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155B1 -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155B1
KR100542155B1 KR1020030084405A KR20030084405A KR100542155B1 KR 100542155 B1 KR100542155 B1 KR 100542155B1 KR 1020030084405 A KR1020030084405 A KR 1020030084405A KR 20030084405 A KR20030084405 A KR 20030084405A KR 100542155 B1 KR100542155 B1 KR 10054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support
roller
cov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775A (ko
Inventor
성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Priority to KR102003008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1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05Safety-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며 회전되는 원통형 접합롤러들 사이를 통해 알약이 투입된 포장지를 접합하여 밀봉할 때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포장지들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케이스(1) 상부에 구비된 수납홈(10)들에 담겨진 알약(4)들이 그 하부에 장착된 호퍼(11)에 낙하되어 반으로 접혀서 이동되는 포장지(3)의 내부에 투입되고, 히터가 장치된 원통형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를 통과시키면 포장지(3)의 상부에 가로 접합부(3a)가 연속 형성되면서 세로 접합부(3b)가 일정간격을 이루어 열 접착되며, 일측 롤러에 장착된 뾰족한 절단칼(42a)에 의하여 세로 접합부(3b)의 중앙에 절취선(3c)이 형성되어 포장이 완료된 후 케이스(1)의 하부 배출구(2)를 통해 배출되는 약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1)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20)에는 구동롤러(30)가 축설되어 구동모터(50)와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되고, 지지대(20)에 힌지(22)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21)에는 종동롤러(40)가 축설되어 덮개(21)를 닫으면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되며, 덮개(21) 외측에 장착된 클램프(21a)가 지지대(20)의 걸림구(20a)에 걸려져 덮개(21)가 지지대(20)에 고정되고, 지지대(20)의 일측 릴(60)에 감겨진 포장지(3)가 역삼각형의 접힘부재(62)를 통해 반으로 접혀져 지지대(20)의 구동롤러(30)에 놓여지면 덮개(21)를 닫아 포장지(3)가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a package paper sealing system of pill pack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약 자동포장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포장기의 실링장치에서 포장지가 걸려진 상태와 결려지지 않은 상태를 각각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장치의 지지대에서 덮개가 열려진 상태와 닫혀진 상태를 각각 예시한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장치의 지지대에서 덮개가 열려진 상태와 닫혀진 상태를 각각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배출구
3 : 포장지 3a : 가로 접합부
3b : 세로 접합부 3c : 절취선
4 : 알약 10 : 수납홈
11 : 호퍼 12 : 지지프레임
20 : 지지대 20a : 걸림구
21 : 덮개 21a : 클램프
22 : 힌지 23a, 23b : 당김롤러
30 : 구동롤러 31, 41 : 가로 접착면
32, 42 : 세로 접착면 40 : 종동롤러
42a : 절단칼 50 : 구동모터
51 : 기어 60 : 릴
61 : 아이들롤러 62 : 접힘부재
본 발명은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며 회전되는 원통형 접합롤러들 사이를 통해 알약이 투입된 포장지를 접합하여 밀봉할 때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포장지들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약국 등에서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고 이를 배분하여 포장지에 투입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현재에는 약을 제조하여 포장하는 과정이 자동화된 설비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전술한 약 자동포장기들은 약 공급장치에서 약들이 호퍼로 낙하되어 반으로 접혀진 포장지 사이로 투입되면 히터가 장치된 원통형 접합롤러들 사이를 통과시켜 포장지의 외측을 열 접착한 후 일측 롤러에 장착된 뾰족한 절단칼을 사용하여 세로 접합부의 중앙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접합롤러들은 포장지의 두께와 상응하는 매우 좁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착되는 것이므로 좁은 롤러들 사이로 포장지를 투입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하였다.
