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969B1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3969B1 KR100543969B1 KR1020030088116A KR20030088116A KR100543969B1 KR 100543969 B1 KR100543969 B1 KR 100543969B1 KR 1020030088116 A KR1020030088116 A KR 1020030088116A KR 20030088116 A KR20030088116 A KR 20030088116A KR 100543969 B1 KR100543969 B1 KR 100543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slab
- ramen bridge
- composite beam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3068 static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라멘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응력에 따라 기둥 상단부의 부모멘트 구간과 슬래브의 양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 부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하고, 슬래브의 정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여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한 후에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기둥 상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은 강재와 콘크리트로, 상기 기둥의 나머지 구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된 기둥을 설치하여 횡토압등의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 합성형 라멘 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oad stress acting on the ramen bridge, a certain portion of the parent s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the parent section of both ends of the slab is composed of steel and concrete, and a portion of the constant moment section of the slab is prestressed composite beam. After installing the connection with the steel installed in the parent section, the reinforced concrete is poured,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parent section section of the upper column of the column is made of steel and concrete, the rest of the column by installing a column of reinforced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composite ramen bridge that can resist external forces such as transverse pressure.
상기의 방법으로 설치된 합성형 라멘 교량의 기둥과 슬래브의 일정구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설치하여 기존 철근 콘크리트 단면에 비해 단면을 최소화하여 사하중을 감소시켰으며 슬래브의 정모멘트 구간의 일정구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므로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단면보다 얇게되므로 교량의 형하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fixed sec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and slab installed by the above method is installed by the combination of steel and concrete to reduce the dead weight by minimizing the cross se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ection and the constant section of the static moment section of the slab By installing the rest composite beam, it becomes thinner than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cross sec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eometry of the bridge can be secured mor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량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한 외측 지점 연결강재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2 shows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한 중앙 지점 연결강재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3 shows a central point connecting stee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슬래브 중앙부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lab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일측 지점부인 교대에 설치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installation in the shift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도 2의 외측 지점 연결 강재를 기둥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of Figure 2 in the colum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도 4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외측 지점 연결 강재에 연결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that the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of Figure 4 connected to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연결된 기둥과 슬래브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합성형 라멘 교량을 완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FIG. 8 is a view showing completion of a composite ramen bridge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slaying concrete to a column and a slab to which a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install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7. FIG.
도 9의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외측 지점 연결 강재와 중앙 지점 연결 강재를 기둥에 각각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and the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in the colum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10은 도 9의 외측 지점 연결 강재와 중앙 지점 연결 강재사이에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connected between an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and a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of FIG. 9; FIG.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11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by laying reinforcing steel in the state of Figure 10 and pouring concrete.
도 12는 도 7의 수직부 길이와 수평부 길이를 단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응력도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vertical length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FIG. 7 using a stress diagram of a short span composite ramen bridge.
도 13은 도 9의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수직부 및 수평부 길이와 중앙 지점 연결 강재의 수평부 길이를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응력도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FIG. 1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lengths of a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9 and a horizontal length of a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using a stress diagram of a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FIG.
도 14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 교량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우측에 교대가 설치된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1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lternating multi-span synthetic ramen bridges having alternate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교대와 기둥 사이에 도 4와 도 5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각각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FIG. 15 is a view showing that the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and the point prestressed composite beam of FIGS. 4 and 5 are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alternation and the pillar of FIG. 14; FIG.
