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892B1 -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프린터 - Google Patents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892B1
KR100541892B1 KR1020010021228A KR20010021228A KR100541892B1 KR 100541892 B1 KR100541892 B1 KR 100541892B1 KR 1020010021228 A KR1020010021228 A KR 1020010021228A KR 20010021228 A KR20010021228 A KR 20010021228A KR 100541892 B1 KR100541892 B1 KR 10054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oll paper
side wall
partition member
conta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762A (ko
Inventor
야마다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는 프린터. 프린터(1)는 롤페이퍼 홀더(4) 및 구획 부재(7)를 포함한다. 롤페이퍼 홀더(4)는 제 1 접촉바닥부(42) 및 제 2 접촉바닥부(41)를 갖는 바닥벽(4a), 제 1 접촉측벽(4c), 및 제 2 접촉측벽(4b)을 포함하고, 측벽들은 실질상 서로 평행하다. 구획 부재(7)는 제 1 접촉측벽(4c)과 제 2 접촉측벽(4b)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제 3 접촉측벽(71), 소정의 탄력으로 바닥벽(4a)과 탄성접촉하고 맞물림에 의해 바닥벽에 멈춰질 수 있는 제 3 접촉바닥부(72), 및 제 2 접촉측벽(4b)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7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프린터{PRINTER THAT ACCOMMODATES ROLLED PAPER HAVING VARIOUS WIDTH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롤페이퍼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롤페이퍼 커버가 열린 상태의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롤페이퍼 커버가 닫힌 상태의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페이퍼 홀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롤페이퍼 홀더에 장착된 구획 부재의 사시도;
도 6a는 제 2 접촉측에서 본 구획 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구획 부재의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구획 부재의 단면에서 본 구획 부재의 장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는 구획 부재의 폭 방향에서 본 구획 부재의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b는 구획 부재와 롤페이퍼 홀더 사이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롤페이퍼 기록지 등에 감열식으로 인쇄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폭이 다른 롤페이퍼를 지지할 수 있는 롤페이퍼 홀더를 가진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프린터는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상자모양의 롤페이퍼 홀더를 포함한다. 기록지는 이송경로를 따라서 롤페이퍼 홀더에서 공급된다.
종래기술의 롤페이퍼 홀더는 소정의 폭을 가진 롤페이퍼를 수용하기위한 크기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종종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폭의 롤페이퍼를 쓸 필요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롤페이퍼 홀더가 폭이 다른 롤페이퍼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 구획 부재는 롤페이퍼 홀더 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고 그로인해 기록지 홀더 내의 요구 크기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프린터에서는, 구획 부재가 롤페이퍼 홀더 내에 장착되면, 종종 구획 부재가 롤페이퍼 홀더의 바닥 위로 뜨는 상태로 되거나, 롤페이퍼 홀더의 측벽들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프린터는 다음의 문제점들이 있다. 롤페이퍼에서 풀려나온 기록지는 구획 부재와 롤페이퍼 홀더 사이에 형성된 틈에 걸린다. 또한, 롤페이퍼의 측면이 기울어진 구획 부재에 접촉하게 되어, 풀려나온 기록지도 또한 기울어진다. 단지 구획 부재만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프린터는, 구획 부재가 롤페이퍼를 붙잡는데 사용되면, 구획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같은 상태로 롤페이퍼 홀더가 롤페이퍼를 지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폭이 다른 롤페이퍼를 안정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롤페이퍼 홀더를 가진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위해, 프린터는 다음을 구비한다:
롤페이퍼에서 풀려나온 기록지에 문자를 인쇄하는 인쇄기구;
제 1 롤페이퍼의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 1 롤페이퍼를 지지하는 제 1 접촉바닥부와 제 2 접촉바닥부를 가지는 바닥벽, 및 이 바닥벽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거의 평행하며 상기 제 1 롤페이퍼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제 1 접촉측벽과 제 2 접촉측벽을 포함하는 롤페이퍼 홀더;
상기 롤페이퍼 홀더의 상기 제 1 접촉측벽과 상기 제 2 접촉측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 1 롤페이퍼보다 좁은 폭의 제 2 롤페이퍼와 접촉할 수 있는 제 3 접촉측벽 및 상기 제 3 접촉측벽에 거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3 접촉바닥부를 포함하는 구획 부재; 및
상기 제 1 접촉측벽과 상기 제 3 접촉측벽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면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롤페이퍼 홀더에 장착될 수 있도록하는 연결 기구.
이와같이 구성된 프린터에서, 구획 부재는 제 3 접촉측벽 및 제 3 접촉바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획 부재가 롤페이퍼 홀더에 장착되면, 롤페이퍼 홀더의 바닥부에 세워지고, 제 3 접촉측벽과 제 3 접촉바닥부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프린터에서 롤페이퍼에서 풀려나온 기록지가 틈에 걸리는 문제가 해결된다. 제 3 접촉측벽와 제 3 접촉바닥부에 대해, 롤페이퍼의 외부면은 동일한 상태로 수용된다.
