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444B1 -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444B1
KR100545444B1 KR1020030095539A KR20030095539A KR100545444B1 KR 100545444 B1 KR100545444 B1 KR 100545444B1 KR 1020030095539 A KR1020030095539 A KR 1020030095539A KR 20030095539 A KR20030095539 A KR 20030095539A KR 100545444 B1 KR100545444 B1 KR 10054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rphous
marble
low temperature
sheet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724A (ko
Inventor
김장기
방극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9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444B1/ko
Priority to JP2006536458A priority patent/JP4732357B2/ja
Priority to TW093139814A priority patent/TWI293288B/zh
Priority to EP04808511A priority patent/EP1697110B1/en
Priority to RU2006116473/12A priority patent/RU2328376C2/ru
Priority to PCT/KR2004/003380 priority patent/WO2005061211A1/en
Priority to US11/020,816 priority patent/US7306688B2/en
Publication of KR2005006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무정형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콤파운드에 다색의 스포트 칼라칩을 혼련한 후 1차 압연하여 시트를 만들고, 1차 압연된 시트를 회전시키면서 적층하고 저온 카렌다링으로 2차 압연하여 물결모양(wave pattern)과 거친 표면(rough surface)을 형성한 다음, 이 2차 압연된 시트를 첫번째 엠보유닛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길이 방향의 엠보싱을 통해 거친 면을 다듬어 주며, 두번째 엠보유닛을 통해서는 면을 평활하게 만드는 가공 프로세스에 의해 무정형이며 내구성이 뛰어난 마블효과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저온가공 첨가제, 회전설비, 투엠보 시스템, 무정형 마블, 표면 유광효과, 마블 연신효과

Description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Amorphous marble flooring through two embo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개략적인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형 마블타일의 반제품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투엠보 시스템을 이용한 무정형 마블타일의 완제품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차 엠보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시트 2 : 스포트 칼라칩
3 : 반바리믹서 4 : 믹싱롤
5 : 합판 카렌다 6 : 분쇄기
7 : 칩투입설비 8 : 1차 카렌다
9 : 절단설비 10 : 회전설비
11 : 진공캡 12 : 적층
13 : 적층간격 14 : 2차 카렌다
15 : 1차 히터 16 : 1차 엠보유닛
17 : 오븐 18 : 2차 히터
19 : 2차 엠보유닛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무정형 마블(marble)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무정형 마블 바닥재의 후가공 프로세스로 카렌다링, 프레싱 등의 가공 프로세스를 이용했던 것과는 달리 투엠보(Two Embo)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무정형 마블효과를 표현한 무정형 마블 합성수지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제 마블타일은 우수한 내구성과 함께 미려한 장식효과를 부여해 주는 것으로, 종래에는 합성수지 콤파운드에 2∼3종류의 스포트 칼라칩(spot color chip)을 혼련한 후 열압연하여 제조하거나, 미리 제조된 합성수지 시트상에 스포트 칼라칩을 칼라별로 일정량을 배출 분산시켜 열압착 카렌다링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조방식은 다양한 칼라에 의한 외관의 변화는 가능하지만 마블의 방향성을 제거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천연질감의 외관효과를 표현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기존 방향성 마블의 장식효과를 탈피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69415호에서는 1차 카렌다링한 시트를 90도 회전시켜서 적층한 후 2차 카렌다링을 거쳐 방향성이 제거된 무정형 마블타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제조방식은 마블의 정형성을 제거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입체감을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엠보싱을 통해 입체감을 표현하였으나, 엠보싱을 통한 후가공은 표면의 오염성이나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엠보유닛을 하나 더 설치하여 각각의 엠보유닛에 역할을 부여하고 면을 평활하게 함으로써 기존 제품에 비해 오염성과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엠보롤에 의한 속도차(friction비)를 통해 무정형 마블을 더 연신하여 외관을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효과와 두번째 엠보유닛에 스팀을 투입하여 열에 의한 유광효과를 부여하여 기존의 표면 오염성과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뿐만 아니라 외관이 차별화된 무정형 천연 마블효과를 