도 16은 도 15의 지점 및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설치된 교대 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합성형 라멘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FIG. 1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composite ramen bridge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pouring concrete for installation of an alternating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in which a point and a central prestress composite beam of FIG. 15 are installed;
도 17은 도 14의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의 중앙 지점 연결 강재의 수평부와 수직부 길이를 응력도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of the alternating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도 18은 도 8, 도 11, 도 16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슬래브 부모멘트 및 정 모멘트 구간인 지점부와 중앙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int part and a center part of the slab parent and positive moment section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s of FIGS. 8, 11, and 1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응력도 B :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응력도 A: Stress Diagram of Short Span Composite Ramen Bridge B: Stress Diagram of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C :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 C: Alternating Multi-Span Synthetic Ramen Bridge
H₁: 외측 지점 연결 강재 수직부 길이 L₁: 외측 지점 연결 강재 수평부 길이 H₁: Length of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vertical part L₁: Length of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horizontal part
H₂: 중앙 지점 연결 강재 수직부 길이 L₂: 중앙 지점 연결 강재 수평부 길이 H₂: Length of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vertical part L₂: Length of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vertical part
10 :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 11 : 슬래브 10: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11: slab
12 : 기둥 13 : 기초 12: pillar 13: foundation
14 : 지점부 14 branch
20 : 합성형 라멘 교량 22 : 기둥 20: synthetic ramen bridge 22: column
23 : 슬래브 24 : 헌치부 23: slab 24: haunting department
25 : 기초 26 : 지반 25: foundation 26: ground
30 : 단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 31 : 연결부 30: short span composite ramen bridge 31: connection portion
32 : 외측 상부 지점부 33 : 외측 하부 지점부 32: outer upper branch portion 33: outer lower branch portion
34 : 중앙 상부 지점부 34: center upper branch
40 : 외측 지점 연결강재 41 : 수직부 40: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41: vertical portion
42 : 수평부 43 : 강재 연결 지점부 42: horizontal portion 43: steel connection point
44 : 경사 헌치 설치부 44: oblique haunt mounting portion
50 : 중앙 지점 연결강재 50: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60 :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61 : 강재 연장부 60: prestressed composite beam 61: steel extension portion
62 :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63 : I형 강재 62: lower casing concrete 63: type I steel
70 :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70: center prestressed composite beam
80 :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81 : 콘크리트 연장부 80: point prestressed composite beam 81: concrete extension
90 :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 90: multi-span synthetic ramen bridge
100 :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 100: alternating multi-span synthetic ramen bridge
101 : 교대 102 : 교좌장치 설치부 101: shift 102: installation unit
본 발명은 라멘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작용에 따라 효율적으로 라멘부재를 다 양하게 강재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배치한 후에 상호 연결하여 철근을 배근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설치하는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omposite type ramen bridge to install concrete after pouring concrete after arranging steel and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nd interconnecting reinforcing bars after arranging the various steel materials and prestressed composite beams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load action on the ramen bridge It is about a method.
상기 합성형 라멘교량은 단경간, 다경간 및 교대설치 합성형 라멘 교량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합성형 라멘교량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위에 부설된 기둥 상단부의 부모멘트구간과 상기 기둥과 기둥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하는 슬래브의 양단부의 부모멘트구간의 일정 부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하고, 상기 슬래브의 정모멘트구간의 일정부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여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한 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기둥 상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된 기둥을 설치한 것이다. The composite ramen bridge is composed of short span, multi span and alternating composite ramen bridge. The composite ramen bridge is formed by interconnecting the parent s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installed on the foundation and the column and the pillar. A certain part of the parent moment section of both ends of the slab is made of a composite of steel and concrete, and a certain part of the constant moment section of the slab is installed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and connected to the steel installed in the parent section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And pour concrete, and the remaining sections except for a certain portion of the parent s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is to install a column of reinforced concret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설치된 합성형 라멘교량의 기둥과 슬래브의 일정구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설치하고, 슬래브의 중앙부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여 기존 철근 콘크리트 단면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라멘 교량에 비해 단면을 줄일 수 있게 하여 사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슬래브의 정모멘트 구간의 일정구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므로서 기존의 라멘교량의 슬래브의 철근 콘크리트 단면보다 얇게 되므로 교량의 형하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또한 교량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여 현장의 상황에 따라 라멘교량의 형식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라멘교량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ertain section of the composite slab and slab of the synthetic ramen bridge