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154B1 -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154B1
KR100529154B1 KR10-2002-0073843A KR20020073843A KR100529154B1 KR 100529154 B1 KR100529154 B1 KR 100529154B1 KR 20020073843 A KR20020073843 A KR 20020073843A KR 100529154 B1 KR100529154 B1 KR 100529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od
marbl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041A (ko
Inventor
이상헌
임광수
김장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2-007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1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 B29C2043/14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for making single lay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marble)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베이스칩에 1종 이상의 칼라칩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1차 캘린더링한 후 적당한 연신비를 이용하여 2차 캘린더로 재압연하여 가늘고 긴 자연스런 목무늬 마블시트를 얻고 이 마블시트를 엠보롤로 압착시켜 제조함으로써 자연스럽고 다양한 목무늬 마블효과를 갖는 콤퍼지션(composition) 타입의 합성수지제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Synthetic resin marble tile having wood-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자연스런 목무늬 마블효과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과 패션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주거공간 및 상업공간에서 사용되는 바닥장식재의 실용성과 인테리어성 등 실사용성과 내구성 및 외관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추세에 있다.
실제 주거공간 및 상업공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닥장식재는 내구성, 실용성, 패션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고 있긴 하지만, 실제 사용되고 있는 바닥재는 내구성 및 실용성을 부여한 콤퍼지션 타입의 바닥장식재와 인쇄무늬를 통해서 패션성을 부여한 프린트 타입의 바닥재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자세히 보면 종래의 바닥장식재는 내구성 및 실용성을 부여한 콤퍼지션 타입의 경우 칼라칩에 의한 외관의 색상변화는 가능하지만 자연스런 장식효과를 표현하는 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단조로운 모양밖에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화비닐 투명수지층(5)에 인쇄무늬를 직접 인쇄하거나 인쇄층(3) 위로 염화비닐 투명수지층(5)과 표면처리층(6)을 아래로 기재층(4)을 합판하여 패션성을 부여하였으나, 한 종류의 무늬형태를 인쇄하여 합판한 다음 합판물을 재단하여 바닥에 시공할 경우 동일 무늬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무늬의 형태가 획일적이므로 부자연스럽고 인위적인 느낌을 주어 자연스러운 외관효과를 주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인쇄에 의한 타일의 제조방법의 경우 표면층의 마멸에 의해 마블모양의 소실이 많고 비용적으로도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을 제조할 때 1차 캘린더링 후 적당한 압연비로 재압연하고 목무늬 엠보싱을 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과 함께 인위적인 느낌을 탈피하고 다양하면서도 가늘고 긴 천연질감의 목무늬 마블효과를 바닥장식재에 부여하여 실용성과 패션성을 추구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바닥장식재가 갖는 표면층의 마멸에 의한 마블모양의 손실, 부자연스럽고 획일적이며 인위적인 형태의 무늬를 갖는 문제점, 칼라칩으로 색상에 의한 단조롭고 쉽게 식상해 버리는 무늬를 갖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자연스러우면서도 다양한 여러가지의 가늘고 길다란 무늬로 패션성을 부여하고 쉽게 식상되지 않는 마블효과를 갖는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닥장식재는 나무색상의 베이스칩과 1종 이상의 칼라칩이 혼합된 콤퍼지션 타입으로, 상기 칩들이 열압착에 의해 표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스루(through)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칩의 압연에 의해 가늘고 긴 목무늬 마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목무늬 마블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무늬 마블시트 위에 광경화 우레탄 아크릴수지 또는 수성 우레탄수지가 코팅되어 표면처리층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베이스칩은 나무색상의 폴리염화비닐수지 칩으로서,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안료로 조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칼라칩은 나무과 유사한 색상을 갖는 1종 이상의 칩으로서,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중합도가 700∼1,800인 비닐초산 아세테이트 2∼5중량부, 공중합된 폴리염화비닐 10∼3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안료로 조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은 나무색상의 베이스칩과 칼라칩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베이스칩과 1종 이상의 칼라칩을 혼합한 후 1차 캘린더로 압연하여 목무늬 마블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목무늬 마블시트를 2차 캘린더로 재압연하여 가늘고 긴 목무늬 마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목무늬의 입체감과 자연스러움을 부여하기 위하여, 목무늬 엠보를 부여하는 엠보싱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목무늬 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목무늬 마블시트에 광경화 우레탄 아크릴수지 또는 수성 우레탄수지를 코팅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및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장식재로서, 베이스칩(1)과 1∼2종의 칼라칩(2)으로 구성된 목무늬 마블시트 위에 표면처리층(6)이 코팅되어 있다. 목무늬 마블시트에서 상기 베이스칩(1)과 1∼2종의 칼라칩(2)은 열압착되어 스루(through)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칩(1)은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적당량의 안료를 혼합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두께 2∼4 mm로 압연한 시트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제조한다. 칩의 크기에 따라 마블무늬의 길이와 형태가 달라지므로, 목무늬 마블타일의 제조에는 0.5∼30 mm가 적당하다.
