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206B1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2206B1 KR100742206B1 KR1020060103790A KR20060103790A KR100742206B1 KR 100742206 B1 KR100742206 B1 KR 100742206B1 KR 1020060103790 A KR1020060103790 A KR 1020060103790A KR 20060103790 A KR20060103790 A KR 20060103790A KR 100742206 B1 KR100742206 B1 KR 100742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concrete
- girder
- vertical wall
- bottom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선 A-A 및 선 B-B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2A and 2B are partial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and B-B of FIG. 1, respectively.
도 3은 라멘교에서 거더의 단면이 전지간에 걸쳐 일정한 경우, 자중과 같은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 때의 휨모멘트도이다. 3 is a bending moment diagram when an equal distribution load such as self weight is applie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is constant across the cells in the ramen bridge.
도 4 내지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의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사시도 및 휨모멘트도이다. 4 to 10a and 10b is a schematic sid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bending moment diagram for explaining each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1은 일반적인 종래의 라멘교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라멘교와, 지간부가 단순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각각 지간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 분포를 대비한 개략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view of a general conventional ramen bridge, a ramen bridg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ending moment distribution occurring in each of the trunk por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stem portion is made of a simple beam.
도 12는 본 발명의 각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휨모멘트도이다. 12 is a bending moment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ation of bending moments generated at each constru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라멘교1 ramen
10 수직벽체10 vertical walls
20 중앙부분20 center section
21 강재 거더21 steel girder
30 지점부 30 branch offices
본 발명은 모멘트 재분배에 의하여 장경간 및 저형고를 가지게 되는 강합성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와 사용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를 재분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장경간 및 낮은 형고의 교량에도 적용하기가 적합한 새로운 구조의 강합성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having a long span and a low height by moment redistribu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osite structure using steel girders and concrete, and has a bending moment and load due to its own we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new structure, which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distributing a bending moment by a new structure, which is suitable to be applied to long span bridges and low bridges.
근래에 들어 집중 호우나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경간이 길면서도 형고가 낮은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교량 형식으로는 이러한 특징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부득이 다경간 교량을 사용하거나 도로의 계획고를 높여 교량의 형고를 낮추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due to frequent heavy rainfall and flooding, the demand for long span bridges with long spans and low spans is increasing. However, this type of bridge cannot meet these characteristics, so it is inevitable to use the multi-span bridge or increase the height of the road to lower the bridge.
종전의 교량 형식 중에서 라멘교는 자중이 크기 때문에 장경간의 교량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주로 소하천 등의 짧은 경간을 가로지르는 15m 이내의 단경간 교량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라멘교의 경간이 길어지게 되면 지점부 에서의 부모멘트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15m 이상의 장경간 교량에는 실질적으로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Of the previous bridge types, the Ramen Bridge is rarely used for long span bridges because of its large weight, and is mainly applied to short span bridges within 15m across short spans such as small rivers.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practically to long span bridges of 15m or more because the long length of the ramen bridge has a disadvantage of rapidly increasing the parent moment at the point.
그러나 라멘교는 교좌장치가 없고 비교적 형고가 낮으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경간 증가에 따른 지점부에서의 부모멘트 문제를 해결한다면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으로서 매우 적합한 교량이 될 수 있다. However, the ramen bridge has the advantage of no bridge system, relatively low height and easy maintenance, so if you solve the problem of the momentum at the point due to the increase of the span, it can be a very suitable bridge as the long span low bridge. have.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라멘교가 가지는 장점을 극대화하고 경간 증가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함으로써 라멘교를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ultimate purpose of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 as described above and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length, so that the ramen bridge can be usefully used for long span bridges.