installed by the above method, the steel and concrete is installed, the pre-stressed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lab to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cross sec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 the cross section can be reduced to minimize dead weight.The constant section of the slab is thinner than the reinforced concrete section of the slab of the conventional slab by install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s. It is to provide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ramen bridges, which can secure the space of the die, and also the various types of bridges to select and install the type of the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종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11), 기둥(12) 및 기초(13)로 구성되며 상기 슬래브(11)와 기둥(12)이 서로 연결된 지점부(14)는 강결체로 연결된 철근 콘크리트재의 라멘교로서 기둥(12)과 슬래브(11)가 강결체로 연결된 단일재료인 철근 콘크리트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교량 자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단면이 증가하게 되므로서 사하중의 증가와 교량의 형하공간이 축소되는 등의 문제점과 단면의 증가로 인하여 사하중의 증가에따라 일반적으로 지간이 짧은 교량에만 슬라브 형식의 라멘교가 사용되고 있고, 장지간을 요하는 장소에는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거더 또는 박스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교량을 사용하고 있어, 종래의 라멘교를 현장에 적용할 때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is composed of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라멘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응력도에 따라 기둥 상단부의 부모멘트 구간과 슬래브의 양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 부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하고, 슬래브의 정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여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한 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기둥 상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된 기둥을 설치하여 횡토압등의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 합성형 라멘교량으로서, 상기 합성형 라멘교량의 기둥과 슬래브의 일정구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설치 하여 기존 철근 콘크리트 단면에 비해 단면을 줄일 수 있게 하여 사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슬래브의 정모멘트 구간의 일정구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설치하므로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단면보다 얇게 되므로 교량의 형하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현장의 여건에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합성형 라멘교량에 대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ccording to the load stress acting on the ramen bridge, a certain portion of the parent s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the section of the parent of the both ends of the slab is made of steel and concrete, A certain part of the static moment section of the slab is installed prestressed composite beam and connected to the steel installed in the parent section section, reinforce the reinforcement and pouring concrete, and the remaining sections except for a certain portion of the parent section section of the column top Reinforced concrete pillars are installed to resist external forces such as transverse pressure, and the composite ramen bridge columns and slabs are constructed by combining steel and concrete with a certain section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cross sections. To reduce the cross section to minimize dead weight The fixed section of the slab's constant moment section is thinner than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ection by install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s, so that the geometry of the bridge can be largely secured, and various types of synthetic ramen bridges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본 발명은 단경간(30), 다경간(90) 및 교대설치 합성형 라멘교량(100)으로 이루어진 합성형 라멘교량(2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합성형 라멘교량(20)중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30)은 지반(26)에 설치된 기초(25)위에 부설된 기둥(22) 상단부의 부모멘트구간과 상기 기둥(22)과 기둥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하는 슬래브(23)의 양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 부분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하고, 상기 슬래브의 정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를 설치하여 상기 부모멘트 구간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한 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며, 기둥(22) 상단부의 부모멘트 구간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된 기둥을 설치한 것이며,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은 상기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30)의 설치를 위하여 설치한 기둥(22)과 기둥 사이에 1개 이상의 지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기둥(22)을 설치하여 그 위에 중앙 지점 연결강재(50)를 설치하여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한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을 설치한 것이며,The multi-span
또 다른 예는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100)으로서 상기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을 설치하기 위하여 외측에 설치한 기둥(22)대신에 교대(101)를 설치하고 교대에 설치된 교좌장치 설치부(102) 위에 설치된 힌지축 위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를 거치하면서 지간의 중간에 다수개가 설치된 기둥(22)위에 중앙 지점 연결강재(50)를 설치하고 이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와 상호연결하여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Another example is an alternating installation multi-spa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한 외측 지점 연결강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합성형 라멘교량(20)인 단경간(30) 및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의 설치를 위하여 양측에 설치되는 기둥(22)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직부(41)와 수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강재 연결 지점부(43)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수평부(42)로서 전체적으로 "ㄱ"자형의 강재로 형성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로서 기둥(22)위에 수직부(41)가 설치되고 수평부(42)는 라멘교량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설치한 것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materia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또한 상기 수평부(42)의 일정거리 하부에 경사헌치 설치부(44)를 형성하여 향후에 라멘교량의 설치조립이 완료되고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라멘 교량을 형성하면서 슬래브(23)의 하부와 기둥(22)이 만나는 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헌치부(24)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inclined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한 중앙 지점 연결강재를 보 여주는 도면으로서, 합성형 라멘교량(20)인 다경간(90) 및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100)의 설치를 위하여 교량의 지간내에 다수개 설치되는 기둥(22)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길이의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부에서 직각으로 하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부(41)로 이루어진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갖는 중앙 지점 연결강재(50)로서 지간내에 설치되는 기둥(22)위에 상기 수직부(41)가 설치되고 상기 라멘교량의 외측에 설치된 기둥(22)위에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와 후술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a central point connecting stee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pan 90 and the alternating multi-span
