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461B1 -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 Google Patents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461B1
KR100544461B1 KR1020030068219A KR20030068219A KR100544461B1 KR 100544461 B1 KR100544461 B1 KR 100544461B1 KR 1020030068219 A KR1020030068219 A KR 1020030068219A KR 20030068219 A KR20030068219 A KR 20030068219A KR 100544461 B1 KR100544461 B1 KR 10054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m
pressure roller
heating roller
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200A (ko
Inventor
조원모
변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461B1/ko
Priority to US10/867,640 priority patent/US7027750B2/en
Publication of KR2005003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화상형성장치의 파워 온 및 절전 모드 중 웨이크 업 이벤트발생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히터램프를 턴온하고 정착관련구동체를 구동하여 가열롤러와 가압롤러를 회전시켜 가열하는 단계, (b) 정착관련구동체의 구동 후, 메인구동체를 구동하여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c) 히터램프의 발열 및 가열롤러와 가압롤러의 회전에 의해 가열롤러의 표면온도 및 가압롤러의 표면온도가 각각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서브구동체 및 메인구동체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밍업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워밍업, 정착관련구동체, 메인구동체

Description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Warming-up method for electrophotography image forming apparutus using two driving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밍업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밍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밍업 방법 및 종래의 워밍업 방법에 의한 가열롤러와 가압롤러의 표면온도의 추이를 각각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열롤러 110a: 히터램프
120 : 가압롤러 130 : 서브구동체
140 : 전원공급장치 150 : 콘트롤러
160 : 온도감지수단
본 발명은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y)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 내 구비된 정착관련구동체를 파워 온 또는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직후에 구동함으로써 가압롤러의 온도를 미리 확보하여 짧은 시간 내에 가압롤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워밍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10)의 도면으로서, 화상형성장치(10)는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대전롤러(11), 감광드럼(OPC : Organic Photo Conductive)(12), 노광장치(13), 현상롤러(14), 전사롤러(15) 및 픽업롤러(16), 정착기(18)를 구비한다. 고압의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11)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2)의 외주면에 도포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면, 노광장치(13)에서 발생된 빛이 대전된 감광드럼(12)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현상롤러(14)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는 감광드럼(12)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고압의 전사롤러(15)는 이송되는 인쇄용지(17)에 형성된 가시상을 전사시킨다. 인쇄용지(17)에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18)내에 구성된 가열롤러(19)와 가압롤러(20)의 고열 및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17)에 정착되고, 이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는 프린팅 모드, 레디 모드, 절전 모드, 워밍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인 상태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드상태를 유지, 진행시키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10) 내에는 하나 이상의 구동체가 필요하다. 화상형성장치(10)가 파워 온되거나 또는 절전 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up) 이벤트의 발생으로 인해 워밍업 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역시 관련되는 구동체가 구동된다. 즉 두 개의 구동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10)의 경우 감광드럼(12)의 회전과 관련된 메인구동체와 정착프로세스와 관련된 정착관련구동체가 구동된다. 종래 알고리즘의 경우 파워 온 또는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후 가열롤러(19)가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한 경우 감광드럼(12)과 연결된 메인구동체와 정착기(18)와 연결된 정착관련구동체가 각각 구동하면서 워밍업 작업을 하게 되어 가열롤러(19)를 워밍업 목표온도까지 가열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기서 두 개의 구동체는 구동목적에 있어서 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메인구동체의 구동을 통해서는 감광드럼(12)이 대전롤러(11)의 고전압을 기초로 균일하게 대전되고, 정착관련구동체의 구동을 통해서는 가열롤러(19)와 가압롤러(20)가 각각 회전하여 정착하기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다. 