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854B1 -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854B1
KR100545854B1 KR1020040019811A KR20040019811A KR100545854B1 KR 100545854 B1 KR100545854 B1 KR 100545854B1 KR 1020040019811 A KR1020040019811 A KR 1020040019811A KR 20040019811 A KR20040019811 A KR 20040019811A KR 100545854 B1 KR100545854 B1 KR 10054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larm
operator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622A (ko
Inventor
홍기성
송형근
김건명
곽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8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계측기 또는 센서로부터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및 바그래프로 표현함에 있어서, 시스템 운전원이 원하는 밝기로 표시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설정된 알람 셋 포인트 및 이에 따른 알람신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및 바 그래프로 표시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의 각 표시부의 밝기를 주변조도 및 운전원의 시력에 따라서 운전원이 여러 단계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표시되는 측정 물리량에 대하여 운전원이 신속,정확하게 확인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및 바그래프로 표시함에 있어, 표시수단에 운전원이 설정한 알람셋 포인트를 함께 표시하고, 알람 셋 포인트에 따른 알람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원이 계통의 운전과 관련된 물리량에 대해 정확한 운전정보를 가지고 시스템을 운전하도록 하므로써, 계통의 안전운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시장치, 인디케이터, 계통, 계측기, 밝기,

Description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Indicator of operation control system}
도 1은 종래 지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운전제어반용 지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 해당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한 회로의 실 예를 보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밝기 레벨 제어를 위한 수치표시구동부 의 동작 타이밍 일예를 보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밝기 레벨 제어를 위한 바그래프표시구동부의 동작 타이밍 일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부(display)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계측기 또는 센서로부터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및 바그래프로 표현함에 있어서, 시스템 운전원이 원하는 밝기로 표시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설정된 알람 셋 포인트 및 이에 따른 알람신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운전원에게 정확한 운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시장치는 온도, 압력, 유량, 전력, 수위 등과 같은 계통의 운전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각종 물리량을 입력받아 이를 다양한 표시수단을 통해 실시간 표시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각종 물리량은 해당 계통에 설치된 계측기(trans meter) 또는 센서(sensor)에 의해 검출되어 지시장치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종래 운전제어반용 지시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계통에 설치된 트랜스메터(100)로부터 계통의 운전에 필요한 물리량에 대한 측정(검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00)와,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입력된 물리량 신호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컨버터(300)와, 변환된 측정 데이터 값을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여러 단계의 표시신호로 구분하여 표시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0)와, 제어부(400)의 표시제어에 따라 트랜스메터(100)로부터 검출된 물리량을 숫자나 아날로그량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시장치는,
먼저 각 계통에 설치된 트랜스메터(100)에서는 그 각각에 대해 설정된 온도, 압력, 유량, 전력, 수위 등과 같은 물리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는 운전 제어반내에 설치된 지시장치의 인터페이스부(200)로 입력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트랜스메터(100)로부터 입력된 검출된 신호에 대하여 전류 또는 전압레벨로 변환시켜 A/D 컨버터(300)로 출력한다.