또한, 상기 수평부(42)의 일정거리 하부에 경사헌치 설치부(44)를 형성하여 향후에 라멘교량의 설치조립이 완료되고 철근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라멘 교량을 형성하면서 슬래브(23)의 하부와 기둥이 만나는 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헌치부(24)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슬래브 중앙부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향으로 일정량 휘어진 I형 강재(63)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도입하면서 하부 플랜지의 양단의 일정 길이는 I형 강재(63)로 하는 강재 연장부(61)를 형성하도록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62)를 타설양생한 후에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을 서서히 제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inclined
상기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는 상기 도 2와 3에서 설명하는 단경간, 다경간 및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외측의 양측에 설치된 기둥(22)위에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의 사이에 연결설치하거나 외측과 지간의 내부에 설치된 기둥위에 각각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하거나 또는 교대(10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간의 내측에 복수개의 기둥(2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설치된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하는 것이다.The center prestressed
상기 수평부(4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I형 강재(63)의 양측 단부에 일정길이의 강재 연장부(61)를 형성하여 이를 상기 수평부(42)의 강재와 연결부(31)를 형성하여 연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일측 지점부인 교대에 설치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향으로 일정량 휘어진 I형 강재(63)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도입하면서 하부 플랜지의 일측단은 일정 길이를 갖는 I형 강재로 하는 강재 연장부(61)를 형성하고 타측부는 상기 I형 강재(63)의 길이를 넘어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콘크리트 연장부(81)가 형성되도록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62)를 타설양생한 후에 상기 프리플렉션 하중을 서서히 제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의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에 관한 것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installing at an alternating point of one side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asing concrete is formed to form a
상기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는 상기 도 2와 3에서 설명하는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100)의 설치를 위하여 외측의 양측에 교대(10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간의 내측에 복수개의 기둥(2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설치된 중앙 지점 연결 강재(50)의 수평부(42)와 상기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의 강재 연장부(61)와 연결하고 상기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의 일측에 형성된 콘크리트 연장부(81)가 상기 교대(101)에 설치된 교좌장치 설치부(102)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이다.The point prestressed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도 2의 외측 지점 연결강재를 기둥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반(26)에 기둥(22)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초(25)위에 기둥을 설치하고 그 위에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직부(41)를 거치하고, 내측으로 하부에 경사 헌치 설치부(44)가 형성된 수평부(42)를 마주보게 설치하는 작업을 일정한 교량 폭과 길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of FIG. 2 in a pillar for installing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도 4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외측 지점 연결강재에 연결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7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도 4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강재 연장부(61)와 양측에 설치된 기둥(22)위에 설치된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결부(31)를 형성하도록 하여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30)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설치한 것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of FIG. 4 connected to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in order to install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of FIG. 7 is completed, the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of FIG. The connecting
본 도에서 H₁은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직부(41)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며, L₁은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도12에서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In FIG. 12, H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도 8은 도 7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보가 연결된 기둥과 슬래브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합성형 라멘교량을 완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기둥(22)위에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직부(41)와 수평부(42) 및 상기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에 철근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 헌치 설치부(44)와 기둥의 일정 부분과의 사이에 헌치부(24)를 설치하기 위한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슬래브(23)를 형성하도록 하는 작업을 교량의 길이와 폭이 형성되도록 작업을 수행하여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30)의 설치를 완료한다.FIG. 8 is a view showing completion of a composite ramen bridge by placing reinforcing bars on a column and a slab connected to a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and installing concrete to install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7. While placing reinforcing bar in the
