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314B1 - 파워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314B1
KR100549314B1 KR1020030072897A KR20030072897A KR100549314B1 KR 100549314 B1 KR100549314 B1 KR 100549314B1 KR 1020030072897 A KR1020030072897 A KR 1020030072897A KR 20030072897 A KR20030072897 A KR 20030072897A KR 100549314 B1 KR100549314 B1 KR 10054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tton
addition
power button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662A (ko
Inventor
권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3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파워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버튼 케이스가 전자제품의 본체에 끼워지기 쉽게 하기 위한 파워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후 운동되는 버튼부; 내부에 상기 버튼부가 수용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품 본체와의 결합이 긴밀하게 되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구와, 상기 케이스 걸림구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걸림구에 탄력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완충홈이 포함되는 버튼 케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에 의하여 버튼 케이스가 전면 패널에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에 형성된 케이스 걸림구에 작용되는 압력이 저감되므로 상기 케이스의 억지끼움에 의한 마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진 상기 걸림구가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경쾌한 음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완전한 삽입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를 종래의 가이드 슬리브보다 짧게 함으로써, 가이드 슬리브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를 제작하는 제작공정이 간단하게 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버튼, 걸림구, 누름돌기, 버튼 걸림구

Description

파워 버튼 장치{Apparatus for power butt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 버튼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파워 버튼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파워 버튼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버튼 케이스의 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버튼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케이스 걸림구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파워 버튼 장치가 전면 패널에 부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상기 파워 버튼 장치의 버튼이 눌러진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버튼 51 : 버튼 헤드 52 : 가이드 레그
53 : 버튼 걸림구 54 : 누름돌기 55 : 누름돌기 지지대
60 : 버튼 케이스 61 : 가이드 슬리브 62 : 케이스 걸림구
63 : 케이스 걸림턱 64 : 걸림구 지지판 65 : 누름돌기 수용홀
70 : 스프링 80 : 전면 패널 90 : 택트 스위치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파워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버튼 케이스가 전자제품의 본체에 끼워지기 쉽게 하기 위한 파워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나 오디오 또는 컴퓨터 기타 전자 제품의 경우 파워 버튼은 누름동작에 따라 제품 내부의 PCB(printing circuit board: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택트 스위치에 접촉가압 또는 분리이탈되면서 소정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품의 전면 패널에 삽입 부착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 버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워 버튼 장치는 사용자가 TV 기타 전자제품을 켜거나 끄기 위하여 누르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부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는 버튼 헤드(11)와, 상기 버튼 헤드(11)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택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게 되는 누름돌기 (14)와, 상기 버튼 헤드(11)가 버튼 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하는 버튼 걸림구(1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버튼 케이스(20)는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걸림턱(23)과, 상기 케이스(20)의 일측 모서리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삽입을 인도하는 가이드 슬리브(21)와, 상기 케이스(20)의 일측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 되어 상기 케이스(20)가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구(22)가 포함된다.
상기 파워 버튼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버튼 케이스(20)는 대상 제품의 전면 패널에 삽입된다.
또한,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 슬리브(21)를 따라 인도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케이스 걸림구(22)에 의하여, 상기 버튼 케이스(20)와 전면 패널이 긴밀하게 결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케이스 걸림구(22)는 상기 버튼 케이스(20)가 조립된 후에 전후로 이격되지 아니하고, 또한 제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14)에는 스프링(미도시)이 끼워져 있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후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버튼 헤드(11)는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 버튼 장치는 상기 케이스 걸림구(22)가 돌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스(20)가 삽입될 때 상기 걸림구(22)의 마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2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조립공정 또는 수리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20)의 외주면에 길게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21)로 인하여, 조립시 불필요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제작 공정에 있어서 비용증가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 걸림구(22)가 형성되는 부위의 케이스 외주면에 완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구(22)에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케이스가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 걸림구(22)가 마모되지 않도록 하고, 적은 힘으로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21)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작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후 운동되는 버튼부; 내부에 상기 버튼부가 수용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품 본체와의 결합이 긴밀하게 되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구와, 상기 케이스 걸림구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걸림구에 탄력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완충홈이 포함되는 버튼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버튼 케이스가 전면 패널에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버튼 케이스에 형성된 케이스 걸림구에 작용되는 압력이 저감되므로, 상기 케이스의 억지끼움에 의한 마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파워 버튼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파워 버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50)은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버튼 헤드(51)와, 상기 버튼 헤드(51)의 저면 중앙에 길게 돌출되고, 제품 본체에 내장된 PCB상의 태그 스위치를 가압하는 누름돌기(54)와, 상기 누름돌기(54)의 하단부에 대칭 형성되어 상기 누름돌기(54)를 지지하는 누름돌기 지지대(55)와, 상기 버튼 헤드(51)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헤드(51)가 전진 및/또는 후진 이동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그(52)와, 상기 가이드 레그(52)의 종단부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헤드가 후진 이동시 상기 누름돌기(54)에 끼워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버튼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 걸림구(53)가 포함된다.
