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007A - 전력기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기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007A
KR20160134007A KR1020150067356A KR20150067356A KR20160134007A KR 20160134007 A KR20160134007 A KR 20160134007A KR 1020150067356 A KR1020150067356 A KR 1020150067356A KR 20150067356 A KR20150067356 A KR 20150067356A KR 20160134007 A KR20160134007 A KR 2016013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nit
state
ligh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382B1 (ko
Inventor
한왕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3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는 데이터 수집 대상 장치로부터 경고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표시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경고 이벤트 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기기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p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배전반 내 위치하는 장치들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과 변압기를 포함하여 각 분기를 연결하고 있는 차단기와 전력 상태를 감시하여 이상 발생 시 차단기를 제어하는 계전기 및 각종 전력 수치를 계측하는 계측기,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계량기 등 다양한 전력 기기들을 포함한다.
분전반/배전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기기들 중 차단기의 경우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본체와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회로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계측/계량기의 구성은 차단기 컨트롤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러는 주처리부와 디지털 입력부, 계측부,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처리부는 외부 디지털 신호의 입력과 계측부에서 전달되는 변환된 전력 신호를 계측한 값을 조합하여 차단기 트립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표시부는 각종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는 저가형의 제품일 경우 단순히 LED만 있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지만, 그 이상의 제품에는 LCD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하지만, LCD의 경우 많은 장치들에 연결되어 사용됨에 따라 단순 정보 제공만을 위한 수단으로 저가형의 LCD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자체 휘도가 낮아 주변 상태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의 인지가 불가능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반/분전반 등의 사용자 인지가 용이하지 않은 곳에 위치한 기기들의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들의 정보 및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는 데이터 수집 대상 장치로부터 경고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표시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경고 이벤트 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장치들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예방 및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 시에 한정적인 표시부 온/오프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늘리고,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등가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 동작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 점등 조건 확인 동작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 제어 시스템(1000)은 배전반/분전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전력기기 제어 시스템(1000)은 계측기(200)와 상기 장치들과 연결되어, 상기 장치들의 상태 및 수집되는 데이터의 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수용부는 제어 시스템(100)이 장착될 수 있는 박스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제어 시스템(100)이 장착(안착)되는 박스의 일면을 덮을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100) 및 계측기(200)는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제어장치(100)와 연결된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장치들에 수집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장치(100)와 제어장치(100)와 연결된 계측 또는 차단 장치(200)를 별도의 블록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장치(100)는 계측장치 또는 차단장치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들의 동작이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포함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감지부(130), 표시부(140), 알람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 또는 계측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계측기(200)와 제어장치(100) 사이 또는 다른 제어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데이터 수집 대상 장치들로부터 경고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집 대상 장치들의 예로는 변압기, 차단기, 계전기, 계량기 등과 같은 장치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대상 장치들로부터 수집되는 경고 이벤트 정보는 전력 상태의 이상 또는 기기의 이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계측기(200) 또는 제어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 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표시부(140)의 동작 상태 설정 및표시 상태등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 및 알람부(15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확인 및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발생 시킬 수 있다.
감지부(130)는 전력기기의 제어장치(100) 및 계측기(200) 등이 위치하는 배전반/분전반의 도어의 개폐 및 주변 조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부(130)는 빛 감지부(131) 및 개폐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빛 감지부(131)는 배전반/분전반의 도어가 오픈되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입사 정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빛의 입사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개폐감지부(132)는 배전반/분전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있다. 따라서 도어가 오픈되더라도 빛 감지부에서 빛의 입사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설정 상태에 따라 표시부(140)의 백라이트를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들 외에 근접 센서 또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설정 상태, 사용자의 인접 정도에 따라 표시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장치(100) 및 계측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 데이터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200)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기기 및 연결 기기 등의 상태 정보 표시 및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그 구성에 따라 영상 또는 밝기 또는 점멸 상태 또는 색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 및 온/오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표시부(1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40)가 백라이트의 제어 상태에 따라 표시부(140)의 상태가 가변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의 부분 구성이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으며, 다른 용량의 동일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등가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감지부(130)에서 감지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감지된 조도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표시부(140)의 밝기 값을 독출하고, 그에 따른 PWM형태의 제어 신호를 R1을 통해 백라이트 소자(142)와 연결되는 컬렉터단과 접지와 연결되는 이미터단을 가지는 트랜지스터(141)의 베이스단에 출력한다. 저항(R1)은 Vcc전압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소자(142)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고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소자(142)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랜지스터(141)의 상기 컬렉터단에서 상기 이미터단에 흐르는 전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백라이트 소자(142)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계측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계측기(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전력 상태의 이상 또는 기기의 이상 등이 있다. 알람부(150)는 표시부(140)의 일부로 분류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빛 감지부(131)에서 감지되는 빛의 입사 정도에 따라 표시부(140)의 밝기 또는 색상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표시부(140)의 점등 기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도어의 개방 시점에 입사되는 빛 입사량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30)에서 감지되는 배전반/분전반의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부(140)의 점등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표시부(140)의 동작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점등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배전반/분전반의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표시부(14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302)