특히 본 발명에서는 라멘교가, 교량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와 사용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를 재분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구조의 라멘교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men bridge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distributing the bending mo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bridge and the bending moment due to the working load, so that the bridge having a low-long span can be constructed. It aim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oduce a new structure ramen bridge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의 콘크리트 수직벽체와, 상기 수직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지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간부의 중앙부분은 강재 거더와 그 상부에 설치된 바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수직벽체와 상기 지간부가 일체를 이루어 강결 형태로 연결되는 지점부는 콘크리트 내에 상기 강재 거더가 매립되어 있는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와 그 상부에 설치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라멘교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composed of a concrete vertical wall of both sides, and the interdenta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wall;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planar portion is composed of a steel girder and a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point where the concrete vertical wall and the base por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in the form of steel grain is provided with a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in which the steel girder is embedded in concrete and a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do.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강합성 라멘교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의 바닥판은, 상기 강재 거더 위에 반단면 바닥판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상부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of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by pouring in-place concre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girders in a state where the half-section bottom plate member is installed. .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강합성 라멘교의 시공방법으로서, 수직벽체의 상단부에는 강재 거더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거더 고정장치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상기 양측 콘크리트 수직벽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분을 구성하는 강재 거더를 양측 콘크리트 수직벽체의 상부에 단순 거치하는 단계; 강재 거더의 양단부를 수직벽체와 일체로 결합하여 강결하는 단계; 및 지점부 위치에서 상기 강재 거더의 양단부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내에 강재 거더가 매립되어 있는 구조의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상기 수직벽체와 일체로 시공하여 지점부를 형성하고 상기 강재 거더와 지점부의 상부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the step of installing the two concrete vertical walls so that the girder fixing device that can be fixed to the steel girder integrally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Simply mounting the steel girders constituting the central portion on top of both concrete vertical walls; Coupling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wall to harden it; And constructing a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teel girder is embedded in concrete by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wall by placing concrete outside the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t a point position to form a point and forming the point. Provided is a rigid synthetic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bottom plate on the top.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강재 거더를 양측 콘크리트 수직벽체의 상부에 단순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양단부를 수직벽체와 강결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강재 거더의 상부에 반단면 바닥판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step of simply mounting the steel girders on top of both concrete vertical wall and the step of hardening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with the vertical wall, half-section bottom plate on the top of the steel girder 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isposing the member.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의 구성과 효과, 그리고 그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omposite steel rame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1)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 및 도 2b에는 각각 도 1의 선 A-A 및 선 B-B에 따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1)는 양측의 콘크리트 수직벽체(10)와, 상기 수직벽체(10) 사이에 설치되는 지간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간부의 중앙부분(20)은 강재 거더(21)와 그 상부에 설치된 바닥판(40)로 구성되며, 콘크리트 수직벽체(10)와 상기 지간부가 일체를 이루어 강결 형태로 연결되는 지점부(30)는 콘크리트 내에 상기 강재 거더(21)가 매립되어 있는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와 그 상부에 설치된 바닥판(40)으로 이루어진다. FIG. 1 show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show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1,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crete
도 3에는 거더의 단면이 전지간에 걸쳐 일정한 경우, 자중과 같은 등분포 하중이 작용할 때의 휨모멘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거더의 단면이 전지간에 걸쳐 일정한 라멘교에 대해 자중 등에 의한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벽체와 거더가 결합되는 양측의 지점부에서는 지간부의 중앙보다 약 1.4배 정도 큰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특히, 지간이 더 길어지게 되면, 지점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지점부는 더 큰 휨모멘트 강성을 가지는 단면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FIG. 3 shows a bending moment diagram when an equal distribution load such as its own weight is applie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is constant across the cells.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ctional of the girder has a uniform distribution load due to its own weight, etc., for a ramen bridge with a constant cross section between cells, about 1.4 times as much as the center of the trunk at the point portions on both sides where the wall and the girder are coupled. A large bending moment acts. In particular, the longer the span,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point portion. Therefore, the point should be made of a cross section with greater bending moment stiffness.