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421B1 -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421B1
KR100541421B1 KR1020050018268A KR20050018268A KR100541421B1 KR 100541421 B1 KR100541421 B1 KR 100541421B1 KR 1020050018268 A KR1020050018268 A KR 1020050018268A KR 20050018268 A KR20050018268 A KR 20050018268A KR 100541421 B1 KR100541421 B1 KR 10054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substituted aromatic
cyclopentadiene
aromatic compoun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니시무라
다쓰야 가와무라
도요조 후지오카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0625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516215B1/ko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2/00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 C08F232/08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having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2/00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 C08F232/02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having no condensed rings
    • C08F232/06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having no condensed ring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4Hydrogenation of a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로서, 연화점 60∼13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30∼90중량%, 브롬가 30∼9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Mw/Mn)비 2.5 이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상기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공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은 점착제와 접착제의 제조에 유용한 원료이다.

Description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HYDROGENATED PRODUCT OF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발명의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 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 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5 발명의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7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9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첨가물,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분자량분포, 즉 중량평균분자량(이하 Mw라 약기한다)/수평균분자량(이하 Mn이라 약기한다)비를 감소시킨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첨가물,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이하 '(디)시클로펜타디엔' 이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중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접착제, 점착제, 도료 등의 기초재료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중합체는 종래에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을 크실렌 등의 용매에 혼합하여 공중합시키는 방법(일본국 특공소 61-1442호공보)에 의해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Mw/Mn)비가 5를 초과하는 넓은 분자량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공중합체는 용융점도가 극히 높다.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배합하여 핫멜트 점착제나 접착제를 조제하면 작업성이 나빠져 불리하다.
종래 방법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크실렌 등의 용매에 (디)시 클로펜타디엔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분할하여) 점적 방식으로 첨가함으로써 열중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본국 특공평 7-88412호 공보).
이 방법에 의하면 용매에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열중합한 경우보다 분자량분포를 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는 Mw/Mn비가 5 이하로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은 공중합체의 것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실시예에 기재한 것과 같이 Mw/Mn비가 2.8 정도로 현재 항상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값은 아니다. 이 공중합체를 점착제나 접착제의 원료로 사용할 때 용융점도가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며 따라서 그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고성능의 점착제나 접착제 등을 제조할 수 있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보다 좁은 분자량분포를 가진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첨가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공중합반응에 있어서 원료 모노머인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전체량에 대한 특정 비율의 용매에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분할 첨가함으로써 공중합이 수행될 때 결과로 나온 공중합체의 Mw/Mn비가 2.5 이하로 감소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① 황화합물 또는 ②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할 때, 결과로 나온 공중합체의 Mw/Mn비가 1.9 미만으로 더욱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해서 완성되었다.
즉, 제1 발명은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로서, 연화점 60∼13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30∼90중량%, 브롬가 30∼9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Mw/Mn)비 2.5 이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상기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0∼5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3 발명은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로서, 제1 발명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 얻고 연화점 70∼14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0∼35중량%, 브롬가 0∼3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2.5 이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첨가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공중합체로부터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상기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0∼5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4 발명은 제2 발명에 수소첨가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제공된다.
제5 발명은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로서, 연화점 60∼13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30∼90중량%, 브롬가 30∼9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1.9 미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7 발명은 제5 발명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8 발명은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로서, 제5 발명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 얻고 연화점 70∼14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0∼35중량%, 브롬가 0∼3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1.9 미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첨가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9 발명은 제8 발명의 공중합체로부터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9 발명은 제6 발명에 수소첨가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제10 발명은 제8 발명의 공중합체로부터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0 발명은 제7 발명에 수소첨가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제공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발명의 공중합체 및 이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각각 제2 발명 및 제4 발명의 제조방법들에 의해 얻어진다. 이들은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와 그의 수소첨가물로서 양쪽 모두 Mw/Mn비가 2.5 이하이다.
제1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연화점이 60∼130℃, 바람직하게는 70∼120℃ 이고;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이 30∼90중량%, 바람직하게는 35∼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중량% 이며; 브롬가가 30∼90g/100g, 바람직하게는 30∼70g/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g/100g 이고; 및 수평균분자량이 400∼1000, 바람직하게는 500∼800 이다.