표현하는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엠보싱에 의한 후가공에서 발생하는 표면의 오염성과 내구성을 개선한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정형 마블에 연신효과 및 유광효과를 부여한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 콤파운드에 다색의 스포트 칼라칩을 혼련한 후 1차 압연하여 시트를 만들고, 1차 압연된 시트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고 방향을 돌려가면서 계단형으로 적층한 다음, 2차 압연하여 만들어진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외관 차별화를 위해 바닥재 표면에 물결모양(wave pattern)을 형성시키되, 상기 합성수지 콤파운드에 저온가공 첨가제를 사용하여 2차 압연시 카렌다 롤의 온도를 60 내지 100℃로 낮게 유지하는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상기 물결모양을 형성시키며,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물결모양과 함께 형성되는 거친 표면(rough surface)을 갖는 2차 압연된 시트를 투 엠보(two embo) 시스템을 이용하여, 1차 엠보유닛으로는 상기 거친 표면을 길이 방향의 엠보싱을 통하여 연마하여 일정 수준 두께를 유지하게 한 후, 2차 엠보유닛으로는 표면을 평활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엠보롤에 의한 속도차(friction비)를 통해 무정형 마블을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엠보유닛에 스팀을 투입하여 열에 의한 표면 유광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저온가공 첨가제는 치환된 폴리글리콜에테르 (Substituted polyglycolether), 지방알콜 부분 에스테르와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Mixture of fatty alcohol partial esters and fatty acid esters)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염화비닐수지(Polyvinylchloride: PVC)가 적절하지만,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압연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본 발명의 공 정에 적합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 무정형 마블 바닥재의 후가공 프로세스로 카렌다링, 프레싱 등의 가공 프로세스를 이용해 온 것과는 달리 두개의 엠보유닛을 이용하여 무정형 마블 바닥재를 후가공하는 바닥장식재 제조 프로세스로서, 첫번째 엠보유닛은 저온 카렌다링을 거쳐 나오는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을 길이 방향의 엠보싱을 통하여 다듬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어느 수준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두번째 엠보유닛은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무정형 천연마블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온가공 공정은 원단의 연화점(Softening Point)을 낮춰줌으로써 공정 중 열이 어느 정도 식어도 원단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처방(첨가제)을 사용한 공정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적용한 저온 카렌다링이란 기존의 공정작업 조건에 비해 온도가 낮아도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저온처방에 기초하여, 2차 압연시 특정 두께와 일정하게 적층된 시트를 압연 카렌다링하는 롤의 온도를, 바람직하게는 60∼100℃의 저온으로 낮게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카렌다링 공정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종래의 방향성을 제거한 무정형 마블타일을 개량하여, 첫째 상기 무정형 마블외관에 추가로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이라는 새로운 외관을 부여하고, 둘째 투 엠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물결모양과 거친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내구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표면 유광효과와 화려한 무정형 외관효과를 부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을 갖는 반제품을 제조한 후, 여기에 투 엠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구성과 함께 표면 유광효과와 화려한 무정형 외관효과를 나타내는 완제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때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은 저온 처방에 기초한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형성되는 외관이며, 저온처방에 사용되는 저온가공 첨가제는 기존 공정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저온처방을 사용하지 않으면 저온 카렌다링 이후 작업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기존 카렌다링 공정에서는 통상 120∼150℃ 이상의 고온 가공을 하는데, 이와 같이 120∼150℃ 이상의 고온조건에서 가공을 하게 되면 물결 모양의 형성이 불가능하며, 둥글게 늘어나는 외관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저온처방에 의한 저온 카렌다링을 실시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 차별화를 위해 물결모양을 얻고자 한 것이며, 거친 표면은 물결모양으로 가공하기 위해 저온 카렌다링을 거치면서 표면이 거칠게 나온 것이다. 즉, 저온 카렌다링을 하다보니 거친 표면도 동시에 나타나서, 이 거친 표면을 해결하고자 투 엠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처리한 것이다.