상기 칼라칩(2)은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중합도가 700∼1,800인 비닐초산 아세테이트(vinyl acetate)가 2∼5중량% 공중합된 폴리염화비닐 10∼3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적당량의 안료를 혼합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두께 2∼4 mm로 압연한 시트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0.5∼30 mm로 분쇄한 것이다.
상기 충진제로서 탄산칼슘, 탈크, 규회석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충진제를 사용하거나, 알루미늄, 구리 및 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충진제 또는 금속 분말만을 사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탄산칼슘의 경우 함량이 많을수록 열에 의한 제품의 변형이 적을 뿐만 아니라, 표면의 경도가 상승하여 무거운 중량물에 의한 눌림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 면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가공조제는 폴리염화비닐수지의 가공성 및 성형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60∼85%,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15∼5%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25∼5%로 혼합된 가공조제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장식재의 제조공정도로서, 상기 제조공정은 크게 원료를 배합하고 배합된 원료를 가열 및 가압하여 균일하게 섞는 혼련 및 믹싱공정, 베이스칩과 칼라칩을 만들기 위한 시팅과 분쇄공정, 베이스칩과 칼라칩으로 마블의 형상을 구현하는 1차 및 2차 캘린더링공정, 표면의 입체감과 자연스러움을 부여하는 엠보싱공정,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각각의 액상 및 분말원료를 브렌다로 일정량을 배합하여 분산시킨다. 분산된 원료를 120∼180℃로 설정된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로 이송하여 스크류로 혼련한다. 혼련된 원료를 이용해서 만든 베이스칩에 1∼2종의 칼라칩을 적정비율로 혼합한다. 베이스칩과 칼라칩의 배합비와 칩의 사이즈에 따라 마블의 형태가 달라지므로, 칼라칩을 2∼10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븐에서 가열 연화된 혼합칩을 1차 캘린더링하고 적당한 압연비로 다시 재압연하고 목무늬 엠보싱하여 목무늬 마블시트를 제조한다. 여기에 표면의 내오염성 및 내구성의 상승효과를 부여하고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표면처리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장식재의 제조가 완성된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광경화 우레탄 아크릴수지나 수성 우레탄수지를 코팅한 후, 광경화 우레탄 아크릴수지의 경우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수성 우레탄수지의 경우에는 열로 경화시켜 형성한다. 또한, 분자량이 300∼500 정도인 파라핀왁스를 코팅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장식재는 최종적으로 검사를 거쳐 쪽마루 타입으로 재단 및 포장되어 제품화된다.
실시예
먼저 베이스칩과 칼라칩을 제조하기 위해서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가소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적당량의 안료로 이루어진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브렌다에 투입하고 배합하여 분산시켰다.
분산된 원료를 120∼180℃로 설정된 반바리믹서로 이송하여 스크류로 혼련한였다. 혼련된 원료를 120∼160℃로 설정된 카렌다로 2∼4 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를 콘닥스 분쇄기를 이용하여 0.5∼30 mm 정도로 분쇄한 무정형 베이스칩을 제조하였다.
목무늬 마블타일에 사용된 1∼2종의 칼라칩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자연스러운 목무늬 마블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조한 베이스칩에 1∼2종의 칼라칩을 2∼10 중량% 정도로 배합하여 오븐으로 이송하고 칩을 100∼160℃로 가열 연화시켰다.
오븐을 통과한 베이스칩과 칼라칩은 흔들이 호파를 통해 120∼160℃의 1차 카렌다에 투입하여 3∼6 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시트에는 길이 방향의 마블이 형성되었다.
길이 방향의 마블이 형성된 시트를 130∼170℃ 정도의 2차 카렌다로 2∼4 mm 두께로 재압연을 실시하여 베이스칩과 칼라칩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목무늬 마블이 표면에서 뒷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콤퍼지션 타입의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2차 카렌다로 압연된 목무늬 마블을 갖는 시트를 엠보롤에 10 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더욱 자연스럽고 깊이감이 있는 바닥장식재를 제조하였다.
계속하여 표면의 내오염성 및 내구성을 더욱 보강하고자 표면에 우레탄 아크릴수지를 코팅하여 자외선 경화방법에 의해 표면을 경화시켜 표면처리층을 형성시켰다.
