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11A -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11A
KR20180000011A KR1020160077094A KR20160077094A KR20180000011A KR 20180000011 A KR20180000011 A KR 20180000011A KR 1020160077094 A KR1020160077094 A KR 1020160077094A KR 20160077094 A KR20160077094 A KR 20160077094A KR 20180000011 A KR20180000011 A KR 2018000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ensor
temperature
switchboard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Priority to KR102016007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011A/ko
Publication of KR2018000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01R31/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아크와 과열 및 이상 소음 등을 조합형 센서로 상시 진단하고 기록하여 모니터함으로써 수배전반의 방전여부, 노후정도, 사고 징후 등 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배전반의 사고 여부를 예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Switchgear having always diagnosing and recording apparatus by combinated accident sensor}
본 발명은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아크와 과열 및 이상 소음 등을 조합형 센서로 상시 진단하고 기록하여 모니터함으로써 수배전반의 방전여부, 노후정도, 사고 징후 등 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배전반의 사고 여부를 예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이란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자로부터 전력을 수전하여 수용가나 수용시설에 맞도록 강압 또는 승압하여 배전하는 설비를 말한다.
이러한 수배전반 내부에 수납되는 전력기기들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노후화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접촉 불량, 절연파괴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유지보수 미흡으로 도체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절연상태의 불량이나 전기적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고, 이때 아크, 과열, 소음 등 사고의 징후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방치하는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수배전반에서의 사고는 대부분이 비정상적인 방전이 원인이 되며, 비정상적인 방전에 의하여 아크, 화재, 폭발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종래의 수배전반에서는 비정상적인 방전에 의해서 아크가 발생된 것을 검출할 경우, 사고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 회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비정상적인 방전에 의한 아크는 아크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주 회로의 차단이 필요하나, 아크 크기가 심각한 사고가 아닌 미미한 아크에너지 발생의 경우는 주회로를 차단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배전반은 아크에너지의 크기와 무관하게 아크가 감지되기만 하면 주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주 회로의 차단이 불필요한 경우까지 주 회로를 차단하게 되어 정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시스템 운용에 손실로 작용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아크는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발생 전에 사전 징후가 나타난다. 이러한 징후는 간헐적으로 발생이 되지만 지속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징후를 보이는 아크의 발생 상황을 진단하고 추세를 분석하여 아크가 발생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10-2009-00225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배전반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상상태 즉, 전기적 아크, 도체 및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 아크 등 이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을 조합형 센서로 감지하여 아크 등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소정 크기 이상의 아크에너지를 갖는 아크나 과열,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보알람을 제공하거나 주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신호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아크 등 사고 발생 추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가 발생될지 여부를 예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시 사고 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감지하는 아크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특정 지점 또는 상기 수배전반 주변의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온도센서, 아크발생 시 동반되는 이상 소음을 감지하는 음 감지센서, 상기 아크센서에서 감지한 아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상기 아크센서와 온도세서, 음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읽어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주기적으로 읽어내어 상기 아크센서에서 감지한 아크의 아크에너지가 10J/100cm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측정된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알람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센서에서 감지된 아크의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 알람 제공수단을 동작시키되, 상기 출력 설정치는 10J/100cm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센서에서 감지된 아크의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츨력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 수배전반에 포함된 릴레이를 동작시켜 아크 발생 구간을 전기적으로 개방시키되, 상기 출력 설정치는 10J/100cm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아크센서와 온도센서 및 음 감지센서를 일체형 즉, 조합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적외선 방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은 하나의 모니터링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수배전반을 진단 기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절연 상태, 아크 발생 상태, 과열 상태, 이상 소음 등 크고 작은 이상 상태가 진단되고 기록되므로 수배전반의 노후 정도나 사고 가능성에 대한 예측 등 수배전반의 추세를 파악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수단은 각 각의 수배전반에서 이루어지지만, 같은 시스템으로 구성된 다수의 수배전반 모두를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부를 이용하여 진단 기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효과로써, 소정 크기 이상의 아크, 과열, 이상 소음 등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알람을 제공하거나 수배전반 내부의 회로를 차단하고, 그 차단신호를 제공하게 되므로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진단기록계의 블럭도이다.
Figure pat0000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서 조합형 센서의 블럭도이다.
Figure pat00002

도 3은 모니터링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아크센서의 출력값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도 4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도센서의 출력값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4

