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549B1 -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549B1
KR100549549B1 KR1020040073491A KR20040073491A KR100549549B1 KR 100549549 B1 KR100549549 B1 KR 100549549B1 KR 1020040073491 A KR1020040073491 A KR 1020040073491A KR 20040073491 A KR20040073491 A KR 20040073491A KR 100549549 B1 KR100549549 B1 KR 100549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wireless communication
road
terminal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문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티엔 filed Critical (주) 에이티엔
Priority to KR102004007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는 우선적으로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서비스를 수행하고 이외의 지역에서는 ETC 탑재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MP3등의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광역 무선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이중 모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 교통정보, 디지털 오디오, 광역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은,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행료자동징수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후 복원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전달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 송출하며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을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교환하는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112)와;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어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ETC)를 위한 무선 통신 서비스 지역을 인식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위치기반 도로 및 안내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및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 서비스중 정해진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로부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서비스모드 전환을 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ETC어플리케이션(114)에 의해 제어되는 ETC주변장치부(115)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디코더부(161)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구성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참조되는 디지털오디오부(160)와;
위치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180)과;
도로의 상태 및 도로 시설물등의 데이터가 보관되거나 수정 및 저장되며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될 수 있는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점검하는 진입점검단계(S10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내에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ETC서비스수행단계(S11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이 아니거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의 수행이 필 요하지 않은 경우에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등의 부가서비스중 한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일정시간 수행하는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의하면,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는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되고 이외의 지역에서는 ETC탑재단말기를 이용하여 도로 노면 상태안내, 도로안내, 공사지점 안내, 위반단속 시설물 안내, 비상전화 안내, 휴게시설 안내등의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길 안내, 도로 지정체 정보안내, 차선 안내등의 위치기반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셀룰러 휴대폰, TRS(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 무선 데이터 단말기, 페이저 단말기 등과 연동하여 광역 무선 통신 연동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통합 단말시스템 및 이용방법을 제공하여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탑재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적은 비용 부담으로 차량내에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ETCS, 단거리 무선통신, 교통정보, 휴대전화, 광역 무선통신, 위치기반 시설물 안내.

Description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reof the Integrated Service Schemes of Electronic Toll Collection, Location Based Road and Facility Informing, Traffic Information, Digital Audio,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grat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진입점검단계에서 단거리 무선통신과 광역 무선통신과의 통신 이중모드 처리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진입점검단계에서 단거리 무선통신 서비스와 도로/시설물 안내서비스와의 이중모드 처리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 말시스템 이용방법의 음성을 통한 과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1: 중앙처리프로세서부
112: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
113: 무선통신 기지국 장치
114: ETC 어플리케이션
115: ETC 주변장치부
116: 부가어플리케이션
117: 부가어플리케이션용주변장치부
121: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
122: 동작모드제어부
123: 프로세서간통신블럭
124: 광역 무선통신 기지국
131: 인터넷 망
132: 외부 컴퓨터
133: 데이터접속부
140: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부
160: 디지털오디오부
161: 오디오디코더부
162: 오디오제어및출력장치부
170: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
180: 위치정보수신모듈
본 발명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는 우선적으로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서비스를 수행하고 이외의 지역에서는 ETC 탑재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MP3등의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광역 무선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이중 모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반경이 수 미터에서 수백미터인 단거리 무선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ervice)가 일반화되어 있으며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는 차량에 탑재된 ETC단말기가 요금징수지점을 통과하면서 요금징수지점에 설치된 ETC용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과 과금 처리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여 요금을 자동적으로 정산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요금징수지점 이외의 지역에서는 ETC 단 말기는 그 사용용도가 많지 않다. 즉, ETC단말기에는 고성능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들과 각종 칩 등의 고가 전자부품이 장착되어 있지만 이러한 단말기 자원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운전자가 여러 가지의 각종 차량운행에 필요한 전자 장치들을 필요에 따라 구입 설치하는 경우 설치 공간상의 문제점과 비용적인 부담이 있었다.