A/D컨버터(3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인터페이스되어 전류 또는 전압레벨을 갖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후 제어부(400)에서는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된 물리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계측레벨에 상응하는 표시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시킨다
디스플레이부(500)에서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출력된 표시제어신호에 따라서 트랜스메터(100)를 통해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또는 아날로그량으로 표시하여 운전제어반을 관리하는 운전원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운전제어반용 지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500)의 밝기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운전제어반 주변의 조도 또는 운전원의 시력 등과 같은 주변상황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되는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나 바 그래프만으로 표시해주기 때문에 계통의 운전 이상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운전원이 직접 알람 셋트 포인트(alarm set point)를 디스플레이부의 스케일판에 손으로 새겨넣어 현재 표시되는 값과 비교하여 알람(alarm)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지시 장치는 신속히 데이터를 인지하고, 인지된 데이터로부터 각 계통의 이상(alarm)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많아 계통 운전의 안전성 확보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및 바 그래프로 표시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의 각 표시부의 밝기를 주변조도 및 운전원의 시력에 따라서 운전원이 여러 단계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표시되는 측정 물리량에 대하여 운전원이 신속,정확하게 확인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계측된 물리량을 수치 및 바그래프로 표시함에 있어, 표시수단에 운전원이 설정한 알람셋 포인트를 함께 표시하고, 알람 셋 포인트에 따른 알람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원이 계통의 운전과 관련된 물리량에 대해 정확한 운전정보를 가지고 시스템을 운전하도록 하므로써, 계통의 안전운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랜스메터로부터 검출된 물리량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수단과, 입력인터페이스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증폭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수단과, 지시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기 위한 키이입력수단과, 키이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표시데이터에 대한 밝기레벨을 저장하는 밝기레벨 저장부 및 설정된 알람 셋 포인트가 저장되는 알람셋포인트 저장부를 포함하며 지시동작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계측된 물리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장수단에 설정된 파라메터에 따라 각 표시수단에 나타낼 수치, 바그래프, 알람 셋 포인트, 알람신호 등의 표시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수치 및 바그래프, 알람 셋 포인트, 알람신호 등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시수단과, 동작 바이어스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지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계통에 설치된 트랜스메터로부터 계측된 물리량에 따른 측정 전류 또는 전압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와,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와, 증폭부(2)로부터 증폭된 전류 또는 전압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3)와, 운전원이 설정한 표시데이터의 밝기레벨, 알람 셋 포인트가 저장되는 밝기레벨저장부(4a) 및 알람셋포인트 저장부(4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작에 필요한 파라메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EEPROM)(4)와, A/D 컨버터(3)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각 트랜스메터의 계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수단과 상기 메모리부(4)에 설정된 알람셋포인트에 따라 분석된 계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표시부(7)를 통해 나타낼 계측 데이터에 대한 수치 및 바그래프 표시값, 알람 셋 포인트, 생성된 알람신호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부(4)에 설정된 밝기레벨에 따른 표시데이터의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5)과, 마이컴(5)의 표시데이터 및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부(7)를 구동시키는 표시구동부(6)와, 표시패널상에 수치, 바그래프, 알람 셋 포인트, 알람신호 등의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7)와, 필요한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부(8)와, 상기 A/D 컨버터(3)로부터 마이컴(5)에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함에 있어, 아날로그 회로부와 디지털 회로부의 신호가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방지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분리부(9)와, 운전원로 하여금 동작에 필요한 각종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입력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5)의 내부 측정정보를 외부 주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직렬 통신인터페이스수단으로 RS232 트랜스메터(1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7)는 표시데이터를 수치로 표시하는 수치표시부(7a)와, 표시데이터를 바그래프로 표시하는 바그래프표시부(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구동부(6)는 수치표시부(7a)를 구동시키는 수치표시구동부(6a)와, 바그래프표시부(7b)를 구동시키는 바그래프표시구동부(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8)는 아날로그회로부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아날로그전원공급단(8a)과 디지털회로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 전원공급단(8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장치는 표시부(7)에 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 그 밝기를 운전원이 주변밝기의 조도 및 운전원의 시력 등 지시장치의 주변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운전원이 알람 셋 포인트를 설정하도록 하고, 그 알람 셋 포인트를 표시하여 운전원이 현재의 계통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원이 설정한 알람 셋 포인트에 따라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운전원에게 알려주도록 하므로써, 안전한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트랜스메터를 통해 검출된 물리량에 따른 측정신호는 입력부(1)로 입력되고, 이와 같이 입력된 신호는 입력부(1)를 통해 증폭부(2)를 거쳐 증폭된다.
이와 같이 증폭된 측정신호는 전류 또는 전압의 아날로그신호이므로, 마이컴(5)으로 전달하기 위해 A/D 컨버터(3)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컴(5)으로 출력된다.
이때 아날로그신호부와 디지털신호부간의 신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A/D 컨버터(3)와 마이컴(5)간에 광분리부(9)를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있어 입력부(1), 증폭부(2), A/D 컨버터(3), 광분리부(9)의 회로 일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에는 검출신호경로를 통해 입력된 노이즈 제거를 위해 노이즈필터(1a)가 구성되며, 트랜스메터의 검출신호 타입 예를 들면 검출된 신호가 전류형태로 입력되는 지 또는 전압형태로 입력되는지에 따라 선택스위치(J1,J2)를 스위칭시켜 경로를 선택하게 되는 데, 여기서 전류형태일 경우에는 선택스위치(J1,J2)를 전류(mA)측으로 연결하여 4~20mA의 입력을 처리하고, 반면에 전압형태일 경우에는 선택스위치(J1,J2)를 전압(V)측으로 연결하여 0~10V 의 입력을 처리한다.
