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679B1 -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679B1
KR100550679B1 KR1020030066804A KR20030066804A KR100550679B1 KR 100550679 B1 KR100550679 B1 KR 100550679B1 KR 1020030066804 A KR1020030066804 A KR 1020030066804A KR 20030066804 A KR20030066804 A KR 20030066804A KR 100550679 B1 KR100550679 B1 KR 10055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member
locking
engag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431A (ko
Inventor
오네야마와타루
와타나베기요시
아이쿄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전, 휴대전화기, 휴대단말기 등의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고,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2)가 힌지부(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사전에 있어서,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장식용의 커버부재(4)를 구비하며, 제 2 케이스(2)에 설치된 걸림고정돌기(11, 12)와 커버부재 (4)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3, 14)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게 함으로써 장식용의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했고, 따라서 장식용의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자유로이 떼어 내어 교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색채나 그림 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자기기, 커버부재, 전자사전, 케이스, 회로기판, 장식부, 걸림고정부, 걸어맞춤부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ELECTRONIC DEVICE AND COVER MEMBE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전자사전의 휴대시에 있어서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제 2 케이스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4a는 도 2의 커버부재를 하측에서 본 일부 파단한 하면도.
도 4b는 도 2의 커버부재의 A-A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2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a의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시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전자사전을 옆쪽에서 본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커버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제 2 케이스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커버부재를 내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휴대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전자사전을 옆쪽에서 본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14는 도 12의 커버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제 2 케이스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시의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전자사전을 옆쪽에서 본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B-B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걸림고정부의 확대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커버부재를 하측에서 본 하면도.
도 25는 도 23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7은 도 26의 커버부재를 하측에서 본 하면도.
도 28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9는 도 28의 커버부재를 하측에서 본 하면도.
도 30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1은 도 30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도 30의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하여 상측에서 본 경우의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4는 도 33의 제 2 케이스를 하측에서 본 정면도.
도 35는 도 34의 커버부재를 제 2 케이스에 대해 회전운동시켜서 열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시의 정면도.
도 37은 도 36의 휴대전화기의 휴대시에 있어서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38은 도 37의 커버부재를 떼어낸 제 2 케이스의 정면도.
도 39는 도 37의 커버부재를 하측에서 본 하면도.
도 40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시의 정면도.
도 41은 도 40의 전자사전의 휴대시에 있어서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42는 도 40의 제 2 케이스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43은 도 41의 커버케이스를 상측에서 본 정면도.
도 44는 도 43의 C-C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45는 도 43의 D-D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46은 도 42의 제 2 케이스에 커버케이스를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7은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케이스를 제 2 케이스에 장착하여 커버케이스측에서 본 정면도.
도 48은 도 47의 E-E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0, 101: 제 1 케이스 2, 61, 102: 제 2 케이스
2a, 102a: 제 2 케이스의 평면
2b, 2c, 102b, 102c: 제 2 케이스의 측면
3, 103: 힌지부 4, 50, 62: 커버부재
4a, 50a: 커버부재의 평면부
4b, 4c, 50b, 50c: 커버부재의 측면
5, 63, 105: 키보드 6, 65, 106: 표시부
7, 67, 107, 113, 202, 206: 개구부 8, 108: 제 1 볼록부
9, 109: 제 2 볼록부 10, 110: 연결축
11, 12, 22, 55, 56, 126: 걸림고정돌기
13, 14, 31, 57, 58: 걸어맞춤부
13a, 127a: 오목부 20, 30: 걸림고정부
21: 수납부 22a: 플랜지부
23: 코일스프링 24: 삽입구멍
32: 암부 33: 원판부
34: 걸어맞춤볼록부 40: 흡반
41: 흡착면 42: 자석
43: 자성재 44, 45: 면상파스너
51: 장식시트 59: 거울
64: 마이크로폰부 66: 스피커부
68: 안테나 104: 커버케이스
104a: 케이스부 111, 116, 135: 회로기판
112: 보조표시부 114: 조작버튼
115: 접속연결부재 117: 접속걸림고정부
118: 접속걸어맞춤부 119: 고정단자부
119a, 125a: 땜납 120: 원통부
121: 스프링부재 122: 관통구멍
123: 가동단자부 124: 걸어맞춤오목부
125: 배선리드 127: 걸어맞춤돌기
136: 스피커 137: 방음구멍부
201, 205, 207: 장식부 203: 마크부
208: 창부
본 발명은 전자사전, 휴대전화기, 휴대단말기 등의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조작키를 구비한 제 1 케이스에 표시부를 구비한 제 2 케이스를 힌지부에 의해서 접음 가능하게 연결하고, 휴대할 때에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겹쳐 맞추어 콤팩트하게 하며, 사용할 때에 제 1 케이스를 손에 쥐고서 제 2 케이스를 열도록 구성하고, 또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명료하게 구별하기 위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다른 색으로 착색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서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가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실수하여 바꾸어 쥐는 일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제품의 출하시에 이미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가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유로이 제 1, 제 2 케이스의 색채를 변경할 수 없다는 불형편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서는 색채만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로 다를 뿐이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그림 등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없다는 불형편이 있다.
또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서는 보다 한층의 소형화를 꾀하기 위해 필요 최소한의 기능만 탑재하여 콤팩트화를 꾀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기능을 증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요망에 따라서 기능의 증설을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제 1, 제 2 케이스의 한쪽에 커넥터부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부에 접속케이블을 접속하며, 이 접속케이블을 기능증설용의 부속기기에 접속하여 기능을 증설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기기의 기능증설구조에서는 기기케이스와 부속기기를 접속케이블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 전자기기와 부속기기의 양쪽을 각각 손에 쥐고서 사용하던지, 또는 전자기기와 부속기기의 적어도 한쪽을 탁상 등의 재치부에 재치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편리함이 나쁠뿐더러 휴대시에 부속기기가 방해로 되어 휴대성이 나쁜 등의 불형편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제 1 문제점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색채나 그림 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없는 점에 있다.
