수용본체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회전구동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볼스크루와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모터가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선형구동부는 회전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에 설치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1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볼스크루와, 상기 제1 브라켓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2 볼스크루를 회전 구동하는 제3 모터와,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에 구비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볼스크루가 삽입되는 제2 볼나사가 설치되는 제2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패널은 제2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모터가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브라켓 상부에는 제2 볼스크루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된 회전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는 장공을 통하여 회전패널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동패널은 장공을 통하여 노출된 제2 브라켓 부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1 볼나사와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에 연결되어 제1 볼나사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제1 설치부재와, 상기 제1 설치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모터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피사체 테이블을 틸팅시키는 틸팅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틸팅수단은 수용부의 내측에 고정 구비되는 제4 모터와, 상기 제4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 볼스크루와, 상기 제4 볼스크루가 삽입되는 제4 볼나사와, 상기 제4 볼나사의 하부로는 구비되는 연장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재는 수용부의 하부 형성된 노출공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4 모터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력부를 통하여 촬영횟수, 분할각, 분할길이 및 분할횟수가 입력되고; 제어부를 통하여 회전구동부와 선형구동부가 입력 내용에 따라 구동되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의 이동 없이 피사체의 원하는 부위를 용이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며 일방향으로의 선형 이동 가능한 구조로서 피사체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피사체를 용이하게 적치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피사체에 표식수단을 부착시키지 않고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3차원 카메라의 높이 조정 없이 용이하게 초점을 조정하여 맞출 수 있으며, 곡면의 하부 부분까지 촬영 범위가 확대되며, 피사체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자동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과 컴퓨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 내부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제2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구비되는 이동패널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3에서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막대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구비되는 틸팅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의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길이가 긴 물체가 적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과 컴퓨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 내부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제2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구비되는 이동패널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3에서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막대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구비되는 틸팅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의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에 길이가 긴 물체가 적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20),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피사체 테이블(100),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인 입력부(25)와, 입력된 명령 등이 연산되는 연산부(27)와, 촬영된 영상이나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와 같은 표시부(23)와,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29)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사체 테이블(100)은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수용부(110)와, 회전구동부(143)와 상기 회전구동부(143)의 상부로 구비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형구동부(145)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구동부(140)와, 상기 구동부(145)의 선형구동부(145)에 설치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145)와 함께 회전하며 선형구동부(145)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이동되는 판상의 이동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40)와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는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은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조정기(21, 조이스틱)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기(21)와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은 무선 통신 되도록 연결되어 조정기(21)는 무선으로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을 구동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하지 않은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는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되어 촬영된 이미지는 컴퓨터 시스템(20)의 표시부(23)에 디스플레이되며, 촬영된 이미지가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조정기(21)와 유, 무선 연결되어 작동되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을 가지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에 구비되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은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구동부(140)와, 상기 