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간부의 중앙부분(20)이 강재 거더(21)로 구성되어 자중을 경감하게 되는 한편, 양측 지점부(30)는 콘크리트와 강재 거더(21)가 일체로 합성된 형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구성되어 큰 휨모멘트 강성을 발휘하게 되므로, 라멘교의 장점인 낮은 형고를 유지하면서도 수직벽체(10) 사이의 경간이 더 길어 질 수 있으며, 따라서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에 매우 적합한 교량이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ile the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1)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1)에 있어서는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가 지점부(30)에 집중된다. 특히, 지점부(30)가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구성되어 강성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간부의 정중앙에 비하여 상당히 큰 휨모멘트가 지점부(30)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점부(30)의 단면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강합성 라멘교(1)를 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휨모멘트를 강재 거더(21)로 이루어진 중앙부분(20)과 지점부(30)에 적정하게 배분하는 새로운 시공단계를 채용하였다. 구체적으로 2차 고정하중 및 사용상태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지간부의 중앙부분(20)과 지점부(30)에 모두 작용하도록 하되, 중앙부분(20)의 자중에 의하여 지점부(30)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In the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oment due to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도 4 내지 도 10b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라멘교(1)의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사시도 및 휨모멘트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 to 10b are schematic side views, perspective views, and bending moment diagrams for explaining each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composite ramen brid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referr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의 콘크리트 수직벽체(10)를 각각 설치한다. 이 때, 수직벽체(10)의 상단부에는 강재 거더(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볼 트, 강봉 등과 같은 거더 고정장치(11)를 일체로 설치해두게 된다. 수직벽체(10)에 배근되는 수직보강철근(12)을 수직벽체(10)의 단부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4, concrete
후속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부분(20)을 구성하는 강재 거더(21)를 양측 콘크리트 수직벽체(10)의 상부에 거치한다. 도 5a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벽체(10)에 매립된 거더 고정장치(11)가 앵커볼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는 강재 거더(21)의 하부 플랜지를 관통한 상태로 있다. 즉, 이 상태에서 상기 강재 거더(21)는 수직벽체(10)와 결합되지 않은 채, 단순히 수직벽체(10)의 상부에 올려져 있는 상태로 있는 것이다. 도 6에는 이러한 상태에서의 휨모멘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강재 거더(21)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마치 단순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강재 거더(21)의 양단부에서는 0이고, 강재 거더(21)의 정중앙에서 최대가 된다. 도 5에서 부재번호 13은 탄성 받침(13)으로서, 강재 거더(21)를 수직벽체(10)의 상부에 거치할 때에,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받침(13)을 수직벽체(10) 상부에 설치하고, 그 위에 강재 거더(21)가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강재 거더(21)를 거치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부분(20)에서의 상기 강재 거더(21)의 상부에 바닥판 시공을 위한 반단면 바닥판 부재(4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반단면 바닥판 부재(41)는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 7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웃하는 강재 거더(21) 사이에 반단면 바닥판 부재(41)를 설치한다. 도 8에서 반단면 바닥판 부재(41)의 위쪽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바닥판(40)이 완성되었을 때의 바닥판(40) 상면을 의미한다.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도 7의 상태에서도 강재 거더(21)는 수직벽체(10)와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강재 거더(21) 및 반단면 바닥판 부재(41)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계속하여 단순보처럼 강재 거더(21)의 양단부에서는 0이고, 강재 거더(21)의 정중앙에서 최대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추후 상기 반단면 바닥판 부재(41)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판(40)을 이루게 된다. After mounting the
그런데, 이와 같이 반단면 바닥판 부재(41)를 설치하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와는 달리 후술하는 것처럼 강재 거더(21)를 수직벽체(10)와 강결한 후에 지점부(30)의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시공함과 동시에 상기 강재 거더(21) 상부의 바닥판을 일체로 시공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half-sectional
도 9에는 강재 거더(21)와 수직벽체(10)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강재 거더(21)가 수직벽체(10)에 거치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강재 거더(21)와 수직벽체(10)를 일체로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수직벽체(10)에 구비된 거더 고정장치(11)와 강재 거더(21)를 일체화시켜 수직벽체(10)와 강재 거더(21)가 일체로 강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벽체(10)에 매립된 거더 고정장치(11)가 앵커볼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재 거더(21)의 하부 플랜지를 관통한 상태로 있던 앵커볼트의 단부에 너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직벽체(10)와 강재 거더(21)를 일체화 시키게 되는 것이다. 만일 거더 고정장치(11)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접 등과 같이 거더 고정장치(11)에 알맞은 결합방법에 의하여 상기 거더 고정장치(11)와 강재 거더(21)를 일체화시키게 된다. 9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벽체(10)의 상부에 탄성 받침(13)이 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 강재 거더(21)가 놓여 있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받침(13) 주위로 무수축몰탈 등과 같은 채움재를 타설하여 베딩층(14)을 형성한다. 앵커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은 베딩층(14)이 형성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후속하여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지점부(30) 위치에서 강재 거더(21)의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수직벽체(10)와 일체로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를 시공하여 지점부(30)를 형성한다. 도 10a는 지점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거푸집과 동바리를 세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b는 시공이 완료되어 거푸집과 동바리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concrete is placed outside the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점부(30)를 형성할 때, 수직벽체(10)의 상단 위쪽으로 수직보강철근(12)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직보강철근(12)은 지점부(30)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이루어진 지점부(30)와 수직벽체(10)가 일체를 이루는데 일조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지점부(30)를 시공할 때, 강재 거더(21)의 상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40)을 시공한다. 만일 강재 거더(21)위에 반단면 바닥판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위에도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강재 거더(21)의 상부 에 바닥판(40)이 시공되도록 한다. 