제어부(170)는 배전반/분전반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S304)
도어의 개폐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빛감지부 또는 개폐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으며, 이하 동작 설명에서는 빛 감지부에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빛 감지부(131)를 통하여 도어의 개방(OPEN)을 감지하면 경보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6) 상기 경보 이벤트는 차단기(200)에서 현재 또는 기 수집 또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술한 이벤트 발생 조건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경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상태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도어 오픈이 감지된 경우에 표시부(140)의 점등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S310)
즉, 표시부(140)는 경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표시부(140)를 빛 감지부(131)에서 감지된 빛 입사 정도에 따른 밝기 또는 색상으로 점등하는 제1 상태로 점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상태로 점등된 표시부(140)의 점등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점등 상태로 유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점등 상태가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었는지 판단하고, 기준 시간 이상 점등된 경우 상기 표시부(140)의 상태를 소등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316)
또는 제어부(170)는 표시부(140)의 점등 상태 중 도어가 닫혔는지를 판단하고 (S314), 표시부(140)의 상태를 소등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316)
반면, 제어부(170)는 경보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제2 상태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S318)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는 제1 색상으로 표시부(140)를 점등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색상으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색상을 교호하여 점등하거나, 점멸 점등하는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점등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40)의 구성에 따라 제1 및 제2 색상이 동시에 점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상태로 표시부(140)가 점등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경보 이벤트의 확인 또는 해제가 감지되면(S320) 제1 상태로 표시부(140)의 점등 상태를 천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경보 이벤트의 해제 또는 확인이 완료되면, 정상 상태를 알리는 제1 상태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경보 이벤트의 확인 및 해제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 또는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힘을 감지하면 표시부(140)의 점등 상태를 소등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닫힘 감지 역시 빛 감지부(131)의 빛 입사 여부에 따라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 감지를 개폐 감지부(132)의 동작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빛 감지부(131)의 빛 입사 정도에 따라 표시부(140)를 점등하지 않고, 기 설정된 밝기 또는 색상으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는 경보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이한 상태로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표시부(140)의 점등 조건에 따른 표시부(140)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 점등 조건 확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감지부(130)의 빛 감지부(131)를 통하여 감지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다.(S402)
제어부(170)는 빛 감지부(131)에서 감지된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빛의 입사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빛의 입사 정도는 광전 소자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즉,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전기 에너지의 정도에 따라 빛의 입사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사되는 빛의 입사 유지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입사유지 시간(카운트 횟수)이 0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어의 개방 상태 즉, 빛이 입사하는 시간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빛의 입사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6)
제어부(170)는 입사되는 빛에 따른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40)의 상태를 소등상태(OFF)로 유지하고,(S408) 빛 유지 시간을 초기화 할 수 있다(S410)
제어부(170)는 측정된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빛 유지 시간이 기준시간(카운트 횟수)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12) 즉, 제어부(170)는 도어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어의 개방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140)의 상태를 소등 상태(OFF)로 유지하고, 빛 유지 시간(카운트 횟수)을 M회(시간) 증가(누적)시킬 수 있다.(S414)
제어부(170)는 도어의 개방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표시부(140)를 상술한 도 3에서의 조건에 따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점등 할 수 있다.(S416)
반면, 제어부(170)는 빛 입사 유지시간이 0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 경우(S404) 빛 입사 유지 시간이 0인 경우 즉, 빛 감지부(131)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빛 입사에 따라 측정된 전압이 이전 도어 개방 시 측정된 전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빛 감지부(131)에 의하여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았지만, 개폐감지부(132)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입사광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측정된 전압이 이전 측정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측정된 전압을 기준값(이전 설정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개폐 감지부(131)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을 확인하고, 빛의 유지시간을 증가(S422)하여 상술한 표시부(140) 점등 조건에 따라 표시부(140)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측정 전압과 이전 측정 전압을 비교하고(S418) 측정 전압값이 이전 측정 전압 이하인 경우 측정전압과 이전 측정 전압이 같은 것으로 설정하고(S424) 표시부(140)를 점등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기기 제어 장치는 배전반/분전반 내에 위치하는 장치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시부 점등 상태를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0: 전력기기 제어장치
100: 제어장치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감지부
131: 빛 감지부 132: 개폐 감지부
140: 표시부
141: 트랜지스터 142: 백라이트소자
150: 알람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180: 전원 공급부

Claims (9)

  1. 데이터 수집 대상 장치로부터 경고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표시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되는 경고 이벤트 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입사 정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빛의 입사가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취득되는 경고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상태를 가변하여 제어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경고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상태로 점등하고, 상기 경고 이벤트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상태를 제2 상태로 점등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감지부의 빛 입사 정도에 따라 표시부의 밝기를 설정하여 점등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표시부를 점멸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 색상을 교호하여 점등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빛 입사 유지 시간 또는 빛 입사 정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점등 및 소등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빛 입사 정도에 따라 표시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LCD로 구성되는 전력기기의 제어 장치.