또 제 2 문제점은 간단하게 기능을 증설할 수 없을뿐더러 기능을 증설해도 그 증설용의 부속기기가 방해로 되어 휴대시 및 사용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사용 편리함이 나쁜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 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는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의 항에서 설명되는 각 요소에 붙여져 있는 도면의 참조번호 등을 괄호와 함께 붙인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도 1∼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스(제 1 케이스(1, 60), 제 2 케이스(2, 61))가 힌지부(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 61))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장식용의 커버부재(4, 50, 62)를 구비하고, 상기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걸림고정돌기(11, 12, 55, 56, 걸림고정부 (20, 30), 흡착면 (41), 자성재(43), 자형(雌型)의 면상파스너(45))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3, 14, 57, 58, 흡반(40), 자석(42), 웅형(雄型)의 면상파스너(44))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도 1∼도 6, 도 30∼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걸림고정돌기(11, 12, 55, 56))가 장식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도 1∼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걸림고정돌기(11, 12, 55, 56), 걸림고정부(20, 30), 흡착면(41), 자성재(43), 자형의 면상파스너(45))가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 61))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부 (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측면(2b) 및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 는 양측(각 측면(2c), 평면(2a)의 양측부근)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 (13, 14, 57, 58), 흡반(40), 자석(42), 웅형의 면상파스너(44)))는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상기 선단측 및 상기 힌지부측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4, 50, 62)의 선단측의 측면(4b) 및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각 측면(4c), 평면부 (4a)의 양측부근)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도 17∼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의 일부(걸림고정부(20, 30, 36))는 상기 힌지부(3)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양측의 각 측면(2c)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14, 31, 걸어맞춤볼록부(34, 35))가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부재 (4)의 양측의 각 측면(4c)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의 어느 쪽인가 한쪽이 그 양자의 걸거나 벗김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스프링성(코일스프링(23), 암부(32))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도 23∼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의 일부(흡착면(41), 자성재(43))가 상기 힌지부(3)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양측(평면(2a)의 양측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흡반(40), 자석(42))가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부재(4)의 양측(평면부(4a)의 양측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가 서로 흡착하는 흡착부재(흡반(40), 흡착면(41), 자석(42), 자성재 (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의 일부(자형의 면상파스너(45))가 상기 힌지부(3)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양측(평면(2a)의 양측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웅형의 면상파스너(44))가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부재 (4)의 양측 (평면부(4a)의 양측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부가 서로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한쌍의 면상파스너 (44,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도 7∼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부(201, 205)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4)에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상기 장식부에 대응하는 개구부(202, 20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부(207)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 (4)에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상기 장식부에 대응하는 창부(20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9 에 기재한 발명은 도 7∼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 (201, 205, 207)에 기호나 도형, 무늬 등의 장식이 입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 도 30∼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 재(5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은 도 33∼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걸림고정돌기(55, 56))가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양측면(2c)과 상기 힌지부측(3)에 위치하는 양측(각 측면(2c), 평면 (2a)의 양측부근)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57, 58)가 상기 커버부재(4)의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양측면(각 측면(4c))과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 (각 측면(4c), 평면부(4a)의 양측부근)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선단측의 양측면(각 측면(2c))의 상기 걸림고정부(55)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된 상기 선단측의 양측면(각 측면(4c))의 상기 걸어맞춤부(57)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은 도 33∼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커버부재(4)의 내면에 거울 (5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1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은 도 7∼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스(제 1, 제 2 케이스(1, 2))가 힌지부(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의 상기 2개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4)이고,
상기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를 구비하며, 이 걸어맞춤부를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걸림고정부에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이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은 도 7∼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장식용의 개구부 (202, 20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에 기재한 커버부재이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발명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장식용의 창부(20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에 기재한 커버부재이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발명은 도 7∼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상기 일부는 기호나 도형, 무늬 등의 장식이 입혀진 장식부(201, 205, 207)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에 기재한 커버부재이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은 도 40∼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 맞추는 2개의 케이스(제 1, 제 2 케이스(101, 102))가 힌지부(10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102))에 겹쳐 맞추어 상기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을 덮은 상태로 장착되는 대략 평판상의 커버부재(커버케이스(104)와, 이 커버부재내에 수납된 기능증설용의 전자부품(보조표시부(112), 스피커(136))과, 상기 한쪽의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재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케이스 내의 전자회로와 상기 커버부재내의 전자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한쪽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복수의 접속연결부재(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은 도 40∼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연결부재(15)가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102))내의 상기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케이스내에 그 측면(102c)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접속걸림고정부(117)와, 상기 커버부재(커버케이스(104))내의 상기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측면부(104c))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걸림고정부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걸어맞춤부(11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은 도 40∼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제 2 케이스(102))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부(10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측면(102b)에는 걸림고정부(걸림고정돌기(126))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커버케이스(104))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측면(측면부(104b))에는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걸어맞춤돌기(12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전자부품이 표시기능, 텔레비전전튜너기능, 스피커기능, 전원기능, 카메라기능, 프린터기능, 스캐너기능 등의 기능을 구성하는 각종의 부품의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한 전자기기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은 전자사전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 2는 그 전자사전의 휴대시에 있어서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제 2 케이스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4a는 도 2의 커버부재를 하측에서 본 하면도, 도 4b는 그 A-A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전자사전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 맞추는 제 1, 제 2 케이스(1, 2)를 구비하고, 이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가 힌지부(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용의 커버부재(4)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케이스(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키보드(5)가 제 2 케이스(2)와 대향하는 제 1 케이스(1)의 대향면(도면에서는 정면)에 노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키보드(5)는 문자키, 커서키, 기능키 등의 각종 키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케이스(2)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와 거의 같은 사이즈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표시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6)는 액정표시소자나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등의 평면형의 표시소자로 이루어지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와 대향하는 제 2 케이스(2)의 대향면(도 3에서는 정면)에 설치된 표시용의 개구부(7) 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힌지부(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의 상변부(도 2에서는 좌단부)에 그 양단부를 제외하여 설치된 제 1 볼록부(8)와, 제 2 케이스(2)의 하변부(도 2에서는 좌단부)의 양측에 설치된 제 2 볼록부(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1)의 제 1 볼록부(8)를 제 2 케이스(2)의 제 2 볼록부(9)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제 2 볼록부(8, 9)를 연결축(10)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는 힌지부(3)를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 등의 접속부재(도시생략)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케이스(2)에 장착되는 커버부재(4)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제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케이스(2)의 평면(도 2에서는 상면)(2a), 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도 3에서는 상변측)의 측면(2b) 및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측면(2c)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부재(4)는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배치되는 평면부(4a),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도 3에서는 상변측)의 측면(2b)에 배치되는 측면부(4b),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측면(2c)에 배치되는 양측의 측면부(4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커버부재(4)는 그 평면부(4a)의 외면에 색채나 그림, 도형, 마크 등의 디자인(도시생략)이 입혀져 있고, 그 디자인이 다른 것이 복수 준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 커버부재(4)가 장착되는 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도 3에서는 상변측)의 측면(2b) 및 그 좌우 양측의 측면 (2c)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고정돌기(11, 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동일도면에서는 우단부)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에 있어서의 두께방향 및 도 3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며, 또한 그 좌우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는 제 2 케이스(2)의 악센트로 되는 바와 같은 장식성을 갖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걸림고정돌기(1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와 똑같이 각각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2c)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도 3에서는 하부측)에 위치하며, 또한 제 2 케이스(2)의 두께방향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전후방향(도 3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케이스 (2)의 좌우 양측의 걸림고정돌기(12)도 제 2 케이스(2)의 악센트로 되는 바와 같은 장식성을 갖는 직사각형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부재(4)에 있어서의 각 측면부(4b, 4c)에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각 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를 덮는 반원형상의 볼록부의 내측에 걸림고정돌기 (11)가 끼워 맞추는 오목부(13a)가 형성된 볼록형상을 이루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의 상변측의 측면부(4b)의 중간부분에 좌우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2)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4)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2)가 삽입하는 직사각형상의 긴 구멍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부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13)를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건다. 