다만 감광드럼(12)의 경우 그 수명이 짧으며 고가이기 때문에 잦은 회전을 통한 손상 방지를 위하여 한정된 시간 동안에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가압롤러(20)의 온도 전이를 고려하지 않아 동일한 시점에서 양 구동체를 구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파워 온 시점이나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 시점이 아닌 별개의 워밍업 개시시점부터 메인구동체와 정착관련구동체가 구동된다. 이는 하나의 구동체만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알고리즘의 영향으로 메인구동체와 정착관련구동체가 동일한 알고리즘의 적용을 받는다는 점, 감광드럼(12)의 손상억제를 위해 메인구동체를 소정 시간만 구동한다는 점이 고려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가열롤러(19) 내 장착된 히터램프가 워밍업 개시시점으로부터 구동된다. 그러면 히터램프의 구동 및 가압롤러(20)와 가열롤러(19)의 회전에 의하여 가열롤러(19) 및 가압롤러(20)는 각각의 목표온도까지 도달된다. 상술하면, 가열롤러(19)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램프를 통해 직접 가열되며, 가압롤러(20)는 가열롤러(19)와의 접촉을 통해서 열을 전달받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열된다. 즉 가열롤러(19)의 경우 온도상승을 위한 소스(source)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압롤러(20)보다 쉽게 온도가 상승하는데 반하여 가압롤러(20)의 경우 간접 히팅 방식을 사용하므로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데 상대적으로 장시간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가열롤러(19)가 워밍업 목표온도까지 도달되어 히터램프를 턴오프한 후에도 가열롤러(19)로부터 가압롤러(20)로의 열 전달을 위한 소정 시간이 요구되며 이는 워밍업 대기시간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점과 관련하여 종래의 워밍업 방법을 적용할 경우 가열롤러(19)로부터 가압롤러(20)로의 열 전달을 위하여 장시간이 요구되었고 이로 인해 워밍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의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인구동체와 정착관련구동체의 구동 알고리즘을 각각 별개로 적용하여 파워 온 또는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후 즉시 정착관련구동체를 구동하고, 이를 통해 가열롤러 및 가압롤러를 초기부터 회전하도록 하여 가압롤러가 목표온도에 조속히 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워밍업 방법을 제공 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히터램프를 장착한 가열롤러 및 상기 가열롤러에 접촉된 가압롤러를 회전시키는 정착관련구동체, 및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메인구동체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파워 온 및 절전 모드 중 웨이크 업 이벤트발생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히터램프를 턴온하고 상기 정착관련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시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정착관련구동체의 구동 후, 상기 메인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히터램프의 발열 및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열롤러의 표면온도 및 상기 가압롤러의 표면온도가 각각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서브구동체 및 상기 메인구동체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a1)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파워 온 및 절전 모드 중 웨이크 업 이벤트발생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램프를 턴온하는 단계; 및 (a2) 상기 히터램프의 턴온을 기초로 상기 정착관련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시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b1) 상기 히터램프의 발열 및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각 회전을 통해 상기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상기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된 경우, 상기 메 인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밍업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밍업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가열롤러(110), 가압롤러(120), 서브구동체(130), 전원공급장치(140), 콘트롤러(150), 온도감지수단(160)을 포함한다. 서브구동체(130)는 정착관련구동체로서, 감광드럼(미도시)과 관련된 메인구동체(미도시)와 구분하기 위해 여기서는 서브구동체라고 칭하고 있다.
가열롤러(110)는 정착기의 일 구성으로서, 내부에 구비된 히터램프(110a)의 발열을 통해 가열된다. 히터램프(110a)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되거나 절전 모드로부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전원공급장치(14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턴온된다. 또한 온도감지수단(160)은 가열롤러(1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콘트롤러(150)에 전송한다. 온도감지수단(160)으로는 서미스터(thermiste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롤러(150)는 전송된 표면온도를 통해 현 표면온도의 정착 적합여부를 판단하여 히터램프(110a)의 턴온 또는 턴오프 여부를 결정한다.
가압롤러(120)는 가열롤러(110)와 함께 정착기를 구성한다. 또한 가압롤러(120)의 사프트(shaft)(미도시)에는 가압스프링(120a)이 설치되어 가압롤 러(120)와 가열롤러(110)를 밀착시킨다. 그러면 가열롤러(110)와 가압롤러(120) 사이를 가시상이 전사된 인쇄용지가 통과하고, 전사된 가시상이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에 정착된다.
가열롤러(110)는 서브구동체(130)를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이를 위해 가열롤러(110)의 일단에 서브구동체(130)와 연결되는 기어(미도시)가 고정되어 회전되고, 가압롤러(120)는 가열롤러(110)와의 접촉력에 의해 회전한다.