구동부(140)에 설치되어 구동부(145)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고 선형 이동되는 판상의 이동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패널(130)에 피사체가 놓여져 촬영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본체(113)와, 상기 수용본체(113)의 상방향 개구부를 일부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덮개부재(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재(111)는 수용본체(113)의 상방향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비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40)는 회전 구동되는 회전구동부(143)와, 상기 회전구동부(143)의 상부로 구비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며 선형 운동하는 선형구동부(1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패널(130)은 선형구동부(145)에 설치되어, 선형구동부(145)와 함께 회전하며 선형구동부(145)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 이동된다. 회전구동부(143)의 상부에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형구동부(145)를 구비함으로써, 일 방향 선형 이동되는 구조로 하는 경우에도 피사체의 위치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대로 선형구동부의 상부로 회전구동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선형구동부는 직교되는 방향인 두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여야 피사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패널(130)에는 복수의 설치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31)에는 도 8에 도시한 지지막대(135)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지지막대(135)는 하부에 단면적이 감소한 삽입부(137)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37)가 설치공(131)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137)와 설치공(131)은 중간 끼워 맞춤 정도의 관계를 가지도록 한다. 피사체가 둥근 형태의 도자기인 경우, 판상의 이동패널에 피사체를 놓는 경우 피사체가 흔들릴 수 있고 위치가 고정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동패널(130)에 3개 이상의 지지막대(135)를 삽입시키고, 지지막대(135)가 피사체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안정되게 피사체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목한 형태의 피사체의 오목한 면을 촬영하여 3차원 이미지를 형성하거나 피사체가 골동품과 같은 귀중품인 경우, 직접 피사체에 기준 마크를 부착하지 않고, 지지막대(135)의 단부에 기준 마크를 접착시켜 촬영할 수 있어, 오목한 피사체나 귀중품인 피사체의 3차원 이미지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막대(135)의 길이는 서로 같게 할 수도 있고, 다른 길이를 가지는 지지막대(135)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치공(131)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지지막대(135)의 삽입부(137)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137)를 나사 체결하여 설치공(13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40)는 이동패널(130)을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키기 위한 수직구동부(1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직구동부(141)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구동부(143)는 수직구동부(141)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14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직구동부(141)는 선형구동부(145)의 제2 브라켓(1456)과 이동패널(130)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패널(130) 만을 상하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수직구동부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4개의 링크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힌지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를 변경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힌지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힌지 사이의 거리도 변경되므로 수직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평방향으로 스크루를 구비하도록 하고, 스크루의 일단은 일측 수평 힌지부에 고정되고, 다른 수평 힌지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연장된 볼나사부분에 모터를 연결 설치한다. 제2 브라켓(1456)과 이동패널(130)은 4개의 링크의 수직힌지부에 상하로 연결된다. 이동패널(13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패널(120)에 안내공인 또 다른 관통공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이동패널(13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바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구동부(141)는 상기 수용본체(113)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 모터(1411)와, 상기 수용본체(113)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모터(141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볼스크루(1413)와, 상기 제1 볼스크루(1413)가 삽입되며 회전구동부(143)에 설치되는 제1 볼나사(1419)와, 상기 수용본체(113)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과,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회전구동부(143)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1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볼스크루(1413)와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은 서로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415는 제1 모터(1411) 축에 구비된 제1 구동풀리를, 1417은 제1 볼나사(1419)에 구비된 제1 종동풀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14)은 일부가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인, 리니어가이드(LM Guide)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회전구동부(14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터(1431)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되며, 일측으로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14)에 연결되며, 타측으로 제1 볼나사(1419)에 연결된 제1 설치부재(1416)를 구비하며, 제2 모터(1431)는 제1 설치부재(1416)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설치부재(1416)에는 회전축(1439)을 가지는 스핀들이 설치되어, 제2 모터(143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435는 제2 모터(1431) 축에 구비되는 제2 구동풀리를, 1437은 회전축(1439)에 구비되는 제2 종동풀리를 도시한 것으로, 제2 구동풀리(1435)와 제2 종동풀리(1437)를 벨트 구동 연결하여 회전축(1439)을 회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직구동부(141)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모터(1431) 