더욱이, 접합롤러들 사이로 포장지를 끼울 때는 전원을 온(on)시킨 상태에서 롤러들을 회전시키면서 포장지가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롤러에 장착된 히터에 의하여 롤러가 가열됨에 따라 작업자가 화상을 당하거나 손이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마주보며 회전되는 원통형 접합롤러들 사이를 통해 알약이 투입된 포장지를 접합하여 밀봉할 때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포장지들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1) 상부에 구비된 수납홈(10)들에 담겨진 알약(4)들이 그 하부에 장착된 호퍼(11)에 낙하되어 반으로 접혀서 이동되는 포장지(3)의 내부에 투입되고, 히터가 장치된 원통형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를 통과시키면 포장지(3)의 상부에 가로 접합부(3a)가 연속 형성되면서 세로 접합부(3b)가 일정간격을 이루어 열 접착되며, 일측 롤러에 장착된 뾰족한 절단칼(42a)에 의하여 세로 접합부(3b)의 중앙에 절취선(3c)이 형성되어 포장이 완료된 후 케이스(1)의 하부 배출구(2)를 통해 배출되는 약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1)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20)에는 구동롤러(30)가 축설되어 구동모터(50)와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되고, 지지대(20)에 힌지(22)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21)에는 종동롤러(40)가 축설되어 덮개(21)를 닫으면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되며, 덮개(21) 외측에 장착된 클램프(21a)가 지지대(20)의 걸림구(20a)에 걸려져 덮개(21)가 지지대(20)에 고정되고, 지지대(20)의 일측 릴(60)에 감겨진 포장지(3)가 역삼각형의 접힘부재(62)를 통해 반으로 접혀져 지지대(20)의 구동롤러(30)에 놓여지면 덮개(21)를 닫아 포장지(3)가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약 자동포장기의 내부 장치들을 감싸기 위한 케이스(1)의 상부에는 수납홈(10)들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홈(10)들에 담겨진 알약(4)들이 그 하부에 장착된 호퍼(11)에 낙하되어 반으로 접혀서 이동되는 포장지(3)의 내부에 투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알약(4)들이 투입된 포장지(3)는 히터가 장치된 원통형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포장지(3)가 열 접착되어 실링된다.
즉, 상기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양측 외주면에는 가로 접착면(31)(41)들이 둘레를 따라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로 접착면(31)(41)들은 포장지(3)의 상부 합쳐진 부위를 가로방향으로 열 접착하여 가로 접합부(3a)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전,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세로 접착면(32)(42)들이 각각 형성되어 포장지(3)들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여 일정간격을 이루는 세로 접합부(3b)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동롤러(40)의 전,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세로 접착면(42)에는 뾰족한 절단칼(42a)이 장착되어 포장지(3)에서 일정간격을 이루어 형성된 세로 접합부(3b)의 중앙에 구멍들이 일렬로 뚫려진 절취선(3c)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알약(4)들의 포장이 완료된 포장지(3)는 케이스(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로 구성된 접합롤러들 을 사용하여 포장지(3)들을 열 접착하여 밀봉하는 실링장치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종동롤러(40)가 지지대(20)에 힌지(22)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21)에 축설되어 포장지(3)를 매우 간편하게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 사이에 끼워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호퍼(11) 하부에 판재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2)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12)의 전면에는 "ㄷ"형의 지지대(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20)에는 접합용 구동롤러(30)가 축설되어 지지프레임(12)의 후방에 장착된 구동모터(50)와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롤러(30)와 구동모터(50)에 각각 풀리가 결합되고 각 풀리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력을 구동롤러(30)가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50)의 동력전달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대(20)에 장착된 기어(51)들은 구동롤러(30)의 회전축에 축설된 기어와 구동모터(50)의 회전축에 축설된 기어에 서로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한편, 구동모터(50)의 회전을 감속하여 구동롤러(30)에 전달하는 변속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대(20)에 