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270B1 -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270B1
KR100545270B1 KR1020030063139A KR20030063139A KR100545270B1 KR 100545270 B1 KR100545270 B1 KR 100545270B1 KR 1020030063139 A KR1020030063139 A KR 1020030063139A KR 20030063139 A KR20030063139 A KR 20030063139A KR 100545270 B1 KR100545270 B1 KR 10054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cuum cleaner
damper body
closing portion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164A (ko
Inventor
전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2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프레임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개구부와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폐부가 일단에 구비되며, 타단에는 캡부가 구비되는 댐퍼 바디; 및 개폐부를 개구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며, 댐퍼 바디의 개폐부와 캡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개폐부를 러버 등과 같은 연질의 부품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개폐부와 개구부간 면접촉시 약간의 오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실링성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러버 등과 같은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진공 청소기, 과부하 방지장치, 부압, 댐퍼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otecting motor-overload of vacc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진공 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 격벽 100 :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101 : 댐퍼 바디 101a : 개폐부
101b : 통공 103 : 코일 스프링
105 : 캡부 105a : 통공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구동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등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것으로서, 도 1에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는, 구동모터(1)가 설치되는 본체(10), 본체(10)와 연결되는 흡입관(3) 및 흡입관(3)의 일단에 설치되는 흡입노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구동모터(1)가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11)과, 흡입관(3)에 의하여 흡입된 먼지 등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필터부(7)가 설치되는 집진 하우징(13)을 포함하며, 이들은 격벽(15)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흡입관(3)은 그 일단에 설치되는 흡입노즐(5)로부터 흡입되는 먼지 등을 집진 하우징(13)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는, 구동모터(1)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등이 흡입노즐(5)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흡입된 먼지 등은 흡입관(3)을 통하여 집진 하우징(13)내의 필터부(7)에 쌓이게 된다. 이 필터부(7)에 의하여 먼지 등이 필터링된 기류는 모터 하우징(11)의 후면측에 설치되는 배기부(1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필터부(7)에 먼지가 가득 차거나 흡입관(3)이 막히게 되면 공기의 흡입이 차단되어 구동모터(1)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부하에 의한 구동모터(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부하시 집진 하우징(13)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20)가 구비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20)는, 케이스(21), 스프링(23), 개폐부재(25) 및 플랜지부(27)를 구비한다.
케이스(21)는, 스프링(23) 및 개폐부재(25)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은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21)는 모터 하우징(11)과 집진 하우징(13)을 분리하는 격벽(15)의 개구부(15a)의 플랜지부(27)에 의하여 고정된다.
플랜지부(27)는 통공(27a)을 구비하는 링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싱(21)의 개방되어 있는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개폐부재(25)는, 개구부(15a)와의 실링성을 보장하도록 러버 등의 재료로 형성되며, 링모양의 플랜지부(27)를 선택적으로 차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부재(25)는 플랜지부(27)의 통공(27a)의 직경외측으로 다수의 통공(25a)이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부재(25)가 플랜지부(27)의 통공(27a)을 차단하고, 플랜지부(27)가 개폐부재(25)의 통공(25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스프링(23)은, 케이싱(21)의 타단과 개폐부재(25) 사이에 개재되며, 개폐부재(25)를 플랜지부(27)가 차단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20)는, 진공청소기의 작동 중 필터부(7)에 먼지가 가득 차거나 흡입관(3)이 막히게 되어, 집진 하우징(13)내에 부 압이 발생되면, 그 부압에 의하여 개폐부재(25)가 스프링(23)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집진 하우징(13)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25)는 링모양의 플랜지부(27)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외기가 링모양의 플랜지부(27)의 통공(27a)와 개폐부재(25) 및 케이스(21)의 통공(25a)(21a)을 통하여 집진 하우징(13)내로 유입되어 구동모터(1)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20)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며, 또한, 진공청소기가 정상 작동시 개폐부재(25)의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러버 등으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개폐부재의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폐부를 러버 등과 같은 다른 재료로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과부하 방지장치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프레임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폐부가 일단에 구비되는 댐퍼 바디; 및 상기 개폐부를 상기 개구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 바디의 타단에는 캡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댐퍼 바디의 개폐부와 캡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 형상의 댐퍼 바디측 직경 및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 바디는, 기류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공은 상기 댐퍼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캡부는, 기류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캡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는, 진공청소기의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과 필터부가 설치되는 집진 하우징을 구분하는 격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집진 하우징을 형성하는 프레임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100)는, 댐퍼 바디(101) 및 탄성부재(103)를 포함한다.