콘트롤러(150)는 워밍업 시간, 워밍업 온도, 프린팅 온도 등 화상형성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즉 콘트롤러(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되거나 절전 모드에서 웨이크 업된 경우, 히터램프(110a)가 턴온되도록 전원공급장치(140)를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콘트롤러(150)는 히터램프(110a) 턴온 후 즉시 서브구동체(130)가 구동되도록 전원공급장치(140)를 제어한다. 콘트롤러(150)는 온도감지수단(160)으로부터의 표면온도에 기초하여 히터램프(110a)의 턴온여부, 서브구동체(130)의 구동여부, 메인구동체(미도시)의 구동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공급장치(140)의 구동여부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밍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워밍업 개시 시점을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된 경우(S200), 콘트롤러(150)는 이에 기초하여 히터램프(110a)가 턴온되도록 전원공급장치(140)를 제어한다(S210). 그리고 콘트롤러(150)는 서브구동체(130)가 구동되도록 전원공급장치(140)를 제어한다. 서브구동체(130)의 구동을 통해 가열롤러(110)는 회전하며, 이에 접촉된 가압롤러(120)도 또한 회전한다. 이를 통해 가열롤러(110)로부터 가압롤러(120)로의 열 전달이 활발하게 된다(S220). 이 때 온도감지수단(160)은 수시로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표면온도를 콘트롤러(150)에 전달한다. 콘트롤러(150)는 전달된 표면온도가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콘트롤러(150)는 계속해서 전달된 표면온도가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된 경우 콘트롤러(150)는 현 화상형성장치 상태를 워밍업 모드의 개시상태로 인식한다(S240).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워밍업 개시시점에 이미 가열롤러(110) 뿐만 아니라 가압롤러(120)도 소정 고온의 표면온도에 도달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워밍업 개시시점에서의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가 더 높으므로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더 빠르게 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콘트롤러(150)는 감광드럼(미도시)과 관련된 메인구동체(미도시)를 구동하고(S250), 감광드럼(미도시)을 대전시킨다. 한편 히터램프(110a)는 계속해서 구동된 상태이므로 가열롤러의 표면온도 또한 계속해서 상승한다. 또한 가압롤러(120)의 경우에도 워밍업 개시시점시의 표면온도로부터 계속해서 상승한다. 그리고 온도감지수단(160)으로부터의 표면온도를 기초로 콘트롤러(150)는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가 워밍업 목표온도에 도달되었는지 판단하고 도달된 경우(S260), 전원공급장치(140)를 제어하여 히터램프(110a)로의 전원인가를 중지시킨다(S270). 그러나 히터램프(110a)의 전원인가를 중지한 경우에도 서브구동체(130)는 계속해서 구동되고, 이를 통해 가열롤러(110)와 이에 접촉된 가압롤러(120)는 회전한다. 가열롤러(110)와 이에 접촉된 가압롤러(120)의 회전을 통해 가열롤러(110)의 온도가 가압롤러(120)로 전이되며, 이를 통해 가압롤러(120)의 온도가 상승한다. 역시 온도감지수단(160)으로부터의 표면온도 전달을 기초로 콘트롤러(150)는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가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280). 여기서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의 검출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고 일 방법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초기 설정에 따라 히터램프(110a)의 턴오프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가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소정시간은 인쇄환경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150)는 현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모드를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S29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밍업 방법 및 종래의 워밍업 방법에 의한 가열롤러와 가압롤러의 표면온도의 추이를 각각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개시한다. 실선은 가열롤러(110)의 온도추이선이고, 점선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롤러(120)의 온도추이선이며, 일점쇄선은 종래의 방법에 따른 가압롤러(120)의 온도추이선이다. 또한 x축은 시간을, y축은 온도를 각각 나타낸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워밍업 목표온도 및 워밍업 개시온도의 도달은 온도 추이선의 오버슈트 전의 경우를, 가압롤러 목표온도의 도달은 온도 추이선의 오버슈트 후의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 파워 온되거나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인 t1의 시점에서 히터램프(110a)가 턴온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시점에서 서브구동체(13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된다. 반면에 종래 기술에서는 이 시점에서 서브구동체(130)의 구동이 없다.
t1 - t2 구간에서, 히터램프(110a)의 턴온으로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가 상승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롤러(120) 및 가열롤러(110)는 회전하므로 회전으로 인해 넓은 접촉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활발하게 열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 또한 상승한다. 다만 가압롤러(120)는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의 상승 기울기는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의 상승 기울기와 비교하여 작은 값을 가진다. 반면에 종래 기술의 경우 이 구간에서 서브구동체(130)가 구동되지 않고 그에 따라 가열롤러(110) 및 가압롤러(12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협소한 접촉면적을 가진다. 그로 인해 열 전달은 있으나 활발하게 이루어 지지 못하고 따라서 가압롤러(120)의 온도 상승이 미약하다.
t2의 시점에서 가열롤러(110)가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하면, 화상형성장치(100)가 워밍업 모드에 진입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이 시점에서 서브구동체(130)가 구동되고, 그로 인해 이 시점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의 상승 기울기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유사하게 된다.
t2 - t3 구간에서 계속된 히터램프(110a)의 구동 및 가열롤러(110)에 접촉된 가압롤러(120)의 회전을 통해서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 뿐만 아니라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도 또한 계속해서 상승한다.
t3의 시점에서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가 워밍업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히터램프(110a)가 턴오프된다.
t3 - t4 구간에서는 히터램프(110a)에 열이 잔존되므로 가열롤러(110)의 표면온도는 워밍업 목표온도를 넘어 상승하다가 차츰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는 가열롤러(110)로부터의 열 전달을 통해 상승하고 가열롤러(110)와 마찬가지로 상승하다가 차츰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다.
t4의 시점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적용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워밍업 모드 종료시점이며,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가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되는 시점이다. 이를 통해 가열롤러(110) 및 가압롤러(120)는 정착하기 적합한 온도를 보유하게 된다.