제3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 소첨가물은 제1 발명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서 얻는다. 상기 수소첨가된 공중합체는, 연화점이 70∼140℃, 바람직하게는 80∼130℃ 이고;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이 0∼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이며; 브롬가가 0∼30g/100g, 바람직하게는 1∼20g/100g 이고; 수평균분자량이 400∼1000, 바람직하게는 500∼800 이다.
제1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모두 Mw/Mn비가 2.5 이하이기 때문에, 분자량 분포가 좁다. 예를 들어,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에 의해 측정되는 분자량분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패턴을 나타낸다.
제1 발명에서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에서, Mw/Mn비는 2.5 이하, 예를 들어, 다음의 실시예 1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2.0전후 이다.
제3 발명에서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에서, Mw/Mn비는 2.5 이하, 예를 들어, 다음의 실시예 2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1.9 전후이다.
한편,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화합물의 공중합체에서는 Mw/Mn비가 2.5를 초과한다 (다음의 비교예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2.8 정도이다.). GPC에 의해 측정되는 이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패턴을 나타내며 분자량분포가 넓다.
제1 발명의 공중합체 및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각각 제2 및 제4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제1 발명의 공중합체는 제2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양호한 효율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제2 발명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발명의 공중합체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시키면서 공중합을 수행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용매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화합물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0∼5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용매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반응에 사용된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및 에틸시클로헥산을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으로 가열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용매의 양은 원료 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또는 비닐톨루엔)의 혼합물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해 50∼5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300중량부이다.
사용되는 용매의 양이 상기의 범위보다 작으면 협소한 분자량분포를 갖는 목적하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할 수가 없다. 한편 용매의 사용량이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분자량분포의 축소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1회분 의 생산량이 오히려 감소하게 되어 불리하다.
이와 같은 특정 범위에서의 용매 사용 및 이에 의해 발휘되는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는 이제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 용매(바람직하게는, 가열된 용매)에,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분할 첨가하면서 (예를 들어, 점적 방식으로) 공중합반응을 행한다.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은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에 대한 (디)시클로펜타디엔의 중량비는 70:30∼20:80, 바람직하게는 60:40∼40:60 이다.
분할 첨가 시간은 통상 0.5∼5시간, 바람직하게는 1∼3시간이다. 첨가될 이들 화합물의 비율은 균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은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분할 첨가하는 것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반응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은 반응온도 200∼350℃, 바람직하게는 250∼300℃, 반응압력은 0∼20㎏/㎠G, 바람직하게는 0∼15㎏/㎠G, 반응시간은 0.5∼8시간, 바람직하게는 1∼5시간이다.
이어서, 얻어진 반응생성액을 예를 들면 온도 100∼300℃, 압력 100∼1mmHg에서 1∼3시간 처리해서 휘발분 등을 제거하면 제1 발명의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제1 발명에 기 술된 바와 같이, 연화점 60∼13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 함유량 30∼90중량%, 브롬가 30∼9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2.5 이하를 갖는다 (하기의 실시예 1 에서는 2.0). 따라서, 좁은 분자량분포를 갖는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제3 발명에서의 수소첨가물을 제4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양호한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제2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1 발명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제2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1 발명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공중합을 수행하고,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얻어진 제1 발명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소첨가는 니켈, 팔라듐, 코발트, 백금 또는 로듐계 촉매의 존재하에 시클로헥산이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용매 내에서 실시된다. 이때의 반응온도는 120∼300℃, 바람직하게는 150∼250℃ 이고, 반응시간은 1∼7시간, 바람직하게는 2∼5시간이며, 수소압력은 10∼60㎏/㎠G, 바람직하게는 20∼50㎏/㎠G 이다.
이와 같이 수소첨가에 의해 얻어진 반응액을 공중합체 제조시와 같이 예를 들어, 온도 100∼300℃, 압력 100∼1㎜Hg 에서 1∼3시간 처리하여 휘발분 등을 제거하면 제3 발명에서의 공중합체 수소첨가물을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은 제3 발명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연화점 70∼14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0∼35중량%, 브롬가 0∼3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2.5 이하를 갖는다 (하기의 실시예 2에서는 1.9). 따라서, 좁은 분자량분포를 갖는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이 제공된다.
제5 발명의 공중합체는 제6 또는 제7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이것은 1.9 미만의 Mw/Mn비를 갖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이다.