또한, 단거리 무선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은 통신가능 영역이 좁고 통신의 시간적, 공간적 연속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통신의 연속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은 도로상에서 통신 불능지역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제한된 주파수 채널로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ETC를 위한 단거리 무선통신 서비스 지역을 인식하여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서비스를 먼저 처리하고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단거리 무선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지역을 벗어났을 때는 정해진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로부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서비스 모드 전환을 하여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이외의 지역에서는 ETC 탑재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광역 무선 통신망과 연동되는 통합 단말시스템 및 이용방법을 제공하여 ETC 탑재단말기 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적은 비용 부담으로 차내에서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거리 무선통신의 단점인 공간상의 서비스 불연속성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은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행료자동징수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후 복원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전달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 송출하며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을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교환하는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112)와;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어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ETC)를 위한 무선 통신 서비스 지역을 인식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위치기반 도로 및 안내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및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 서비스중 정해진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로부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서비스모드 전환을 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ETC어플리케이션(114)에 의해 제어되는 ETC주변장치부(115)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디코더부(161)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구성되고 중앙처리프로 세서부에 의하여 참조되는 디지털오디오부(160)와;
위치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180)과;
도로의 상태 및 도로 시설물등의 데이터가 보관되거나 수정 및 저장되며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될 수 있는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점검하는 진입점검단계(S10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내에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ETC서비스수행단계(S11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이 아니거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의 수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등의 부가서비스중 한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일정시간 수행하는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은,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행료자동징수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후 복원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전달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 송출하며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을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교환하는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112)와;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어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ETC)를 위한 무선 통신 서비스 지역을 인식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위치기반 도로 및 안내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및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 서비스중 정해진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로부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서비스모드 전환을 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ETC어플리케이션(114)에 의해 제어되는 ETC주변장치부(115)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디코더부(161)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구성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참조되는 디지털오디오부(160)와;
위치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180)과;
도로의 상태 및 도로 시설물등의 데이터가 보관되거나 수정 및 저장되며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될 수 있는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 (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부가어플리케이션(116)에 의하여 제어되는 부가 어플리케이션용주변장치부(117)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단거리 무선통신(DSRC)영역의 진입상태를 통지받아 단말기가 단거리 무선통신(DSRC)가능 영역에 있지 않으면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를 동작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모드제어부(122)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와 광역무선 통신단말기(12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세서간통신블럭(123);을 구성하여 광역무선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단거리 무선통신의 단점인 공간상의 서비스 불연속성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의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컴퓨터(132)나 인터넷(131)으로부터 유선으로 수신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 넘겨주는 데이터접속부(13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사용자제어및접속장치부(140)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오디오부(160)는,
차량 탑재 단말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외부의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컴퓨터(132)나 인터넷(131)으로부터 유선으로 수신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 넘겨주는 데이터접속부(133)를 통해 MP3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점검하는 진입점검단계(S10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내에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ETC서비스수행단계(S11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이 아니거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의 수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등의 부가서비스중 한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일정시간 수행하는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입점검단계(S100)에서는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 사이에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지에 대한 통신 상태를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상태확인단계(S101)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는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신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 자신이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광역 무선통신을 중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요청된 광역 무선통신 서비스를 진행하는 광역무선통신서비스단계(S102)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 결과를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결과처리단계(S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도로통행료 자동징수의 과금 처리과정 중 발생한 처리 단계별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처리단계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500)와;
ETC 처리 과정별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음성출력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출력정보수신단계(S510)와;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음성출력정보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읽어오는 데이터추출단계(S520)와;
상기 추출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조합하여 한 개 이상의 음성 문장으로 구성하는 문장구성단계(S530)와;