표면처리된 시트를 수냉으로 냉각하고 100×920 mm 정도의 크기로 재단하여 최종적으로 목무늬 마블을 갖는 바닥장식재를 완성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칩을 나무색상으로 하고 칼라칩을 유사한 색상으로 적절히 조화시켜 입체감과 깊이감이 있고 자연스런 외관을 구현함으로써 뛰어난 장식효과를 발휘하고 고급화에 따른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개략적인 제조공정 블록선도,
도 3은 종래 바닥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칩 2: 칼라칩
3: 인쇄층 4: 기재층
5: 염화비닐수지 투명시트층
6: 표면처리층

Claims (7)

  1. 베이스칩과 1종 이상의 칼라칩이 혼합된 콤퍼지션 타입으로, 상기 칩들이 표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스루(through)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칩에 의해 목무늬 마블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칩이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안료로 조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2. 제 1항에 있어서, 광경화 우레탄 아크릴수지 또는 수성 우레탄수지가 표면처리층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칩이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중합도가 700∼1,800인 비닐초산 아세테이트가 2∼5중량% 공중합된 폴리염화비닐 10∼3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안료로 조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
  5. 나무색상의 베이스칩과 칼라칩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베이스칩과 1종 이상의 칼라칩을 혼합한 후 1차 캘린더로 압연하여 목무늬 마블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목무늬 마블시트를 2차 캘린더로 재압연하여 가늘고 긴 목무늬 마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칩을 중합도가 800∼1,700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 30∼50중량부, 충진제 300∼650중량부, 내열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6중량부, 가공조제 2∼10중량부, 활제 5∼10중량부 및 안료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목무늬 엠보를 부여하는 엠보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무늬 마블시트에 광경화 우레탄 아크릴수지 또는 수성 우레탄수지를 코팅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2002-0073843A 2002-11-26 2002-11-26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9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843A KR100529154B1 (ko) 2002-11-26 2002-11-26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843A KR100529154B1 (ko) 2002-11-26 2002-11-26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041A KR20040046041A (ko) 2004-06-05
KR100529154B1 true KR100529154B1 (ko) 2005-11-15

Family

ID=3734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843A KR100529154B1 (ko) 2002-11-26 2002-11-26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748A (zh) * 2015-11-13 2016-01-13 哈尔滨中大型材科技股份有限公司 高分子石塑装饰产品及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275A (ja) * 1995-12-29 1997-07-15 Tajima Inc 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22193A (ko) * 1996-09-20 1998-07-06 성재갑 합성수지제 마블타일의 제조방법
KR100195622B1 (ko) * 1996-04-26 1999-06-15 고세명 합성수지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KR19990069415A (ko) * 1998-02-09 1999-09-06 성재갑 무정형 마블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74618A (ko) * 1998-03-12 1999-10-05 추두련 마블감이 우수한 바닥 타일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타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275A (ja) * 1995-12-29 1997-07-15 Tajima Inc 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195622B1 (ko) * 1996-04-26 1999-06-15 고세명 합성수지 바닥재 타일의 제조방법
KR19980022193A (ko) * 1996-09-20 1998-07-06 성재갑 합성수지제 마블타일의 제조방법
KR19990069415A (ko) * 1998-02-09 1999-09-06 성재갑 무정형 마블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74618A (ko) * 1998-03-12 1999-10-05 추두련 마블감이 우수한 바닥 타일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041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2369B (zh) 具有装饰性耐磨表面的纤维基镶板
JP4732357B2 (ja) ダブルエンボシ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無定形マーブル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4461B1 (ko) 채색 석재 장식품 및 상감 세공방법
CN101011903A (zh) 在木材表面仿浮雕天然木纹制作方法
KR100605090B1 (ko)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WO2019135140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panels
WO2023045988A1 (en) Full body textured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0529154B1 (ko) 합성수지제 목무늬 마블타일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92781A1 (en) Building material for forming an architectural surface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554837B1 (ko) 유색 수성잉크로 목무늬 효과를 창출한 합성수지제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92105B1 (ko) 인조대리석 가구 상판 및 그 제조방법
JP2877664B2 (ja) 建築用化粧板の塗装方法
KR200343899Y1 (ko) 무정형 마블에 입체감을 부여한 바닥장식재
KR100710722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9980069671A (ko) 미끄럼방지용 합성수지 바닥 타일 및 그 제조방법
JP4775271B2 (ja) 化粧パーティクルボードの製造方法及び化粧パーティクルボード
KR101267653B1 (ko) 재활용 아크릴칩을 포함한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JP2928969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CN108237836A (zh) 一种砂岩浮雕的制作工艺
CN108071210A (zh) 耐火纤维内墙保温装饰板及其制造工艺
KR100642121B1 (ko) 광물을 이용한 판재의 표면 문양 제조방법
KR100786531B1 (ko) 잉크칩을 활용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02554A (zh) 具有三维立体图案的橡胶泥浮雕装饰板及其制作工艺
JPH032650B2 (ko)
KR20020014495A (ko)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