상기 수직부(41)와 수평부(42)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하여 당초에 설치된 기둥(22)에서 연장된 기둥부는 기존의 기둥부인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인데 반하여 강재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둥부이고, 슬래브의 중앙부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가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 슬래브(23)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The pill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도 9의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외측 지점 연결강재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를 기둥에 각각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에 설치된 기초(25)위에 기둥(2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외측 지점 연결강재(40)를 설치한 다음 상기 기둥(22)의 내측에 계획된 교량의 폭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기둥을 설치하고 그 위에 중앙 지점 연결강재(5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외측에 설치된 기둥(22)에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와 상기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 서로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결부(31)를 형성 하여 연결하도록 하여 계획된 교량의 폭과 길이가 형성될때까지 작업을 수행하여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을 설치하기 위한 골격을 설치한다. 9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and the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to the column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9, as shown in the drawing. A
상기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H₂는 수평부(42)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며, L₂는 수직부(41)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적정한 길이의 산정은 후술하는 도 13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H₂ of the center
도 10은 도 9의 외측 지점 연결강재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사이에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9에서 설명한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와 상기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강재 연장부(61)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결부(31)를 형성하여 연장한 것이다.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and the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of FIG. 9, and the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기둥(22)위에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직부(41) 및 수평부(42)와 상기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에 철근을 배치하면서 상기 수평부(42)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헌치 설치부(44)와 상기 기둥(22)의 상부 일정 부분에 헌치부(24)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인 합성형 라멘교량(20)을 설치한 것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installation of a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curing concrete in the state of FIG. 10, wherein the
상기 수직부(41)와 수평부(42)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하여 당초에 설치된 기둥에서 연장된 기둥부는 강재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기존의 기둥부는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이며, 슬래브의 중앙부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가 설 치되어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 슬래브(23)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The pill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itially installed column by the concrete poured on the
도 12는 도 7의 수직부 길이와 수평부 길이를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응력도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외측 지점연결 강재(40)의 수직부 길이(H1)는 하부 지점부 최대 부 휨모멘트(MP1)의 크기와 절대치가 같은 상부 지점부 부 휨모멘트(MP4)인 지점에서 상부 지점부 최대 부 휨모멘트(MP3)가 발생되는 지점까지의 거리가 곧 상기 수직부 길이(H1)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 길이(L1)는 슬래브 중앙부 최대 정 휨모멘트(MD1)와 절대값이 같은 부 휨모멘트(MD3)가 발생된 지점에서 슬래브 상부 지점부 최대 부 휨모멘트(MD2)가 발생되는 외측 상부 지점부(32)까지의 거리가 수평부 길이(L1)인 것이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vertical length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FIG. 7 using a stress diagram of a short span composite ramen bridge, wherein the vertical length H1 of the outer
도 13은 도 9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수직부 및 수평부 길이와 중앙 지점 연결 강재의 수평부 길이를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응력도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수직부 길이인 H₁과 수평부 길이인 L₁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도 12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여 본 도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다만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 응력도(B)에서 중앙 지점부 연결강재(50)의 수평부 길이(L1)를 결정하는 방법은 슬래브 중앙부 최대 정 휨 모멘트(MD1)와 절대 값이 같은 부 휨모멘트(MD4)가 발생된 지점에서 중앙 상부 지점부(34)에서 발생되는 슬래브 중앙 지점부 최대 부 휨모멘트(MD2)까지의 거리의 2배를 한 길이를 수평부 길이(L2)로 한다. FIG. 1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rtions of the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9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using the stress diagram of the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Determining the vertical length H₁ and the horizontal length L₁ is already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owever, in the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stress diagram (B), the center point
도 14는 본 발명의 합성형 라멘교량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좌우측에 교대가 설 치된 교대 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양측에 교대(101)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계획된 교량의 길이와 폭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기둥(22)을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중앙 지점 연결 강재(50)를 설치하고 상기 도 5에서 언급한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의 콘크리트 연장부(81)가 상기 교대(101)의 교좌장치 설치부(102)에 힌지 설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의 타측에 형성된 강재 연장부(61)와 상기 중앙 지점 연결 강재(50)의 수평부(42)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결부(31)를 형성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내측의 기둥(22)에 설치된 복수개의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 수평부 사이에는 도 4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결부(31)를 형성하여 연결토록 하는 작업을 설계된 교량의 폭과 길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작업을 하여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100)인 합성형 라멘교량(20)의 골격을 완성한다.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lternating multi-span synthetic ramen bridges in which alternate installations are install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ynthetic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도 15는 도 14의 교대와 기둥 사이에 도 4와 도 5의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각각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14에서 성세히 설명하여 본 도에서는 설명을 생략합니다.FIG. 15 is a view showing the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and the point prestressed composite beam of FIGS. 4 and 5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alternation and the pillar of FIG. 14,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14 and will not be described.
