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195B1 -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 Google Patents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195B1
KR100546195B1 KR1020030080182A KR20030080182A KR100546195B1 KR 100546195 B1 KR100546195 B1 KR 100546195B1 KR 1020030080182 A KR1020030080182 A KR 1020030080182A KR 20030080182 A KR20030080182 A KR 20030080182A KR 100546195 B1 KR100546195 B1 KR 10054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un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167A (ko
Inventor
박북성
장진만
이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1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신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전력 증폭되는 무선 송신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있어서, 선형 모드 제어신호와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프리 디스토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선형 왜곡 보상, 전력 증폭,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

Description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APPARATUS FOR COMPANSATION NON LINEAR DISTORTION}
도 1은 전력 증폭되는 신호에 대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종래의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다른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또 다른 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또 다른 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의 다른 예.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다른 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력 증폭부의 인접채널억압파워(ACPR Emission)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a는 CDMA 방식을 사용하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b는 GSM 방식을 사용하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무선 송신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전력 증폭되는 무선 송신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특성은 선형(Linear) 특성을 가지는 증폭 영역과, 비선형(Non Linear) 특성을 가지는 증폭 영역으로 구분된다. 일정 이상의 큰 전력으로 증폭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선형 특성 영역에서 증폭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비선형 특성의 영역에서 증폭이 이루어지면, 증폭된 변조신호에서는 비선형 왜곡이 발생된다. 따라서, 입출력 특성을 선형화 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선형 왜곡이 발생한 신호의 왜곡을 보상해야 한다.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시스템이나, CDMA나 GSM 방식등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분야의 기지국 및 이동통신 단말기등과 같이, 무선 신호 송신단에는 비선형 특성 영역에서 전력 증폭되는 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도 1은 전력 증폭되는 신호에 대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종래의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조부호 10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전력 증폭부를 의미한다. 전력 증폭부(100)는 드라이브 앰프(110)와 전력 앰프(120)로 나뉘어 지는 두 단계(Stage)의 직렬(Cascade) 토폴로지(Topology)로 구현된다.
통상적으로, CDMA 통신 방식에서는 수신감도가 일정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높은 전력 예컨대, 최대 출력전력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서, 전력 증폭부(100)는 높은 Power로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비선형 특성 영역에서 증폭이 이루어지게 되면, 증폭된 신호에서는 비선형 왜곡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계자는 피드백이나 혼변조 신호 3차와 5차 혼변조 신호를 줄이는 방법(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력 증폭부(100)를 설계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전력 증폭부(100) 자체의 회로 설계에 의해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였다. 무선 신호는 비선형 특성에서 증폭될 수도 있고 선형 특성에서 증폭될 수도 있는데, 이에 구분없이 전력 증폭부(100)는 무선 신호를 입력하며, 또한 입력되는 무선 신호가 증폭되는 정도에 상관없이 미리 설계된 회로에 의해 전력 증폭부(100)가 동작하게 되어, 증폭도가 낮은 경우, 예컨대 무선 송신신호가 최대 전력 증폭될 필요없이 Normal 하게 증폭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무선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할때에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력 증폭되는 무선 송신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할 때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경로를 두 개로 나누고, 전력 증폭되는 정도에 따라서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거나 또는 왜곡 시키지 않도록 하여, 전력 증폭되는 무선 송신신호의 비선형 왜곡을 보상할 때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있어서, 선형 모드 제어신호와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프리 디스토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 1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무선 송신신호가, 시-디-엠-에이(CDMA)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무선 송신신호가, 지-에스-엠(GSM)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있어서,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1 경로로 스위칭하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1 경로로 스위칭 하는 제 1 스위치부; 및 상기 제 1-1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제 1 프리 디스토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및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2 경로로 스위칭하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제 2 스위치부; 및 상기 제 1-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제 2 프리 디스토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가, 상기 제 1-1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하는 제 1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가, 상기 제 1-2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하는 제 2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무선 송신신호가, 지-에스-엠(GSM)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이며; 상기 제 2 무선 송신신호가, 디-시-에스(DCS)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이며; 상기 제 3 무선 송신신호가, 피-시-에스(PCS)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의 일 예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에 있어서, 선형 모드 제어신호와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205); 상기 제어부(205)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부(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는 제 1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어부(205)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스위치부(203);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프리 디스토션부(20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 따르면, 무선 신호 송신부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대하여, 무선 전송에 적합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며, 캐리어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대역을 높여, 전력을 증폭한다.