특히, 거칠거나 표면을 개선시켜야 하는 제품에 있어서, 불완전한 표면을 히터로 가열한 후 엠보싱에 의해 거친 표면을 다듬는 공정을 포함한다. 저온 카렌다링 이후 원단의 온도가 많이 식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히터를 이용하여 120∼150℃로 가열한다. 엠보싱 공정에서 사용되는 엠보롤의 구조는 모든 형태의 엠보 롤(경면 또는 엠보)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카렌다링으로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을 갖는 반제품(도 2)을 제조한 후, 이를 완제품(도 3)으로 만들기 위해 투 엠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 실제로 엠보싱 이후 표면이 평활해져 내구성이 개선되고, 연신효과와 유광효과로 인하여 무정형 마블외관이 차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카렌다링(calendering) 공법으로 제조하되 두개의 엠보유닛을 이용한 바닥장식재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조공정은 크게 원료배합공정, 혼합된 원료를 가열 및 가압하는 혼련공정, 원료를 균일하게 섞는 믹싱공정, 무정형 마블모양을 구현하는 카렌다링 공정, 및 내구성과 표면을 평활하게 유도하고 연신효과와 유광효과를 부여하는 투 엠보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 내구성 및 장식효과가 뛰어난 합성수지제 무정형 마블 바닥재는 염화비닐수지 콤파운드에 다색의 스포트 칼라칩을 혼련한 후 1차 압연하여 베이스 시트를 만들고, 이 베이스 시트를 절단하고 회전시킨 다음 계단형으로 적층하고 저온 카렌다링으로 2차 압연한 후, 이 2차 압연된 물결 모양(wave pattern)과 거친 표면(rough surface)을 갖는 시트를 1차 엠보유닛으로 표면을 연마하고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 후, 2차 엠보유닛으로 표면을 평활하게 처리하여 제조한다.
이때 베이스 시트층(1)의 조성은 염화비닐(PVC: 중합도 800∼1,000) 100 중 량부에 대하여 가소제(DOP) 30∼50 중량부, 에폭시 3∼10 중량부, Ba-Zn계 안정제 2∼6 중량부, 저온가공 첨가제 2∼10 중량부 및 각종 안료를 포함한다.
스포트 칼라칩(2)은 PVC에 안료 등을 배합한 후 압연한 시트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0.5∼20 ㎜ 정도로 분쇄한 것으로, 가소제의 함량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와 여러가지로 달리함으로써 칩의 경도를 다양하게 부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액상 및 분말원료를 일정량 배합하여 분산시키고, 고르게 분산된 원료들을 120∼150℃ 미만의 반바리믹서(Banbury mixer)(3) 내에서 스크류로 혼련한다. 혼련된 원료들을 100 내지 130℃ 정도의 믹싱롤(4)을 이용하여 케이크(cake) 형태의 베이스 시트(1)를 제조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1)와 다양한 칼라의 스포트 칩(2)을 합판 카렌다(5)를 이용하여 3.0 ㎜ 이하의 시트로 만들고, 이를 분쇄하여 200∼250℃의 오븐(17)에서 가열하고, 이를 110∼150℃의 1차 카렌다(calender)(8)를 이용하여 약 1.0∼5.0 ㎜의 두께로 압연하여 시트를 만들고, 이 시트를 절단기(9)에서 절단하고 절단된 시트는 90도 회전설비(10)를 이용하여 흡착 후 90도 회전시켜 계단형태의 일정 간격으로 적층(12)한다. 여기서, 일정 간격 적층이란 계단 형상으로 일정한 폭 간격(13)을 유지하며 적층된 것이다.