이에 따라 제 2 케이스(2)에 대하여 커버부재(4)가 위치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를 중심으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를 향하여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커버부재(4)의 평면부(4a)를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배치시키는 동시에, 커버부재(4)의 좌우의 측면부(4c)를 제 2 케이스(2)의 좌우의 측면(2c)에 배치시키고, 커버부재(4)의 측면부(4c)에 설치된 긴구멍상의 걸어맞춤부 (14)에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2)를 삽입하여 걸어 맞추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가 제 2 케이스 (2)의 평면(2a)(도 6에서는 상면),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 및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측면(2c)을 덮은 상태로 제 2 케이스(2)에 장착된다. 또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떼어 내는 경우에는 커버부재(4)의 측면부(4c)에 설치된 긴 구멍의 걸어맞춤부(14)로부터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2)를 이탈시키고,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를 중심으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로부터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13)를 이탈시킴으로써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힌지부(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열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의 키보드(5)가 노정하는 동시에, 제 2 케이스(2)의 표시부(6)가 개구부(7)를 통하여 노정하므로 표시부(6)를 보면서 키보드(5)를 조작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입력된 정보 및 그 정보에 의거하여 소망의 정보를 표시부(6)에 표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힌지부(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서 닫으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1)와 제 2 케이스(2)가 서로 겹쳐 맞추므로 콤팩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 2 케이스(2)에 장착된 커버부재(4)에 의해서 장식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이 전자사전에 따르면, 제 1, 제 2 케이스(1, 2) 중, 적어도 제 2 케이스(2)에 설치된 걸림고정돌기(11, 12)에 커버부재(4)의 걸어맞춤부(13, 14)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용의 커버부재(4)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식용의 커버부재(4)를 자유로이 떼어 내어 교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색채나 그림 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 (2)로부터 떼어 내면, 제 2 케이스(2)에 설치된 걸림고정돌기(11, 12)가 노정하는데,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 12)가 장식성을 갖는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적으로도 디자인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부재(4)를 떼어 내도 제품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전자사전에서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 12)가 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 및 그 양측의 각 측면 (2b, 2c)에 각각 설치되고, 커버부재(4)의 걸어맞춤부(13, 14)가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 및 그 양측에 대응하는 커버부재(4)의 선단측 및 그 양측의 각 측면부(4b, 4c)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장착했을 때에 그 양자의 선단측 및 그 양측의 3곳에서 걸림고정돌기(11, 12)와 걸어맞춤부(13, 14)를 걸어 맞추어지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확실하게 또한 안정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가 장착되는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부(201)를 설치하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에 장식용의 개구부(202)를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1)에 대응시켜서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 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 및 힌지부(3)측에 있어서의 양측면(2c)에는 걸림고정돌기(11, 12)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 및 힌지부(3)측에 있어서의 양측면(4c)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1)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양단을 반원형상으로 형성한 가늘고 긴 형상의 볼록부이고,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조금 바로앞측(도 9에서는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장식부(201)는 그 표면에 미세한 선상 오목부를 형성한 수자 (satin)처리가 입혀져 있는 동시에, 기호나 도형 등의 마크부(203)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커버부재(4)의 개구부(202)는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양단을 반원형상으로 형성한 가늘고 긴 형상의 구멍이고,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의 장식부(201)에 대응하고, 또한 장식부(201)의 외형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며, 제 2 케이스(2)에 커버부재(4)가 장착되었을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1)가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부(201)가 설치되고, 커버부재(4)에 장식용의 개구부(202)가 장식부(20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착하면, 커버부재(4)의 개구부(202)가 제 2 케이스 (2)의 장식부(201)에 대응하고, 이 장식부(201)가 개구부(202)내에 삽입하여 커버부재(4)의 외부로 노출하므로 이 커버부재(4)의 개구부(202)를 통하여 제 2 케이스 (2)의 장식부(201)를 커버부재(4)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재 (4)의 개구부(202)에 의해서 악센트로서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1)에 의해서도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장식부(201)는 그 표면에 수자처리가 입혀져 있는 동시에, 기호나 도형 등의 마크부(20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의해서 보다 한층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조금 바로앞측(도 7에서는 하측)에 장식부(201)를 설치하고, 커버부재 (4)에 개구부(202)를 장식부(201)에 대응시켜서 설치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장식부(205)를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단부(도 12에서는 상변부분)를 따라서 설치하고, 이 장식부(205)에 대응하는 개구부(206)를 커버부재(4)의 힌지부(3)측의 단부(도 12에서는 상변부분)를 따라서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장식부 (205)는 전체가 가늘고 긴 형상으로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06)는 커버부재(4)의 상변부에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노치부이며, 장식부(205)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고, 제 2 케이스(2)에 커버부재(4)가 장착되었을 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5)가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7∼도 11에 나타내어진 제 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가 장착되는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식부(207)를 설치하고, 커버부재(4)에 장식용의 투명한 창부(208)를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7)에 대응시켜서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 (2)의 선단측의 측면(2b) 및 힌지부(3)측에 있어서의 양측면(2c)에는 걸림고정돌기 (11, 12)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 및 힌지부(3)측에 있어서의 양측면(4c)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7)는 직사각형의 양단을 반원형상으로 형성한 가늘고 긴 형상의 평면부이고,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조금 바로앞측(도 15에서는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장식부((207)는 그 표면에 미세한 선상오목부를 형성한 수자처리가 입혀져 있는 동시에, 기호나 도형 등의 마크부(203)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커버부재(4)의 투명한 창부(208)는 직사각형의 양단을 반원형상으로 형성한 가늘고 긴 형상의 투명한 부분이고,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의 장식부(207)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제 2 케이스(2)에 커버부재(4)가 장착되었을 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7)가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장착하면, 커버부재(4)의 투명한 창부(208)가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7)에 대응하므로 이 커버부재(4)의 창부(208)를 통하여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7)를 커버부재(4)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재(4)의 창부(208)에 의해서 악센트로서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제 2 케이스(2)의 장식부(207)에 의해서도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장식부(207)는 그 표면에 수자처리가 입혀져 있는 동시에, 기호나 도형 등의 마크부(20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의해서 보다 한층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조금 바로앞측(도 15에서는 하측)에 장식부(207)를 설치하고, 커버부재 (4)에 투명한 창부(208)를 장식부(207)에 대응시켜서 설치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도 14에 나타낸 변형예와 똑같이 장식부(207)를 제 2 케이스 (2)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단부(도 12에서는 상변부분)를 따라서 설치하며, 이 장식부(207)에 대응하는 투명한 창부(208)를 커버부재(4)의 힌지부 (3)측의 단부(도 12에서는 상변부분)를 따라서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 및 힌지부(3)측에 있어서의 양측면(2c)에 걸림고정돌기(11, 12)를 설치하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 및 힌지부(3)측에 있어서의 양측면 (4c)에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에 걸림고정돌기(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제 2 케이스(2)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에 위치하는 외표면에 걸림고정오목부(도시생략)를 장식부(201, 205, 207)에 대응하는 곳을 제외하여 설치하고, 또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케이스(2)의 외표면에 대응하는 커버부재(4)의 내면에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오목부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걸어맞춤볼록부(도시생략)를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힌지부(3)에 의해서 제 1 케이스(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2c)에 출몰 가능한 걸림고정부(20)를 설치하고, 이 걸림고정부(20)에 커버부재(4)의 좌우 양측의 측면부(4c)에 설치 된 걸어맞춤부(14)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하는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에는 걸림고정돌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즉 걸림고정부(20)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2c)(동일도면에서는 한쪽의 측면만을 나타냄)에 설치된 수납부(21)내에 걸림고정돌기(22)와 코일스프링(23)을 수납하고, 코일스프링(23)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걸림고정돌기(22)가 수납부(21)내로부터 외부로 향하여 출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2)의 측면(2c)에는 걸림고정돌기(22)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하는 삽입구멍(24)이 