프린터에서, 연결 기구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제 2 롤페이퍼 또는 상기 제 2 롤페이퍼보다 폭이 좁은 제 3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3 접촉측벽 사이에서 여러 공간 간격중 한 곳에 선택적으로 공간 간격을 확보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획 부재는 롤페이퍼 홀더 내의 여러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롤페이퍼 홀더는 단지 하나의 구획 부재를 사용하여 복수형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도록 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구획 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접촉바닥부의 탄성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는 상기 제 3 접촉측벽에서 부분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탄성접촉부에 맞물림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페이퍼 홀더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롤페이퍼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맞물림 고리와 접촉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획 부재의 제 3 접촉바닥부의 탄성접촉부는 롤페이퍼 홀더와 탄력있게 맞물린다. 따라서, 단지 구획 부재를 밀어넣는것 만으로 구획 부재가 롤페이퍼 홀더 안에 손쉽게 들어갈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의 제 3 접촉바닥부는 롤페이퍼 홀더와 가깝게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또한, 연결 기구는 롤페이퍼 홀더의 제 2 접촉측벽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결합된 구획 부재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그러한 기계적인 배치는 구획 부재의 자세를 고정시키고 구획 부재의 용이한 장착을 확보하는데 바람직하다.
구획 부재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로인해, 이용자는 투명 부재를 통해 맞물린 위치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롤페이퍼 홀더 안에 구획 부재를 삽입할 때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구획 부재는 바람직하게, 폭방향이동 접촉부가 제 1 접촉측벽에 평행한 안내면과 접촉할 때 제 1 및 제 3 접촉측벽 사이에 소정의 폭을 확보하는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제 2 접촉측벽상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폭방향이동 접촉부가 안내면에 접촉하는 동안 구획 부재가 롤페이퍼 홀더 안에 장착되면, 구획 부재는 제 2 롤페이퍼 또는 제 3 롤페이퍼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효율증가에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와 제 2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3 바닥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3 접촉측벽의 측면에 형성되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2 접촉측벽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 2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3 접촉측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제 3 접촉측벽에서 손쉽게 분리시키기위해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제 3 접촉측벽 부근에 형성된 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러저러한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자명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 참조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프린터의 롤페이퍼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롤페이퍼 커버가 열린 상태의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롤페이퍼 커버가 닫힌 상태의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획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실시예의 롤페이퍼 홀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롤페이퍼 홀더에 장착된 구획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로 지정된 프린터는 개구부와 본체 케이스의 개구부를 닫는 롤페이퍼 커버(3)를 가진 본체 케이스(2)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2) 및 롤페이퍼 커버(3)는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본체 케이스(2)는 직사각형의 바닥과 바닥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벽을 가진 입방형의 형태를 취한다. 롤페이퍼 커버(3)는 직사각형 판의 형태를 취한다.
실시예의 프린터(1)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프린터(1)는 수평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있다. 도면에서, 본체 케이스(2)의 바닥면은, 프린터(1)가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때, 제 1 설치부(2a)라 칭한다. 이러한 프린터 설치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의 전면(도 1에서 오른쪽면)에 대응하는 본체 케이스(2)의 벽 부위는, 전면부(2b)라 칭할 것이다. 프린터(1)가 수직으로 설치될 때 후면벽이 본체 케이스의 바닥으로 되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2)의 후면 벽 부위는 제 2 설치부(2c)라 칭할 것이다.
이러한 프린터 설치 상태에서, 왼쪽(도 1에서 본체 케이스(2)를 전면부에서 봤을 때)의 벽 부위는 제 1 측벽(2e)이라 칭할 것이다. 본체 케이스(2)의 오른쪽(도 1에서 본체 케이스(2)를 전면부에서 봤을 때)의 벽 부위는 제 2 측벽(2d)이라 칭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편의상, 상부, 하부, 전, 및 후와 같은 방향을 표현하는 단어가, 본체 케이스(2)가 제 1 설치부(2a)를 바닥면으로 위치한 프린터(1)를 참조하여 사용될 것이다.
도 1 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페이퍼 홀더(4)는, 롤페이퍼(S)를 수용하기위해, 본체 케이스(2)안에 구비된다. 롤페이퍼 홀더(4)는 수지로 만들어지고, 상자 모양이며, 바닥벽(4a)과 측벽(4b, 4c)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들 중에서, 제 1 측벽(2e)에 면하고 있는 측벽은 제 1 접촉측벽(4c)이라 칭할 것이다. 본체 케이스(2)의 제 2 측벽(2d)에 면하고 있는 측벽은 제 2 접촉측벽(4b)이라 칭할 것이다.
도 4b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페이퍼 홀더(4)의 바닥벽(4a)은, 소 정의 롤페이퍼 폭(W1)(예를들면 80mm)보다 폭이 약간 넓은 오목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있다.