상기 문장구성단계(S530)에서 구성된 디지털 오디오 문장이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디코더부(161)로 전달하는 음성출력단계(S5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는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되고 이외의 지역에서는 통행료 자동징수(ETC) 탑재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휴대전화 서비스와 연동되는 통합단말시스템 및 이 용방법을 제공하여 통행료 자동징수(ETC) 탑재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적은 비용 부담으로 차량운행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은,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행료자동징수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후 복원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전달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 송출하며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을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교환하는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112)와;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어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ETC)를 위한 무선 통신 서비스 지역을 인식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위치기반 도로 및 안내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및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 서비스중 정해진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로부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서비스모드 전환을 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ETC어플리케이션(114)에 의해 제어되는 ETC주변장치부(115)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디코더부(161)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구성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참조되는 디지털오디오부(160)와;
위치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180)과;
도로의 상태 및 도로 시설물등의 데이터가 보관되거나 수정 및 저장되며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될 수 있는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부가어플리케이션(116)에 의하여 제어되는 부가 어플리케이션용주변장치부(117)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단거리 무선통신(DSRC)영역의 진입상태를 통지받아 단말기가 단거리 무선통신(DSRC)가능 영역에 있지 않으면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를 동작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모드제어부(122)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와 광역무선 통신단말기(12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세서간통신블럭(123);을 구성하여 광역무선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단거리 무선통신의 단점인 공간상의 서비스 불연속성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의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컴퓨터(132)나 인터넷(131)으로부터 유 선으로 수신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 넘겨주는 데이터접속부(13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사용자제어및접속장치부(140)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오디오부(160)는,
차량 탑재 단말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외부의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컴퓨터(132)나 인터넷(131)으로부터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가 수신하여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것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MP3등의 서비스이외에 운전위험지역에 관한 방송등에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는 1개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통행료 자동징수(ETC) 어플리케이션의 수행과 부가적으로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및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112)는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113) 신호를 수신 후 복원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 제공하며 중앙처리 프로세서부(111)로부터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또한 단거리무선통신 무선신호처리부(112)는 무선통신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ETC 어플리케이션(114)은 ETC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명령어 절차들의 집합으로써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의해서 실행되며 스마트 카드, LCD, 보안처리 모듈 등이 포함되는 ETC주변장치부(115)를 제어한다.
상기 부가어플리케이션(116)은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등 ETC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명령어 절차들의 집합으로써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의해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와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170) 등을 참조하여 동작하며 필요한 경우 오디오디코더부(161)를 통하여 음성 출력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디코더부(161)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접속되어 ETC 서비스 및 부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행시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의 요구에 의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듣을 수 있는 소리로 변환하고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접속부(133)는 단말기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외부 컴퓨터(132) 또는 인터넷망(131)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며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가 외부 컴퓨터(132) 또는 데이터접속부(133)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메모리부인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와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170)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제어및접속장치부(14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방식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180)은 GPS와 같은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 전달한다.
상기 동작모드제어부(122)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부터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과의 통신 상태를 수신하여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121)에게 전송하여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121)의 통신 가능 여부를 제어한다.
상기의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121)는 동작모드제어부(122)로부터 단거리 무선통신 상태를 전달 받아 만약 단거리 무선통신 서비스가 진행 중인 경우 자신의 통신 서비스 중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요구된 통신서비스를 광역무선통신 기지국(124)과 연결하여 제공한다. 또한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간통신블럭(123)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프로세서간통신블럭(123)은 경우에 따라서 상기 동작모드제어부(122)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서비스의 종류를 추가가 가능하다.
즉,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는 도로 노면 상태안내, 도로안내, 공사지점 안내, 위반단속 시설물 안내, 비상전화 안내, 휴게시설 안내서비스가 포함되며, 위치기반 교통정보 서비스는 길 안내서비스, 도로 지정체 정보안내, 차선안내서비스 등을 포함되며,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는 MP3 Play 서비스가 포함되며 광역 무선 통신 연동에는 셀룰러 휴대폰, TRS(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 무선 데이터 단말기, 페이저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오디오부(160)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디코더부(161)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구성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참조된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오디오부를 구성하는 이유는 종래의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의 과금 처리과정을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자가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눈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오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의 과금 처리과정을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의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이외의 지역에서는 여러가지의 부가서비스를 음성으로써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DSRC) 통신은 통신영역이 연속적이지 않아 통신 불능지역이 자주 발생하며 기반망과의 연결이 단절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이중모드로 구성함으로써 기반망과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비교적 넓은 통신 영역을 가지는 광역 무선 통신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공간적 연속성을 보장하고, 광역 무선통신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은,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점검하는 진입점검단계(S10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내에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ETC서비스수행단계(S11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이 아니거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의 수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등의 부가서비스중 한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일정시간 수행하는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입점검단계(S100)에서는 영역 검사 기준을 다음의 두 가지 조건 중 한 개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단거리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전파 수신 신호 강도의 측정값을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가 읽어 일정한 값 이상인 경우 둘째,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부터 정상적인 통신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이다.