도 16은 도 15의 지점 및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설치된 교대 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합성형 라멘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14와 도 15에 의하여 설치된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 및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를 각각 연결설치하고 상기 합성보(70, 80)와 중앙 지점부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면서 상기 중 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 하부에 설치된 경사헌치 설치부(44)와 기둥(22)의 상부를 서로 연결한 헌치부(24)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기 교대와 상기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와의 사이에는 교좌장치 설치부(102)의 힌지에 의하여 거치되도록 하고,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의 일측단과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 연결한 곳과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의 수평부(42)와 상기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 연결한 부분은 헌치부(24)가 설치되도록 하면서 일체화가 되도록 한 것이다. FIG. 16 is a view showing that the synthetic type ramen bridge is installed by curing reinforced concrete for installing the alternate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s in which the points and the central prestressed composite beams in FIG. 15 are installed. The center prestressed
도 17은 도 14의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중앙 지점 연결 강재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를 응력도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중앙 지점부 연결 강재(50)의 수평부 길이(L2) 및 수직부 길이(H2)는 상기의 도 12와 도 13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하나 다만,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100)은 교대(101)에 설치된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가 힌지에 의하여 거치되므로 양측의 교대(101)에서는 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중앙 지점 연결 강재(50)의 수평부 길이와 수직부 길이는 양측교대의 사이에 설치된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중앙 지점 연결강재의 수직부 길이는 내측에 하부 지점부 최대 부 휨모멘트(MP1)와 절대값이 같은 정 휨모멘트(MP4)가 발생되는 지점에서 상부 지점부 최대 정 휨모멘트(MP3)가 발생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고, 수평부 길이는 슬래브 중앙부 최대 정 휨모멘트(MD1)와 절대값이 같은 크기의 부 휨모멘트(MD3)가 발생되는 지점에서 슬래브 중앙 지점부 최대 부 휨모멘트(MD2)가 발 생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의 2배를 곱한 거리이다.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enter point connecting steel of the alternating multi-span composite ramen bridge of FIG. 14 by using a stress diagram. The sub-length L2 and the vertical-length H2 are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FIGS. 12 and 13, except that the alternate multi-span
상기와 같이 수평부의 길이와 수직부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은 지반의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와 절대치가 같은 모멘트가 발생하는 기둥의 높이까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하고 그 위에는 강재를 설치하여 기둥의 상부인 상부 지점부인 수직부에서는 강재가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슬래브의 외측 지점부에 설치된 수평부를 형성하는 강재와 슬래브 중앙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강재가 서로 연결되어 슬래브 전체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슬래브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의 라멘 교량의 슬래브보다 두께를 얇게 하여 보다 넓은 형하공간을 확보하면서 사하중을 줄여 내하력을 당초 설계하중에 근접하게 하여 실질적인 내구성과 효율성을 모두겸비한 교량을 건설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sett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is to install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up to the height of the column where the maximum bending moment occurring at the point of the ground and the moment of the same absolute value occur, and the steel is installed thereon.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the steel can resist the bending moment to improve the rigidity, and the steel forming the horizontal part installed in the outer point of the slab and the steel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la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lows the entire slab to act as a prestressed slab, making it thinner than the slab of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 of reinforced concrete, securing a wider mold space, reducing dead weight, and bringing the load capacity closer to the original design load for practical durability. Building bridges with both efficiency and efficiency It is intended to.
도 18a, b는 도 8, 도 11, 도 16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슬래브 부모멘트 및 정 모멘트 구간인 지점부와 중앙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의 부모멘트 구간인 지점부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I형 강재(63)에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슬래브(23)를 형성한 것이며, 도 b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의 정 모멘트 구간인 중앙부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I형 강재(63)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하부 플랜지에 하부 플랜지 케이싱 콘크리트(62)를 타설양생한 것이며 추후에 라멘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60)에 철근을 배근하면서 헌치부(24)를 형성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슬래브(23)를 형성한 것이다.18A and 1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int part and a center part of the slab parent and positive moment section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s of FIGS. 8, 11, and 16, and FIG. A is a parent section of the prestressed
상기의 단경간, 다경간 및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30)의 시공방법은 The above-described short span, multi span and alternate installation of the multi span synthetic ramen bridge is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hort span
a) 기히 설계된 라멘 교량의 폭과 길이에 따라 지반 위에 복수개 이상의 기초(25)를 설치하고 그 위에 기둥(22)을 설치하는 단계; a) installing at least a plurality of
b) 상기 기둥(22)위에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직부(41)를 설치하면서 반대측에도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를 설치하는 단계; b) installing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40) on the opposite side while installing the vertical portion (41) of the outer point connecting steel (40) on the column (22);
c) 상기 대향되게 설치된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의 사이에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를 설치하면서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의 수평부(42)와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의 양측에 설치된 강재 연장부(61)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장부(31)를 형성하면서 연결하는 단계; c) The