제 2 접촉측벽(4b)에 가까워지는 바닥벽(4a)의 단부에서, 소정의 폭(L)(도 8a 참조)을 가진 제 2 접촉바닥부(41)는 롤페이퍼(S)의 외부면(S1)의 일단과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제 2 접촉바닥부(41)는 전방접촉부(41a), 하부접촉부(41b), 및 후방접촉부(41c)를 포함한다. 전방접촉부(41a)는 제 2 접촉바닥부(41)부터 바닥의 중간지점까지의 범위에 이르고,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져 있다. 하부접촉부(41b)는 연속적이고, 조금 내리막이며, 전방접촉부(41a)의 일단으로부터 확장되어있다. 후방접촉부(41c)는 롤페이퍼 홀더(4)의 후방상부면으로부터, 하부접촉부(41b)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위치까지 내리막으로 확장되어있다.
제 1 접촉측벽(4c)에 가까워지는 바닥벽(4a)의 단부에서, 제 2 접촉바닥부(41)(도 8a 참조)의 폭과 같은 폭(L)을 가진 제 1 접촉바닥부(42)는, 롤페이퍼(S)의 외부표면(S1)의 다른 한쪽의 일단과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 1 접촉바닥부(42)는 전방, 하부, 및 후방 접촉부(42a, 42b, 42c)를 포함하고, 그 접촉부들은 실제로 제 2 접촉바닥부(41)의 전방, 하부, 및 후방 접촉부(41a, 41b, 41c)와 동일한 모양이며, 롤페이퍼 홀더(4)의 바닥벽(4a)의 주변 방향에서 봤을 때 제 2 접촉바닥부(41)의 전방, 하부, 및 후방 접촉부(41a, 41b, 41c)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작은 직경의 롤페이퍼(S)를 수용하거나 또는 롤페이퍼(S)의 코어(도시 안됨)를 수용하는 홈(43)은 제 1 및 제 2 접촉바닥부(42 ,41)의 하부접촉부(42b, 41b)와 후방접촉부(42c, 41c)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롤페이퍼 홀더(4)의 바닥벽(4a)에 포함되어 있다.
롤페이퍼(S)가 롤페이퍼 홀더(4)에 구비되고 그로부터 분배되면, 롤페이퍼(S)는 되감아져, 거꾸로 구르고 후방접촉부(42c, 41c) 및 하부접촉부(42b, 41b)에 의해 수용된다.
롤페이퍼(S)의 직경이 작고, 기록지(S5)가 라인감열식 프린터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면, 간혹 롤페이퍼(S)가 페이퍼 이송 방향의 하부접촉부(42b, 41b)로 이동한다. 즉, 롤페이퍼(S)가 되감기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롤페이퍼(S)는 전방접촉부(42a, 41a)와 접촉하고, 그리고나서 되감기며 회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페이퍼의 잔존량이 적은지 감지하는 잔존페이퍼 감지기(44)는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측벽(4c)에 구비된다. 잔존페이퍼 감지기(44)는 프린터(1)의 수평설치 또는 수직설치에 따라 프린터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바닥부(42)와 제 2 접촉바닥부(41) 사이에 제 1 바닥부(45) 및 제 2 바닥부(46)가 구비되어, 롤페이퍼(S)와 접촉하는 것을 막기위해 제 1 바닥부(45) 및 제 2 바닥부(46)는 그것들이 제 1 접촉바닥부(42)와 제 2 접촉바닥부(41)보다 낮아지게 된다.
제 1 바닥부(45)는 제 2 접촉바닥부(41)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제 1 접촉바닥부(42) 및 제 2 접촉바닥부(41)의 바닥부보다 좁다. 전방접촉부(41a)와 후방접촉부(41c)의 측면(41a1, 41c1)은 제 1 접촉측벽(4c)과 제 2 접 촉측벽(4b)에 평행하게 형성되어있다.
홈(43)의 후방부는 뚫려있고, 그곳에 맞물림 에지(45b)가 구비되어 있다(도 7 참조). 구획 부재(7)의 맞물림 턱(78)(추후설명)은 맞물림 에지부(45b)를 맞물리게 한다. 구비된 홈(43)에는 개구부의 부근에 구획 부재(7)를 폭 방향으로 포지셔닝하기위해 구획 부재(7)를 맞물리게 하는 포지셔닝 돌출부(43a)가 있다.
제 2 바닥부(46)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제 1 바닥부(45)와 제 1 접촉바닥부(42)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바닥부(46)는 전방, 하부, 및 후방접촉부(46a, 46b, 46c)를 포함하고, 그것은 실제로 제 1 및 제 2 접촉바닥부(42, 41)의 전방, 하부, 및 후방접촉부(42a, 41a, 42b, 42c, 41b, 41c, 및 42c, 41c)와 동일한 형태이지만, 소정의 두께로 된 제 1 및 제 2 접촉바닥부(42, 41)의 전방, 하부, 및 후방접촉부(42a, 41a, 42b, 42c, 41b, 41c, 및 42c, 41c)보다 폭이 좁다. 결국, 제 2 바닥부(46)와 제 1 바닥부(42)는 소정의 깊이로 계단식으로 병치되어 있다.