제8 발명의 공중합체 수소첨가물은 제9 또는 제10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이것은 1.9 미만의 Mw/Mn비를 갖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이다.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제5 발명의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진 수소첨가물이다.
이중에서, 제5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Mw/Mn비가 1.9 미만인 것 이외는 상기 제1 발명의 공중합체와 동일하다.
즉, 제5 발명의 공중합체에서, 연화점은 60∼130℃, 바람직하게는 70∼120℃ 이고;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 함유량은 30∼90중량%, 바람직하게는 35∼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중량% 이며; 브롬가는 30∼90g/100g, 바람직하게는 30∼70g/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g/100g 이고; 및 수평균분자량은 400∼1000, 바람직하게는 500∼800 이다.
제8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은 Mw/Mn비가 1.9 미만인 것 이외는 상기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과 동일하다. 상기 수소첨가물에서, 연화점은 70∼140℃, 바람직하게는 80∼130℃ 이고;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은 0∼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이며; 브롬 가는 0∼30g/100g, 바람직하게는 1∼20g/100g 이고; 및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바람직하게는 500∼800 이다.
제5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와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1.9 미만의 Mw/Mn비를 가진 것으로 분자량분포가 더욱 좁다. 예를 들면, GPC로 측정된 분자량분포는 도 3에 나타낸 패턴을 제공한다.
제5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와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에서, Mw/Mn비는 1.9 미만으로 감소하므로 분자량분포가 제1 발명의 공중합체 또는 이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에 비해 더욱 좁다.
특히, 제6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제5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제9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에서 Mw/Mn비는 1.6∼1.7 정도 (예를 들면, 실시예 3 및 4 참조)로 저하된다.
제5 발명의 공중합체는 제6 또는 제7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제9 또는 제10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즉, 제5 발명의 공중합체는 제6 발명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시키면서 공중합을 수행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의 용매는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에서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또 용매의 사용량도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원료 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50∼500중량부]. 그러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황 화합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용매의 사용량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통상, 원료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5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120중량부의 범위이다.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비 및 상기 혼합물의 분할 첨가 시간은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제6 발명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는 동안 공중합이 수행되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형성하고, 이 때 상기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한다. 제6 발명은 황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 이외에는 제2 발명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황 화합물로서, 일반적으로 연쇄이동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n-옥틸메르캅탄, 벤질메르캅탄, 티오페놀 및 2-메틸-5-t-부틸티오페놀을 포함한다.
상기 황 화합물의 사용량은 원료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5중량부 이하, 통상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중량부의 비율이다.
황 화합물의 사용량이 상기의 비율보다 작으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가 넓어져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성능이 개선된 수지를 얻을 수가 없다. 한편 용매의 사용량이 상기의 비율을 초과해도 그 효과는 더 증가하지 않고 1회분의 생산성이 오히려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황 화합물의 존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료모노머에 혼합된 황 화합물을 용매에 분할 적하하거나, 황 화합물이 이미 존재하는 용매 (용매와 혼합시켜)에 원료모노머를 점적 첨가해도 된다.
제6 발명에서, 제5 발명의 공중합체는 황 화합물이 상술한 바와 같이 존재하는 것 이외에는 제2 발명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7 발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5 발명의 공중합체는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상기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제7 발명의 제조방법은 분할 첨가시 황 화합물 대신에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 이외에는 제6 발명에 기재된 제조방법과 같다.
상기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페놀, 2,6-디-t-부틸-p-크레솔,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퀴논, 히드로퀴논, 2,5-디-t-부틸-히드로퀴논, 히드록시히드로퀴논, 카테콜, p-t-부틸-카테콜 및 피로갈롤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히드록시히드로퀴논, 카테콜, p-t-부틸-카테콜 및 피로갈롤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1,4-디히드록시나프탈렌, 2,3-디히드록시나프탈렌, 2,4-디히드록시나프탈렌,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3,4-디히드록시나프탈렌을 들 수 있다.
퀴논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1,4-벤조퀴논, α-나프토퀴논, 안트라퀴논 및 1,4-디히드록시안트라퀴논을 들 수 있다.
제7 발명에서,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히드록시히드로퀴논, 카테콜, p-t-부틸-카테콜 및 피로갈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원료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5중량부 이하, 통상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중량부의 비율이다.
