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354A -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354A
KR19980075354A KR1019970011561A KR19970011561A KR19980075354A KR 19980075354 A KR19980075354 A KR 19980075354A KR 1019970011561 A KR1019970011561 A KR 1019970011561A KR 19970011561 A KR19970011561 A KR 19970011561A KR 19980075354 A KR19980075354 A KR 1998007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ole
vacuum cleaner
cover
transpar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436B1 (ko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4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봉투내에 걸러지는 먼지량에 따라 변화되는 집진실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먼지의 포집량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량 표시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100)에 의해 개폐되는 집진실(3)과 격벽에 의해 집진실과 구분되는 구동실(4)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버(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집진실(3)을 대기권과 밀폐 차단하고, 면상에 연통공(104)이 형성되는 차단벽(102)과; 일측이 상기 연통공(104)으로 삽입되어 대기중으로 노출되는 압력공(112a)과, 압력공(112a)의 타측에 상기 표시공(106)과 대응하는 개방공(115)을 갖는 반원통형의 안착부(114)가 일체로 구성되며, 커버(100)상에 고정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안착부(114)상에 안착된 채로 연결부재(110)와 함께 커버(100)상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걸림편(122)이 형성되는 투명한 상태의 투명관(120)과; 투명관(120)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제 1표시구(140) 및 제 2표시구(142)와; 투명관(120)내의 걸림편(122) 및 제 1표시구(140)사이에 제공되어 제 1표시구(14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봉투내에 걸러지는 먼지량에 따라 변화되는 집진실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먼지의 포집량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량 표시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구동실내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집진실에 제공되는 먼지봉투로 외부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는 청소기의 특성상 높은 RPM을 갖는 고출력모터가 사용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일반적인 청소기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본체(1)의 내부에는 연통공(2a)을 갖는 격벽(2)에 의해 구분되는 집진실(3)과 구동실(4)이 형성되어 있다. 집진실(3)과 구동실(4)은 연통공(2a)에 의해 상호 연통된다.
상기 집진실(3)에는 먼지봉투(5)가 제공되어 있으며, 집진실(3)외측으로부터 플렉시블관(6)이 연결되어 블렉시블관(6)의 단부에 제공되는 브러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부터 먼지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먼지봉투(5)내로 도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4)에는 연통공(2a)을 통해 집진실(3)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구동실(4)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공(4a)으로 배출하는 구동모터(7)가 제공된다.
그리고 구동실(4)의 일측에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9)를 효과적으로 보관토록하는 코드릴(8)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구동모터(7)가 구동하게 되면 격벽(2)상의 연통공(2a)을 통해 집진실(3)내의 공기를 구동실(4)측으로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집진실(3)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브러쉬 및 연장관을 통해 먼지 및 이물질이 포함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는 플렉시블관(6)으로 통해 먼지봉투(5)내로 유입된다. 먼지봉투(5)에서는 상기 공기중에서 먼지 및 이물질은 걸러내고, 비교적 깨꿋한 공기만 연통공(2a)을 통해 구동모터(7)내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2a)상에는 필터(2b)가 개재되어 먼지봉투(5)를 통과한 공기중에 포함되는 미세한 먼지등을 다시 한번 걸러내어 정화상태가 양호한 공기가 구동모터(7)로 도입된다.
구동모터(7)로 도입된 공기는 소정의 경로를 거쳐 구동실(4)로 배출된다. 그리고, 구동실(4)로 배출된 공기는 배출공(4a)에 제공되는 배기필터(4b)에 의해 다시 한번 필터링되어 정화상태가 매우 양호해진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어 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실(3)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하여 먼지봉투(5)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10)가 제공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상기 먼지봉투(5)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정량 이상 사용하게 되면 먼지봉투(5)내에 먼지가 가득차 청소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청소기는 구동모터(7)의 작동에 의해 집진실의 압력을 낯추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공기중에 먼지등을 동반흡입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먼지봉투(5)내에 먼지의 포집량이 많아지게 되면 먼지봉투가 막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플렉시블관을 통해 외부로 작용하는 힘이 저하되고, 집진실 자체의 압력이 계속하여 낮아지고 외부로부터의 공기흡입능력이 떨어진다. 이는 곧 청소효율을 불량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에는 상기와 같이 먼지봉투의 용량이 한계에 이르면 집진실내의 압력이 계속하여 낮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먼지봉투의 포집량을 알려주는 먼지량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와 같은 먼지량 표시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버(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집진실(3)과 외부를 밀폐시키는 차단벽(11)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0)의 상면에는 집진실(3)의 외측과 연통되는 표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표시장치는 내부가 노출되도록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원통형의 투명관(20)이 구비되고, 투명관(20)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이 차단벽(11)을 통해 집진실(3)과 연통되는 연결관(3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투명관(20)내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제 1표시구(40)와 제 2표시구(42)가 제공되는데, 제 1표시구(40)는 안전을 표시하는 녹색으로 구성하고, 제 2표시구(42)는 경고를 표시하는 적색으로 표시된다.