제 1 접촉측벽(4c) 및 제 2 접촉측벽(4b)은 반원형 판이고,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며 롤페이퍼(S)의 측벽에 접하도록 되어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에 사용되는 딥 스위치(5)는 본체 케이스(2)의 제 2 측벽(2d)과 롤페이퍼 홀더(4)의 제 2 접촉측벽(4b)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딥 스위치(5)보다 더 큰 크기의 오목부(40b)는 롤페이퍼 홀더(4)의 제 2 접촉측벽(4b)에 구비되어 있다.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부재(6)가 바닥벽(4a)의 첨단에 구비되어 있어서 인장 부재(6)가 롤페이퍼 홀더(4)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되게 한 다.
이제 도 4a 및 도 6∼도 8을 참조하여 구획 부재를 설명한다. 도 6a는 제 2 접촉면에서 본 구획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폭방향이동 접촉부(75)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구획 부재의 단면에서 본 구획 부재의 장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구획 부재의 폭 방향에서 본 장착된 구획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1)는 롤페이퍼 홀더(4)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구획 부재(7)를 포함한다. 구획 부재(7)는 폴리 탄산 에스테르와 같은 수지로 만들어지고, 제 3 접촉측벽(71), 제 3 접촉바닥부(72), 및 연결부(73)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접촉측벽(71)은 반원형 판을 포함한다. 롤페이퍼 홀더(4)의 제 2 접촉측벽(4b)과 유사한 형태의 오목부(71a)는 소정의 위치에 제 3 접촉측벽(71)에 구비되어 있다. 고리형 부위(71b)는 제 3 접촉측벽(71)의 첨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부재(6)는 고리형 부위(71b)가 삽입되는 홈(6a)을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접촉바닥부(72)는 스트립같은 형태이고, 제 3 접촉측벽(71)의 주위 에지로부터 제 3 접촉측벽(7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제 3 접촉바닥부(72)의 폭은 제 2 접촉바닥부(41)의 폭과 같다.
제 3 접촉바닥부(72)의 내부면은 제 2 접촉바닥부(41)와 유사한 형태이다. 즉, 제 3 접촉바닥부(72)는 전방접촉부(탄성접촉부)(72a), 하부접촉부(72b), 및 후방접촉부(72c)를 포함한다. 전방접촉부(72a)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져 있다. 하부접촉부(72b)는 평판형이고, 전방접촉부의 일단에 이어져 있지만 조금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후방접촉부(72c)는 평판형이고, 하부접촉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거리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위치까지 확장되어있고, 후방상부면에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 3 바닥부(72) 각부의 두께는, 제 3 접촉바닥부(72)가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바닥부(45)에 접촉할 때 제 3 접촉바닥부(72)의 상부면 및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바닥부(42)가 서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선택되어, 제 3 접촉바닥부(72) 및 제 1 접촉바닥부(42)가 롤페이퍼(S3)의 외부면(S1)의 양단에 접촉하게 된다.
홈(72a1)은 전방접촉부(72a)가 제 3 접촉측벽(71)에서 분리되도록 전방접촉부(72a)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홈(72a1)은 전방접촉부(72a)를 탄력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맞물림 고리(72a2)는 전방접촉부(72a)의 일단에 형성되어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45a)는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바닥부(45)의 전단에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45a)는 구획부재(7)의 전방접촉부(72a)의 맞물림 고리(72a2)에 맞물리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73)는 소정의 크기의 직각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1a)의 바닥부(71a1)를 포함하는 연결부(73)는 제 3 접촉측벽(71)에 직교되게 확장되어 있다. 연결부(73)는 제 3 접촉바닥부(72)에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연결부(73)의 일단부는 롤페이퍼 홀더(4)의 오목부(40b)의 바닥부에 맞물리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74)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연결부(73)의 에지에 가까 운 곳에 형성된다. 각각의 맞물림부는 구멍의 중심이 서로 폭(W)을 두고 위치하여 구멍(4a, 74b)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원형 구멍(74a, 74b)을 포함한다.