상기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은, 사용자가 TV 또는 오디오 기타 전자 제품의 본체에 전원이 인가 또는 단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 헤드(51)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 헤드(51)는 상기 가이드 레그(52)에 의하여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지 아니한 상태로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버튼 헤드는 전전할 때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 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그(52)의 종단부에 형성된 버튼 걸림구(53)에 의하여 상기 버튼(50)이 버튼 케이스(미도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버튼 케이스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버튼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케이스 걸림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케이스(60)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외주면에 적어도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가 TV 등 본체의 전면 패널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슬리브(61)와, 상기 케이스(6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60)가 전면 패널에 밀착되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턱(64)과, 상기 케이스(60)가 본체에 삽입된 후 본체와 긴밀하게 결착되고,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6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 걸림구(6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걸림구(62)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걸림구(62)의 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60)가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 걸림구(62)가 상하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완충홈(63)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60)의 저면에는 상기 누름돌기(54)가 수용되는 누름돌기 수용홀(65)과, 상기 가이드 레그(52)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그 수용홀(66)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걸림구(62)는 상기 케이스(60)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버튼 케이스(60)의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버튼 케이스(60)가 전면 패널에 삽입 안착될 때, 상기 버튼 케이스(6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61)에 의하여 삽입이 인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0)가 억지 끼움될 때, 상기 케이스 걸림구(62)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 걸림구는 전면 패널의 접촉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0)가 깊이 삽입될수록 상기 걸림구(62)에 작용되는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걸림구(6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걸림구(63)의 삼면을 따라 완충홈(6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구(62)는 상기 케이스(60)가 깊이 삽일될수록 상기 케이스(60)의 중심축 방향으로 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62)가 휘어짐으로써, 상기 걸림구(62)에 작용되는 압력은 증가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상기 걸림구(62)의 마모가 저감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0)를 삽입하는데 드는 힘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0)가 완전히 삽입되어 전면 패널과 밀착되면 상기 걸림구(62)는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0)는 전면 패널 내부에 긴밀하게 결착되어 전후 요동 및/또는 회전에 의한 요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50)의 저면에 형성된 누름돌기(54)에는 스프링(70)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누름돌기(54)와 가이드 레그(52)는 상기 버튼 케이스(60)의 저면에 형성된 누름돌기 수용홀((65)와 가이드 레그 수용홀(66)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하나의 버튼 장치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54)에 끼워진 스프링(70)에 의하여, 상기 버튼(5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파워 버튼 장치가 전면 패널에 부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상기 파워 버튼 장치의 버튼이 눌러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는 TV 등의 본체 전면 패널(80)에 긴밀하게 결착되는데,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파워 버튼 장치는 케이스 걸림턱(64)에 의하여 전면 패널(80)에 밀착되어 삽입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 돌기(54)는 본체 내부의 PCB에 부착된 태그 스위치(90)를 가압하게 되어 TV 등이 켜지거나, 또는 꺼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6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 걸림구((62)는 상기 패널(8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구(62)와 동일한 형상의 함몰부위에 안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케이스(60)는 삽입된 후 더이상 요동이나 이탈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버튼 장치에 의하여 버튼 케이스가 전면 패널에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케이스에 형성된 케이스 걸림구에 작용되는 압력이 저감되므로 상기 케이스의 억지끼움에 의한 마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진 상기 걸림구가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경쾌한 음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완전한 삽입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를 종래의 가이드 슬리브보다 짧게 함으로써, 가이드 슬리브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를 제작하는 제작공정이 간단하게 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에 의하여 전후 운동되는 버튼부;
    내부에 상기 버튼부가 수용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품 본체와의 결합이 긴밀하게 되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구, 및 상기 케이스 걸림구에 탄력성을 부여하기 우하여 상기 케이스 걸림구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완충홈이 포함되는 버튼 케이스가 포함되는 파워 버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삽입을 인도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가이드 슬리브가 적어도 포함되는 파워 버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걸림구의 삼면을 따라 형성되는 완충홈이 포함되는 파워 버튼 장치.
KR1020030072897A 2003-10-20 2003-10-20 파워 버튼 장치 KR10054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897A KR100549314B1 (ko) 2003-10-20 2003-10-20 파워 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897A KR100549314B1 (ko) 2003-10-20 2003-10-20 파워 버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662A KR20050037662A (ko) 2005-04-25
KR100549314B1 true KR100549314B1 (ko) 2006-02-02

Family

ID=3724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897A KR100549314B1 (ko) 2003-10-20 2003-10-20 파워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3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662A (ko) 200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32338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プラグコネクタ
US6756554B1 (en) Tact switch
US628022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etallic inserted plate
JP2006252975A (ja) コネクタ
EP1284525B1 (en) Plug type connector
US7371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 means
KR100549314B1 (ko) 파워 버튼 장치
US4535210A (en) Keyswitch stabilizing device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H1012083A (ja) 押しボタン
US7012205B1 (en) Bezel assembly
JP4319885B2 (ja) 押釦スイッチ
KR200295991Y1 (ko) 모니터 스위치
JP2018186027A (ja) スイッチ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20050026230A (ko) 탄성리브를 이용한 시소버튼장치
JP3772531B2 (ja) 押釦装置
KR100759734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20034643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JPH10154442A (ja) 操作ボタン装置
KR19990024006U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장치
KR19980050204U (ko) 카오디오의 택트노브 결합구조
JPH0447863Y2 (ko)
JP2007115499A (ja) 押し釦装置
KR20040045676A (ko) 누름 작동형 스위치
JPH0845389A (ja) 押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