상기 절단(cut)설비(9)는 1차 압연된 베이스 시트(1)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설비로서, 시트의 절단길이는 광센서에 의해서 감지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 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turn)설비(10)는 진공형 90도 회전설비로서 내부가 빈 사각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하부에는 무수히 많은 실리콘 재질의 캡(11)이 부착되어 시트가 지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사각 케이스 내에 2∼20 ㎏/㎠의 진공압이 걸리면서 하강하며 진공캡(11)을 이용하여 1차 압연된 베이스 시트(1)를 흡착한다. 이렇게 흡착된 시트는 지정된 레일을 따라서 90도 회전하면서 일정 간격(13)으로 적층(12)되어 2차 카렌다(14)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1차 압연된 베이스 시트(1)는 콤파운딩된 PVC 원료와 스포트 칼라칩(2)이 혼련되어 압연된 것으로서 길이 방향의 마블이 형성된다.
그리고, 90도 회전시킨 후의 적층간격(13)은 통상 100∼500 ㎜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적층간격(13) 및 적층수에 따라 무정형 마블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즉 적층간격 및 적층수가 작으면 1차 형성된 마블이 90도 회전 후 2차 압연될 때 방향성이 나타나 원하는 무정형 마블을 얻기 어렵다.
적층되는 베이스 시트(1)의 수는 베이스 시트(1)의 두께와 적층간격(13)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0겹이 적층된다.
이렇게 적층(12)된 시트를 60∼100℃의 2차 카렌다(14)를 이용한 저온 카렌다링을 실시함으로써,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을 갖는 반제품을 제조한다. 이때,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마블이 90도 회전되어서 무정형 형태의 마블로 변하게 되는데, 베이스 시트(1)와 스포트 칼라칩(2)이 자연스럽게 어울려질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2차 압연시트의 두께는 2.5∼4.5 ㎜로 유지되도록 한다.
2차 카렌다(14)를 통과해서 저온 카렌다링으로 제조한 반제품을 1차 히터(15)를 이용하여 가열(120∼150℃)한 후 1차 엠보유닛(16)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 엠보싱을 실시함으로써 거친 표면을 다듬어 주며 일정한 수준으로 두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이를 충분히 냉각시킨 후 2차 히터(18)를 통해 다시 한번 열을 보완하고 2차 엠보유닛(19)의 상롤(2∼50 ㎏f/㎠의 유압 이용)에 스팀(2∼10 ㎏)을 투입하여 표면 유광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엠보유닛의 상하 속도차(5∼20% 속도차)를 이용하여 표면 마블 연신효과를 부여하고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내구성 및 외관이 차별화된 무정형 천연마블을 나타낼 수 있는 바닥장식재를 제조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무정형 마블타일의 반제품 사진으로서,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의 외관이 형성되고, 다색의 스포트 칼라칩이 베이스 시트상에 무정형으로 압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무정형 마블타일의 완제품 사진으로서, 도 2의 반제품으로부터 투엠보 시스템에 의해 표면 유광효과와 표면 마블 연신효과가 부여되고 표면이 평활하여 내구성 및 외관이 차별화된 무정형 천연마블을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차 엠보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도로서, 여기서 점선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엠보를 내어주는 역할을 하며, 나무 무늬처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엠보싱이 되어서 물결모양을 길이방향으로 더 연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내오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무정형 천연마블 바닥장식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각각의 액상 및 분말원료를 일정량 배합하여 분산시켰다. 고르게 분산된 원료들을 120∼150℃ 미만의 반바리믹서(3) 내에서 스크류로 혼련하고 이 혼련된 원료들을 100 내지 130℃ 정도의 믹싱롤(4)을 이용하여 케이크 형태의 베이스 시트(1)를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시트(1)와 다양한 칼라의 스포트 칩(2)을 합판 카렌다(5)를 이용하여 3.0 ㎜ 이하의 시트로 만들고, 이를 분쇄하여 200∼250℃의 오븐(17)에서 가열하고, 이를 110∼150℃의 1차 카렌다(8)에서 1.0∼5.0 ㎜ 두께의 시트로 만들고, 이를 1.0 m 간격으로 자르고 회전설비(10)의 진공캡(11)을 이용하여 시트를 회전시켜서 적층(12)한 후, 마블모양에 따라 2∼10장의 일정한 간격(13)으로 적층하였다.