하부 포지셔닝 부위는 후방접촉부(72c)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포지셔닝 부위는 서로 동일한 폭(W)을 두고 나뉘어진 두 개의 V형 홈(77a, 77b)을 포함한다(도 8a, 도 8b 참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턱(78)은 후방접촉부(72c)의 후방 쪽에 있고, 후방접촉부(72c)의 폭 전체에 걸쳐 확장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75a, 75b, 75c))는 제 3 접촉바닥부(72)에 마주보는 제 3 접촉측벽(7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곳에는 제 2 폭방향이동접촉부(76)가 구비되어 있고, 제 2 폭방향이동접촉부(76)는 각각의 맞물림부(74)상에서 동일한 폭(W)의 거리를 두어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보다 짧다. V형 홈(75d)은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V형 홈(75d)의 설비는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가 제 3 접촉측벽(7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의 첨단(75f)이 그곳에 형성된 V형 홈(75d)을 갖지 않는 쪽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동되면, 응력이 V형 홈(75d)에 집중되고,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가 V형 홈(75d)에서 구부러지며,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의 첨단(75f)이 구획 부재(7)로부터 분리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74)의 원형 구멍(74a, 74b)에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돌출부(47)는 롤페이퍼 홀더(4)의 제 2 접촉측벽(4b)의 오목부(40b)의 바닥부(40b1)에 구비되어 있다. 구획 부재(7)에서, 제 3 접촉측벽(71)이, 약간의 틈이 제 3 접촉측벽(71)과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측벽(4c)의 사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폭(W1)보다 작은 두 개의 폭(W2(예를들면 60mm), W3(예를들면 58mm))을 가지는 롤페이퍼(S)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연결부(73)의 맞물림부(74)가 제 3 접촉측벽(71)에 대해 위치하여, 롤페이퍼 홀더(4)가 스스로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4e, 4d)들은 각각 제 1 접촉측벽(4c) 및 롤페이퍼 홀더(4)의 제 2 접촉측벽(4b)의 후방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a, 3b)들은 각각 롤페이퍼 커버(3)의 후방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다. 지지핀(8)들은 각각 베어링(3a, 3b)들, 롤페이퍼 홀더(4)의 베어링(4d, 4e)들, 및 본체 케이스(2)의 베어링들(도시 안됨)을 통해 삽입되어, 그로인해 롤페이퍼 커버(3)의 힌지(3c)를 형성한다.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감열식 헤드(11)는 롤페이퍼 홀더(4)의 인장 부재(6)와 본체 케이스(20의 전방부(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압반 롤러(12)는 롤페이퍼 커버(3)의 첨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롤페이퍼 커버(3)가 닫히면, 압반 롤러(12)는 라인감열식 헤드(11)와 접촉하게 된다. 라인감열식 헤드(11)와 압반 롤러(12)는 인쇄기구(10)를 형성한다. 압반 롤러(12)는 펄스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된다.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블레이드(51)가 움직이도록 구성된 이동식 블레이드 장치(52)는 라인감열식 헤드(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고정 블레이드(53)는 롤페이퍼 커버(3)의 첨단부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롤페이퍼 커버(3)가 닫히면, 고정 블레이드(53)는 이동식 블레이드(5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동식 블레이드(51)가 그 위에 미끌어진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에서, 폭(W1)의 롤페이퍼(S)가 사용되면, 롤페이퍼(S)는 구획 부재(7)의 이용없이 롤페이퍼 홀더(4)에 수용된다. 이러한 경우, 롤페이퍼(S)는 제 1 접촉바닥부(42) 및 제 2 접촉바닥부(41)에 의해 롤페이퍼의 외부면(S1)의 양단에서 지지된다.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측벽(4c) 및 제 2 접촉측벽(4b)은 롤페이퍼(S)의 양쪽 측면에 접촉되어, 그로인해 횡방향 이동으로부터 롤페이퍼가 접촉한다.
인쇄를 하기위해, 압반 롤러(12)의 회전으로 롤페이퍼(S)가 회전하여 기록지(S5)가 롤페이퍼(S)에서 풀려나온다. 이 때, 외부면(S1), 즉, 기록지의 감열면은 단지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바닥부(42) 및 제 2 접촉바닥부(41)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감열물질로 코팅된 롤페이퍼(S)의 측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폭(W3)의 롤페이퍼가 사용되면, 구획 부재(7)는 롤페이퍼 홀더(4)에 장착된다.
롤페이퍼 홀더(4)에 구획 부재(7)를 장착하는 작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획 부재(7)는 제 2 접촉측벽(4b)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a, 75b, 75b)의 일단면(74e)이 제 2 접촉측벽(4b)과 접촉하게 되는동안 구획 부재(7)의 맞물림 턱(78)이 맞물림 에지부(45b)와 맞물린다. 그리고나서, 구획 부재(7)는 강제적으로 롤페이퍼 홀더(4)의 바닥벽(4a) 안으로 밀어넣어진다. 이 때,제 3 접촉바닥부(72)의 바닥면은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바닥부(45)를 덮는다. 연결부(73)에 대해, 롤페이퍼 홀더(4)의 오목부(40b)의 바닥부(40b1)는 구획 부재(7)의 오목 부(71a)의 바닥부(71a1)와 접촉한다.
그 후, 구획 부재(7)는, 맞물림 고리(72a2)를 롤페이퍼 홀더(4)의 맞물림부(45a)와 맞물리게 하기위해 전방접촉부(72a)의 곡률반경을 줄이도록 강제적으로 밀어넣어진다. 결국, 구획 부재(7)는 제 3 접촉바닥부(72)가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바닥부(45)를 누르는 상태로 롤페이퍼 홀더(4)에 고정된다.