및 스핀들은 수용본체(11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별도의 스핀들을 구비하지 않고, 제2 모터(1431)에 직접 선형구동부(145)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구동부(145)는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143)에 설치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과,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브라켓(1453)과, 상기 제1 브라켓(1453)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1 브라켓(14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볼스크루(1454)와, 상기 제1 브라켓(1453)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2 볼스크루(1454)를 회전 구동하는 제3 모터(1451)와,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에 구비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56b)과,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56b)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볼스크루(1454)가 삽입되는 제2 볼나사(1457)가 설치되는 제2 브라켓(14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과 제2 볼스크루(1454)는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459-1은 제3 모터(1451)에 연결된 구동풀리를, 1459-2는 제2 볼스크루(1454)에 연결된 종동풀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동패널(130)은 제2 브라켓(1456)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브라켓(1456)은 단면이 'ㄴ'자로서, 통공이 형성되며 판상인 설치브라켓(1458)이 제2 브라켓(1456)에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설치브라켓(1458)의 통공에 제2 볼나사(1457)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56b)은 'ㄴ'자 형태의 제2 브라켓(1456)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은 회전구동부(143)의 회전축(1439)에 설치되어, 회전축(1439)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다. 상기 회전축(1439)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이면,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축(1439)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56b)은 일부가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인, 리니어가이드(LM Guide)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브라켓(1453) 상부에는 제2 볼스크루(145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1)이 형성된 회전패널(12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패널(120)은 회전하는 구성이므로 원형으로 형성하며, 회전패널(120)의 가장자리가 덮개부재(111)의 내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비되어, 회전패널(120)에 의하여 구동부(140)를 이루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전패널(120)과 덮개부재(111)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브라켓(1453)의 상부는 장공(121)을 통하여 회전패널(120)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동패널(130)은 장공(121)을 통하여 노출된 제2 브라켓(1456) 부분에 결합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456a는 이동패널(13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제2 브라켓(1456)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에는 도 9에 도시한 틸팅수단(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틸팅수단(150)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틸팅수단(150)은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을 경사지게 하는 구성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본체(113)의 내측에 고정 구비되는 제4 모터(151)와, 상기 제4 모터(15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 볼스크루(153)와, 상기 제4 볼스크루(153)가 삽입되는 제4 볼나사(1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볼나사(155)의 하부로는 연장부재(157)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57)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57)는 수용본체(113)의 하판에 형성된 노출공(113-1)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4 볼스크루(153)와 나란하게 리니어가이드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리니어가이드레일을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리니어가이드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며, 상기 제4 볼나사(155)는 리니어가이드테이블에 연결된다. 상기 제4 볼나사(15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제4 모터(151)가 구동되면 제4 볼스크루가 회전하고, 제4 볼스크루가 삽입된 제4 볼나사가 상하 이동되며, 하강하면서 노출공(113-1)을 통하여 노출되는 높이가 달라지게 되어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은 일측이 들어올려짐으로써 틸팅된다. 피사체가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하여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하부가 촬영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틸팅수단(150)에 의하여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은 일측이 들어올려짐으로써 곡면 하부도 촬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은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20)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피사체 테이블(100)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은 개인용 PC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인 입력부(25)와, 입력된 명령 등이 연산되는 연산부(27)와, 촬영된 영상이나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와 같은 표시부(23)와,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마이컴인 제어부(29)로 이루어진다. 피사체를 촬영하는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와, 피사체 테이블(100)은 컴퓨터 시스템(20)의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상기에서 입력부(25)는 키보드와 이에 더하여 조이스틱이나 마우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9)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100)을 이루는 제1 모터(1411), 제2 모터(1431), 제3 모터(1451) 및 제4 모터(151)가 연결되어 제어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을 이루는 표시부(23)에 입력되는 내용을 도시한 것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을 위하여 촬영횟수와, 분할각, 분할 횟수 및 분할길이가 입력된다.
