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682B1 -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 Google Patents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682B1
KR100549682B1 KR1020040036860A KR20040036860A KR100549682B1 KR 100549682 B1 KR100549682 B1 KR 100549682B1 KR 1020040036860 A KR1020040036860 A KR 1020040036860A KR 20040036860 A KR20040036860 A KR 20040036860A KR 100549682 B1 KR100549682 B1 KR 100549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nector
pumping means
nozz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928A (ko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riority to KR102004003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682B1/ko
Priority to PCT/KR2004/001699 priority patent/WO2005097598A1/en
Priority to US10/921,049 priority patent/US20050223682A1/en
Priority to PCT/KR2004/003490 priority patent/WO2005113341A1/en
Publication of KR2005011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용기나 진공커버와 같은 피진공체와 펌핑수단을 연결하여 펌핑수단에 의하여 피진공체 내부가 진공화되도록 하는 진공 보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의 노즐과의 결합방식이 펌핑수단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되도록 한 범용형태이면서도,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 노즐의 결합에 있어 결합부가 노즐 외주면에 접하도록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므로 커넥터와 펌핑수단의 연결이 쉽고, 펌핑수단에 의하여 커넥터 내부 통로에 진공압력이 걸릴 때 상기 결합부는 흡입압력에 의하여 노즐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아울러, 적절한 기밀수단에 의하여 밀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부위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될 염려가 적어 기밀성 보장이 확실하고, 또 진공해제수단으로 인하여 피진공체의 진공완료 후 커넥터 및 펌핑수단 그리고 커넥터 및 피진공체와의 분리가 용이한 진공 보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는 체크밸브가 위치하는 피진공체의 상면부와 접촉하는 빨판부; 상기 빨판부 본체 상부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는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펌핑수단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피진공체 내부를 진공화시킨 후 커넥터 내부 통로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진공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 커넥터, 범용, 빨판부, 튜브, 기밀수단, 펌핑수단, 피진공체

Description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COMMON AUXILIARY CONNECTOR FOR VACUUM}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다른 형태를 갖는 커넥터의 부속품인 결합부의 사시도,
도 2는 진공장치의 일례로서 진공포장기의 노즐에 본 발명의 커넥터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여 진공용기를 진공화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빨판부 11: 본체
11a: 확장부 11b: 결합돌기
13: 패킹부재 13a: 환홈
15: 체크밸브 15a: 외측디스크
15b: 내측디스크 15c: 결합부
15d: 파지부 20: 튜브
30,130: 결합부 31,131: 끼움부
33,133: 결합돌기 35: 접촉부
37: 가스켓 40: 진공포장기
47: 노즐 50: 진공용기
본 발명은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용기나 진공커버와 같은 피진공체와 펌핑수단을 연결하여 펌핑수단에 의하여 피진공체 내부가 진공화되도록 하는 진공 보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의 노즐과의 결합방식이 펌핑수단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되도록 한 범용형태이면서도,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 노즐의 결합에 있어 결합부가 노즐 외주면에 접하도록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므로 커넥터와 펌핑수단의 연결이 쉽고, 펌핑수단에 의하여 커넥터 내부 통로에 진공압력이 걸릴 때 상기 결합부는 흡입압력에 의하여 노즐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아울러, 적절한 기밀수단에 의하여 밀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부위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될 염려가 적어 기밀성 보장이 확실하고, 또 진공해제수단으로 인하여 피진공체의 진공완료 후 커넥터 및 펌핑수단 그리고 커넥터 및 피진공체와의 분리가 용이한 진공 보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고 진공화시켜 내용물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고 유통기한을 늘이기 위한 진공용기나 진공커버와 같은 피진공체는 근래 각광받고 있다.
피진공체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방법은 소재자체의 탄성을 이용하는 것과 별도의 펌핑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전자는 용기 본체에 덮개를 덮고 체크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를 용기 저면부를 향하여 가압하여 용기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 체크밸브를 폐쇄하는 것으로, 해당되는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3320호(2001.10.26)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기』 및 실용신안등록 제0269043호(2002.03.08) 『밀/개폐형 밸브구조를 갖는 식품용기』등이 있다.
또 후자는 펌프 입구를 용기 덮개에 밀착시킨 후 작동시키면 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진공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당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1222호(2000.10.05) 『진공용기의 밸브장치』 및 실용신안등록 제0255744호(2001.11.16) 『진공 포장용 그릇』 등이 있다.
그러나 두 가지 방식이 혼용되기도 있다.