증폭부(2)는 내부적으로 비반전 구성된 2개의 연산증폭기와 차동 구성된 1개의 연산증폭기가 직렬 연결된 구조를 갖는 계측용 연산증폭기로 구성되는 데, 이 계측용 연산증폭기는 CMRR(Common mode rejection ratio: 공통모드제거비), 입력임 피던스, 전압이득 특성이 양호하며, 신호경로에 유입될 수 있는 수십에서 수백 Hz의 공통모드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광분리부(9)는 포토커플러(PC1)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A/D 컨버터(3)의 출력단에는 광분리부(9)의 구동전류 공급을 위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가 구성된다.
본 발명 지시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원은 지시장치내로 입력되는 신호가 전압형태인지 또는 전류형태인지를 판단하여 입력부(1)의 선택스위치(J1,J2)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하여 운전제어반내에 설치한 후, 지시장치의 연결포트에 각 계통에 설치된 트랜스메터의 출력단을 연결시키고 정격 전원전압을 공급한다.
즉, 지시장치와 연결될 트랜스포트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에 따라 측정신호가 전류형태인지 전압형태인지를 운전원이 판단하여 해당 선택스위치(J1,J2)를 설정하는 것이다.
공급된 전원전압은 전원공급부(8)의 아날로그전원공급단(8a)과 디지털전원공급단(8b)에 의해 필요한 국부전압으로 변환되어 각 부에 공급된다.
이때 운전원은 표시부(7)를 통해 표시될 상한 물리량, 하한물리량, 알람셋포인트, 밝기레벨 등 지시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각 종 파라메터를 키이입력부(10)를 통해 설정한다.
마이컴(5)에서는 이와 같이 키이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운전원의 설정 파라메터 데이터는 메모리부(4)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지시장치의 셋팅 및 파라메터의 설정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계통내에 설치되어 있는 트랜스메터로부터 해당부분의 온도, 압력,유량, 전력, 수위 등과 같은 물리량 데이터가 전기신호의 형태로 입력부(1)로 입력되면, 입력부(1)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및 전원공급부(8)로부터 누설된 고주파 스위칭 노이즈를 노이즈필터(1a)를 통해 제거한후 증폭부(2)로 출력한다.
증폭부(2)에서는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A/D 컨버터(3)로 출력하게 되고, A/D 컨버터(3)에서는 증폭부(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광분리부(9)의 포토커플러(PC1)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A/D 컨버터(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가 A/D 컨버터(3)의 출력신호를 상기 광분리부(9)의 포토커플러(PC1)로 정상적으로 전달시키기 위해 전류구동 되고, 광분리부(9)는 A/D 컨버터(3)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마이컴(5)으로 출력한다.
마이컴(5)에서는 광분리부(9)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메모리부(4)에 저장된 운전원 설정 파라메터를 참조하여 표시부(7)를 통해 표시할 수치, 바그래프, 알람셋포인트, 알람신호 등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마이컴(5)에서는 메모리부(4)의 밝기레벨저장부(4a)에 저장된 운전원 설정 밝기 레벨을 읽어들여(load) 상기 표시부(7)를 통해 표시될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시구동부(6)에서는 마이컴(5)으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를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부(7)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구동부(6)의 수치표시기구동부(6a)는 마이컴(5)의 제어에 따라 수치표시부(7a)의 각 세그먼트를 구동하여 트랜스메터로부터 입력된 물리량을 디지털 숫자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동작과 동시에 상기 바그래프표시구동부(6b)는 마이컴(5)의 제어에 따라 101 세그먼트 LED로 구성된 바그래프표시부(7b)를 구동하여 트랜스메터로부터 입력된 물리량을 바(bar)형태로 표시하게 하고 더불어 운전원에 의해 설정된 알람셋포인트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동작과 동시에 마이컴(5)의 제어에 따라 표시구동부(6)는 수치표시부(7a) 및 바그래프표시부(7b)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점멸시켜 알람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시장치가 장착된 운전제어반을 관리하고 있는 운전원은 본 발명 지시장치의 표시부(7)상에 표시되는 수치, 바그래프, 알람셋포인트 및 알람신호를 판단하여 계통의 안전한 운전을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0에서 100도의 온도를 검출하여 0~10V의 전압형식으로 출력하는 트랜스메터의 하단에 하한값 30도, 상한값 60도로 알람셋포인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트랜스메터로부터 입력부(1)로 5V의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수치표시부(7a)에 "+50.00"으로 표시하고, 바그래프표시부(7b)의 1에서 51번째 LED는 "온"으로 52에서 101번째 LED는 "오프"로 표시하여 운전원에게 현재의 온도가 50도 임을 알려준다.