촬영횟수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전체 촬영횟수를, 분할각은 매 촬영 후 회전패널(120)이 회전되는 각도를 입력하는 것이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A'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면적을 나타낸 것으로, 카메라에서 빛이 조사되어 피사체에 촬영되는 면적이 나타내어진다. 촬영되는 면적의 길이가 피사체(P)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분할 길이를 입력하게 된다. 분할 횟수는 제3 모터(1451)의 구동에 의한 이동 횟수, 분할 길이는 분할 횟수마다 이동되는 거리를 입력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피사체(P)의 전체 길이(L)를 카메라로 촬영되는 면적(A)의 길이 방향 길이로 나눈 값을 분할 횟수, 그리고 각 분할 횟수마다 이동되는 거리를 분할 길이로 입력한다. 피사체(P)의 전체가 촬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할 횟수의 경우 피사체(P)의 전체 길이(L)를 카메라로 촬영되는 면적(A)의 길이 방향 길이로 나눈 값의 자연수에 +1을 하게 되며, 분할 길이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면적(A)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작은 값을 입력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테이블(100)의 틸팅 각도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테이블(100)의 틸팅 정도를 확인하면서 입력부(25)에 직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모터(1431)와 카메라가 제어부(29)에 의하여 제어되어 분할각 만큼 회전되어 촬영하며, 다시 분할각 만큼 회전하고 촬영하는 것을 반복하여 촬영횟수가 입력된 촬영횟수와 같게 되면, 제3 모터(1451)가 구동되어 분할 길이만큼 이동패널(130)이 이동되며 이동된 위치에서 분할각 만큼 회전하면서 촬영횟수만큼 촬영되고 촬영횟수가 입력된 촬영횟수와 같게 되면 다시 이동패널(130)이 이동되는 것이 반복된다. 그리고 이동패널(130)의 이동횟수가 분할회수와 같게 되면 이동패널(130)의 이동 후 촬영이 종료됨으로써 전체 촬영이 종료되도록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촬영횟수와, 분할각, 분할 길이 및 분할횟수가 입력되고 촬영시작 명령이 입력부(25)를 통하여 입력되면, 제어부(29)는 입력부(25)의 명령에 따라 제2 모터(1431), 제3 모터(1451) 및 카메라를 제어한다. 입력부(25)를 통하여 틸팅 명령과 테이블(10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29)는 제1 모터(1411)와 제4 모터(151)를 제어하여 이동패널(130)을 입력된 명령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테이블(100)을 경사지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피사체 테이블
110: 수용부 120: 회전패널
130: 이동패널 140: 구동부
141: 수직구동부 143: 회전구동부
145: 선형구동부 150: 틸팅수단

Claims (10)

  1. 컴퓨터 시스템(20),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피사체 테이블(100),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된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인 입력부(25)와, 입력된 명령이 연산되는 연산부(27)와, 촬영된 영상이나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23)와, 상기 입력부(25)와, 연산부(27)와, 표시부(23)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29)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사체 테이블(100)은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수용부(110)와, 회전 운동하는 회전구동부(143)와 상기 회전구동부(143)의 상부로 구비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며 선형 운동하는 선형구동부(145)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구동부(140)와, 상기 구동부(145)의 선형구동부(145)에 설치되어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145)와 함께 회전하며 선형구동부(145)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이동되는 판상의 이동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140)와 3차원 사진촬영 카메라는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130)에는 복수의 설치공(13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1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복수의 지지막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40)는 수직구동부(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143)는 수직구동부(141)의 작동에 의하여 선형구동부(14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직구동부(141)는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40)는 수직구동부(1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구동부(141)는 선형구동부(145)와 이동패널(1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구동부(141)는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본체(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구동부(141)는 상기 수용본체(113)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 모터(1411)와, 상기 수용본체(113)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모터(141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볼스크루(1413)와, 상기 제1 볼스크루(1413)가 삽입되며 회전구동부(143)에 설치되는 제1 볼나사(1419)와, 상기 수용본체(113)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과,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회전구동부(143)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볼스크루(1413)와 제1 리니어가이드레일(1412)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모터(1411)가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구동부(145)는 회전구동부(14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143)에 설치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과,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브라켓(1453)과, 상기 제1 브라켓(1453)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측이 상기 제1 브라켓(14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볼스크루(1454)와, 상기 제1 