힌지(22)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21)에는 종동롤러(40)가 축설되어 있고, 덮개(21)를 닫으면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가 기어(51)들로 서로 치합되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21) 외측에면는 클램프(21a)가 장착되어 있고, 클램프(21a)를 지지대(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구(20a)에 걸려지도록 하면 덮개(21)가 지지대(20)에서 열려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21a)는 덮개(21)가 지지대(20)에서 괘,해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일측에는 릴(60)이 장착되어 있고, 릴(60)에 감겨진 포장지(3)는 아이들롤러(61)들을 거쳐 이송된 후 역삼각형의 접힘부재(62)를 통해 반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구동롤러(30) 하부에는 한쌍의 당김롤러(23a)(23b)들이 축설되어 있고, 당김롤러(23a)(23b)들은 기어(51)들로 치합되어 서로 마주보며 회전되면서 접합이 완료된 포장지(3)의 일측을 잡아당겨 포장지(3)가 릴(60)에서 연속으로 풀려지도록 함에 따라 접합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당김롤러(23a)(23b)들은 포장지(3)와의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레탄, 실리콘, 합성고무와 같은 고무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김롤러(23a)(23b)들의 회전축에 축설되어 서로 치합되는 기어(51)들 중 일측 기어(51)는 구동모터(50)의 동력을 감속하여 구동롤러(30)에 전달하는 변속용 기어(51)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덮개(21)에 장착된 클램프(21a)가 지지대(20)의 걸림구(20a)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덮개(21)를 열면 지지대(20)에 장착된 구동롤러(30)가 완전히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역삼각형의 접힘부재(62)를 통해 반으로 접혀진 포장지(3)를 노출된 구동롤러(30)에 접촉하여 그 폭을 맞추어 주면서 포장지(3)의 선단이 당김롤러(23a)(23b)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 후 덮개(21)를 닫아 클램프(21a)가 걸림구(20a)에 걸려지도록 하여 덮개(21)를 지지대(20)에 고정시키면 매우 간편하게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에 포장지(3)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노출된 구동롤러(30)에 포장지(3)의 폭을 맞추고 당김롤러(23a)(23b)들 사이에 포장지(3)을 끼운 후 덮개(21)를 닫아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가열된 구동롤러(30)에 의하여 화상을 당하거나 작업자의 손이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약포장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반으로 접혀진 포장지(3)가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키면 기어(51)들로 치합된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가로 접착면(31)(41)들에 의하여 포장지(3)의 상,하부가 가로방향으로 열 접착되어 가로 접합부(3a)가 형성되고,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전,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접착면(32)(42)들에 의하여 포장지(3)들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여 일정간격을 이루는 세로 접합부(3b)가 형성되어 알약(4)이 투입된 포장지(3)들이 연속으로 밀봉되어 포장되고, 약들의 포장이 완료된 포장지(3)는 케이스(1)의 하부 형성된 배출구(2)를 통해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세로 접합부(3b)의 중앙에는 종동롤러(40)의 세로 접착면(42)에 고정된 절단칼(42a)에 의하여 일렬로 구멍들이 뚫려진 절취선(3c)이 형성됨에 따라 필요한 봉지 수 만큼 절취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면 환자는 절취선을 따라 한 봉지씩 절취하여 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지대(20)에 힌지(22) 결합된 덮개(21)가 열려지도록 하여 구동롤러(30)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역삼각형의 접힘부재(62)를 통해 반으로 접혀진 포장지(3)를 노출된 구동롤러(30)에 접촉하여 그 폭을 맞추어 주면서 포장지(3)의 선단이 당김롤러(23a)(23b)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 후 덮개(21)를 닫아 클램프(21a)가 걸림구(20a)에 걸려지도록 하여 덮개(21)를 지지대(20)에 고정시키면 매우 간편하게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에 포장지(3)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열된 구동롤러(30)에 의하여 화상을 당하거나 작업자의 손이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약포장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스(1) 상부에 구비된 수납홈(10)들에 담겨진 알약(4)들이 그 하부에 장착된 호퍼(11)에 낙하되어 반으로 접혀서 이동되는 포장지(3)의 내부에 투입되고, 히터가 장치된 원통형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들 사이를 