적층된 시트를 60∼100℃의 2차 카렌다(14)에 통과시켜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을 갖는 2.5∼4.5 ㎜의 반제품 시트를 만들었다. 2차 카렌다(14)를 통과해서 나오는 반제품 시트를 1차 히터(15)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1차 엠보유닛(16)을 이용하여 길이방향 엠보싱을 실시함으로써 거친 표면을 다듬어 주며 일정한 두께로 유지되도록 해주고, 이를 충분히 냉각시킨 후 2차 히터(18)를 통해 다시 한번 열을 보완하고 유압(2∼50 ㎏f/㎠)을 이용한 엠보롤인 2차 엠보유닛(19)의 상롤에 스팀을 2∼10 ㎏ 공급하여 표면 유광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엠보유닛의 상하 속도차(5∼20% 속도차)를 이용하여 표면 마블 연신효과를 부여하고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내구성 및 외관이 차별화된 무정형 천연마블을 나타낼 수 있는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무정형이면서 입체감을 표현하는 바닥장식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각각의 액상 및 분말원료를 일정량 배합하여 분산시켰다. 고르게 분산된 원료들을 120∼150℃ 미만의 반바리믹서(3) 내에서 스크류로 혼련하였다. 혼련된 원료들을 100 내지 130℃ 정도의 믹싱 롤(4)을 이용하여 케이크 형태의 베이스 시트(1)를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시트(1)와 다양한 칼라의 스포트 칩(2)을 합판 카렌다(5)를 이용하여 3.0 ㎜ 이하의 시트로 만들고, 이를 분쇄하여 200∼250℃의 오븐(17)에서 가열한 후, 이를 110∼150℃의 1차 카렌다에서 1.0∼5.0 ㎜ 두께의 시트로 만들었다. 이 1차 압연된 시트를 1.0 m 간격으로 자르고 회전설비(10)의 진공캡(11)을 이용하여 시트를 회전시켜서 적층(12)한 후, 마블모양에 따라 2∼10장의 일정한 간격(13)으로 적층하였다.
적층된 시트를 60∼100℃의 2차 카렌다(14)에 통과시켜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을 갖는 2.5∼4.5 ㎜의 반제품 시트를 만들었다. 2차 카렌다(14)를 통과해서 나오는 반제품 시트를 히터(15)를 이용하여 120∼150℃로 가열한 후, 엠보싱(16)을 하여 거친 표면은 다듬어지고 물결모양에는 입체감이 구현된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마블바닥재는 비교예의 바닥재보다 내오염성에 있어서 20% 정도, 내구성에 있어서도 30% 정도 개선되었다.
상기에서 명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저온가공 첨가제에 의해 가공시 원단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처방과 회전설비에 의해 방향 전환시켜 카렌다링할 때 카렌다 롤의 온도를 60∼100℃ 정도로 유지하는 저온 카렌다링을 실시하여 나타나는 물결 모양과 거친 표면에 히터를 이용하여 열을 보완하고 두개의 엠보유닛으로 구성된 투엠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거친 표면을 평활하게 함과 동시에 표면 유광효과 및 두께 밸런스를 유지시켜 내구성과 외관이 화려한 무정형 외관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카렌다링, 샌딩, 프레싱 등 기존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프로세스에 비해 엠보싱에 의한 프로세스이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합성수지 콤파운드에 다색의 스포트 칼라칩을 혼련한 후 1차 압연하여 시트를 만들고, 1차 압연된 시트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고 방향을 돌려가면서 계단형으로 적층한 다음, 2차 압연하여 만들어진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외관 차별화를 위해 바닥재 표면에 물결모양(wave pattern)을 형성시키되, 상기 합성수지 콤파운드에 저온가공 첨가제를 사용하여 2차 압연시 카렌다 롤의 온도를 60 내지 100℃로 낮게 유지하는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상기 물결모양을 형성시키며,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물결모양과 함께 형성되는 거친 표면(rough surface)을 갖는 2차 압연된 시트를 투 엠보(two embo) 시스템을 이용하여, 1차 엠보유닛으로는 상기 거친 표면을 다듬어 두께를 일정 수준 유지되게 한 후, 2차 엠보유닛으로는 표면을 평활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엠보롤에 의한 속도차(friction비)를 통해 무정형 마블을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2차 엠보유닛에 스팀을 투입하여 열에 의한 표면 유광효과 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가공 첨가제가 치환된 폴리글리콜에테르 (Substituted polyglycolether), 지방알콜 부분 에스테르와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Mixture of fatty alcohol partial esters and fatty acid esters)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5. 염화비닐(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30 내지 50 중량부, 에폭시 3 내지 10 중량부, Ba-Zn계 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저온가공 첨가제 2 내지 10 중량부 및 안료를 포함하는 베이스시트 조성물과 이와 색상이 다른 스포트 칼라칩의 혼합 및 압연에 의해 무정형 마블무늬를 가지며, 카렌다 롤의 온도를 60 내지 100℃로 낮게 유지하는 저온 카렌다링에 의해 바닥재 표면에 물결모양과 거친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거친 표면은 투엠보 시스템에 의하여 평활하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마블 바닥장식재.