수납부(21)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 (21)내에 위치하는 걸림고정돌기(22)의 내측 외주부에는 삽입구멍(24)의 안쪽가장자리부에 맞닿아서 걸림고정돌기(22)가 수납부(21)로부터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플랜지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걸림고정부(20)의 걸림고정돌기(22)가 코일스프링(23)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제 2 케이스(2)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림고정돌기(22)를 코일스프링(23)의 스프링힘으로 커버부재(4)의 걸어맞춤부(14)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걸림고정돌기(22)를 코일스프링(23)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제 2 케이스(2)의 삽입구멍(24)내로 몰입시킴으로써 커버부재(4)의 걸어맞춤부(14)를 걸림고정돌기(22)로부터 간단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떼어 낼 수 있으므로 제 2 케이스(2)에 대한 커버부재 (4)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제 2 케이스(2)의 좌우양측의 각 측면(2c)에 위치하는 힌지부 (3)의 제 2 볼록부(9)에 걸림고정부(30)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걸림고정부(30)에 커버부재(4)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부(4c)로부터 연장 설치된 각 걸어맞춤부(31)를 각각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하는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 (2b)에는 걸림고정돌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2c)에 위치하는 각 걸림고정부 (3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3)의 제 2 볼록부(9)의 바깥 단면에 반원호상의 오목홈에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부재(4)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각 걸어맞춤부(31)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의 좌우 양측의 측면부(4c)로부터 암부(32)가 각각 제 2 케이스(2)의 각 측면(2c)을 따라서 힌지부 (3)측에 연장 설치되고, 이들 암부(32)의 각 선단부에 힌지부(3)의 제 2 볼록부(9)의 각 바깥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부(33)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원판부(33)의 외주 부분에 제 2 케이스(2)의 각 걸림고정부(30)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반원호상의 걸어맞춤볼록부(34)가 각각 형성되고, 각 측면부(4c)로부터 연장 설치된 각 암부(32)가 휨 변형함으로써 스프링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4)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각 걸어맞춤부(31)가 측면부(4c)로부터 연장 설치된 각 암부(32)에 의해서 스프링성을 갖고 있으므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에 부착할 때에 각 암부(32)를 용이하게 확장하여 탄성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암부(32)의 선단의 원판부(33)에 설치된 반원호상의 걸어맞춤볼록부 (34)를 제 2 케이스(2)의 힌지부(3)에 있어서의 제 2 볼록부(9)의 바깥 단면에 설치된 반원호상의 걸림고정부(30)에 각각 걸어 맞추어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암부(32)를 휨 변형시킴으로써 커버부재(2)를 제 2 케이스(2)에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 2 케이스(2)에 대한 커버부재(4)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재(4)의 측면부(4c)로부터 연장 설치된 각 암부(32)의 선단의 원판부(33)에 반원호상의 걸어맞춤볼록부(34)를 설치하고, 이 반원호상의 걸어맞춤볼록부(34)를 제 2 케이스(2)측에 위치하는 힌지부(3)의 제 2 볼록부(9)의 바깥 단면에 설치된 반원호상의 걸림고정부(30)에 걸어 맞추 어지도록 구성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커버부재(4)의 각 암부(32)의 선단에 각각 설치된 원판부(33)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의 중심부에 원기둥의 걸어맞춤볼록부(35)를 각각 설치하며, 이들 걸어맞춤볼록부(35)를 제 2 케이스(2)의 힌지부(3)에 있어서의 제 2 볼록부(9)의 바깥 단면의 중심에 설치된 원형오목부상의 걸림고정부(36)에 각각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5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3∼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커버부재(4)의 양측의 측면부(4c)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4)에 대신하여 커버부재(4)의 평면부(4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흡착 기능을 갖는 걸어맞춤부로서 흡반(吸盤)(40)을 각각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걸림고정부로서의 흡착면(41)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 (2b)에는 걸림고정돌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즉 흡반(40)은 염화비닐 등의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접시상으로 형성되며, 그 접시상의 저부가 커버부재(4)의 평면부 (4a)의 내면, 즉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대향하는 평면부(4a)의 대향면에 부착되며,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의 흡착면(41)에 압박되면 탄성 변형하면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제 2 케이스(2)의 흡착면(41)에 흡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2)의 흡착면(41)은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을 평탄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4)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에 걸어맞춤부로서 흡반(40)을 각각 설치했으므로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13)를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건 상태에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부인 흡착면(41)에 압박함으로써 흡반(40)이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인 흡착면 (41)에 흡착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고, 제 2 케이스(2)에 대한 커버부재(4)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흡반(40)이 커버부재(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떼어 냈을 때에 제 2 케이스(2)에 흡반(4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부재(4)를 떼어 내도 외관적으로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3∼도 25에 나타내어진 제 6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제 6 실시형태의 흡반(40) 및 흡착면(41)에 대신하여 걸어맞춤부인 자석(42)을 커버부재(4)의 평면부(4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각각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걸림고정부인 자성재(43)를 커버부재(4)의 자석(42)에 대응시켜서 매설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2b)에는 걸림고정돌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4)의 평면부(4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자석(42)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자석(42)에 대응하는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자성재(43)를 매설했으므로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13)를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건 상태에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를 향하여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자석(42)과 자성재(43)가 그 자력으로 서로 끌어 당겨서 흡착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 (2)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이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고, 제 2 케이스(2)에 대한 커버부재(4)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자성재(43)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떼어 냈을 때에 제 2 케이스(2)에 자성재(43)가 노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버부재(4)를 떼어 내도 외관적으로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재(4)에 자석(42)을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에 자성재(43)를 매설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케이스 (2)에 자석(42)을 매설하고, 자성재를 함유하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커버부재(4)를 형성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로부터 떼어 내도 제 2 케이스 (2)에 자석(42)이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적으로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커버부재(4)에 자성재(43)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부재(4)도 외관적으로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어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제 7 실시형태의 자석(42) 및 자성재(43)에 대신하여 커버부재(4)의 평면부(4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걸어맞춤부로서 웅형(雄型)의 면상파스너(44)를 각각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있어서의 힌 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걸림고정부로서 자형(雌型)의 면상파스너(45)를 커버부재 (4)의 웅형의 면상파스너(44)에 대응시켜서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측면 (2b)에는 걸림고정돌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측면부(4b)에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4)의 평면부(4a)에 있어서의 힌지부(3)측의 양측부근에 웅형의 면상파스너(44)를 각각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자형의 면상파스너(45)를 커버부재(4)의 웅형의 면상파스너(44)에 대응시켜서 설치했으므로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13)를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건 상태에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압박함으로써 커버부재(4)의 웅형의 면상파스너(44)와 제 2 케이스(2)의 자형의 면상파스너(45)가 서로 걸어 맞추고, 이에 따라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제 2 케이스(2)에 대한 커버부재(4)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0∼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커버부재(50)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 커버부재(50)는 PC(폴리카보네이트)나 ABS수지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 2 케이스(2)의 평면(2a)에 배치되는 평면부(50a),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도 32에서는 상변측)의 측면(2b)에 배치되는 측면부(50b), 제 2 케이스(2)의 좌우 양측의 측면(2c)에 배치되는 양측의 측면부 (50c)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부재(50)의 각 측면부(50b, 50c)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의 각 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50)가 투명한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커버부재(50)를 제 2 케이스 (2)에 장착할 때에 도 32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50)와 제 2 케이스(2)의 사이에 사진이나 달력 등의 장식시트(51)를 끼울 수 있고, 이 상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독자의 기호의 것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퍼서낼리티가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3∼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0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제 2 케이스(2)의 양측의 측면(2c)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힌지부(3)측에 각각 걸림고정돌기(55, 56)를 설치하고, 커버부재(4)의 양측의 측면부 (4c)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힌지부(3)측에 각각 걸어맞춤부(57, 58)를 설치하며,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걸림고정돌기(55)와 커버부재(4)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부(57)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하고, 또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의 내면에 거울(59)을 설치한 구조이며,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 2 케이스(2)의 양측의 측면(2c)에 있어서의 선단측(도 33에서는 우단부측)의 걸림고정돌기(55)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반구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힌지부(3)측(도 33에서는 좌측)의 걸림고정돌기(56)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직사각형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선단측의 대략 반구상의 걸림고정돌기(55)와 힌지부(3)측의 볼록형상의 걸림고정돌기(56)는 각각 제 2 케이스(2)의 악센트로 되는 바와 같은 장식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부재(4)의 양측의 측면부(4c)에 있어서의 선단측(도 33에서는 우단부측)의 걸어맞춤부(57)는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55)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고,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중공(中空)의 대략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힌지부(3)측(도 33에서는 좌상측)의 걸어맞춤부(58)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 2 케이스(2)의 걸림고정돌기(56)가 삽입하는 직사각형의 긴 구멍에 형성되어 있다. 