동시에 바그래프표시부(7b)의 31번째 즉, 30도에 해당하는 LED를 "오프", 61 번째 즉, 60도에 해당하는 LED를 "온" 으로 표시하여 운전원에게 현재 알람셋포인트가 하한 30도, 상한 60도에 설정되어 있음을 알려준다.
이를 통해 운전원은 현재의 온도가 50도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10도만 더 오르거나 20도만 더 내려가면 알람이 발생된다는 것을 미리 인식하게 된다.
만약, 상기 과정에서 계통의 온도가 증가하여 상한 또는 하한 알람셋포인트에 다다랐을 경우, 마이컴(5)에서는 표시구동부(6)를 제어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현재의 온도 및 알람셋포인트를 해당 표시부(7)에 각각 나타내고, 더불어 수치표시부(7a) 및 바그래프표시부(7b)상의 현재 표시값을 반복적으로 점멸시켜 운전원에게 상한알람경보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이를 통해 운전원은 현재의 온도가 알람셋포인트를 초과하였음을 확인하고 계통의 안전을 위한 신속한 조처를 취하게 된다.
한편, 마이컴(5)에서는 상기와 같이 표시부(7)를 통해 트랜스메터로부터 측정된 물리량 데이터 및 알람신호를 표시함에 있어서, 메모리부(4)에 저장된 운전원 설정 밝기레벨에 따라 표시부(7)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실제로 운전원이 표시부(7)를 통해 표시되는 지시값에 대해 자신의 주변조도를 고려하여 키이입력부(10)를 통해 표시부(7)의 수치표시부(7a), 바그래프표시부(7b)의 밝기레벨을 설정하며, 마이컴(5)에서는 이와 같이 설정된 메모리부(4)에 저장된 밝기 레벨값을 읽어들여 표시구동부(6)의 해당 구동부(6a,6b)를 제어하게 된다.
마이컴(5)에서는 설정된 밝기레벨에 따라 도 4a, 4b에서와 같이, 각 표시부(7a,7b)에 인가되는 전류인가시간을 조정하여 각 표시부(7a,7b)의 밝기를 조절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밝기 레벨 제어를 위한 수치표시구동부 (6a)의 동작 타이밍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밝기 레벨 제어를 위한 바그래프표시구동부(6b)의 동작 타이밍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수치표시부(7a)에 있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지트(digit)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1ms로 1주기는 5ms+LS1 만큼 걸린다.
이때, 다음 주기의 디지트를 동작시키는데 까지의 지연시간(delay time) LS1 값(0,2,4,6,8,10,12,14)을 설정하여 밝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도 4a에 의해 동작되는 수치표시부(7a)는 부호 및 천단위까지의 세그먼트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한편, 바그래프표시부(7b)는 101개의 LED로 이루어지므로, 10개(A1~A10)의 LED를 단위로 하는 C0~C90와 C'로 표시된 일 예이다.
여기에서 각 LED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LS2)을 조절하여 밝기를 조절한다.
하나의 LED의 동작에 대한 주기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LS2)과 다음 LED가 동작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의 합으로, 167㎲으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각 LED 10개의 한 주기가 1.67ms이다.
이때 LS2를 조절하여 밝기를 조절하게 되는 바, 예를 들어 LS2를 102㎲로 설정하게 되면, 167㎲는 고정된 상태에서 지연시간이 변경되면서 전체 밝기가 조절된다.