반면에 종래 기술에 의하면 t4 시점에서 가압롤러(120)의 표면온도가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워밍업 모드가 종료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서브구동체(130) 및 메인구동체(미도시)가 구동된다. 그리고 t4 - t5의 구간을 경과하고, t5 시점에서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되므로 워밍업 모드는 이 때 종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비하여 t4 - t5 만큼 워밍업을 위한 시간이 더 필요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을 위한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워밍업을 위한 시간이 단축되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램프를 턴오프한 후로부터 장시간 경과한 후 워밍업이 종료되므로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정착시 원하는 온도보다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램프를 턴오프한 후로부터 워밍업 종료를 위해 단시간이 소요되므로 워밍업 모드가 종료된 시점에서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정착시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히터램프를 장착한 가열롤러 및 상기 가열롤러에 접촉된 가압롤러를 회전시키는 정착관련구동체, 및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메인구동체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거나 절전 모드 중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히터램프를 턴온하고 상기 정착관련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시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가열롤러가 소정의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메인구동체의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가열롤러의 표면온도 및 상기 가압롤러의 표면온도가 각각 소정의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정착관련구동체 및 상기 메인구동체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거나 절전 모드 중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히터램프를 턴온하는 단계; 및
    (a2) 상기 히터램프의 턴온과 함께 상기 정착관련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시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히터램프의 발열 및 상기 가열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각 회전을 통해 상기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판단 결과, 상기 워밍업 개시온도에 도달된 경우, 상기 메인구동체를 구동하여 상기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히터램프의 발열로 인한 상기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워밍업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2) 판단 결과, 상기 워밍업 목표온도에 도달된 경우, 상기 히터램프를 턴오프하는 단계; 및
    (c3) 상기 가열롤러로부터 상기 가압롤러로의 열 전달을 통해 상기 가압롤러의 표면온도가 가압롤러 목표온도에 도달된 경우, 상기 정착관련구동체 및 상기 메인구동체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KR1020030068219A 2003-10-01 2003-10-01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KR10054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219A KR100544461B1 (ko) 2003-10-01 2003-10-01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US10/867,640 US7027750B2 (en) 2003-10-01 2004-06-16 Warming-up method for electrophotography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wo driving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219A KR100544461B1 (ko) 2003-10-01 2003-10-01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200A KR20050032200A (ko) 2005-04-07
KR100544461B1 true KR100544461B1 (ko) 2006-01-24

Family

ID=3438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219A KR100544461B1 (ko) 2003-10-01 2003-10-01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27750B2 (ko)
KR (1) KR100544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404B2 (en) * 2008-03-04 2011-08-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mote wakeup web service for imaging device
JP5541206B2 (ja) * 2011-03-23 2014-07-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3073052A (ja) * 2021-11-15 2023-05-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25A (ja) * 1991-06-27 1993-01-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535148A (ja) 1991-07-31 1993-02-1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2001051541A (ja) 1999-08-06 2001-02-2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797032B2 (ja) 1999-08-12 2006-07-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65159A (ja) 2000-03-16 2001-09-28 Canon Inc 定着装置及びこの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807482B2 (ja) 2000-11-29 2006-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定着装置の温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200A (ko) 2005-04-07
US7027750B2 (en) 2006-04-11
US20050074253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555B2 (en) Fix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heater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temperature detecting position of temperature sensor
KR0130621B1 (ko) 전자사진 현상 방식 프린터의 절전 프린팅 방법
JP562586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制御方法
JP2005249871A (ja) 画像形成装置
JP565581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4461B1 (ko) 두 개의 구동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KR100320745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정착온도제어방법
JP2009265387A (ja) 定着装置
KR200400018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냉각팬 구동방법
US200302354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41245B1 (ko) 전자사진장치의정착온도제어방법및장치
JPH1165359A (ja) 定着装置
JP3308732B2 (ja) 定着器制御装置
JPH10142997A (ja) 定着装置
JP3315495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202672A (ja) 加熱定着装置
JP2008209538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313914B2 (ja) 加熱装置
JP2002356039A (ja) 画像形成装置
JPH0532371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17390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1125986A (ja) 定着装置
JPH04371985A (ja) 電子写真プリンタにおける定着器の温度制御
JP2009069420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1420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