브라켓(1453)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2 볼스크루(1454)를 회전 구동하는 제3 모터(1451)와,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리니어가이드레일(1433)에 구비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56b)과,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56b)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볼스크루(1454)가 삽입되는 제2 볼나사(1457)가 설치되는 제2 브라켓(145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패널(130)은 제2 브라켓(1456)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 모터(1451)가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1453) 상부에는 제2 볼스크루(145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21)이 형성된 회전패널(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브라켓(1453)의 상부는 장공(121)을 통하여 회전패널(120)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동패널(130)은 장공(121)을 통하여 노출된 제2 브라켓(1456) 부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143)는 상기 제1 볼나사(1419)와 제1 리니어가이드테이블(1414)에 연결되어 제1 볼나사(1419)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제1 설치부재(1416)와, 상기 제1 설치부재(1416)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모터(14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모터(1431)는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피사체 테이블(100)을 틸팅시키는 틸팅수단(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틸팅수단(150)은 수용부(110)의 내측에 고정 구비되는 제4 모터(151)와, 상기 제4 모터(15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 볼스크루(153)와, 상기 제4 볼스크루(153)가 삽입되는 제4 볼나사(155)와, 상기 제4 볼나사(155)의 하부로는 구비되는 연장부재(157)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재(157)는 수용부(110)의 하부 형성된 노출공(113-1)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4 모터(151)는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5)를 통하여 촬영횟수, 분할각, 분할길이 및 분할횟수가 입력되고; 제어부(29)를 통하여 회전구동부(143)와 선형구동부(145)가 입력 내용에 따라 구동되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KR1020120134329A 2011-12-16 2012-11-26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KR10145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329A KR101453757B1 (ko) 2012-11-26 2012-11-26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PCT/KR2012/010033 WO2013089362A1 (ko) 2011-12-16 2012-11-26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및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329A KR101453757B1 (ko) 2012-11-26 2012-11-26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84A KR20140067284A (ko) 2014-06-05
KR101453757B1 true KR101453757B1 (ko) 2014-10-27

Family

ID=5112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329A KR101453757B1 (ko) 2011-12-16 2012-11-26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973B (zh) * 2018-05-23 2019-11-26 安徽荣盛精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仪器仪表放置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123A (ja) 1999-11-10 2001-05-25 Shimane Pref Gov 三次元表示装置用の画像撮影装置
KR100553637B1 (ko) 2005-06-08 2006-02-22 (주)정우엔터프라이즈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US20070268540A1 (en) 2006-05-22 2007-11-22 Gaspardo Steven J Non-contact scan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123A (ja) 1999-11-10 2001-05-25 Shimane Pref Gov 三次元表示装置用の画像撮影装置
KR100553637B1 (ko) 2005-06-08 2006-02-22 (주)정우엔터프라이즈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US20070268540A1 (en) 2006-05-22 2007-11-22 Gaspardo Steven J Non-contact scan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84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7350A1 (en) Photography stand
LT5629B (lt) Trimatės fotografijos sistema ir trimačių skaitmeninių objekto atvaizdų sukūrimo ir publikavimo būdas
KR101447233B1 (ko) 파노라마 촬영장치
KR20220094038A (ko) 3차원 스캐너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스캔장치
KR101818571B1 (ko) 3d 스캐닝 장치
KR200395849Y1 (ko) 카메라 스탠드
KR101453757B1 (ko)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CN204650112U (zh) 一种全方位自动拍摄仪
WO2018087781A1 (en) Product photography machine
CN213547621U (zh) 一种多自由度三维扫描装置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JP6858940B2 (ja) ケージ交換装置およびケージ交換方法
KR101293733B1 (ko)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CN102004368B (zh) 镜头位移调整装置
CN207132043U (zh) 转盘装置及可调整球心与高度的半球面摄影系统
WO2013089362A1 (ko) 3차원 사진촬영용 피사체 테이블 및 3차원 사진촬영 시스템
JP2009175322A (ja) プロジェクタ
WO2022028530A1 (zh) 标定设备及标定方法
CN207780474U (zh) 一种智能三维照相扫描装置
CN112782926A (zh) 一种不损失像素的投影屏幕横竖的调整结构及投影仪
CN209695156U (zh) 一种腔镜支架
CN208984909U (zh) 一种对组压接装置
CN208369690U (zh) 微量物证可视提取仪
CN208041712U (zh) 一种拍摄照明灯
KR101106723B1 (ko) 스크린과 프로젝터 일체형 프레임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