이러한 피진공체의 진공화를 위한 펌핑수단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2-0700998호(1992.08.10) 『플라스틱 백을 진공봉합하는 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235323호(2001.06.11)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0260856호(2002.01.03)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가 있다.
앞의 두, 공개특허 및 등록실용신안은 내용물이 담긴 진공팩을 진공 펌프로 진공화시킨 후 히터로 진공팩의 입구를 가열 접합하는 진공포장기와 관련된 것이고, 마지막 등록실용신안은 믹서기의 모터에 진공발생장치를 연결하여 진공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복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펌핑수단을 이용하여 피진공체를 진공화시키고자 할 경우 둘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필요하다.
상기 특허공개 제1992-0700998호의 도 12와 관련하여 커넥터의 기재가 있고, 실용신안등록 제0235323호는 도 6,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0260856호는 도 2 및 도 5와 관련하여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커넥터는 펌핑수단과의 연결에 있어, 특별한 언급은 없으나 첨부된 도면을 살펴 보건데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의 노즐 결합부가 특정 암수 결합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 노즐의 결합에 있어 결합부가 노즐 외주면에 접하도록 끼워지는 것이어서 노즐의 지름이 결합부의 지름 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커넥터를 연결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는 특정 펌핑수단에만 사용되고 범용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독립된 물품으로 취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 상기 공개특허 및 등록실용신안들의 커넥터들은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 노즐의 결합에 있어 결합부가 노즐 외주면에 접하도록 끼워지는 것이므로 일일이 피진공체의 진공시마다 펌핑수단 노즐에 커넥터 결합부를 탈착하는 과정을 반 복하여야 했으므로 불편하였고, 더 나아가 밀폐상태의 신뢰성이 떨어져 커넥터 내부 통로에 진공압력이 걸릴 때 흡입력에 의하여 밀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위 틈새로 공기가 유입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피진공체와 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결합부와 펌핑수단 노즐의 결합방식이 상기 결합부의 끼움부가 상기 노즐 구멍에 끼워지는 형태여서 펌핑수단의 종류에 상관없이 피진공체의 진공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펌핑수단과의 연결이 쉽고, 진공시 기밀성의 보장이 확실하며, 진공 완료 후 피진공체로부터 빨판부를 떼어내는 것이 쉬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노즐과의 결합시에는 커넥터의 결합부가 펌핑수단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므로 펌핑수단과의 결합이 쉽다.
그리고 진공시에는 펌핑수단에 의하여 커넥터 내부 통로에 진공압력이 걸릴 때 상기 결합부는 흡입압력에 의하여 노즐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아울러 적절한 기밀수단에 의하여 밀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부위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될 염려가 적어 기밀성 보장이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피진공체의 진공완료 후 커넥터를 분리할 경우 진공해제수단으로 인하여 커넥터 및 펌핑수단 그리고 커넥터 및 피진공체와의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는 체크밸브가 위치하는 피진공체의 상면부와 접촉하는 빨판부; 상기 빨판부 본체 상부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는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펌핑수단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피진공체 내부를 진공화시킨 후 커넥터 내부 통로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진공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진공 보조 커넥터(C)는 체크밸브가 위치하는 피진공체 상면부와 빨판부(10), 펌핑수단의 노즐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결합부(30), 그리고 상기 빨판부(10)와 상기 결합부(30)를 연결하는 튜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상기 빨판부(10)는 접시를 엎어 놓은 형상으로 빨판부(10)의 본체(11) 테두리에는 패킹부재(13)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피진공체와의 접촉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재(13)는 환홈(13a)을 통하여 상기 빨판부(10) 본체(11)의 확장부(11a)와 결합된다. 상기 본체(11)의 상부 중앙부에는 상기 튜브(10) 일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b)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튜브(10)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11b) 외주면이 접하는 암수결합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암수결합 형태는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결합형태가 가능하며, 또 체결밴드와 같은 결합상태의 보강을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20)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20)의 타단부에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펌핑수단 노즐과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30)가 결합돌기(3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튜브(20) 단부의 내주면은 상기 결합돌기(33)의 외주면과 접하는 암수결합 형태이며, 이 역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의 특징은 우선 끼움부(3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펌핑수단인 진공포장기(40)의 노즐(47) 구멍에 쉽게 삽입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끼움부(31)의 외경은 상기 노즐(47)의 내경 보다 작아야 한다.