거울(59)은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 스(2)의 평면(2a)에 대향하는 커버부재(4)의 내면, 즉 커버부재(4)의 평면부(4a)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제 2 케이스(2)의 각 걸림고정돌기(55, 56)에 커버부재(4)의 각 걸어맞춤부(57, 58)를 각각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커버부재(4)의 힌지부(3)측의 걸어맞춤부(58)를 제 2 케이스(2)의 힌지부(3)측의 걸림고정돌기(56)로부터 이탈시키면,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57)와 제 2 케이스(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55)를 중심으로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대해 회전운동시켜서 개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 (2)에 대해 회전운동시켜서 열면, 커버부재(4)의 내면에 설치된 거울(59)이 노출하므로 화장용 콤팩트의 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고, 용도가 넓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케이스(2)의 힌지부(3)측의 걸림고정부(12)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출몰 가능한 걸림고정부(20)에 형성해도 좋으며, 도 23∼도 27에 나타낸 제 4, 제 7 실시형태와 똑같이 커버부재(4)에 걸어맞춤부로서 흡반 (40)이나 자석(42)을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에 흡착면(41)이나 자성재(43)를 설치하여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흡착시켜서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좋으며, 또한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제 8 실시형태와 같이 한쌍의 면상파스너(44, 45)를 이용하여 커버부재(4)를 제 2 케이스(2)에 흡착시켜서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어느 것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 10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제 11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6∼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제 1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6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휴대전화기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 맞추는 제 1, 제 2 케이스(60, 61)를 구비하고, 이 제 1 케이스(60)와 제 2 케이스(61)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의 힌지부(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케이스(61)의 외표면에 장식용의 커버부재(62)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케이스(60)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케이스(61)와 대향하는 제 1 케이스(60)의 대향면(도 37에서는 상면)에는 키보드(63) 및 마이크로폰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키보드(63)는 다이얼키, 커서키 등의 전화기능에 필요한 각종의 키를 구비하고,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60)의 대향면의 대략 전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 마이크로폰부(64)는 제 1 케이스(60)의 대향면의 하변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61)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60)와 거의 같은 사이즈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케이스(60)와 대향하는 제 2 케이스(61)의 대향면(도 37에서는 하면)에는 표시부(65) 및 스피커부(66)가 설치되 어 있다. 표시부(65)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평면형의 표시소자로 이루어지고,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61)에 설치된 표시용의 개구부 (67)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피커부(66)는 제 2 케이스(61)의 대향면에 있어서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제 2 케이스(61)의 선단부(도 36에서는 상변부)에는 안테나(68)가 제 2 케이스(61)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재(62)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제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61)의 외표면(도 37에서는 상면), 제 2 케이스(61)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 (도 36에서는 상변측)의 측면, 및 제 2 케이스(61)의 좌우 양측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62)는 그 외면에 색채나 그림, 도형, 마크 등의 디자인이 입혀져 있고, 그 디자인이 다른 것이 복수 준비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61)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도 36에서는 상변측)의 측면 및 그 좌우 양측의 측면에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61)의 악센트로 되는 바와 같은 장식성을 갖는 볼록형상의 걸림고정돌기 (11, 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커버부재(62)에 있어서의 각 측면부에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61)의 각 걸림고정돌기(11, 12)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 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61)의 걸림고정돌기(11)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3)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 2 케이스 (61)의 걸림고정돌기(11)를 덮는 반원형상의 볼록부의 내측에 걸림고정돌기(11)가 끼워 맞추는 오목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61)의 걸림고정돌기(12)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4)는 제 2 케이스(61)의 걸림고정돌기 (12)가 삽입하는 직사각형상의 긴 구멍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에서는 제 1 케이스(60)와 제 2 케이스(61)를 힌지부 (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열면,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60)의 키보드(63) 및 마이크로폰부(64)가 노정하는 동시에, 제 2 케이스(61)의 표시부(65) 및 스피커부(66)가 노정하므로 표시부(65)를 보면서 키보드(63)를 조작하여 다이얼조작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화할 수 있다. 또 제 1 케이스(60)와 제 2 케이스(61)를 힌지부(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서 닫으면,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60)와 제 2 케이스(61)가 서로 겹쳐 맞추므로 콤팩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 2 케이스(61)에 장착된 커버부재(62)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제 1, 제 2 케이스 (60, 61) 중, 적어도 제 2 케이스(61)에 설치된 걸림고정돌기(11, 12)에 커버부재(62)의 걸어맞춤부(13, 14)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제 2 케이스(61)의 외표면에 장식용의 커버부재(6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식용의 커버부재(62)를 자유로이 떼어 내어 교환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색채나 그림 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부재(62)를 제 2 케이스(61)로부터 떼어 내면, 제 2 케이스(61)에 설치된 걸림고정돌기(11, 12)가 노정하는데, 제 2 케이스(61)의 걸림고정돌기(11, 12)가 장식성을 갖는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적으로도 디자인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부재(62)를 떼어 내도 제픔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휴대전화기에서도 제 2 케이스(61)의 걸림고정돌기(11, 12)가 제 2 케이스(61)에 있어서의 힌지부(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 및 그 양측의 각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커버부재(62)의 걸어맞춤부(13, 14)가 제 2 케이스(61)의 선단측 및 그 양측에 대응하는 커버부재(62)의 선단측 및 그 양측의 각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걸림고정돌기(11, 12)와 걸어맞춤부(13, 14)가 제 2 케이스(61)와 커버부재(62)의 양자의 선단측 및 그 양측의 3곳에서 걸어 맞추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62)가 제 2 케이스(61)에 장착되기 때문에 커버부재(62)를 제 2 케이스(61)에 확실하게 또한 안정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케이스(61)의 선단측의 측면 및 그 양측의 각 측면에 걸림고정돌기(11, 12)를 설치하고, 커버부재(62)의 선단측의 측면부 및 그 양측의 각 측면부에 걸어맞춤부(13, 14)를 설치하며, 이들 걸림고정돌기 (11, 12)와 걸어맞춤부(13, 14)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하여 커버부재(62)를 제 2 케이스(6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케이스(61)에 커버부재(6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제 2∼제 10 실시형태와 똑같은 구조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제 11 실시형태에서는 힌지부(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제 2 케이스(1, 2 또는 60, 61) 중, 제 2 케이스(2 또는 61)의 외표면 에 커버부재(4 또는 6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했는데, 반드시 제 2 케이스(2, 61)에 커버부재(4, 62)를 장착할 필요는 없고, 제 1 케이스(1, 60)의 외표면에 커버부재(4, 6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해도 좋으며, 또 제 1, 제 2 케이스(1, 2 또는 60, 61)의 양자의 각 외표면에 각각 커버부재(4, 6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사전에 적용하고,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전자수첩 등의 PDA(퍼스널·디지털·어시스턴트)나 모바일 등의 전자기기에도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제 12 실시형태)
이하 도 40∼도 4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전자사전을 열어서 사용할 때의 정면도, 도 41은 그 전자사전을 닫어서 휴대할 때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 42는 도 40의 제 2 케이스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43은 도 41의 커버케이스를 상측에서 본 정면도, 도 44는 도 43의 C-C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45는 도 43의 D-D 화살표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46은 도 42의 제 2 케이스에 커버케이스를 장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전자사전은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 맞추는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102)를 구비하고, 이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 (102)가 힌지부(103)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케이스(102)의 외표면에 기능증설용의 커버케이스(104)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케이스(101)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키보드(105)가 제 2 케이스(102)와 대향하는 제 1 케이스(101)의 대향면(동일도면에서는 정면)에 노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키보드(105)는 문자키, 커서키, 기능키 등의 사전기능에 필요한 각종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케이스(102)는 도 40∼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01)와 거의 같은 사이즈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표시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106)는 사전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기광학적으로 표시하는 것이고, 액정표시소자나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 등의 평면형의 표시소자로 이루어지며, 도 40 및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01)와 대향하는 제 2 케이스(102)의 대향면(도 42에서는 정면)에 설치된 표시용의 개구부(107)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이 개구부(107)를 통하여 표시된 정보가 보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힌지부(3)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01)의 상변부(도 41에서는 좌단부)에 그 양단부를 제외하여 설치된 제 1 볼록부(108)와, 제 2 케이스 (102)의 하변부(도 41에서는 좌단부)의 양단 부분에 설치된 제 2 볼록부(109)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101)의 제 1 볼록부(108)를 제 2 케이스(102)의 제 2 볼록부 (109)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제 2 볼록부(108, 109)를 연결축(110)으로 회 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102)는 힌지부(103)를 통하여 플렉시블배선기판 등의 접속부재(도시생략)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케이스(102)에 장착되는 커버케이스(104)는 도 43 및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평판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제 2 케이스(102)의 평면(도 2에서는 상면)(102a), 제 2 케이스(102)에 있어서의 힌지부(10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도 42에서는 상변측)의 측면(102b), 및 제 2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의 측면(102c)을 덮어서 제 2 케이스(102)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커버케이스(104)는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02)의 평면(102a)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케이스부(104a)를 갖고, 이 케이스부(104a)의 외주부에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도 42에서는 상변측)의 측면(102b)에 배치되는 측면부(10b), 및 제 2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의 측면(102c)에 배치되는 양측의 측면부(104c)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커버케이스(104)는 도 43 및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설용의 기능으로서 보조표시기능을 갖는 것이고, 그 내부에 회로기판(111) 및 보조표시부 (112)를 수납한 구조로 되어 있다. 