제 1표시구(40) 및 제 2표시구(42)는 투명관(20)내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투명관(20)내에서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 1표시구(40)와 연결관(30)사이에는 스프링(50)이 제공되어 제 1표시구(40)를 항시 어느 일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관(20)의 단부에는 중앙에 압력공(62)이 형성되며 단부로 제 2표시구(42)가 투명관(20)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캡(60)이 제공된다. 제 1표시구(40)가 스프링(50)에 의해 이동하여 캡(6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10)상에 형성되는 표시공(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에서 제 1표시구(4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명관(20)은 차단벽(11)상에 나사(72)고정되는 고정커버(70)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74)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먼지량 표시장치는 정상운전시에는 집진실(3)내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관(6)을 통해 외부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어 먼지봉투(5)상에 먼지가 걸러지게 되고, 먼지봉투(5)내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됨에 따라 이들 먼지가 먼지봉투의 공기통과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먼지봉투(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이 감소되므로 집진실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집진실내의 압력보다 높은 대기압이 캡(60)을 통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대기압은 스프링(50)을 압축하며 제 2표시구(42)를 밀게되고, 그에 따라 제 1표시구(40)가 밀리며 상기 제 2표시구(42)가 표시공(12)상으로 이동하게되므로 사용자는 외부에서 표시공(12)을 통해 적색을 갖는 제 2표시구(42)를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먼지봉투(5)내의 먼지 집진량이 정상값 이상으로 차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는 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인해 취급이 번거로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불량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제 1표시구(40) 및 제 2표시구(42)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캡(60) 및 투명관(20)의 고정을 위한 고정커버(70)를 별도로 필요로 하고 있어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고, 다수의 부품을 보관 및 취급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는 것은 물론 나아가서 이들의 조립시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취급의 편리함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 구동모터의 소음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표시장치의 설치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의 정상운전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의 과부하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격벽
2a: 연통공 3: 집진실
4: 구동실 4a: 배출공
5: 먼지봉투 6: 플렉시블관
100: 커버 102: 차단벽
104: 연통공 106: 표시공
110: 연결부재 112: 유도부
112a: 압력공 114: 안착부
115: 개방공 120: 투명관
122: 걸림편 126: 고정나사
130: 스프링 140: 제 1표시구
142: 제 2표시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집진실과 격벽에 의해 집진실과 구분되는 구동실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버의 저면에 형성되어 집진실을 대기권과 밀폐차단하고, 면상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차단벽과; 일측이 상기 연통공으로 삽입되어 대기중으로 노출되는 압력공과, 압력공의 타측에 상기 표시공과 대응하는 개방공을 갖는 반원통형의 안착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커버상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안착부상에 안착된채로 연결부재와 함께 커버상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투명한 상태의 투명관과; 투명관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제 1표시구 및 제 2표시구와; 투명관내의 걸림편 및 제 1표시구사이에 제공되어 제 1표시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그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량 표시장치를 발췌하여 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커버(100)의 저면이 상부로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집진실(3)을 외부와 차단하는 커버(100)의 차단벽(102)상에 연통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00)의 저면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표시공(1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에 엘보우(elbow)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연통공(104)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 압력공(112a)이 형성되는 유도부(112)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10)가 구비된다. 연결부재(110)는 유도부(112)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그 일부가 제거되는 형태 즉,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14)가 형성된다. 안착부(114)의 양단에는 구멍(116a)을 갖는 고정편(1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126)에 의해 커버(100)의 저면에 고정된다. 한편 연결부재(110)는 상기 안착부(114)과 압력공(112a)과의 사이에 걸림턱(118)이 형성된다. 즉, 안착부(114)는 압력공(112a)보다 큰 반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안착부(114)상에는 상기 커버(100)의 표시공(106)과 대응하는 지점에 개방공(115)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투명관(120)내부의 표시구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안착부(114)에 안착되며,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투명관(120)이 구비된다. 투명관(120)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어느 일측에는 걸림편(12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투명관(120)의 반경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고정편(116)의 구멍(116a)과 대응하는 구멍(124a)을 갖는 고정편(12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126)에 의해 연결부재(110)와 함께 커버(100)의 저면에 고정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투명관(120)내에는 스프링(130) 및 제 1표시구(140) 그리고 제 2표시구(142)가 순착적으로 삽입된다. 스프링(130)은 일단이 걸림편(122)에 지지되어 제 1표시구(140)를 타측으로 가압하도록 탄지하고, 제 1표시구(140)는 제 2표시구(142)가 상기 연결부재(110)의 걸림턱(118)에 걸리는 것에 의해 투명관(120)으로부터 이탈이 제한된다. 