도 1a에서, 상기 결합부(30)의 끼움부(31) 외경이 상기 펌핑수단의 노즐 내경 보다 작을 경우,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커넥터 내부 통로에 진공압력이 걸릴 때 끼움부(31)와 노즐 사이의 결합 부위로부터 공기가 새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기밀수단으로 도 1a에 도시된 것은 상기 끼움부(31)를 중심축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35)이다. 특히 상기 접촉부(35)의 지름은 상기 노즐의 외경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 기 접촉부(35)와 상기 노즐 상면부와의 접촉면에는 가스켓(3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부(30)의 끼움부(31)를 통하여 거의 모든 내경 치수를 갖는 펌핑수단 노즐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아울러 접촉부(35)와 가스켓(37)으로 인하여 기밀성의 문제가 적다. 또 상기 커넥터(C)를 상기 펌핑수단과 피진공체를 연결한 상태에서 펌핑수단을 작동시켜면 노즐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접촉부(35), 실제로는 가스켓(37)이 노즐 상부 외주면에 압착되므로 진공시에 커넥터(C)가 노즐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1b에는 커넥터를 위한 다른 형태의 결합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30)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 형상의 절두형 콘 형태이고 중심 대칭축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30)의 확장부 상부에는 튜브 단부와의 암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3)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133) 하부에는 끼움부(1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133) 반대편의 상기 끼움부(131)는 첨단을 이루고, 끼움부(131)가 이루는 경사 각도는 15 내지 35도 정도여서, 펌핑수단의 노즐 크기에 상관없이 끼움부(131)가 노즐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합부(130)의 끼움부(131)가 상광하협 형상을 이루므로 노즐에 결합된 상태에서 펌핑수단이 작동되어 흡입력이 발생하면 끼움부(131)는 노즐 쪽으로 가압력을 받으므로 기밀성이 보장되므로, 결합부(130)의 끼움부(131) 자체가 기밀 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기밀성의 강화를 위하여 상기 끼움부(131)의 외주면에는 러버나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가 코팅되거나, 끼움부 자체가 연성의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진공포장기(40)의 노즐(47)에 커넥터(C)의 결합부(130)가 끼워져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확대된 원 내부 참조). 상기 진공포장기(40)는 본체(41)와 이 본체(41)에 힌지결합되는 후드(43)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상기 본체(41)에는 진공화된 진공팩(미도시 됨)의 입구를 가열 접합할 수 있는 히터(4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드(43)에는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히터(49)와 맞물려 진공팩의 입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49a)가 구비되어 있다. 진공팩을 정위치시키고 본체(41)와 후드(43)를 맞물리게 한 후 동작버튼에 의하여 또는 후드의 가해지는 압력의 센싱에 의하여 자동으로 진공펌프(45)가 작동되면 상기 펌프와 연결된 흡입노즐(47)에 의하여 진공화 압력이 걸리는 부분인 진공체임버를 형성하고, 진공팩의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는 패킹부재(42)(44)가 상기 본체(41)와 후드(43)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a 및 도 3에서, 피진공체의 진공완료 후 커넥터(C)를 분리할 경우 커넥터 및 펌핑수단 그리고 커넥터 및 피진공체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진공해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진공해제수단으로는 앞서 설명한 실용신안등록 제0235323호 도 6의 압력해제스위치(74),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0260856호도 5의 압력해제스위치(43)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진공해제수단을 특히 커넥터(C)의 빨판부에 배열된 체크밸브로 하여 커넥터(C) 내부 통로의 진공상태를 위한 기밀성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진공해제동작이 쉽도록 하였다.