상기 설치 작업 단계를 통해, 하부 포지셔닝 부위(77)의 V형 홈(77b)이 포지셔닝 돌출부(43a)를 지지한다. 연결부(73)의 맞물림부(74)에 대해, 제 3 접촉측벽(71)에서 봤을 때 외부에 위치하는 원형 구멍(74b)은 롤페이퍼 홀더(4)의 제 2 접촉측벽(4b)의 맞물림 돌출부(47)를 지지한다. 구획부재(7)는 수평으로 봤을 때 상부의 두 지점과 하부의 한 지점에 위치한다. 롤페이퍼 커버(3)의 제 3 접촉측벽(71)은 제 1 접촉측벽(4c)과 평행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는 구획부재(7)가 제 2 접촉측벽(4b)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위해 제 2 접촉측벽(4b)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하부 포지셔닝 부위(77)의 V형 홈(77a)은 포지셔닝 돌출부(43a)를 지지할 수 없고, 원형 구멍(74a)은 맞물림 돌출부(47)를 지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롤페이퍼 홀더(4)는, 구획부재(7)를 제 2 접촉측벽(4b)에 대고 눌러서, 단지 구획 부재(7)를 롤페이퍼 홀더(4)안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폭(W3)의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착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그 후, 폭(W3)의 롤페이퍼(S3)는 롤페이퍼 홀더(4)내의 구획 부재(7)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다. 이 경우,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바닥부(42) 및 제 1 접촉측벽(4c)에 의해 지지되는 일단에 마주보도록 위치한 롤페이퍼(S3)의 외부면(S1)의 일단은 구획 부재(7)의 제 3 접촉측벽(72) 및 제 3 접촉측벽(7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롤페이퍼(S3) 및 롤페이퍼에서 풀려나온 기록지는 구획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롤페이퍼 홀더(4) 자체에 의해 지지될 때와 유사한 방법으로 지지된다.
다음으로, 롤페이퍼 홀더(4)가 폭(W3)보다 큰 폭을 가진 폭(W2)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구획 부재(7)의 제 1 가로방향이동접촉부(75a, 75b, 및 75c)는 구획 부재(7)에 형성된 V형 홈(75d)을 갖지않는 쪽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동된다. 그러한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a, 75b, 및 75c)의 이동에 의해,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a, 75b, 및 75c)가 휘어져 구획 부재(7)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구획 부재(7)의 맞물림 턱(78)은 맞물림 에지부(45b)와 맞물리고, 제 2 폭방향이동접촉부(76)의 일단면(76a)은 제 2 접촉측벽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구획 부재(7)는 롤페이퍼 홀더(4)의 바닥벽(4a) 쪽으로 밀린다. 장착 작업의 다음 절차는 롤페이퍼 홀더가 폭(W3)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도록 장착하는 경우와 실질상 동일하다.
장착 작업의 상기 단계를 통해, 구획 부재(7)는 제 2 폭방향이동접촉부재(76)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구획 부재(7)는,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재(75)에 의해 안내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장착 폭(W)의 거리를 두고 제 2 접촉측벽(4b) 부근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포지셔닝 돌출부(43a)는 하부 포지셔닝 부위(77)의 V형 홈(77a)과 맞물린다. 결국, 롤페이퍼 홀더(4)는 폭(W2)의 롤페이퍼 를 수용하도록 된다.
상기 설명에 따라, 이 경우, 구획 부재(7)의 제 3 접촉측벽(71)은 롤페이퍼 홀더(4)의 제 1 접촉측벽(4c)과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위치된다. 제 3 접촉바닥부(72)(제 2 접촉바닥부(41)와 유사)는 제 1 접촉바닥부(42)와 함께 롤페이퍼의 외부면(S1)을 지지한다. 따라서, 롤페이퍼의 가장 바깥쪽 페이퍼가 풀어지면, 구획부재의 접촉바닥부와 접촉측벽 사이에 틈이 없기 때문에, 기록지가 끼이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롤페이퍼 홀더(4)는, 구획 부재(7)를 이용하든안하든 다양한 폭(W1, W2, W3)을 갖는 롤페이퍼를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 3 접촉바닥부(72)의 전방접촉부(72a)는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롤페이퍼 홀더(4)와 맞물린다. 따라서, 구획 부재(7)는 단지 구획부재(7)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롤페이퍼 홀더(4)에 장착될 수있다. 이러한 탄성력으로, 구획 부재(7)는 롤페이퍼 홀더(4)에 대해 눌려지는 동안 롤페이퍼 홀더(4)에 확실하게 설치된다. 구획 부재(7)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의 끝을 맞물림 고리(72a2)가 맞물림부(45a)에 맞물려진 곳에 적용시켜 이들 부분이 서로 풀어지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구획 부재(7)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구획부재(7)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구획 부재(7)는 롤페이퍼 홀더(4)의 여러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페이퍼 홀더(4)는 하나의 구획 부재(7)를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7)는 투명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져온다.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a, 75b, 75c)를 구부리고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a, 75b, 75c)를 구획 부재(7)에서 제거하여, 롤페이퍼 홀더가 폭(W2)의 롤페이퍼를 장착하고, 그리고나서 롤페이퍼 홀더가 폭(W3)의 롤페이퍼를 장착하는 경우에, V형 홈(77b)을 포지셔닝 돌출부(43a)와 맞물리게 하고, 맞물림부(74)의 원형 구멍(74b)을 맞물림 돌출부(47)와 맞물리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이들 부분들의 맞물림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구획 부재(7)의 맞물림부(74)는 구획 부재의 두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 필요하다면, 그들 맞물림부는(74) 구획부재의 세 개이상의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롤페이퍼 홀더(4)가 수용할 수 있는 롤페이퍼 형태의 수가 늘어날 수 있다.