시-디-엠-에이(CDMA)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전력 증폭된 무선 송신신호는 듀플렉서(Duplexer), 안테나등을 거쳐 무선 출력되며, 지-에스-엠(GSM)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전력 증폭된 무선 송신신호는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안테나등을 거쳐 무선 출력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에, 본 발명에서 무선 송신신호라 함은 무선 신호 출 력을 위해 적절하게 처리된 후 전력 증폭이 필요한 신호를 의미한다. 무선 송신신호가 이동통신용 신호로 한정되지 않고 무선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신호는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될 수 있고 위성통신용 신호가 될 수 있다.
무선 송신신호는 CDMA 방식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FT(RF Transmitter)와 밴드패스필터(BPF)를 거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신호는 GSM 방식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SM 방식의 Transceiver를 거친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외부의 프로세서(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하는 선형 모드 제어신호 또는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스위치부(203)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외부의 프로세서는 CDMA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MSM 및 GSM Baseband Processor가 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의 프로세서는 수신감도가 일정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에는 높은 전력 예컨대, 최대 출력전력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한다. 또는, 외부의 프로세서는 수신 감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의 경우에는 보통의 전력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가 있다.
높은 전력으로 무선 신호를 증폭하게 되는 경우, 전력 증폭부는 비선형 특성 영역에서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증폭할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보통의 전력으로 무선 신호를 증폭하게 되는 경우, 전력 증폭부는 선형 특성에서 상기 무선 송신신 호를 증폭할 수가 있다.
따라서, 외부의 프로세서는 높은 전력으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경우등에는 비선형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 선택신호를 제어부(205)로 출력하고, 보통의 전력으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경우등에는 선형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 선택신호를 제어부(205)로 출력한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5)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내에 구비되어, 외부의 프로세서로부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 받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비선형 모드와 선형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 선택신호는 외부의 프로세서(제어부)에 의해 직접 스위치부(203)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전력 증폭을 위해 전력 증폭부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는 두 개의 경로(제 1 경로, 제 2 경로)를 가진다. 제 1 경로는 비교적 높은 전력 증폭등과 같은 비선형 모드에 대응되며,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따라 전송되다가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프리 디스토션부(207)에 의해 미리 왜곡된 후 전력 증폭부로 입력된다. 제 2 경로는 보통의 전력 증폭등과 같은 선형 모드에 대응되며, 무선 송신신호는 제 2 경로를 따라 왜곡 없이 전송되다가 전력 증폭부로 입력된다.
스위치부(203)는 상기 제어부(205)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어부(205)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 경로로 스위칭 한다.
프리 디스토션부(Pre-Distorter)(207)는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킨다. 프리 디스토션부(207)는 오픈 루프 형태나 클로우즈 루프형태등의 회로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 디스토션부(207)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써, HBT 소자를 이용한 오픈 루프 형태의 회로를 개시하였다. 이러한 프리 디스토션부(207)를 구현하는 것은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며,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을 위해 전력 증폭부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는 두 개의 경로(제 1 경로, 제 2 경로)를 가진다. 비선형 모드의 경우에는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따라 전송되다가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프리 디스토션부(207)에 의해 미리 왜곡된 후 전력 증폭부로 입력된다. 선형 모드의 경우에는 무선 송신신호는 제 2 경로를 따라 전송되다가 왜곡 없이 전력 증폭부로 입력된다. 따라서, 무선 송신신호가 제 2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경우에는 프리 디스토션부(207)의 동작이 필요 없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비선형 왜곡 감쇄를 위한 회로 구현에 구애받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증폭부의 회로 구현이 자유로와 진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경로에 마련되며, 상기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매칭부(20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의 특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 명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무선 신호 송신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부는 대부분 50오옴으로 임피던스 매칭되어 있는데, 추가된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와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의 출력단이 전력 증폭부와 동일한 임피던스 값(예:50오옴)으로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경로에 임피던스 매칭부(209)가 마련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경로에도 임피던스 매칭부(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할 수가 있다. 즉, 비선형 모드 뿐만 아니라 선형 모드를 위해서도 임피던스 매칭이 필요할 수가 있다.