상기 체크밸브(15)는 빨판부(10)의 확장부(11a)와 결합돌기(11b) 사이의 설치공(11c)에 구비되어 있는데, 밸브(15)는 연질의 러버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는 상기 커넥터 내부통로의 내벽과 접하는 내측 디스크(15b), 상기 커넥터 외면과 접하는 외측 디스크(15a), 상기 내외측 디스크(15b)(15a)를 연결하며 상기 설치공(11c)에 위치하는 연결부(15c)를 포함하며, 또 상기 연결부(15c)에는 손으로 잡고 외측디스크(15a)를 들어서 커넥터(C)의 내부통로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파지부(1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범용 진공 커넥터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펌핑수단으로서 진공포장기(40)의 노즐(47) 구멍에 결합부(130)의 첨단부을 삽입하고, 도 3에서와 같이 빨판부(10)의 패킹부재(13)가 피진공체인 진공용기(50) 덮개(53)에 구비된 체크밸브(55) 상부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포장기(40)의 펌프(45)를 작동시키면 노즐(47)에 흡입력이 발생하고, 흡입력에 의하여 커넥터의 결합부(130)는 노즐 쪽으로 가압력을 받게 되므로 결합부 외주면은 노즐 내주면과 확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펌프(45)의 흡 입력은 노즐(47) 결합부(130), 튜브(20)를 거쳐, 도 3에서와 같이 빨판부(10)에 미치고, 진공용기(50) 체크밸브(55)의 상부 디스크가 들리면서 유로(53a)가 개방되어 용기 본체(51) 내부의 공기가 노즐(47)을 거쳐 빠져 나가므로 용기(50) 내부는 진공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50)의 덮개(53)와 본체(51) 사이의 접촉면에는 패킹링(53a)이 구비되어 있어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피진공체인 용기(50)의 진공이 완료되면, 포장기(40)의 스위치를 off시킨다. 이때 커넥터의 내부 통로에는 진공압력이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커넥터의 빨판부(10)와 용기(50) 및 결합부(130)와 노즐(47)을 쉽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내부 통로의 진공압력을 해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빨판부(10)에 구비된 체크밸브(15)의 파지부(15d)를 잡고 외측디스크(15a)를 들면 설치공(11c)을 통하여 공기가 커넥터 내부 통로로 유입되어 진공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는 결합부와 펌핑수단 노즐의 결합방식이 상기 결합부의 끼움부가 상기 노즐 구멍에 끼워지는 형태여서 펌핑수단의 종류에 상관없이 피진공체의 진공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노즐과 겹합부의 연결방식으로 인하여 펌핑수단과의 연결이 쉽고, 기밀수단으로 인하여 진공시 기밀성의 보장이 확실하며, 진공해제수단으로 인하여 진공 완료 후 피진공체로부터 빨판부를 떼어내는 것이 쉽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데,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체크밸브가 위치하는 피진공체의 상면부와 접촉하는 빨판부;
    상기 빨판부 본체 상부에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는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펌핑수단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피진공체 내부를 진공화시킨 후 커넥터 내부 통로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진공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의 노즐 상면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기밀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노즐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기 끼움부를 갖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노즐 상면부와의 접촉면에 가스켓을 구비하고 있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끼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커넥터 내부통로의 내벽과 접하는 내측 디스크, 상기 커넥터 외면과 접하는 외측 디스크, 및 상기 내외측 디스크를 연결하며 커넥터의 형성된 설치공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KR1020040036860A 2004-04-08 2004-05-24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KR10054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860A KR100549682B1 (ko) 2004-05-24 2004-05-24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PCT/KR2004/001699 WO2005097598A1 (en) 2004-04-08 2004-07-09 Vacuum sealer
US10/921,049 US20050223682A1 (en) 2004-04-08 2004-08-17 Vacuum sealer
PCT/KR2004/003490 WO2005113341A1 (en) 2004-05-24 2004-12-29 Vacuum sealer having lock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860A KR100549682B1 (ko) 2004-05-24 2004-05-24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28A KR20050111928A (ko) 2005-11-29
KR100549682B1 true KR100549682B1 (ko) 2006-02-07

Family

ID=372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860A KR100549682B1 (ko) 2004-04-08 2004-05-24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16B1 (ko) * 2011-06-22 2013-02-19 주식회사 하나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28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JP5216775B2 (ja) 真空カバー
KR101571339B1 (ko) 진공 백을 위한 플랩을 갖는 일방향 밸브
WO2008154774A1 (fr) Capuchon de scellement
KR200395836Y1 (ko) 진공용기 커버
WO2018133368A1 (en) Cooking appliance
KR100549682B1 (ko)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
JP3118216U (ja) 密封袋の一方向エア弁
KR101372306B1 (ko)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JPH111279A (ja) 食品容器
KR100778520B1 (ko) 진공부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JP3230251U (ja) 防爆型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KR200403774Y1 (ko) 흡착식 용기커버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WO2008131583A1 (fr) Récipient étanche à pompage sous vide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102060768B1 (ko) 밀폐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 형성 장치
KR100894726B1 (ko) 용기용 밀폐커버
US20080199335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pump
CN216469611U (zh) 一种防漏食物贮存盒
KR200234362Y1 (ko) 진공용기 덮개
JP3044652B2 (ja) 複段重ね密封容器
KR101597903B1 (ko) 밀폐용기 누름판
KR200334238Y1 (ko) 진공 밀폐형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