회로기판(111)은 보조표시기능에 필요한 전자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또 보조표시부(112)는 시각이나 날짜 등의 보조적인 정보를 전기광학적으로 표시하는 것이고, 제 2 케이스(102)의 표시부(106)와 똑같이 액정표시소자나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 등의 평면형의 표시소자로 이루어지 며, 회로기판(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커버케이스(104)의 외표면에 설치된 표시용의 개구부(113)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이 개구부(113)를 통하여 표시된 정보가 보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커버케이스(104)의 외표면에는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표시부(112)의 표시정보나 표시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1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커버케이스(104)와 제 2 케이스(102)는 복수의 접속연결부재(115)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들 접속연결부재(115)는 제 2 케이스(102)내에 설치된 회로기판(1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 2 케이스(102)내에 그 좌우 양측의 각 측면(102c)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접속걸림고정부(117)와, 제 2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102c)에 대응하는 커버케이스(104)의 좌우 양측의 각 측면부(104c)에 설치되어 복수의 접속걸림고정부(117)가 각각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걸어맞춤부(118)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102)의 접속걸림고정부(117)와 커버케이스(104)의 접속걸어맞춤부(118)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춤으로써 커버케이스(104)내의 회로기판(111)과 제 2 케이스(102)내의 회로기판(11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커버케이스(104)와 제 2 케이스(10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102)내의 접속걸림고정부(117)는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의 측면(102c)의 근처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116)의 단부상의 전극(도시생략)에 땜납(119a)으로 고정된 고정단자부(119)와, 이 고정단자부(119)의 선단부에 설치된 원통부(102)와, 이 원통부(102)내에 수납된 스프링부재(121)와, 원통부(120)내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타단부가 제 2 케이스(102)의 측면(102c)에 설치된 관통구멍(12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가동단자부(123)를 구비하고, 이 가동단자부(123)가 스프링부재(121)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관통구멍 (122)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동단자부(123)는 제 2 케이스(102)의 측면(102c)의 관통구멍(122)으로부터 돌출해도 제 2 케이스(102)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커버케이스(4)내의 접속걸어맞춤부(118)는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104)의 좌우 양측의 측면(104c)에 설치되어 접속걸림고정부(117)의 가동단자부(123)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오목부(124)와, 이 걸어맞춤오목부(124)의 내면으로부터 커버케이스(104)내의 회로기판(111)에 걸쳐서 연속하는 배선리드(125)를 구비하고, 이 배선리드(125)가 커버케이스(4)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가 회로기판(111)의 전극(도시생략)에 땜납(125a)으로 고정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속연결부재(115)는 제 2 케이스(102)의 가동단자부(123)가 스프링부재(121)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커버케이스(104)의 걸어맞춤오목부(124)에 걸어 맞춤으로써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이것과 동시에 가동단자부(123)와 배선리드(125)가 접촉하고, 커버케이스(104)내의 회로기판(111)과 제 2 케이스(102)내의 회로기판(11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케이스(102)에 있어서의 힌지부(10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 (도 42에서는 상변측)의 측면(102b)에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고정돌기 (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고정돌기(12)는 선단부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측면(102b)의 두께방향 및 좌우방향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며, 또한 그 측면(102b)을 따라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고정돌기(126)는 제 2 케이스(102)의 악센트로 되는 바와 같은 장식성을 갖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케이스(104)에 있어서의 힌지부(10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도 43에서는 상변측)의 측면부(104b)에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 (1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돌기(127)는 제 2 케이스(102)의 걸림고정돌기(126)를 덮는 반원형상의 볼록부의 내측에 걸림고정돌기(126)가 끼워 맞추는 오목부(127a)가 형성된 볼록형상을 이루고, 커버케이스(104)의 상변측의 측면부 (104b)의 중간부분에 좌우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버케이스(4)를 제 2 케이스(102)에 부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커버케이스(104)의 선단측의 측면부(104b)에 설치된 걸어맞춤돌기(127)를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측면 (102b)에 설치된 걸림고정돌기(126)에 대응시키고, 이 상태에서 걸림고정돌기(126)를 걸어맞춤돌기(127)의 오목부(127a)에 삽입시켜서 건다. 이에 따라 제 2 케이스 (102)에 대해서 커버케이스(104)가 위치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스 (10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26)를 중심으로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 (102)를 향하여 회전운동시키면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104)의 평 면상의 케이스부(104a)가 제 2 케이스(102)의 평면(102a)에 배치되는 동시에, 커버케이스(104)의 좌우의 측면부(104c)가 제 2 케이스(102)의 좌우의 측면(102c)에 배치되고, 커버케이스(104)의 접속걸어맞춤부(118)에 제 2 케이스(102)의 접속걸림고정부(125)가 걸어 맞춘다.
이 때에는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02)의 접속걸림고정부 (117)의 가동단자부(123)가 커버케이스(104)의 측면부(104c)의 내면에 맞닿는데, 가동단자부(123)가 스프링부재(121)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제 2 케이스(102)내로 향하여 몰입하므로 가동단자부(123)의 선단이 커버케이스(104)의 측면부(104c)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가동단자부(123)의 선단이 커버케이스 (104)의 접속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오목부(124)에 대응하면, 스프링부재(121)의 스프링힘으로 가동단자부(123)가 밀어 내어져 접속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오목부(124)에 걸어 맞춘다. 이에 따라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걸림고정부(117)의 가동단자부(123)가 접속걸어맞춤부(118)의 배선리드(125)에 접촉하고, 커버케이스(4)내의 회로기판(111)과 제 2 케이스(102)내의 회로기판(1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 (104)가 제 2 케이스(102)의 평면(102a)(도 45에서는 상면),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측면(102b) 및 제 2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의 측면(102c)을 덮은 상태에서 제 2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로부터 떼어 내는 경우에는 도 4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커버케이스(104)를 접속걸림고정부(117)의 스프링부재(121)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제 2 케이스(102)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접속걸림고정부(117)의 가동단자부(123)가 스프링부재(121)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커버케이스(104)의 측면부(104c)에 설치된 접속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오목부 (124)로부터 이탈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 (126)를 중심으로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운동시키면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104)가 제 2 케이스(102)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열린다. 이 후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26)로부터 커버케이스(10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돌기(127)를 이탈시킴으로써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서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102)를 힌지부(10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서 닫으면,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102)가 서로 겹쳐 맞추므로 콤팩트하게 되고, 이에 따라 향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케이스(104)가 제 2 케이스(102)의 평면(102a)(도 45에서는 상면),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측면(102b), 및 제 2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의 측면(102c)을 덮은 상태에서 제 2 케이스(102)에 겹쳐 맞추어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버케이스(104)가 제 2 케이스(102)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에 장착하여 기능을 증설해도 기기전체가 콤팩트하게 되고, 커버케이스(104)가 방해로 되지 않고 양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 이 전자사전을 사용할 때에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101)와 제 2 케이스(102)를 힌지부(10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열면, 제 1 케이스(101)의 키보드(105)가 노정하는 동시에, 제 2 케이스(102)의 표시부(106)가 개구부(107)를 통하여 노정하므로 표시부(106)를 보면서 키보드(105)를 조작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입력된 정보 및 그 정보에 의거하여 소망하는 사전데이터 등의 정보를 표시부(106)에 표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케이스(4)가 제 2 케이스(102)의 외표면을 덮은 상태에서 제 2 케이스(102)에 겹쳐 맞추어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버케이스(104)가 제 2 케이스(102)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이로 인해 커버케이스(104)가 방해로 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사전에서는 휴대할 때에도 사용할 때에도 제 2 케이스(102)에 장착된 커버케이스(104)에 증설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에 장착하면 제 2 케이스(102)에 설치된 접속걸림고정부(117)의 가동단자부(123)와 커버케이스(104)에 설치된 접속걸어맞춤부(118)의 배선리드 (125)가 접촉하고, 커버케이스(4)내의 회로기판(111)과 제 2 케이스(102)내의 회로기판(1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커버케이스(104)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버튼 (114)을 조작함으로써 커버케이스(104)의 보조표시부(112)에 시각이나 날짜 등의 보조정보를 표시시켜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전자사전에 따르면, 제 1, 제 2 케이스(101, 102) 중, 제 2 케이스 (102)에 설치된 접속걸림고정부(117)와 걸림고정돌기(126)를 커버케이스(104)의 접속걸어맞춤부(118)와 걸어맞춤돌기(127)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지게 함으로써 제 2 케이스(102)의 외표면에 기능증설용의 커버케이스(104)를 겹쳐 맞춘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기능을 증설할 수 있는 동시에, 기능을 증설해도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기기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시 및 사용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기능증설용의 커버케이스 (104)가 방해로 되지 않고, 사용 편리함이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102)에 커버케이스(104)를 부착할 때에 제 2 케이스 (10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26)에 커버케이스(104)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돌기 (127)를 걸음으로써 제 2 케이스(102)에 대해 커버케이스(104)를 위치 규제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를 향하여 회전운동시키는 것만으로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에 겹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 2 케이스에 대한 커버케이스(104)의 부착 작업성이 좋다. 이 때에는 커버케이스(104)와 제 2 케이스(102)의 양자의 선단측 및 그 양측의 3곳에 있어서 걸림고정돌기(126)와 걸어맞춤돌기(127) 및 복수의 접속걸림고정부(117)와 복수의 접속걸어맞춤부(118)가 각각 걸어 맞추므로 커버케이스(104)를 제 2 케이스(102)에 확실하게 또한 안정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 이 전자사전에서는 제 2 케이스(102)로부터 커버케이스(104)를 떼어 냈을 때에 제 2 케이스(102)에 설치된 접속걸림고정부의 가동단자부(123)가 제 2 케이스 (102)의 측면(102c)으로부터 돌출해도 제 2 케이스(102)의 외관을 손상하는 일이 없고, 또 제 2 케이스(102)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돌기(126)가 제 2 케이스(102)의 악센트로 되는 바와 같은 장식성을 갖고 있으므로 커버케이스(4)를 떼어 내도 제 1, 제 2 케이스(101, 102)를 제품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1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사전에 적용한 제 1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40∼도 46에 나타내어진 제 12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전자사전은 커버케이스(104)에 증설기능으로서 스피커기능을 탑재한 구조이고, 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기능증설용의 전자부품으로서 커버케이스(104)내에 회로기판(135) 및 한쌍의 스피커(136)를 수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회로기판(135)은 스피커기능에 필요한 전자회로가 탑재되고, 그 소정의 전극(도시생략)에 접속걸어맞춤부(118)의 배선리드(125)가 접속되어 있다.