상기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에서는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 점검결과의 처리를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 자신이 항상 참조할 수 있도록 점검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내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앙처리 프로세서부(111)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 점검결과를 활용하여 단거리 무선 통신 영역임이 확인되고 ETC 서비스의 진행이 필요한 경우 ETC 서비스를 우선 수행하고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이 아니거나 ETC 서비스의 진행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부가서비스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TC서비스단계(S110)에서는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 중이거나 대기상태에서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임이 인식되고 ETC 서비스의 진행이 요구되는 경우 부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다시 ETC 서비스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진입점검단계에서 단거리 무선통신과 광역 무선통신과의 통신 이중모드 처리 절차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입점검단계(S100)에서는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 사이에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지에 대한 통신 상태를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상태확인단계(S101)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는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신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 자신이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광역 무선통신을 중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요청된 광역 무선통신 서비스를 진행하는 광역무선통신서비스단계(S102)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 결과를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결과처리단계(S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단말 시스템 자신이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진입하였는 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광역 무선통신 단말이 이 상태 값을 참조하여 자신의 서비스 진행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도록 광역 무선통신 단말에 통지(S101)한 후 광역무선통신서비스단계(S102)의 조건에서 DSRC통신 영역에 진입되었으며 DSRC 통신요구가 있는 경우 DSRC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광역 무선통신 단말에 DSRC통신 결과를 전달한다(S103). DSRC 통신 상태 값이 한 단계 이전에 광역 무선통신 단말에 통지한 내용과 변동이 없으면 다시 통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처리모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단거리 무선통신 서비스와 도로/시설물 안내서비스와의 이중모드 처리 절차도이다.
상기 진입점검단계(S100)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시스템 자신이 ETC 서비스를 위한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진입하였는 지를 점검(S200)한 후 DSRC통신 영역에 진입한 경우 ETC 서비스의 진행이 필요한지를 확인(S210)한다. ETC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주어진 시간(예: 50 밀리 초) 동안 ETC서비스를 진행(S215)하고, 다시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 진입점검단계(S100)로 간다. 상기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진입하였는 지를 점검(S200)에서 DSRC 통신영역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ETC 서비스의 진행(S210)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부가서비스인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의 처리(S220)를 수행하 여 부가서비스인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의 처리가 필요하다면 주어진 시간(예: 54 밀리 초)동안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를 진행(S225)하고 다시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 진입점검단계(S110)로 간다. 부가서비스인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의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 진입점검단계(S100)로 간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의 음성을 통한 과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도로통행료 자동징수의 과금 처리과정 중 발생한 처리 단계별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도로통행료 자동징수의 과금 처리과정 중 발생한 처리 단계별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처리단계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500)와;
ETC 처리 과정별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음성출력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출력정보수신단계(S510)와;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음성출력정보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읽어오는 데이터추출단계(S520)와;
상기 추출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조합하여 한 개 이상의 음성 문장으로 구성하는 문장구성단계(S530)와;
상기 문장구성단계(S530)에서 구성된 디지털 오디오 문장이 오디오제어및출 력부(16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디코더부(161)로 전달하는 음성출력단계(S5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시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의하면,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 지역에서는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되고 이외의 지역에서는 ETC탑재단말기를 이용하여 도로 노면 상태안내, 도로안내, 공사지점 안내, 위반단속 시설물 안내, 비상전화 안내, 휴게시설 안내등의 위치기반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길 안내, 도로 지정체 정보안내, 차선 안내등의 위치기반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셀룰러 휴대폰, TRS(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 무선 데이터 단말기, 페이저 단말기 등과 연동하여 광역 무선 통신 연동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합단말시스템 및 이용방법을 제공하여 도로 통행료자동징수(ETC) 탑재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적은 비용 부담으로 차량운행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통행료자동징수시스템에 있어서,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후 복원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에 전달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113)으로 송출하며 무선 통신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을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교환하는 단거리무선통신무선신호처리부(112)와;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어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ETC)를 위한 무선 통신 서비스 지역을 인식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위치기반 도로 및 안내서비스,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및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 서비스중 정해진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제어 및 접속장치로부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서비스모드 전환을 하여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ETC어플리케이션(114)에 의해 제어되는 ETC주변장치부(115)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디코더부(161)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어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로 구성되고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하여 참조되는 디지털오디오부(160)와;