상기 제 2표시구(142)는 스프링(130)력에 의해 걸림턱(118)에 밀착하여 압력공(112a)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표시구(14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안전을 표시하는 녹색을 갖도록하고, 제 2표시구(142)는 경고를 표시하는 적색으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110)는 고무재질로 구성하여 고정나사(126)에 의해 커버(100)에 고정될 때 개방공(115)의 주연이 표시공(106)의 주연에 밀착되어 시일링 역활을 보유토록 하므로써 표시공(106)을 통해 대기압이 집진실(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집진실내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관(6)을 통해 외부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어 먼지봉투(5)상에 먼지가 걸러지게 되고, 먼지봉투(5)내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됨에 따라 이들 먼지가 먼지봉투의 공기통과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먼지봉투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량이 감소되므로 집진실(3)내의 압력보다 높은 대기압이 연결부재(110)의 압력공(112a)을 통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대기압은 스프링(130)을 압축하며 제 2표시구(142)를 밀게되고, 그에 따라 제 1표시구(140)가 밀리며 상기 제 2표시구(142)가 표시공(106)상으로 이동하게되므로 사용자는 외부에서 표시공(106)을 통해 적색을 갖는 제 2표시구(142)를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먼지봉투(5)내의 포집된 먼지가 가득차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는 투명관을 연결부재와 함께 집진실 상부의 커버저면에 나사고정하고, 연결부재의 압력공을 차단벽을 통해 대기와 연통토록하므로써 제 1표시구 및 제 2표시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 및 투명관의 고정을 위한 고정커버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부품수를 감소시켜 구조를 간단히 하고, 그로인해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커버(100)에 의해 개폐되는 집진실(3)과 격벽에 의해 집진실과 구분되는 구동실(4)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버(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집진실(3)을 대기권과 밀폐차단하고, 면상에 연통공(104)이 형성되는 차단벽(102)과;
    일측이 상기 연통공(104)으로 삽입되어 대기중으로 노출되는 압력공(112a)을 갖는 유도부(112)와 압력공(112a)의 타측에 상기 표시공(106)과 대응하는 개방공(115)을 갖는 반원통형의 안착부(114)가 일체로 구성되며, 커버(100)상에 고정되는 연결부재(110)와;
    상기 안착부(114)상에 안착된채로 연결부재(110)와 함께 커버(100)상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걸림편(122)이 형성되는 투명한 상태의 투명관(120)과;
    투명관(120)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제 1표시구(140) 및 제 2표시구(142)와;
    투명관(120)내의 걸림편(122) 및 제 1표시구(140)사이에 제공되어 제 1표시구(14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공(112a)과 안착부(114)사이에는 걸림턱(118)을 형성하여 이 걸림턱(118)에 의해 제 2표시구(142)를 지지하여 스프링(130)력에 의해 제 2표시구(142)가 투명관(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10)에는 반경방향 양측에 구멍(116a)을 갖는 고정편(116)을 형성하고, 투명관(120)에는 상기 고정편(116)의 구멍(116a)에 대응하는 구멍(124a)을 갖는 고정편(124)을 형성하여 이 구멍(116a)(124a)들을 동시 관통하여 커버(100)에 고정되는 나사(126)에 의해 연결부재(110) 및 투명관(120)을 커버(100)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0)는 고무재질로 구성하여 개방공(115)의 주연이 표시공(106)의 주연에 가압되어 표시공(106)을 통한 대기압의 유입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KR1019970011561A 1997-03-31 1997-03-31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KR10020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561A KR100203436B1 (ko) 1997-03-31 1997-03-31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561A KR100203436B1 (ko) 1997-03-31 1997-03-31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354A true KR19980075354A (ko) 1998-11-16
KR100203436B1 KR100203436B1 (ko) 1999-06-15

Family

ID=1950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561A KR100203436B1 (ko) 1997-03-31 1997-03-31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5B1 (ko) * 2001-06-13 2007-08-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과열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5B1 (ko) * 2001-06-13 2007-08-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과열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436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017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100437371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395579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987753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7559964B2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0392606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EP1674022A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EP2351504A3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flow
US20100162516A1 (en)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KR20080097104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US20040148914A1 (en)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KR100203436B1 (ko) 진공청소기 먼지량 표시장치
EP1743558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057288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20050013694A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KR200166973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KR20030058054A (ko) 이중 필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KR10024075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KR0133761B1 (ko) 습식 및 건식(Wet and dry type) 진공청소기
KR200166974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KR100231434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KR19990009572U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기
KR200313389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압력감지장치
KR20050064940A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 확인 장치
KR200157803Y1 (ko) 청소기의 집진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