통과시키면 포장지(3)의 상부에 가로 접합부(3a)가 연속 형성되면서 세로 접합부(3b)가 일정간격을 이루어 열 접착되며, 일측 롤러에 장착된 뾰족한 절단칼(42a)에 의하여 세로 접합부(3b)의 중앙에 절취선(3c)이 형성되어 포장이 완료된 후 케이스(1)의 하부 배출구(2)를 통해 배출되는 약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1)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20)에는 구동롤러(30)가 축설되어 구동모터(50)와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되고, 지지대(20)에 힌지(22)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21)에는 종동롤러(40)가 축설되어 덮개(21)를 닫으면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기어(51)들로 치합되어 회전되며, 덮개(21) 외측에 장착된 클램프(21a)가 지지대(20)의 걸림구(20a)에 걸려져 덮개(21)가 지지대(20)에 고정되고, 지지대(20)의 일측 릴(60)에 감겨진 포장지(3)가 역삼각형의 접힘부재(62)를 통해 반으로 접혀져 지지대(20)의 구동롤러(30)에 놓여지면 덮개(21)를 닫아 포장지(3)가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4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구동롤러(30) 하부에는 한쌍의 당김롤러(23a)(23b)들이 축설되고, 당김롤러(23a)(23b)들은 기어(51)들로 치합되어 서로 마주보며 회전되면서 접합이 완료된 포장지(3)의 일측을 잡아당겨 포장지(3)가 릴(60)에서 연속으로 풀려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3. 삭제
KR1020030084405A 2003-11-26 2003-11-26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KR10054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05A KR100542155B1 (ko) 2003-11-26 2003-11-26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05A KR100542155B1 (ko) 2003-11-26 2003-11-26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75A KR20050050775A (ko) 2005-06-01
KR100542155B1 true KR100542155B1 (ko) 2006-01-11

Family

ID=3866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405A KR100542155B1 (ko) 2003-11-26 2003-11-26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13B1 (ko) 2006-02-27 2007-11-02 하영교 포장장치
KR20130038762A (ko) * 2011-10-10 2013-04-18 (주)제이브이엠 약품 포장기의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73B1 (ko) * 2005-12-27 2007-10-26 하영교 압착식 포장장치
KR100941913B1 (ko) * 2007-06-26 2010-02-11 노한래 절취선 생성장치가 구비된 진공포장장치
KR20170092060A (ko) * 2016-02-02 2017-08-10 (주)크레템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KR102257186B1 (ko) * 2018-10-19 2021-05-27 이춘우 고형물을 포장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13B1 (ko) 2006-02-27 2007-11-02 하영교 포장장치
KR20130038762A (ko) * 2011-10-10 2013-04-18 (주)제이브이엠 약품 포장기의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75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537B2 (en) Medicine packaging machine
US5819500A (en) Medication packaging apparatus
KR200213196Y1 (ko) 정제자동분포기용 약제호퍼 개폐장치.
KR101046505B1 (ko) 약제 포장기
US20020134057A1 (en) Solid preparation packaging device, and solid preparation packaging paper roll
KR100542155B1 (ko) 약 자동포장기의 포장지 실링장치
JP6839830B2 (ja) 包装装置
JP2010083538A (ja) 薬剤包装機
JP4897750B2 (ja) 薬剤包装機、薬包紙及び分包袋
JP4211970B2 (ja) 薬包紙
JPH10118159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JP3981098B2 (ja) 食品の包装方法及び包装装置
JP2004089235A (ja) 固形製剤包装装置及び固形製剤用包装紙ロール
JP5410913B2 (ja) 製袋充填装置
KR102286533B1 (ko) 약포 검사장치
JP7039073B2 (ja) 包装装置
JP2001072003A (ja) 固形製剤包装装置及び固形製剤包装用包装紙
KR200179161Y1 (ko) 조제약 자동 포장장치
JP2004209841A (ja) 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へのスライダ−装着方法及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袋体
KR102257372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용 최종 호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H0848301A (ja) 充填包装方法とその装置
KR20130038762A (ko) 약품 포장기의 배출장치
CN115924352A (zh) 垃圾自动处理系统
CN211732011U (zh) 一种压膜热封装置及包装机
JPH0840414A (ja) 野菜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