도 5는 모니터링부(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아크음이나 이상 소음 감지센서의 출력값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다른 실시 예이다.
Figure pat00006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에 있어서 진단기록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아크센서(아크센서회로부 1), 온도센서(온도센서회로부 2), 음 감지센서(음감지센서회로부 3), 버퍼(4), 제어부(MCU, 5)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수배전반(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시스템모니터 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6)는 사용자에게 수배전반에 대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을 의미한다. 모니터링부(6)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알람제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배전반(100)에 설치된 모니터링부(6)를 통해서 수배전반(1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지만, 원격지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원격모니터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아크센서(1)는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되는지를 감시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센서(1)로는 비접촉식의 광학식 아크센서(1)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식 아크센서(1)는 아크에 의한 광신호가 입사될 경우 입사된 광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식 아크센서(1)는 상기 수광소자로 입사되는 광신호의 광량 및 상기 수광소자로 입사되는 광신호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광학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센서(1)는 수배전반(100) 내부 전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120o 이상의 감지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용전원의 1 사이클보다 빠른 16msec 이하의 감지시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센서(1)는 아크광의 파장 성분 중 800 - 900nm의 파장대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아크센서(1)가 출력하는 전기신호는 전압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아크센서(1)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크기, 예를 들어 전압의 크기는 버퍼(4)에 저장된다. 버퍼(4)는 아크센서(1)에서 출력하는 전압 형태의 전기신호의 크기를 저장할 있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제어부(5)는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아크센서(1)의 출력을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한다. 제어부(5)는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을 일정한 주기마다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는 1msec 마다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을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을 읽어낸 이후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을 클리어(clear)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전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은 상기 제어부(5)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클리어된다. 따라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이 클리어 되기 전에 버퍼(4)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값을 저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이용하여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저장하게 되면 보다 중장기적으로 아크가 발생하는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온도센서(2)는 수배전반(100) 내부의 온도 또는 수배전반(1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온도센서(2)로는 온도 측정 대상에 접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센서(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2)는 수배전반(100) 내부의 온도, 수배전반(100) 내부의 특정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배전반(100)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센서(2)는 1oC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 시간은 150m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2)의 감지범위는 -20oC - 500o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2)에서 측정된 온도는 상기 제어부(5)로 전달되며, 제어부(5)는 온도센서(2)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일정한 주기마다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 감지센서(3)는 수배전반(100)내부에서 아크발생 시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때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을 상기 제어부(5)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음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음신호를 일정주기 마다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하게 되며,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은 아크의 크기나 이상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도 3은 모니터링부(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아크센서(1)의 출력 값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버퍼(4)에 저장된 전압값을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을 하므로, 상기 일정한 주기로부터 산출되는 시간 구간별로 아크가 발생이 되었는지 및 아크가 발생이 되었을 경우 그 아크의 에너지는 어느 정도인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아크에너지를 갖는 경우만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배전반(100) 내에서 아크가 발생이 되더라도 아크의 에너지가 미비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는 아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의 에너지가 10J/100cm을 초과하는 경우만 그 아크의 에너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배전반(100)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 이상의 아크가 발생될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거나 수배전반(100) 내부의 회로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모니터링부(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도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온도센서(2)에서 측정한 온도를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을 하므로, 상기 일정한 주기로부터 산출되는 시간 구간별로 온도를 측정하고자 지점의 온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온도센서(2)에서 측정된 온도는 앞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부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모니터링부(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 감지센서의 출력값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음 감지센서(3)는 수배전반(100)내부에서 아크발생 시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때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을 상기 제어부(5)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음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음신호를 일정주기 마다 읽어내어 모니터링부(6)로 전달하게 되며,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은 아크의 크기나 이상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에서는 온도센서(2) 또는 음 감지센서(3)에서 측정한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 또는 음를 초과할 경우 알람이 제공되도록 구성되거나 수배전반(100) 내부의 회로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2)에서 측정된한 온도가 알람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알람을 제공하며, 측정된 온도가 차단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배전반(100) 내부의 회로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알람설정치의 온도와 차단설정치의 온도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알람설정치의 온도와 차단설정치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할 경우에는 알람설정치의 온도가 차단설정치의 온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도 2와 같이 아크센서(1) 및 온도센서(2)와 음 감지센서(3)를 동시에 사용하는 조합형(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아크 발생여부 및 온도 및 아크음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조합형으로 모니터링 수단을 구성하게 되면 수배전반(100)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배전반(100)은 2개 지점을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릴레이가 설치되는 위치는 아크 발생 시 전기적으로 개방시킬 필요가 있는 영역이 어디인지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아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릴레이를 이용한 전기적 개방 과정은 245ms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ms 이내에 전기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릴레이의 개방 여부는 제어부(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아크센서(1)에서 아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는 릴레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개방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MCU, 5)는 아크센서(1)에서 아크를 감지한 경우 즉시 릴레이를 동작시킬 수도 있으나, 발생된 아크의 아크에너지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 다음 상기 아크에너지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 이상일 경우에만 릴레이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는 출력 설정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크센서(1)에서 감지한 아크의 에너지가 상기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 릴레이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설정치는 10J/100cm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수배전반(100)에서 발생되는 아크가 미비할 경우까지 모두 릴레이를 동작시켜 회로를 개방시키게 되면 사고의 위험성이 없는 미미한 아크가 발생한 경우까지 모두 회로가 차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에서는 사고 위험이 높은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회로가 개방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알람제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제공수단은 상기 모니터링부(6)에 포함된 LED 일 수 있고, 소정의 경보음 제공수단일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LED 및 경보제공수단이 함께 동작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람제공수단은 발생된 아크의 아크에너지가 상기 출력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수배전반(100)이 1개의 아크센서(1) 및 온도세서(2)를 구비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배전반1 내지 16(100)은 복수의 조합형 센서1 내지 16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16개의 센서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수배전반(100)에 사용되는 센서의 개수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는 아크센서(1) 또는 온도센서(2)일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복수의 수배전반1 내지 16(100) 각각에 복수의 조합형 센서{(아크센서(1)+온도센서(2)+음감지센서(3)}로 이루어진 센서1 내지 센서16}(7)중 하나의 센서(예 : 센서1)를 장착하면서 각각의 센서(7)를 제어부(5)를 통해 하나 모니터링부(6)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조합형 센서가 각각 구비된 복수의 수배전반을 하나의 모니터링부(6)를 이용하여 제어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된 수배전반을 운용할 수도 있다.
1 : 아크센서 2 : 온도센서
3 : 음 감지센서 4 : 버퍼
5 : 제어부 6 : 모니터링부
7 : 센서1 내지 16 10 : 조합형 센서
100 : 수배전반1 내지 16