    위치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180)과;
    도로의 상태 및 도로 시설물등의 데이터가 보관되거나 수정 및 저장되며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될 수 있는 도로및시설물정보데이터메모리부(170)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부터 단거리 무선통신(DSRC)영역의 진입상태를 통지받아 단말기가 단거리 무선통신(DSRC)가능 영역에 있지 않으면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를 동작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모드제어부(122)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와 광역무선 통신단말기(12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세서간통신블럭(123)와;
    외부의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컴퓨터(132)나 인터넷(131)으로부터 수신하여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로 넘겨주는 데이터접속부(133);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디지털오디오부(160)는,
    차량 탑재 단말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처리프로세서부에 의해 참조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외부의 MP3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컴퓨터(132)나 인터넷(131)으로부터 중앙처리프로세서부(111)가 수신하여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것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와 중앙처리프로세서부 사이에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지에 대한 통신 상태를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상태확인단계(S101)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는 단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신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 자신이 단거리 무선통신 기지국의 통신 가능 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광역 무선통신을 중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요청된 광역 무선통신 서비스를 진행하는 광역무선통신서비스단계(S102)와,
    광역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 결과를 중앙처리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결과처리단계(S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점검하는 진입점검단계(S10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내에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ETC서비스수행단계(S110)와;
    단거리 무선통신 영역이 아니거나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의 수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도로 및 시설물 안내서비스등의 부가서비스중 한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일정시간 수행하는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가서비스수행단계(S120)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처리단계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163)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500)와,
    ETC 처리 과정별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음성출력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출력정보수신단계(S510)와,
    오디오데이터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음성출력정보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읽어오는 데이터추출단계(S520)와,
    상기 추출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 단위들을 조합하여 한 개 이상의 음성 문장으로 구성하는 문장구성단계(S530)와,
    상기 문장구성단계(S530)에서 구성된 디지털 오디오 문장이 오디오제어및출력부(16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디코더부(161)로 전달하는 음성출력단계(S5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 단말시스템 이용방법.
  8. 삭제
KR1020040073491A 2004-09-14 2004-09-14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0549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491A KR100549549B1 (ko) 2004-09-14 2004-09-14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491A KR100549549B1 (ko) 2004-09-14 2004-09-14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22U Division KR200394226Y1 (ko) 2005-06-09 2005-06-09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549B1 true KR100549549B1 (ko) 2006-02-13

Family

ID=3717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491A KR100549549B1 (ko) 2004-09-14 2004-09-14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5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7440B (zh) 用于使用车辆wifi/dsrc来扩充以智能电话为中心的车内信息娱乐系统的方法和设备
US6956504B2 (en)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system,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method, and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program
KR100400549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장치
KR100258969B1 (ko) 무선 통신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기지국에서의펌웨어 업그레이드 지원방법
JP3819682B2 (ja) 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US68978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wireless roaming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KR200394226Y1 (ko)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장치
KR10107990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1184594A (ja) 車両用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1415181B (zh) 确定移动电话号码分配
JP2003047045A (ja) 測位方法、測位システム、測位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移動通信端末
KR100549549B1 (ko)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통합단말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JP2001312755A (ja) 料金徴収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局及びその無線通信端末
KR100868859B1 (ko) 멀티서비스형 지능형교통시스템 단말장치
JP456404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
KR100834002B1 (ko) Dsrc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합 단말 장치와 그동작 방법
KR101943573B1 (ko) 버스 내의 무선ap고장진단방법
KR20080082868A (ko) 교통 정보 통신용 차량 탑재 단말기
JP2001177869A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通話可否情報報知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通話可否情報作成装置
KR1006139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요금 결제시스템 및결제방법
JP200207458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7027867A (ja) 通信装置
JP200502676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
CN116017419A (zh) 一种用户识别码信息确定方法及装置
KR0143936B1 (ko) 차량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톨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신호 연결망, 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