폭(W3)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도록 구획부재(7)를 롤페이퍼 홀더에 장착하기 위해, 제 1 폭방향이동접촉부(75)는 제 2 접촉측벽(4b)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 2 접촉바닥부(41)의 측면들(41a1, 41c1)이 안내면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폭(W2)의 롤페이퍼를 롤페이퍼 홀더(4)에 장착하기 위해, 제 2 접촉바닥부(41)가 제 3 접촉바닥부(72)와 마주보는 제 3 접촉측벽의 측면과 접촉된다. 제 4의 폭(W4)의 롤페이퍼용 롤페이퍼 홀더(4)를 장착하기 위해, 제 3 접촉바닥부(72)의 측면들(72c1, 72a3)은 제 2 바닥부(46)의 측면들(46a1, 46c1)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따라, 롤페이퍼 홀더는 롤페이퍼 홀더에 롤페이퍼를 장착하는데 쓰는 구획 부재의 이용여부에 관계없이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안정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획 부재의 제 3 접촉바닥부는 롤페이퍼 홀더와 탄력있게 맞물린다. 따라서, 단지 구획 부재를 롤페이퍼 홀더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는 롤페이퍼 홀더에 접촉하기 위해 여러 지점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롤페이퍼 홀더와 단지 하나의 구획 부재만으로 여러 형태의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롤페이퍼에서 풀려나온 기록지에 문자를 인쇄하는 인쇄기구;
    제 1 롤페이퍼의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 1 롤페이퍼를 지지하는 제 1 접촉바닥부와 제 2 접촉바닥부를 가지는 바닥벽, 및 이 바닥벽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로 거의 평행하며 상기 제 1 롤페이퍼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제 1 접촉측벽과 제 2 접촉측벽을 포함하는 롤페이퍼 홀더;
    상기 롤페이퍼 홀더의 상기 제 1 접촉측벽과 상기 제 2 접촉측벽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 1 롤페이퍼보다 좁은 폭의 제 2 롤페이퍼와 접촉할 수 있는 제 3 접촉측벽 및 상기 제 3 접촉측벽에 거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제 3 접촉바닥부를 포함하는 구획 부재; 및
    상기 제 1 접촉측벽과 상기 제 3 접촉측벽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면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롤페이퍼 홀더에 장착될 수 있도록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제 2 롤페이퍼 또는 상기 제 2 롤페이퍼보다 폭이 좁은 제 3 롤페이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3 접촉측벽 사이에서 여러 공간 간격중 한 곳에 선택적으로 공간 간격을 확보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구획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접촉바닥부의 탄성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촉부는 상기 제 3 접촉측벽에서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탄성접촉부에 맞물림 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페이퍼 홀더는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롤페이퍼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맞물림 고리와 접촉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롤페이퍼 홀더의 제 2 접촉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구획 부재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롤페이퍼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구멍이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가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제 1 접촉측벽에 평행한 안내면과 접촉할 때 제 1 및 제 3 접촉측벽 사이에 소정의 폭을 확보하는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제 2 접촉측벽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와 제 2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3 바닥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3 접촉측벽의 측면에 형성되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2 접촉측벽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 2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3 접촉측벽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는 상기 제 3 접촉측벽 부근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그로인해 상기 제 1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제 3 접촉측벽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제 1 접촉측벽에 평행한 안내면과 접촉할 때 제 1 및 제 3 접촉측벽 사이에 소정의 폭을 확보하는 폭방향이동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제 2 접촉측벽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10021228A 2000-04-19 2001-04-19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프린터 KR100541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8145 2000-04-19
JP2000118145 2000-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762A KR20010098762A (ko) 2001-11-08
KR100541892B1 true KR100541892B1 (ko) 2006-01-10

Family

ID=1862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228A KR100541892B1 (ko) 2000-04-19 2001-04-19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65273B2 (ko)
EP (1) EP1147909B1 (ko)
KR (1) KR100541892B1 (ko)
CN (1) CN100418785C (ko)
DE (1) DE60100868T2 (ko)
ES (1) ES2208491T3 (ko)
HK (1) HK1040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358A (ja) * 1999-11-19 200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
KR100371002B1 (ko) * 2000-04-22 2003-02-05 프로우틴 테크놀로지스 인터내쇼날 인크. 저점성 고강도 겔의 단백질-전분 조성물, 이 조성물을포함하는 육류 에멀션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4006982B2 (ja) * 2001-11-16 2007-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ユニット
JP4374873B2 (ja) * 2003-03-10 2009-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US6910819B2 (en) * 2003-08-12 2005-06-28 Brady Worldwide, Inc. Printer cartridge