Claims (3)

  1.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감지하는 아크센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특정 지점 또는 상기 수배전반 주변의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적외선 방식이 적용된 온도센서;
    상기 아크 발생 시 동반되는 아크 음이나 이상 소음을 감지하는 음 감지센서;를 구비하되 이들는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구성과;
    상기 아크센서(1)에서 감지한 아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상기 아크센서(1)에서 감지한 아크의 측정된 결과가 저장된 버퍼 및 온도센서와 음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읽어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2.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알람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센서에서 감지된 아크의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음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음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에만 상기 알람 제공수단을 동작시키되, 상기 아크의 출력 설정치는 10J/100cm 보다 큰 것을, 온도와 소음은 사용자가 설정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센서에서 감지된 아크의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음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음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출력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 수배전반에 포함된 릴레이를 동작시켜 아크 발생 구간을 전기적으로 개방시키되, 상기 아크의 출력 설정치는 10J/100cm 보다 큰 것을, 온도와 소음은 사용자가 설정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 진단 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0160077094A 2016-06-21 2016-06-21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20180000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94A KR20180000011A (ko) 2016-06-21 2016-06-21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94A KR20180000011A (ko) 2016-06-21 2016-06-21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11A true KR20180000011A (ko) 2018-01-02

Family

ID=6100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094A KR20180000011A (ko) 2016-06-21 2016-06-21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0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2472A (zh) * 2019-09-27 2019-12-31 上海工程技术大学 直流系统放电故障检测方法及系统
KR102125902B1 (ko) * 2020-01-16 2020-06-23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수배전반의 조합된 감지신호를 이용한 사고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2472A (zh) * 2019-09-27 2019-12-31 上海工程技术大学 直流系统放电故障检测方法及系统
KR102125902B1 (ko) * 2020-01-16 2020-06-23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수배전반의 조합된 감지신호를 이용한 사고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97877A (ja) 電気機器収納装置の絶縁劣化防止及び絶縁劣化予測診断装置
KR100755955B1 (ko) 수배전 설비 고장 진단 시스템
KR100719138B1 (ko) 수배전 설비 고장 진단 방법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KR101225125B1 (ko) 전기품질 감시분석을 통한 사고예측 진단기능이 있는 원격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339755B2 (en) Electrical fault restricting system
KR20200081088A (ko) 배전반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WO2020090262A1 (ja) 温度閾値決定装置、温度異常判定システム、温度閾値決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07959B1 (ko) 방재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070208A (ko) 전력선 및 배전 설비의 이상 검출 시스템
KR20180000011A (ko) 조합형 센서에 의한 상시 사고고진단기록계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KR102449154B1 (ko) 통전 감지 경보장치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259667B1 (ko) 변전소의 열감지에 의한 감시장치
KR20150042425A (ko) 온라인 부분방전 검출기
US4223306A (en) Device for detection of short circuits in industrial uses
KR102525899B1 (ko) 일체형 감지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사고 토탈 관리시스템
JP2933797B2 (ja) 機器監視システム
JPH04204063A (ja) プリント板絶縁劣化検出手段を備えた電子装置
KR102573955B1 (ko) 아크 및 코로나방전에 대한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KR101113510B1 (ko) 변압기를 위한 진단 제어 시스템
KR102561858B1 (ko) 부분방전 및 부분방전센서의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JP2644813B2 (ja) 開閉機器の異常監視装置
KR100882786B1 (ko) 전력설비용 열화보호 계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