KR1020030095539A 2003-12-23 2003-12-23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539A KR100545444B1 (ko) 2003-12-23 2003-12-23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536458A JP4732357B2 (ja) 2003-12-23 2004-12-21 ダブルエンボシ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無定形マーブル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093139814A TWI293288B (en) 2003-12-23 2004-12-21 Amorphous marble flooring through two embo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EP04808511A EP1697110B1 (en) 2003-12-23 2004-12-21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ing of synthetic amorphous marble by a double embossing system
RU2006116473/12A RU2328376C2 (ru) 2003-12-23 2004-12-21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крытия пола из аморфного мрамо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истемы двойного тиснения
PCT/KR2004/003380 WO2005061211A1 (en) 2003-12-23 2004-12-21 Amorphous marble flooring through two embo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11/020,816 US7306688B2 (en) 2003-12-23 2004-12-22 Amorphous marble flooring through two embo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539A KR100545444B1 (ko) 2003-12-23 2003-12-23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724A KR20050065724A (ko) 2005-06-30
KR100545444B1 true KR100545444B1 (ko) 2006-01-24

Family

ID=3725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539A KR100545444B1 (ko) 2003-12-23 2003-12-23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4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724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2357B2 (ja) ダブルエンボシ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無定形マーブル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888975A (en) Method of making a decorative surface covering product
CN102277947B (zh) 一种弧角片材pvc地板、该地板的生产工艺及专用模具
KR200343899Y1 (ko) 무정형 마블에 입체감을 부여한 바닥장식재
KR100545444B1 (ko) 무정형 마블을 나타내기 위한 투엠보 시스템 바닥장식재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73479B1 (ko) 균일질 무정형 마블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0220B1 (ko) 스틸롤 엠보를 이용한 무정형 마블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2363B1 (ko) 저온 고압연 공법을 이용한 바닥재의 제조방법
DK152024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belaegning, isaer en gulvbelaegning
KR100794912B1 (ko) 합성수지를 활용한 논슬립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0140684B1 (ko) 천연 대리석 외관을 갖는 바닥 장식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6998170B2 (en) Jaspe pattern flooring
KR200419456Y1 (ko) 입체질감이 우수한 장식시트
KR100657125B1 (ko) 대리석 효과를 부여한 고내구성 바닥장식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430843B1 (ko) Pvc 수지로 된 칩층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
KR101260556B1 (ko) 선명한 표면을 지닌 바닥장식재
KR100831573B1 (ko) 사이드 압출칩에 의한 스포트 효과를 갖는 바닥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529154B1 (ko)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2735B1 (ko) 제품 표면에 유무광 효과가 부여되고 인쇄무늬와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타입 바닥장식재 및 이의제조방법
TWI611079B (zh) 一種仿實木與仿石材的塑膠地板的製作方法
JPH0421583B2 (ko)
CN202213255U (zh) 一种玻璃纤维基材pvc印刷墙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