상기 도 2의 설명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201과 211은 무선 송신신호의 입출력단에 마련되는 직류 성분 차단부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일 예이다.
상기 도 3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2에 이미 설명되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301과 참조부호 311은 상기 도 2의 직류성분 차단부(201, 211)에 대응한다. 또한, 참조부호 303은 상기 도 2의 스위치부(203)에 대응한다. 또한, 참조부호 305는 상기 도 2의 제어부(205)에 대응한다. 또한, 참조부호 307은 상기 도 2의 프리 디스토션부(207)에 대응한다. 또한, 참조부호 309는 상기 도 2의 임피던스 매칭부(209)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블럭 구성들을 실제로 회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은 상기 도 3의 대응되는 회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3 회로의 동작을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드 선택 신호 Q7 Q6 Q1 Q2 Q3 Q4
Low, "0" OFF ON ON ON OFF OFF
High, "1" ON OFF OFF OFF ON ON
상기 <표 1>에서, 모드 선택 신호가 Low인 경우는 비선형 모드(예: 최대 전력 증폭 모드)에 해당되고, 모드 선택 신호가 High인 경우는 선형 모드(예:보통의 증폭모드)에 해당된다.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6, Q1, Q2가 온 되므로,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7, Q3, Q4가 온 되므로,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프리 디스토션부(307)에서 트랜지스터 Q5는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왜곡 시킨다. 이때, 인덕터 L1과 캐패시터 C4는 트랜지스터 Q5의 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부(309)는 인덕터 L2 및 인덕터 L4로 구현되며, 인덕터 L2의 일단은 접지되고 그 타단은 프리 디스토션 부(307)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인덕터 L4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선형모드일 때의 임피던스 매칭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류성분 차단부(301)는 캐피시터 C2로 구현되며, 스위치부(303)의 입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직류성분 차단부(311)는 캐피시터 C5로 구현되며, 스위치부(303)의 출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다른 예이다.
상기 도 4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3에 이미 설명되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블럭 구성들을 실제로 회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은 상기 도 4의 대응되는 회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4 회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6, Q1, Q2가 온 되므로,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Q4가 온 되고, 상기 도 3에서의 Q7을 대체하여 다이오드 D1에 의해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트랜지스터 Q5는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왜 곡 시킨다. 이때, 인덕터 L1과 캐패시터 C4는 트랜지스터 Q5의 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인덕터 L2 및 인덕터 L3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데,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덕터 L2의 일단은 접지되고 그 타단은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인덕터 L3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선형모드일 때의 임피던스 매칭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캐패시터 C2는,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1과 트랜지스터 Q3의 입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캐피시터 C5는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또 다른 예이다.
상기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3에 이미 설명되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블럭 구성들을 실제로 회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은 상기 도 5의 대응되는 회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5 회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1, Q2가 온 되어, 무선 송신 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되며, 또한,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Q4가 온 되어,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이때,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는 두 개로 나뉘어져 입력되며, Diode OR 게이트(D1)가 Q1과 Q2의 온-오프 제어를 담당하고, Diode OR 게이트(D2)가 Q3과 Q4의 온-오프 제어를 담당한다.
트랜지스터 Q5는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왜곡 시킨다. 이때, 인덕터 L1과 캐패시터 C4는 트랜지스터 Q5의 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인덕터 L2 및 인덕터 L3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데,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덕터 L2의 일단은 접지되고 그 타단은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인덕터 L3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선형모드 일때의 임피던스 매칭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캐패시터 C2는,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1과 트랜지스터 Q3의 입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캐피시터 C5는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또 다른 예이다.