물론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이루어진 지점부(30)의 상부에도 바닥판(40)이 일체로 시공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 등을 제거하고 포장, 난간 설치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 교량으로서 사용하게 된다. When pouring concrete to form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라멘교(1)는 상기 지간부의 중앙부분이 강재 거더(21)로 구성되어 자중을 경감하게 되는 한편, 양측 지점부(30)는 콘크리트와 강재 거더(21)가 일체로 합성된 형태의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로 구성되어 큰 휨모멘트 강성을 발휘하게 되므로, 라멘교의 장점인 낮은 형고를 유지하면서도 수직벽체(10) 사이의 경간이 더 길어 질 수 있으며, 따라서 장경간 저형고의 교량에 매우 적합한 교량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amen brid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is composed of the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으로 상기 라멘교(1)를 시공하게 되면 휨모멘트의 효율적인 분배가 이루어지게 되어, 실제 사용 상태에서 지점부(30)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지점부(30)를 이루는 강재-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단면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라멘교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라멘교와, 지간부가 단순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각각 지간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 분포를 대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각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휨모멘트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 (1) by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distribution of the bending moment is ma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in the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라멘교는 지점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가 종래의 라멘교보다 더 감소되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우선 앞서 설명한 도 5의 상태에서는 강재 거더(21)가 단순 거치된 상태이므로, 도 6 및 도 1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벽체(10)와 강재 거더(21)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이후에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지점부(30)와 바닥판(40)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단지 2차 고정하중과 사용상태의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가 도 1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추가로 더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 라멘교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12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와 2차 고정하중 및 사용상태의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를 합한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강재 거더(20)가 단순 거치된 상태에서는 지점부(30)에 휨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았으므로,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지점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라멘교의 경우보다 더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지점부(30)의 단면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in the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oment occurring at the point portion is further reduced than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 Referring to the reason, first, in the state of FIG. 5,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to be fre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3790A KR100742206B1 (en) | 2006-10-25 | 2006-10-25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3790A KR100742206B1 (en) | 2006-10-25 | 2006-10-25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2206B1 true KR100742206B1 (en) | 2007-07-25 |
Family
ID=3849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3790A KR100742206B1 (en) | 2006-10-25 | 2006-10-25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2206B1 (en)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837B1 (en) | 2007-01-08 | 2007-11-0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Rahmen type complex girder bridge using h-shaped steel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KR100946716B1 (en) | 2007-08-30 | 2010-03-12 | (주)한맥기술 | Long Span PSC Girder Type Rah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Moment Re-distribution |
KR100991349B1 (en) | 2010-03-05 | 2010-11-02 | 김동민 | Manufacturing method of rahmen-type bridge structure |
KR101007708B1 (en) | 2010-06-28 | 2011-01-13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emi-hinge rahman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101018956B1 (en) | 2010-10-11 | 2011-03-02 | 최영철 | Rahmen bridge system removing the moment being caused by the slab load of the plus moment zone and method constructing rahmen bridge therewith |
KR101041363B1 (en) | 2009-04-14 | 2011-06-15 | (주)유니트엔지니어링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KR101125547B1 (en) | 2008-06-18 | 2012-03-23 | 주식회사 젬콘 | Steel composite rahmen shap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y type rahmen structure using the same |
KR101244893B1 (en) | 2012-06-14 | 2013-03-18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tructure for joining concrete beams and walls |
KR101244894B1 (en) * | 2012-06-14 | 2013-03-18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walls |
KR101991930B1 (en) | 2018-08-31 | 2019-06-21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Rahm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004277B1 (en) | 2018-05-09 | 2019-07-26 | 정병목 |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steel girder for reinforcing bridge support by t-shape steel and inducing pre-stress |
KR102197011B1 (en) | 2020-02-21 | 2020-12-30 | (주)리튼브릿지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an bridge |
KR102280281B1 (en) * | 2021-01-05 | 2021-07-21 |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 Precast rock shed tunnel using e fully integrated conne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4500A (en) * | 2000-06-08 | 2000-09-05 | 구민세 | Construction method that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to bottom plate concrete and bottom moment flange of parent section by using and adjusting the descending and rising process of end point in short span and multi span composite structures |
KR200212395Y1 (en) | 2000-06-26 | 2001-02-15 | 구민세 | Cross-sectional structure integrating lower structure and upper mold |
KR20030014686A (en) * | 2000-06-08 | 2003-02-19 | 구민세 | Method of constructing simple and continuous composite bridges |
JP2005061127A (en) | 2003-08-18 | 2005-03-10 |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 Concrete prefabricated frame structure |