또 한쌍의 스피커(136)는 스테레오 타입의 평면형의 것이고, 커버케이스 (104)내의 회로기판(1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커버케이스(104)의 외표면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방음구멍부(137)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케이스(102)와 커버케이스(104)는 제 2 케이스(102)에 설치된 접속걸림고정부 (117)와 커버케이스(104)에 설치된 접속걸어맞춤부(118)로 이루어지는 접속연결부재(115)에 의해서 제 2 케이스(102)내에 설치된 회로기판(116)과 커버케이스 (104)내에 설치된 회로기판(135)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사전에 있어서도 제 12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제 2 케이스(102)에 장착된 커버케이스(104)에 의해서 증설된 스피커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커버케이스(104)와 제 2 케이스(102)를 부착하는 접속연결부재(115)에 의해서 커버케이스(104)내의 회로기판(135)과 제 2 케이스(102)내의 회로기판(1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커버케이스(104)에 설치된 한쌍의 스피커(136)에 의해서 음악이나 음성을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다. 이 때에도 제 2 케이스(102)에 커버케이스(104)가 겹쳐 맞추어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시에 있어서도 휴대시에 있어서도 커버케이스(104)가 방해로 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케이스에 탑재된 전자부품이 표시기능, 스피커기능의 경우의 예이었는데, 추가로 커버케이스에 탑재된 전자부품을 텔레비전튜너기능, 전원기능, 카메라기능, 프린터기능, 스캐너기능 등의 기능을 구성하는 각종의 부품의 어느 것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의 어느 것인가에 한쪽의 케이스에 장착된 커버케이스를 교환함으로써 표시기능, 텔레비전튜너기능, 스피커기능, 전원기능, 카메라기능, 프린터기능, 스캐너기능 등의 기능 중, 어느 것인가의 기능을 증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망하는 기능을 증설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함이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장식용의 커버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그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게 하여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으므로, 장식용의 커버부재를 자유로이 떼어 내어 교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색채나 그림 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가 장식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로부터 떼어 내면, 이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가 노정하고, 이 노출한 걸림고정부가 장식성을 갖는 형상이기 때문에 외관적으로도 디자인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를 떼어 내도 제품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걸림고정부가 한쪽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힌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측면 및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걸어맞춤부가 커버부재의 선단측의 측면 및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한쪽의 케이스에 커버부재를 장착했을 때에 그 양자의 선단측과 그 반대측의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의 3곳에서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춤부가 걸어 맞추므로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에 확실하게 또한 안정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의 걸림고정부와 커버부재의 걸어맞춤부의 어느 쪽인가 한쪽이 그 양자의 걸거나 벗김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스프링성을 갖고 있으므로 그 스프링힘으로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춤부를 확실하게 걸어 맞추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춤부의 한쪽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춤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함으로써 간단하게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로부터 떼어 낼 수 있고, 이에 따라 한쪽의 케이스에 대한 커버부재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커버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의 일부가 설로 흡착하는 흡착부재임으로써 이 흡착부재로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에 흡착시켜서 부착하므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커버부재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외에, 특히 흡착부재로서 흡반이나 자석 등을 이용하여 커버부재에 설치하면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로부터 떼어 냈을 때에 한쪽의 케이스에 흡반이나 자석 등의 흡착부재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커버부재를 떼어 내도 외관적으로 바람직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커버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춥부의 일부가 서로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한쌍의 면상파스너임으로써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걸어맞춤부의 일부를 서로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면상파스너로 이루어지는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 맞추므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커버부재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식부가 설치되고, 이 한쪽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에 개구부가 장식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하면, 커버부재의 개구부가 케이스의 장식부에 대응하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장식부를 볼 수 있으므로 커버부재의 개구부에 의해서 악센트로서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케이스의 장식부에 의한 장식 효과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식부가 설치되고, 이 한쪽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에 창부가 장식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하면 커버부재의 창부가 케이스의 장식부에 대응하며, 이 커버부재의 창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장식부를 커버부재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으므로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커버부재의 창부에 의해서 악센트로서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케이스의 장식부에 의한 장식 효과도 얻을 수 있으므로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해도 커버부재의 개구부 또는 창부를 통하여 장식부를 외부로부터 볼 수 있기 때문에 장식부에 기호나 도형, 무늬 등의 장식이 입혀져 있으면 이 장식부에 의해서 보다 한층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가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커버부재와 한쪽의 케이스의 사이에 사진이나 달력 등의 장식시트(51)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독자의 기호의 것을 얻을 수 있으며, 퍼서낼리티가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의 걸림고정부(55, 56)와 커버부재의 걸어맞춤부(57, 58)를 각각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 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외에, 특히 한쪽의 케이스에 설치된 선단측의 양측면의 걸림고정부(55)와 커버부재에 설치된 선단측의 양측면의 걸어맞춤부(57)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고 있음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상태에서 커버부재의 힌지부측의 걸어맞춤부(58)를 한쪽의 케이스의 힌지부측의 걸림고정부(56)로부터 이탈시키면, 커버부재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57)와 한쪽의 케이스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부(55)를 중심으로 커버부재를 케이스에 대해 회전운동시켜서 개폐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대향하는 커버부재의 내면에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커버부재의 선단측의 걸어맞춤부와 한쪽의 케이스의 선단측의 걸림고정부를 중심으로 커버부재를 케이스에 대해 회전운동시켜서 열면, 커버부재의 내면에 설치된 거울이 노출하므로 화장용 콤팩트의 거울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도가 넓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에, 한쪽의 케이스의 걸림고정부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이 커버부재의 걸어맞춤부를 한쪽의 케이스의 걸림고정부에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므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똑같이 커버부재를 자유로이 떼어 내어 교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커버부재에 의한 색채나 그림 등의 디자인을 자유로이 변 경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에 장식용의 개구부를 한쪽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에 대응시켜서 설치함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하면, 커버부재의 장식용의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일부를 볼 수 있으므로 커버부재의 개구부에 의해서 악센트로서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에 장식용의 창부를 한쪽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에 대응시켜서 설치함으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하면, 커버부재의 장식용의 창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일부를 볼 수 있으므로 커버부재의 창부에 의해서 악센트로서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의 개구부 또는 창부가 대응하는 한쪽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가 기호나 도형, 무늬 등의 장식이 입혀진 장식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해도 커버부재의 개구부 또는 창부를 통하여 케이스의 외표면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볼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일부가 장식부임으로써 이 장식부에 의해서 보다 한층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케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케이스의 외표면을 덮어서 기능증설용의 전자부품을 수납한 대략 평판상의 커버부재를 겹쳐 맞추고, 이 상태에서 복수의 접속연결부재가 한쪽의 케이스의 전자회로와 커버 부재의 전자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한쪽의 케이스에 커버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므로 간단하게 기능을 증설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부재가 한쪽의 케이스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한쪽의 케이스에 그 외표면을 덮어서 겹쳐 맞추므로 기능을 증설해도 외관을 손상하는 일없이 기기전체가 콤팩트하게 되며, 이로 인해 휴대시 및 사용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커버부재가 방해로 되지 않으고, 사용 편리함이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족의 케이스의 외표면을 덮어서 커버부재를 겹쳐 맞추면 한쪽의 케이스의 접속걸림고정부가 커버부재의 접속걸어맞춤부에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므로 한쪽의 케이스와 커버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것과 동시에 한쪽의 케이스의 전자회로와 커버부재의 전자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게다가 접속연결부재의 접속걸림고정부가 한쪽의 케이스내에 그 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케이스와 커버부재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더러 접속연결부재를 접속걸림고정부와 접속걸어맞춤부로 구성했으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점수도 적으며, 저단가화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 커버부재를 부착할 때에 한쪽의 케이스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걸림고정부에 커버부재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부를 걸음으로써 한쪽의 케이스에 대해 커버부재를 위치 규제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룰 향하여 회전운동시켜서 커버부재를 한쪽의 케이스에 겹쳐 맞춤으로써 한쪽의 케이스를 덮은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장착 할 수 있으므로 한쪽의 케이스에 대한 커버부재의 부착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교환함으로써 표시기능, 텔레비전튜너기능, 스피커기능, 전원기능, 카메라기능, 프린터기능, 스캐너기능 등의 기능 중, 어느 것인가의 기능을 증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망하는 기능을 증설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함이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내부에 키보드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내부에 표시부를 갖는 제 2 케이스가 힌지부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겹쳐 맞추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장식용의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힌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측면에는 제 1 걸림고정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에 제 2 걸림고정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1 걸림고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선단측에는 제 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제 2 걸림고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힌지부측의 양측에는 제 2 걸어맞춤부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케이스의 제 1 걸림고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제 1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제 1 걸림고정부를 덮는 반원형상의 볼록부의 내측에 제 1 걸림고정부가 끼워 맞추는 오목부가 형성된 볼록형상부를 갖고,