상기 도 6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3에 이미 설명되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블럭 구성들을 실제로 회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은 상기 도 6의 대응되는 회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도 2의 각 블럭 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6 회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1, Q2가 온 되어,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되며, 또한,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Q4가 온 되어,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이때,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는 두 개로 나뉘어져 입력되며, Diode AND 게이트(D1)가 Q1과 Q2의 온-오프 제어를 담당하고, Diode AND 게이트(D2)가 Q3과 Q4의 온-오프 제어를 담당한다.
트랜지스터 Q5는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왜곡 시킨다. 이때, 인덕터 L1과 캐패시터 C4는 트랜지스터 Q5의 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인덕터 L2 및 인덕터 L3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데, 상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덕터 L2의 일단은 접지되고 그 타단은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인덕터 L3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선형모드일 때의 임피던스 매칭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캐패시터 C2는,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1과 트랜지스터 Q3의 입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캐피시터 C5는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마련되어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의 다른 예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있어서,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제 1 전력 증폭부(상기 도 7에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는 제 1-1 경로로 스위칭하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1 경로로 스위칭 하는 제 1 스위치부(703-1); 및 상기 제 1-1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부(703-1)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제 1 프리 디스토션부(707-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 및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제 2 전력 증폭부(상기 도 7에 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는 제 1-2 경로로 스위칭하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제 2 스위치부(703-2); 및 상기 제 1-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스위치부(703-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제 2 프리 디스토션부(70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7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2에 이미 설명되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도 7에서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와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20)는 전술한 도 2의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와 동일하다. 따라서,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 720) 각각은 상기 도 2의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210)와 동일한 (추가적인, 보조적인)특징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제 1 무선 송신신호와 제 2 무선 송신신호 및 제 3 무선 송신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다.
제 1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로 입력되어 처리된 후 제 1 전력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고,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는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20)로 입력되어 처리된 후 제 2 전력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다.
따라서, 상기 도 7의 실시예는 듀얼(Dual) 모드 트라이(Tri) 밴드용의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무선 송신신호는 지-에스-엠(GSM)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이며, 상기 제 2 무선 송신신호는 디-시-에스(DCS)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이고, 상기 제 3 무선 송신신호는 피-시-에스(PCS) 방식의 무선 송신신호가 될 수 있다.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에 마련되는 제 1 제어부(705-1)는 외부의 프로세서(상기 도 7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 하는 선형 모드 제어신호 또는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제 1 스위치부(703-1)로 제공한다.
상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제어부(705-1)가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내에 구비되어, 외부의 프로세서로부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 받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비선형 모드와 선형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 선택신호는 외부의 프로세서(제어부)에 의해 직접 제 1 스위치부(703-1)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스위치부(703-1)는 상기 제 1 제어부(705-1)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1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 1 제어부(705-1)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1 경로로 스위칭 한다.
제 1 프리 디스토션부(Pre-Distorter)(707-1)는 상기 제 1-1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부(703-1)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킨다. 제 1 프리 디스토션부(707-1)는 오픈 루프 형태나 클로우즈 루프형태등의 회로로 구현 가능하다.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와 마찬가지로,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20)에 마련되는 제 2 제어부(705-2)는 외부의 프로세서(상기 도 7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하는 선형 모드 제어신호 또는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제 2 스위치부(703-2)로 제공한다.
상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제어부(705-2)가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 치(720)내에 구비되어, 외부의 프로세서로부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 받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비선형 모드와 선형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 선택신호는 외부의 프로세서(제어부)에 의해 직접 제 2 스위치부(703-2)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 2 스위치부(703-2)는 상기 제 2 제어부(705-2)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2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 2 제어부(705-2)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2 경로로 스위칭 한다.
제 2 프리 디스토션부(Pre-Distorter)(707-2)는 상기 제 1-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스위치부(703-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킨다. 제 2 프리 디스토션부(707-2)는 오픈 루프 형태나 클로우즈 루프형태등의 회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가, 상기 제 1-1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하는 제 1 임피던스 매칭부(709-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20)가, 상기 제 1-2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하는 제 2 임피던스 매칭부(70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의 특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1, 2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 720)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듀얼 모 드 트라이 밴드용의 무선 신호 송신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부는 대부분 50오옴으로 임피던스 매칭되어 있는데, 추가된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 720)와 제 1, 2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710, 720)의 출력단이 각각 제 1, 2 전력 증폭부와 동일한 임피던스 값(예:30오옴)으로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 1-1 경로에 제 1 임피던스 매칭부(709-1)가 마련되고 제 1-2 경로에 제 2 임피던스 매칭부(709-2)가 마련되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 2-1 경로와 제 2-2 경로에도 각각 임피던스 매칭부(상기 도 7에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할 수가 있다. 즉, 비선형 모드 뿐만 아니라 선형 모드를 위해서도 임피던스 매칭이 필요할 수가 있다.