d) 상기 수평부(42)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 헌치 설치부(44)와 기둥의 일정한 위치에 헌치부(24)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을 배치하면서 상기 수평부(42)와 상기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기 수직부(41)에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면서 헌치부(24)를 형성하여 단경간 합성형 라멘교량(30)을 설치하는 단계; d) the
e) 상기의 라멘교량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과 주위를 정리정돈하여 교량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e) tiling the formwork and surroundings for installing the ramen bridge, and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또한,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의 설치방법은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multi-span
a) 기히 설계된 교량의 폭과 길이에 따라 지반(26)위에 기초(25)를 설치하면서 기둥(22)을 설치하는 단계; a) installing the
b) 상기 외측에 설치된 기둥(22)상부에 외측지점 연결강재(40)를 설치하고 상기 외측의 기둥사이에는 다수개의 기초(25)를 설치하면서 기둥(2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중앙 지점 연결강재(50)를 설치하는 단계; b) Install the outer
c) 상기 외측지점 연결강재(40)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사이 및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와의 사이에 상기 수평부와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의 강재 연장부와 상호 볼트 또는 용접으로 연결부(31)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단계; c) mutual bolting or welding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steel extension of the central prestressed
d) 상기 외측 지점 연결강재(40)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 상기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면서 수직부(41)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면서 헌치부(24)를 설치한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90)을 설치하는 단계; d) placing the reinforcing bar in the
e) 상기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설치한 거푸집을 철거하면서 주위를 정리정돈하는 단계로 설치되어 지며, e) to remove the formwork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men bridge is installed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surroundings,
또 다른 실시예인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교량(100)의 설치방법은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alternating multi-span
a) 기히 설계된 교량의 폭과 길이에 따라 양측면에 교대(101)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다수개의 기초(25) 위에 기둥(22)을 설치하는 단계; a) installing alternating 101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re-designed bridge, and installing
b) 상기 기둥위에 중앙 지점 연결강재(50)를 설치하는 단계; b) installing a central point connecting steel (50) on the column;
c) 상기 교대(101)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와의 사이에는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를 설치연결하면서 콘크리트 연장부(81)가 교대(101)의 교좌장치 설치부(102)에 거치되도록 하고,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의 수평부(42)와 중앙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70)의 강재 연장부(61)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c)
d) 상기 교대(101)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50) 사이에 설치된 지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80)와 중앙 지점 연결강재(50)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면서 수평부(42)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헌치 설치부(44)와 기둥(22)의 일정위치에 철근을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헌치부(24)를 형성하면서 기둥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대설치 다경간 합성형 라멘 교량(100)을 설치하는 단계; d) placing the reinforcing bar in the pre-stressed
e) 상기 라멘 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설치한 거푸집을 철거하면서 주위를 정리정돈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하는 것이다. e) Installing through the step of arranging the surroundings while removing the formwork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men brid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둥 상단부의 일정구간과 슬래브의 부모멘트 일정구간을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형으로 하고 기둥 상단부의 합성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철근콘크리트로 하며 슬래브의 정 모멘트구간의 일정구간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 교량의 단면에 비해 큰 단면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철근 콘크리트 라멘 교량에 비해 지간을 2∼3배가량 늘릴수 있으며 형하공간을 크게 확보함으로서 차량 및 유수의 원활한 소통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또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량으로 할 경우에 비하여 필요한 기둥의 수를 줄임으로서 교량건설 비용의 절감과 내하력이 보강된 효율적인 교량을 건설할 수 있는 합성형 라멘 교량의 시공방법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a constant section of the slab's parent moment are made of a composite type of steel and concrete, and the remaining sections except the composite s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have a constant section of the positive moment of the slab. By construct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s,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cross section reduction effect compared to the cross section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s, and to increase the space by two to three times compar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s, and to secure a large space for the geometry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type ramen bridge that can reduce the cost of bridge construction and construct efficient bridges with enhanced load capac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columns needed compared to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s It is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8116A KR100543969B1 (en) | 2003-12-05 | 2003-12-05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8116A KR100543969B1 (en) | 2003-12-05 | 2003-12-05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8052U Division KR200343468Y1 (en) | 2003-12-05 | 2003-12-05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5171A KR20050055171A (en) | 2005-06-13 |
KR100543969B1 true KR100543969B1 (en) | 2006-01-20 |
Family
ID=3725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8116A KR100543969B1 (en) | 2003-12-05 | 2003-12-05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3969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206B1 (en) | 2006-10-25 | 2007-07-25 | (주)한맥기술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0930800B1 (en) | 2007-08-09 | 2009-12-09 | 조신기 | Construction method of ramen structure in which premoment is introduced |