    상기 제 2 케이스에 각각 설치된 제 1 걸림고정부 및 제 2 걸림고정부와 상기 커버부재에 각각 설치된 제 1 걸어맞춤부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제 1 걸림고정부는 장식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걸림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제 1 걸어맞춤부에 끼워 맞추는 볼록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고정부는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양측의 각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걸어맞춤부는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의 각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걸림고정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일부의 어느 쪽인가 한쪽은 그 양자의 걸거나 벗김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스프링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에는 장식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장식부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에는 장식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장식부에 대응하는 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에는 기호나 도형, 무늬 등의 장식이 입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삭제
  12. 삭제
  13. 내부에 키보드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내부에 표시부를 갖는 제 2 케이스가 힌지부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겹쳐 맞추는 전자기기의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이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힌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측면에 설치된 장식성을 갖는 볼록형상의 제 1 걸림고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선단측의 측면에 해당 제 1 걸림고정부가 끼워 맞추는 오목부가 형성된 볼록형의 제 1 걸어맞춤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에 설치된 장식성을 갖는 제 2 걸림고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힌지부측에 위치하는 양측에 상기 제 2 걸어맞춤부가 각각 설치되고, 이 제 1 걸어맞춤부 및 제 2 걸어맞춤부를 상기 제 2 케이스의 제 1 걸림고정부 및 제 2 걸림고정부에 걸어 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장식용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장식용의 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 있어서의 외표면의 상기 일부는 기호나 도형, 무늬 등의 장식이 입혀진 장식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겹쳐 맞추어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표면을 덮은 상태로 장착되는 대략 평판상의 커버부재이고,
    이 커버부재내에 수납된 기능증설용의 전자부품과,
    상기 제 2 케이스와 상기 커버부재를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출 때에 상기 제 2 케이스내의 전자회로와 상기 커버부재내의 전자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접속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연결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내의 상기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케이스내에 그 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접속걸림고정부와, 상기 커버부재내의 상기 전자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걸림고정부가 걸거나 벗김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표시기능, 텔레비전튜너기능, 스피커기능, 전원기능, 카메라기능, 프린터기능, 스캐너기능 등의 기능을 구성하는 각종의 부품의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30066804A 2002-09-27 2003-09-26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 KR100550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2846 2002-09-27
JP2002282846 2002-09-27
JP2002282845 2002-09-27
JPJP-P-2002-00282845 2002-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431A KR20040027431A (ko) 2004-04-01
KR100550679B1 true KR100550679B1 (ko) 2006-02-09

Family

ID=3427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04A KR100550679B1 (ko) 2002-09-27 2003-09-26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16184B1 (ko)
KR (1) KR100550679B1 (ko)
CN (1) CN1248560C (ko)
HK (1) HK1063923A1 (ko)
TW (1) TWI2546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1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6588B2 (en) 2002-06-27 2006-10-24 Intel Corporation Multiple mode display apparatus
JP4371914B2 (ja) * 2004-06-04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US20060250763A1 (en) * 2005-05-09 2006-11-09 Dynapower Usa Computer case with attractive appearance and utilization thereof
US7236357B2 (en) * 2005-07-13 2007-06-26 Inventec Corporation Replacing-type upper cover plate structure of notebook computer
TW200743936A (en) * 2006-05-19 2007-12-01 First Int Computer Inc Variable structure of the panel of portable computer
TW200743935A (en) * 2006-05-19 2007-12-01 First Int Computer Inc Variable structure of the panel of portable computer
JP5061602B2 (ja) * 2006-12-01 2012-10-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308708B (zh) * 2007-05-18 2010-11-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JP4949190B2 (ja) * 2007-10-18 2012-06-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コンピュータおよび筐体構造
TWM337777U (en) * 2008-03-03 2008-08-01 First Int Computer Inc Variable structure for portable personal computer panel
CN101547577B (zh) * 2008-03-26 2012-07-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机壳
CN102117577B (zh) * 2009-12-31 2014-01-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
TWI465175B (zh) * 2011-08-31 2014-12-11 Wistron Corp 固定結構與掀蓋式電子裝置
US9001507B2 (en) * 2012-01-17 2015-04-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248633B2 (en) * 2012-04-20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hot stamping system for the same
US20150277506A1 (en) * 2014-03-29 2015-10-01 Bok Eng Cheah Micro-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JP5657158B1 (ja) 2014-05-13 2015-01-21 任天堂株式会社 カバーおよびカバー付情報処理装置
USD775132S1 (en) 2015-06-20 2016-12-27 D & D Security Resources, Inc. Tablet computer cover
KR102366797B1 (ko) * 2017-08-22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49624B2 (ja) * 2017-09-07 2022-04-0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カードケース、表示ユニット及び洗濯機
TWI641303B (zh) * 2017-10-20 2018-11-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CN109740127B (zh) * 2019-01-08 2023-05-26 武汉益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三维模型的无序拆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641A (ja) 1994-06-29 1996-01-19 Abuniile:Kk 携帯電話
KR960035767A (ko) 1995-03-24 1996-10-24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중첩 정밀도 측정방법
AU6497596A (en) * 1995-09-15 1997-04-01 Apple Computer, Inc. Reconfigurable enclosure panel for a mobile computer
US5701230A (en) * 1996-01-11 1997-12-23 Quanta Computer Inc. Portable computer with thin compartment for receiving a flat article therein
US5745566A (en) 1996-10-15 1998-04-28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emovable escutcheon elements
US5768370A (en) 1997-01-08 1998-06-16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changeable cosmetic phone interface
US5983073A (en) * 1997-04-04 1999-11-09 Ditzik; Richard J. Modular notebook and PDA computer systems for personal compu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JPH10301679A (ja) * 1997-04-22 1998-11-13 Toshiba Corp 光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H1153052A (ja) 1997-08-06 1999-02-26 Casio Comput Co Ltd 接続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301100B1 (en) * 1998-06-23 2001-10-09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nector and a cable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KR20000044513A (ko)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폰용 악세사리 패널
US6262886B1 (en) * 1999-09-30 2001-07-17 Apple Computer, Inc. Translucent protective covering for a computer housing
EP1118926A1 (en) * 2000-01-21 2001-07-25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Customizing panel for portable computer
US6392877B1 (en) * 2000-06-05 2002-05-21 Richard J. Iredale Laptop computer display mounting
JP2002023650A (ja) * 2000-06-14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1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242319B1 (ko) * 2014-08-22 202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8560C (zh) 2006-03-29
TWI254602B (en) 2006-05-01
KR20040027431A (ko) 2004-04-01
US7016184B1 (en) 2006-03-21
TW200417306A (en) 2004-09-01
CN1494370A (zh) 2004-05-05
HK1063923A1 (en) 200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679B1 (ko) 전자기기 및 그 커버부재
KR100652750B1 (ko) 입력버튼 겸용 보호창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103744486B (zh) 具有两件式壳体的便携式电子设备
US853754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US7414855B1 (en) Modula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rchangeable outer housing assembly
KR20060128736A (ko) 휴대용 전자 장치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EP1417674A2 (en) Keymat
JP5873756B2 (ja) 携帯電子機器
JP4299794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カバー部材、携帯型電子機器及びカバー部材装着方法
JP2007266530A (ja) 電子機器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4139558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カバー部材
KR100400598B1 (ko)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US7228111B2 (en) Keypad structure
JP2007088139A (ja) 携帯電子機器
CN112290962B (zh) 卡托组件以及电子装置
JP5381855B2 (ja) 取り付け部品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8085140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US2010012495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20028269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
JP2003032342A (ja) 外装用化粧カバーおよび携帯用情報機器
JP2008153902A (ja) 電子機器
JP2007124001A (ja) 携帯電子機器
JP2006109061A (ja) カバー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167788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