상기 도 2와 마찬가지로, 상기 비선형 모드는 최대 전력 증폭 모드이며, 상기 선형 모드는 Normal 증폭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7의 설명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701-1, 701-2, 711-1, 711-2는 무선 송신신호의 입출력단에 마련되는 직류 성분 차단부를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의 다른 예이다.
상기 도 8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3에 이미 설명되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각 블럭 구성들을 실제로 회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의 각 블럭 구성은 상기 도 8의 대응되는 회로로 한정되 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도 7의 각 블럭 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8 회로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비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6/Q1/Q2 또는 Q13/Q6/Q9이 온 되므로, 제 1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2 무선 송신신호(제 3 무선 송신신호)는 각각 제 1-1 경로 또는 제 1-2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선형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7/Q3/Q4 또는 Q14/Q10/Q11가 온 되므로, 제 1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2 무선 송신신호(제 3 무선 송신신호)는 각각 제 2-1 경로 또는 제 2-2 경로를 통해 전송된다.
트랜지스터 Q5 또는 트랜지스터 Q12는 기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서 입력되는 제 1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2 무선 송신신호(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왜곡 시킨다. 이때, 인덕터 L1과 캐패시터 C4는 트랜지스터 Q5의 바이어스를 조정하고, 인덕터 L4와 캐패시터 C12는 트랜지스터 Q12의 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상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인덕터 L2는 그 일단이 접지되고 그 타단이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인덕터 L5는 그 일단이 접지되고 그 타단이 트랜지스터 Q12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인덕터 L7과 인덕터 L8의 일단을 접지되고, 타단은 선형모드일 때의 임피던스 매칭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류성분 차단을 수행하는 캐피시터 C2는 트랜지스터 Q1 및 트랜지스터 Q3의 입력단에 마련되어 제 1 무선 송신 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직류성분 차단을 수행하는 캐피시터 C8는 트랜지스터 Q6 및 트랜지스터 Q10의 입력단에 마련되어 제 2 무선 송신신호(제 3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직류성분 차단을 수행하는 캐피시터 C5는 트랜지스터 Q5의 출력단에 마련되어 제 1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직류성분 차단을 수행하는 캐피시터 C10는 트랜지스터 Q12의 출력단에 마련되어 제 2 무선 송신신호(제 3 무선 송신신호)의 직류성분을 차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력 증폭부의 인접채널억압파워(ACPR)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형 모드 일때와 비선형 모드 일때의 ACPR Emission을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Power Amplifier Max. 출력 모드인 경우에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를 적용했을 때에 비선형 왜곡에 대한 선형성이 보장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10a는 CDMA 방식을 사용하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RFT(RF Transmitter)(1001a)가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무선 송신신호를 출력하면, 밴드패스필터(1005a)가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필터링한다. 이때, 팬드패스필터(1005a)의 양단의 매칭 네트워크(1003a, 1007a)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1009a)는 전력 증폭부(1011a)의 전단 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선형 모드나 비선형 모드에 따라서 무선 송신신호를 처리한다.
전력 증폭부(1011a)에 의해 증폭된 무선 송신신호는 듀플렉서(1013a) 및 안테나(상기 도 10a에 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무선 출력된다.
도 10b는 GSM 방식을 사용하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GSM 방식에 따르면 Transceiver(1001b)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Transceiver(1001b)가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무선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매칭 네트워크(1003b)는 Transceiver(1101b) 단까지의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매칭 네트워크(1005b)는 Transceiver(1101b) 단 이후부터의 임피던스를 매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1007b)는 전력 증폭부(1009b)의 전단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선형 모드나 비선형 모드에 따라서 무선 송신신호를 처리한다.