KR100936629B1 (en) | 2007-08-09 | 2010-01-13 | 조신기 | Manufacturing method of applying premoment on rahmen-type structure |
KR100946716B1 (en) | 2007-08-30 | 2010-03-12 | (주)한맥기술 | Long Span PSC Girder Type Rah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Moment Re-distribution |
KR101044690B1 (en) | 2008-12-09 | 2011-06-28 | (주)삼현피에프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without any staging |
CN103437294A (en) * | 2013-08-19 | 2013-12-11 | 北京交通大学 | Implementation method for multiple stress systems of beam bridge in straddle type monorail transport line |
KR102115704B1 (en) | 2019-08-30 | 2020-05-26 | (주)에스앤씨산업 | Rahmen bridge using anker and girder joint cas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2107191B1 (en) | 2019-01-15 | 2020-05-28 | (주)에스앤씨산업 | Rahmen bridge using girder joint cas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574B1 (en) * | 2006-10-09 | 2007-10-26 | (주)피에스아이테크놀로지 | Rhamen bridge having prestressed steel-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
KR100772837B1 (en) * | 2007-01-08 | 2007-11-0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Rahmen type complex girder bridge using h-shaped steel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KR100802038B1 (en) * | 2007-02-27 | 2008-02-12 | (주)내경엔지니어링 | Rahmen type abutment structure |
KR101157607B1 (en) * | 2009-06-25 | 2012-06-18 | 주식회사 젬콘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with prestressed non-introduc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lower flange casing concre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ahm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511172B1 (en) * | 2013-05-16 | 2015-04-10 | (주)한국건설공법 | A joint structure of a CFT composite column and RC wide girder |
KR101574617B1 (en) * | 2013-05-28 | 2015-12-31 |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y PSC Girder Used Assembly Segment Installed Steel Connecting Material in End Portion |
KR101415981B1 (en) * | 2013-09-25 | 2014-07-09 | 주식회사 젬콘 | By connecting members with composite rigid frame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07558375B (en) * | 2017-09-12 | 2018-12-11 |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 The construction method that contact net bar is torn down and reconstructed during a kind of Framed underpass bridge |
KR102187182B1 (en) | 2020-03-18 | 2020-12-04 |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 Rha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03
- 2003-12-05 KR KR1020030088116A patent/KR10054396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206B1 (en) | 2006-10-25 | 2007-07-25 | (주)한맥기술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0930800B1 (en) | 2007-08-09 | 2009-12-09 | 조신기 | Construction method of ramen structure in which premoment is introduced |
KR100936629B1 (en) | 2007-08-09 | 2010-01-13 | 조신기 | Manufacturing method of applying premoment on rahmen-type structure |
KR100946716B1 (en) | 2007-08-30 | 2010-03-12 | (주)한맥기술 | Long Span PSC Girder Type Rah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Moment Re-distribution |
KR101044690B1 (en) | 2008-12-09 | 2011-06-28 | (주)삼현피에프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without any staging |
CN103437294A (en) * | 2013-08-19 | 2013-12-11 | 北京交通大学 | Implementation method for multiple stress systems of beam bridge in straddle type monorail transport line |
KR102107191B1 (en) | 2019-01-15 | 2020-05-28 | (주)에스앤씨산업 | Rahmen bridge using girder joint cas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2115704B1 (en) | 2019-08-30 | 2020-05-26 | (주)에스앤씨산업 | Rahmen bridge using anker and girder joint cas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5171A (en) | 2005-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3969B1 (en)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41066B1 (en) | Prestressed-precast-segmental open spendral concrete arch bridg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
KR100889273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bridge | |
KR100522170B1 (en) | Method of constructing simple and continuous composite bridges | |
KR10098297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pan continuous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 |
KR101007708B1 (en) | Semi-hinge rahman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0462966B1 (en) | Prestressed Concrete U-Girder of compositive girder bridge | |
KR100728106B1 (en) | Cantilever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 bridge and the method thereof | |
KR20120053869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end-block with girder connection member | |
KR200343468Y1 (en)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 |
KR101133420B1 (en) | Precast concrete connection block and the continuity method of composite bridges using it | |
KR101286112B1 (en)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609825B1 (en) | Preflexed rigid- frame bridge installed using prestressed upp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329443B1 (en) | Precast concret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slab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 |
KR101242842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JP3737475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67717B1 (en) |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 |
KR20060017949A (en) | Field-fabricated prestressing steel-composed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 using the girder | |
KR101046941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out hunch | |
KR100894650B1 (en) | Rahmen bridge with preflexion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
KR100909004B1 (en) | Hybrid composite girder continuous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
JP389603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lumn head and pier column head | |
KR101194866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longitudinal and lateral steel member | |
KR101127427B1 (en) |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4156343A (en) | Composite truss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