KR1020150067356A 2015-05-14 2015-05-14 전력기기 제어 장치 KR10230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56A KR102302382B1 (ko) 2015-05-14 2015-05-14 전력기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56A KR102302382B1 (ko) 2015-05-14 2015-05-14 전력기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007A true KR20160134007A (ko) 2016-11-23
KR102302382B1 KR102302382B1 (ko) 2021-09-15

Family

ID=5754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56A KR102302382B1 (ko) 2015-05-14 2015-05-14 전력기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549A (ko) * 2020-05-20 2021-11-29 한국전력공사 가스 절연 개폐 장치용 접지 개폐기의 관리 시스템, 장치 및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83A (ko) * 2003-09-17 2005-03-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배전반에 사용되는 경보 장치
KR20090045595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에이알테크 감광 센서를 이용한 조명 기구의 자동 반전 제어 장치
JP2010014827A (ja) * 2008-07-02 2010-01-21 Nec Saitama Ltd 端末装置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点灯方法
KR20140088449A (ko) * 2013-01-02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83A (ko) * 2003-09-17 2005-03-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배전반에 사용되는 경보 장치
KR20090045595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에이알테크 감광 센서를 이용한 조명 기구의 자동 반전 제어 장치
JP2010014827A (ja) * 2008-07-02 2010-01-21 Nec Saitama Ltd 端末装置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点灯方法
KR20140088449A (ko) * 2013-01-02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549A (ko) * 2020-05-20 2021-11-29 한국전력공사 가스 절연 개폐 장치용 접지 개폐기의 관리 시스템,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382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6167B (zh) 智能传感器线路警报系统
KR101334306B1 (ko) 아크 플래시 감지를 통해 차단 기능을 가지는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ES2755154T3 (es) Contador de energía eléctrica que puede monitorizar un estado de contacto de un relé de enclavamiento
KR101458115B1 (ko) 배전반 안전 감지 장치
US10498129B2 (en) Electrical device with failure monitoring function, electrical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9170347B2 (en) Safety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safety sensor
KR102302382B1 (ko) 전력기기 제어 장치
TW201633850A (zh) 故障檢測設備及方法
KR101623808B1 (ko) 가로등 불량 표시장치
KR20140114674A (ko) 아날로그 센서의 종류 판별 장치
US7327052B2 (en) Modular connecting system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load in a bus system
KR101656435B1 (ko) 휴대용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가로등 불량 표시장치
CN205539149U (zh) 高压带电显示闭锁装置
US8830216B2 (en) Illuminance detection method, flip-type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CN109507612A (zh) 模拟量采集卡和故障检测方法
GB2107140A (en) Fault indicator for domestic electrical systems
CN101224830A (zh) 电梯设备
KR20010017556A (ko) 게이트형 금속탐지기
KR102344602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된 건식 3상 디지털 변압기의 보호 시스템
KR101810584B1 (ko)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TWI524621B (zh) 電源管理系統及其控制方法
CN211765357U (zh) 无人驾驶车辆的控制设备及无人驾驶车辆
KR101989963B1 (ko) 철도차량의 개폐장치용 스마트 유닛
KR20180000011A (ko)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0826887B1 (ko) 변전소 작동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탈 모니터링시스템의 모듈화된 스위치모듈을 이용한 차단기 전원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