전력 증폭부(1009b)에 의해 증폭된 무선 송신신호는 스위치 플렉서(1011b) 및 안테나(상기 도 10b에 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무선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을 위해 전력 증폭부로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는 두 개의 경로(제 1 경로, 제 2 경로)를 가진다. 비선형 모드의 경우에는 무선 송신신호는 제 1 경로를 따라 전송되다가 비선형 왜곡 을 보상하기 위해 프리 디스토션부에 의해 미리 왜곡된 후 전력 증폭부로 입력된다. 선형 모드의 경우에는 무선 송신신호는 제 2 경로를 따라 전송되다가 왜곡 없이 전력 증폭부로 입력된다. 따라서, 무선 송신신호가 제 2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경우에는 프리 디스토션부의 동작이 필요 없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비선형 왜곡 감쇄를 위한 회로 구현에 구예받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증폭부의 회로 구현이 자유로와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추가적으로 임피던스 매칭부가 더 구비되어, 기존에 개발된 무선 송신부에 추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DMA 방식이나 GSM 방식에 구애 받지 않고 적용될 수가 있으며, 듀얼 모드 트라이 밴드용의 무선 송신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있어서,
    선형 모드 제어신호와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 경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프리 디스토션부와;
    상기 제 1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에 있어서,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1 경로로 스위칭하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1 경로로 스위칭 하는 제 1 스위치부와;
    상기 제 1-1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제 1 프리 디스토션부와;
    상기 제 1-1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하는 제 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와 :
    비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입력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주파수 대역의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1-2 경로로 스위칭하며, 선형 모드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로 연결되는 제 2-2 경로로 스위칭 하는 제 2 스위치부와;
    상기 제 1-2 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무선 송신신호 또는 제 3 무선 송신신호를 미리 왜곡 시키는 제 2 프리 디스토션부와;
    상기 제 1-2 경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부의 임피던스와 동일하게 임피던스 매칭하는 제 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비선형 왜곡 보상장치 :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30080182A 2003-11-13 2003-11-13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KR10054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182A KR100546195B1 (ko) 2003-11-13 2003-11-13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182A KR100546195B1 (ko) 2003-11-13 2003-11-13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167A KR20050046167A (ko) 2005-05-18
KR100546195B1 true KR100546195B1 (ko) 2006-01-24

Family

ID=3724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182A KR100546195B1 (ko) 2003-11-13 2003-11-13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29292T2 (en) * 2011-12-20 2017-02-28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Transmitter, receiver, communication device, process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167A (ko)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610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linear and efficient broadband power amplifiers
KR102320461B1 (ko) 송수신 회로
US7706835B2 (en) High-frequency circuit device
US63892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band transmission
KR20050031663A (ko)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US11616480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JP2008022419A (ja) Rf電力増幅装置
US20060114059A1 (en) Power amplifier
WO2024055760A1 (zh) 多频段低噪声放大器、集成电路芯片及电子设备
JP2010041634A (ja) 高周波電力増幅器並びにそれを用いた高周波送信モジュール及び送受信モジュール
CN115208338A (zh) 多频段低噪声放大器及通信设备
KR100546195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장치
KR100703784B1 (ko) 가변 이득 증폭기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6985032B2 (en) Amplifier linearisation
KR101145830B1 (ko) 전치왜곡장치 및 간섭억제시스템 필터-유닛이 적용된 이동통신장치의 출력단
KR20170073459A (ko) 전력증폭장치 및 무선통신장치
KR101046339B1 (ko) 이동통신장치의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106955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출력단
CN111917380B (zh) 收发电路
KR101046350B1 (ko) 간섭억제시스템 필터모듈 기반 전치왜곡장치 및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화회로가 적용된 이동통신장치의 출력단
KR20150078386A (ko) 전력 증폭 장치
KR101003001B1 (ko) 통신시스템의 출력단
KR2007002385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조파 제거 장치
KR200338863Y1 (ko)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KR101131923B1 (ko) 적응형 피드포워드 선형화회로 및 간섭억제시스템 필터유닛이 적용된 이동통신장치의 출력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