JP4333367B2 (ja) * 2004-01-06 2009-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シートホルダ及びテープ印刷装置
EP1948443A2 (en) * 2005-09-15 2008-07-30 Kabushiki Kaisha Sato Label application device
US7828490B2 (en) * 2006-05-31 2010-11-0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holding a thermal head and a platen roller on a hinged frame
US7914218B2 (en) * 2006-06-29 2011-03-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hermal printer and printing device
JP4507000B2 (ja) * 2007-07-31 2010-07-2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電子機器
US7785025B2 (en) * 2007-08-30 2010-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 of sale printer including an automated cover opening apparatus
JP5589376B2 (ja) * 2009-12-21 2014-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バーユニットおよびプリンター
US9315054B2 (en) * 2013-09-27 2016-04-19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elf-adjusting paper bucket for a printer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lf-adjusting paper bucket
JP2019038196A (ja) * 2017-08-25 2019-03-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US10974925B2 (en) 2018-12-14 2021-04-13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pindle assembly for a printer for accommodating paper rolls of different siz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6230A (en) * 1967-04-13 1969-11-04 Hunter Enterprises Inc Paper roll carrier for use with typewriter carriage
JPH04133647U (ja) * 1991-05-28 1992-12-11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ル紙収納装置
JPH0532350U (ja) * 1991-10-03 1993-04-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ル記録紙収納装置とそれに用いるガイド板
JPH0676243U (ja) * 1993-02-27 1994-10-28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ル紙ホルダの取付構造
JPH10181130A (ja) * 1996-12-26 1998-07-07 Tec Corp 携帯型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4764Y2 (ko) 1977-04-21 1982-05-28
JPS6352851A (ja) 1986-08-21 1988-03-07 Mitsubishi Acetate Co Ltd 食品用ゲル状組成物
JPH02137356A (ja) 1988-11-18 1990-05-25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H0429868A (ja) 1990-05-25 1992-01-31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3090678B2 (ja) 1990-09-25 2000-09-25 ヤン タイ‐ハー 移動ブラッシ型交直流サーボ追逐歩進モータ
JPH0532350A (ja) 1991-07-30 1993-02-09 Toshiba Corp 用紙搬送装置
JPH09267955A (ja) * 1996-03-29 1997-10-14 Nec Eng Ltd ロール記録感材用マガジン
DE69705353T2 (de) * 1996-04-29 2002-04-25 Hewlett Packard Co Einstellbare Spindelantriebsanordnung für Medienförderung mittels Rollen in einem Tintenstrahldrucker/plotter
JP3354437B2 (ja) * 1997-05-15 2002-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ル紙の紙送り機構
US6065884A (en) * 1997-10-14 2000-05-23 Powis Parker, Inc. Binder strip printer and method
JP2000044099A (ja) * 1998-07-28 2000-02-1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6230A (en) * 1967-04-13 1969-11-04 Hunter Enterprises Inc Paper roll carrier for use with typewriter carriage
JPH04133647U (ja) * 1991-05-28 1992-12-11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ル紙収納装置
JPH0532350U (ja) * 1991-10-03 1993-04-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ル記録紙収納装置とそれに用いるガイド板
JPH0676243U (ja) * 1993-02-27 1994-10-28 村田機械株式会社 ロール紙ホルダの取付構造
JPH10181130A (ja) * 1996-12-26 1998-07-07 Tec Corp 携帯型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0868T2 (de) 2004-05-06
US20020021930A1 (en) 2002-02-21
CN1321582A (zh) 2001-11-14
EP1147909A3 (en) 2002-03-20
KR20010098762A (ko) 2001-11-08
US6565273B2 (en) 2003-05-20
EP1147909A2 (en) 2001-10-24
HK1040673A1 (zh) 2002-06-21
CN100418785C (zh) 2008-09-17
DE60100868D1 (de) 2003-11-06
ES2208491T3 (es) 2004-06-16
EP1147909B1 (en)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892B1 (ko) 다양한 폭의 롤페이퍼를 수용하는 프린터
EP1084852B1 (en) Cassette and detecting device for installation thereof
US6431492B1 (en) Integrated adjustable core support and medium guide device
KR100255738B1 (ko) 태블릿 입력 장치의 입력 펜 수납 기구
CN101054030B (zh) 卷筒带保持器
JPH0316275B2 (ko)
US4463918A (en)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KR100250236B1 (ko) 부품 유지체
US7151555B2 (en) Cassette for a thermal transfer sheet
JP4710162B2 (ja) プリンタ
JP3885348B2 (ja) 印判製造装置
EP0580401B1 (en) Ink jet printer
JPH0523342Y2 (ko)
JP4183309B2 (ja) プリンタ
JP7385249B2 (ja) スロットカバー
KR19990088336A (ko) 디스크카트리지를수납하기위한케이스
CH654552A5 (fr) Cassette pou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feuilles.
JPH0650210Y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2602093Y2 (ja) 記録材収納カセット
JPS5917643Y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JP4666561B2 (ja) スタッカ付き印刷装置置台
KR200151067Y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JPH0224726Y2 (ko)
JP2501132B2 (ja) 用紙挿入装置
JP2789812B2 (ja) カセットホルダー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