댐퍼 바디(101)의 일단은 테이퍼 형상의 개폐부(101a)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후술할 캡부(105)가 설치된다. 이러한 캡부(105)는 별도로 댐퍼 바디(101)에 설치될 수 있으나, 댐퍼 바디(101)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테이퍼 형상의 개폐부(101a)는 모터 하우징(11)과 집진 하우징(13)을 분리하는 격벽(15)의 개구부(115)를 차단하며, 개구부(115)는 개폐부(101a)의 형상과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부(101a)의 테이퍼 형상에 의하여 어느 정도 개폐부(101a)와 개구부(115)의 면접촉에 오차가 있더라도, 그 실링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개폐부를 러버 등의 재질로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댐퍼 바디(101)는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01b)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댐퍼 바디(101)의 타단에 설치되는 캡부(105)는 다수의 통공(105a)이 형성되어 기류가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이 캡부(105)는 탄성부재(103)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한다.
탄성부재(103)는 댐퍼 바디(101)의 개폐부(101a)가 격벽(15)의 개구부(11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댐퍼 바디(101)를 탄성지지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이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103)이 댐퍼 바디(101)의 개폐부(101a)와 캡부(105) 사이에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103)의 일단은 격벽(15)에 고정되며 타단은 캡부(105)에 고정된 다. 또한, 그 직경은 개폐부(101a)의 댐퍼 바디(101)측 테이퍼 형상 및 격벽(15)의 테이퍼 형상인 개구부(115)의 작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103)이 댐퍼 바디(101)의 이동에도 격벽(15)에 의하여 구속되어 압축됨으로써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원 과부하 방지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의 작동 중 필터부(7)에 먼지가 가득 차거나 흡입관(3)이 막히게 되면 집진 하우징(13)내부에 부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부압에 의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바디(101)의 개폐부(101a)가 코일 스프링(103)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집진 하우징(13)측으로 이동된다. 코일 스프링(103)은 그 일단이 격벽(15)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캡부(105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되는 댐퍼 바디(101)와 일체로 캡부(105a)도 이동하게 되며, 캡부(105a)의 이동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103)이 압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개폐부(101a)가 격벽의 개구부(115)를 개방하게 되어, 외기가 집진 하우징(13)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류가 유입되어 모터(1)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부(7)의 먼지가 제거되거나 흡입관(3)이 연통되면 집진 하우징(13)의 부압은 코일 스프링(103)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크기 이하로 내려가게 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바디(101)가 다시 코일 스프링(103)의 탄성력에 의하여 모터 하우징(11)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개폐부(101a)가 다시 격벽(15)의 개구부(115)를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를 러버 등과 같은 연질의 부품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개폐부와 개구부간 면접촉시 약간의 오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실링성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러버 등과 같은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진공청소기의 본체 프레임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폐부가 일단에 구비되며, 타단에는 캡부가 구비되는 댐퍼 바디; 및
    상기 개폐부를 상기 개구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며, 상기 댐퍼 바디의 개폐부와 캡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 형상의 댐퍼 바디측 직경 및 상기 개구부의 작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바디는,
    기류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공은,
    상기 댐퍼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 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기류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캡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KR1020030063139A 2003-09-09 2003-09-09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KR10054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139A KR100545270B1 (ko) 2003-09-09 2003-09-09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139A KR100545270B1 (ko) 2003-09-09 2003-09-09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164A KR20050026164A (ko) 2005-03-15
KR100545270B1 true KR100545270B1 (ko) 2006-01-24

Family

ID=3738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139A KR100545270B1 (ko) 2003-09-09 2003-09-09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077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090691B1 (ko) 2010-09-06 2011-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무접점 압력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077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589972B1 (ko) 2010-02-02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090691B1 (ko) 2010-09-06 2011-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무접점 압력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164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009B1 (en) Vacuum cleaner
EP1674017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100645375B1 (ko) 오물역류 방지부재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US5991969A (en) Noise absorb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EP2319380B1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JP2006334394A (ja) 真空掃除機のモータ保護装置
AU2004202417A1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113873927B (zh) 真空清洁器
JP2005081144A (ja) 真空掃除機のモータ過負荷防止装置
KR100545270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US725185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545237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 확인 장치
KR200203703Y1 (ko) 진공 청소기의 과부하 방지 장치
KR102075015B1 (ko) 에어 브리더
KR970011844B1 (ko) 공기 완충범퍼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N219166324U (zh) 污水箱及洗地机
KR100213365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104482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KR0131702Y1 (ko) 청소기
JP3828696B2 (ja) 電気掃除機
KR200154078Y1 (ko) 진공 청소기용 모터의 소음 감쇠 구조
KR19980075354A (ko)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KR200234440Y1 (ko) 진공청소기용브러쉬의부압방지장치
JP5387179B2 (ja) 電気掃除機
KR20000044055A (ko) 공기분사장치를 지니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