KR20050089354A (en) * | 2004-03-04 | 2005-09-08 | (주)스틸엔콘크리트 | Preflexed rigid- frame bridge installed using prestressed upp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0543969B1 (en) | 2003-12-05 | 2006-01-20 | (주)스틸엔콘크리트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0554533B1 (en) | 2005-10-21 | 2006-03-0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type hybrid bridge using the post rigid system |
-
2006
- 2006-10-25 KR KR1020060103790A patent/KR1007422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4500A (en) * | 2000-06-08 | 2000-09-05 | 구민세 | Construction method that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to bottom plate concrete and bottom moment flange of parent section by using and adjusting the descending and rising process of end point in short span and multi span composite structures |
KR20030014686A (en) * | 2000-06-08 | 2003-02-19 | 구민세 | Method of constructing simple and continuous composite bridges |
KR200212395Y1 (en) | 2000-06-26 | 2001-02-15 | 구민세 | Cross-sectional structure integrating lower structure and upper mold |
JP2005061127A (en) | 2003-08-18 | 2005-03-10 |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 Concrete prefabricated frame structure |
KR100543969B1 (en) | 2003-12-05 | 2006-01-20 | (주)스틸엔콘크리트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050089354A (en) * | 2004-03-04 | 2005-09-08 | (주)스틸엔콘크리트 | Preflexed rigid- frame bridge installed using prestressed upper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0554533B1 (en) | 2005-10-21 | 2006-03-0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type hybrid bridge using the post rigid system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837B1 (en) | 2007-01-08 | 2007-11-0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Rahmen type complex girder bridge using h-shaped steel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KR100946716B1 (en) | 2007-08-30 | 2010-03-12 | (주)한맥기술 | Long Span PSC Girder Type Rah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Moment Re-distribution |
KR101125547B1 (en) | 2008-06-18 | 2012-03-23 | 주식회사 젬콘 | Steel composite rahmen shap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y type rahmen structure using the same |
KR101041363B1 (en) | 2009-04-14 | 2011-06-15 | (주)유니트엔지니어링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KR100991349B1 (en) | 2010-03-05 | 2010-11-02 | 김동민 | Manufacturing method of rahmen-type bridge structure |
KR101007708B1 (en) | 2010-06-28 | 2011-01-13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emi-hinge rahman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101018956B1 (en) | 2010-10-11 | 2011-03-02 | 최영철 | Rahmen bridge system removing the moment being caused by the slab load of the plus moment zone and method constructing rahmen bridge therewith |
KR101244893B1 (en) | 2012-06-14 | 2013-03-18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tructure for joining concrete beams and walls |
KR101244894B1 (en) * | 2012-06-14 | 2013-03-18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walls |
KR102004277B1 (en) | 2018-05-09 | 2019-07-26 | 정병목 |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steel girder for reinforcing bridge support by t-shape steel and inducing pre-stress |
KR101991930B1 (en) | 2018-08-31 | 2019-06-21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Rahm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97011B1 (en) | 2020-02-21 | 2020-12-30 | (주)리튼브릿지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an bridge |
KR102280281B1 (en) * | 2021-01-05 | 2021-07-21 |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 Precast rock shed tunnel using e fully integrated conne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2206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89273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bridge | |
KR101178876B1 (en) | Prestressed composit rahmen bridge construdtion method | |
KR101170922B1 (en) | The rahmen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for which tend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stand was used | |
CN108914716B (en) | Wet-joint type assembling method for prefabricated sleeper slab or track slab ballastless track | |
KR101107826B1 (en) | Slab-type box girder made by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28106B1 (en) | Cantilever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 bridg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097273B1 (en) | Through bridge using arch reinfocing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CN108914713B (en) | Wet-connection type assembling method for ballastless track of vibration reduction zone | |
KR100946716B1 (en) | Long Span PSC Girder Type Rah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Moment Re-distribution | |
KR100703134B1 (en) |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85634B1 (en) |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 |
JP4585614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synthetic steel slab bridge, ribbed steel slab, and synthetic steel slab bridge | |
KR100842062B1 (en) | The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for which preflexion steel girder was used | |
JP3737475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232329B1 (en) | Integr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ed and concrete-filled tube | |
KR101067717B1 (en) |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 |
KR101293646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support connection member | |
KR100989153B1 (en) | Psc girder connection structure with strength connector detail for substitution of rebar placement in deck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30094195A (en) |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 |
KR102033052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 |
KR100696646B1 (en) |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of ps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by tendon anchored/supported to prefabricated cross beam | |
KR101043710B1 (en) |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side beam and slab by box structure without lateral prestressing | |
KR20100121865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