여기서, RS232트랜스메터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수단으로 PC와의 직렬통신을 위한 것으로, PC와 연결하여 내부 측정 데이터를 PC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표시부(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의 수치표시부(7a), 바그래프표시부(7b), 알람표시부(7c)가 각 1개씩인 싱글(single)모드이외에도 수치표시부(7a'), 바그래프표시부(7b')를 추가 구성하여 듀얼(dule)모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원이 설정한 알람셋포인트를 트랜스메터로부터 계측된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여 운전원으로 하여금 미리 해당 계통의 이상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알람셋포인트와 계측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알람신호를 표시하여 주도록 하므로써, 시스템 운전원으로 하여금 안정된 운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측기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 그 표시되는 데이터의 밝기를 운전원이 미리 설정하여 둘 수 있도록 하여, 운전원이 주변의 조도 및 자신의 시력 등 주변상황조건에 적응적으로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계통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삭제)
  2. (정정) 트랜스메터로부터 검출된 물리량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수단과, 입력인터페이스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증폭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수단과, 지시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설정하기 위한 키이입력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계측된 물리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장수단에 설정된 파라메터에 따라 각 표시수단에 나타낼 수치, 바그래프, 알람 셋 포인트의 표시데이터를 생성하고, 알람셋포인트와 계측된 물리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비교하여 알람신호에 대한 표시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수치 및 바그래프, 알람 셋 포인트, 알람신호 등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시수단, 및 동작 바이어스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수단이 포함된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이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알람 셋 포인트가 저장되는 알람셋포인트 저장부와, 키이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표시데이터에 대한 밝기레벨을 저장하는 밝기레벨 저장부를 포함하여 지시동작에 필요한 파라메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표시수단은 부호(-) 및 단위 세그먼트(1, 10, 100, 1000)를 표시하는 수치표시부와, LED로 구성된 바그래프 표시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밝기레벨 저장부에 저장된 밝기레벨에 따른 표시데이터를 밝기 제어신호로서,
    상기 수치표시부의 세그먼트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지연되는 시간(LS1)으로 밝기레벨을 조절하고, 상기 바그래프 표시부는 단위 LED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LS2)으로 밝기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3. (삭제)
  4.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표시수단의 수치표시 또는 바그래프 표시를 점멸시켜 알람신호를 표시하여 알람상태를 운전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KR1020040019811A 2004-03-23 2004-03-23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KR10054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811A KR100545854B1 (ko) 2004-03-23 2004-03-23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811A KR100545854B1 (ko) 2004-03-23 2004-03-23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22A KR20050094622A (ko) 2005-09-28
KR100545854B1 true KR100545854B1 (ko) 2006-01-24

Family

ID=3727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811A KR100545854B1 (ko) 2004-03-23 2004-03-23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8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22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2400A (ja) センサシステム
KR100545854B1 (ko) 운전제어반의 지시장치
US6987387B2 (en) Measurement value output device, measurement value monitoring device, current value output device and current monitoring device
KR100760296B1 (ko) 작동 상태 음성 통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100240576B1 (ko) 고장진단장치
KR101536119B1 (ko) 다양한 아날로그/디지털 입출력 신호의 실시간 처리와 hmi 기능을 갖는 vfd 통합 제어 보드
KR100693891B1 (ko) 실시간 열차고장 관리시스템
KR101129467B1 (ko) 디지털 지시계의 교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463797Y1 (ko) 서보 밸브 모니터링 장치
KR101879260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정상동작 여부 감시장치
KR100479723B1 (ko) 운전제어반용 지시장치의 제어장치
KR20120046960A (ko) 내부 전원을 구비한 센서 모듈
CN201532556U (zh) 一种两测量仪数据选择显示设备
JP3132155U (ja) メーターリレー
JP4663584B2 (ja) ブレーカ余裕度測定装置
KR20120067244A (ko) 진단 및 사양 변경기능이 구비된 클러스터 장치
KR200234121Y1 (ko) 아날로그 표시기가 구비된 디지털 레이저 출력 측정장치
KR100303417B1 (ko) 자동장력제어장치
KR19980018394U (ko) 램프수명측정장치
JP2002122446A (ja) 測定値表示装置
KR101423677B1 (ko) 리프팅 마그네트 제어장치용 비상전원 진단회로
KR200364382Y1 (ko) 고휘도 엘이디를 적용한 2 와이어 방식의 스마트 전송기
KR20160134007A (ko) 전력기기 제어 장치
KR940011501B1 (ko) Pc이용 원격제어 방법
KR20190022368A (ko) 조절계 및 열화 위치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