상기 화합물의 사용량이 상기의 비율보다 작으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가 넓어져서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성능이 개선된 수지를 얻을 수가 없다. 한편, 용매의 사용량이 상기의 비율을 초과해도 그 효과는 더 증가하지 않고 1회분의 생산성이 오히려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7 발명의 제조방법은 분할 첨가시 황 화합물 대신에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 이외에는 제6 발명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의 형태는 황 화합물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7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공중합은 제6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공중합과 마찬가지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의 분할 첨가가 종료한 뒤에도 계속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의 반응 조건은 제6 발명의 제조방법에서와 동일하다. 이 방식으로 제5 발명의 공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해 제조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에서, Mw/Mn비가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9 미만인 1.79∼1.89 이다. 따라서 분자랑분포가 좁다. 예를 들면, GPC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분포는 도 4∼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패턴을 나타낸다.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제9 또는 제10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제5 발명의 공중합체로부터의 수소첨가물이다.
제9 발명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는 동안 공중합이 수행되고, 그 뒤에 수소첨가가 수행되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며, 상기 용매에 대한 상기 혼합물의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한다. 제6 발명의 공중합체를 얻을 때와 동일한 공중합이 수행되고, 그 뒤에 수소첨가가 수행된다. 제9 발명은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 이외에는 제4 발명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6 발명 또는 제9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황 화합물이 존재함으로써 결과로 나온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첨가물의 분자량분포가 더욱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것으로서 제5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모두 1.9 미만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1.67 및 1.63)의 Mw/Mn 비를 갖고, 분자량분포가 더 좁아진다.
제10 발명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수소첨가물은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시키면서 공중합을 수행하고,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분할첨가시에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화합물 및 퀴논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한다.
즉, 제10 발명은 제7 발명의 제조방법에 수소첨가 반응을 추가함으로써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제10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 대신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 이외에는 제9 발명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제7 발명 또는 제10 발명에 따르면, 결과로 나온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의 분자량분포는 상기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존재시킴으로써 더욱 좁아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것으로서 제5 발명의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로부터 나온 제8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모두 상기한 바와 같이, Mw/Mn비가 1.9 미만이며 (하기 실시예에서는 1.75∼1.89) 분자량분포가 더욱 좁아진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300m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크실렌 141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80중량부)을 투입했다. 상기 용매를 교반과 함께 260℃ 까지 가열하면서, 디시클로펜타디엔 31g 및 스티렌 47g의 혼합물 [40:60 중량비]을 2시간에 걸쳐 분할 첨가했다. 그 뒤에 계속해서 5시간동안 공중합시켰다.
반응종료 후 반응액을 꺼내어 온도 200℃ 및 압력 10㎜Hg 에서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3시간동안 처리하여 미반응 모노머와 크실렌을 제거했다. 이 방식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70g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300m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60g, 실시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65g, 및 0.5중량%의 팔라듐이 담지된 실리카-알루미나 촉매 2.3g을 투입했다. 수소압력 40㎏/㎠G 및 온도 230℃ 에서 3시간동안 수소첨가를 수행했다.
반응종료 후 반응생성액을 꺼내어 온도 200℃ 및 압력 10㎜Hg 에서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1시간동안 처리하여 시클로헥산을 제거했다. 이 방식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65g을 얻었다.
이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300m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크실렌 50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32중량부)을 투입했다. 상기 용매를 교반하 에 260℃ 까지 가열했고, 디시클로펜타디엔 62g 및 스티렌 94g의 혼합물 [40:60 중량비]을 2시간에 걸쳐 분할 첨가했다. 그 뒤에 계속해서 1.5시간동안 공중합시켰다.
결과로 나온 생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미반응 모노머와 크실렌을 제거했다. 이 방식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140g 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를 반복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얻었다.
이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황 화합물의 존재하에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1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크실렌 330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90중량부)을 투입했다. 크실렌에 2-메틸-5-t-부틸티오페놀 3.66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을 첨가했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60℃ 까지 가열했고, 여기에 원료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183g 및 스티렌 183g의 혼합물[50:50(중량비)]을 3시간에 걸쳐서 분할 첨가했다. 그 뒤에 계속해서 7시간 동안 공중합시켰다.
반응종료 후 반응생성액을 꺼내어 온도 200℃ 및 압력 10㎜Hg 에서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2시간동안 처리하여 미반응 모노머 및 크실렌을 제거했다. 이 방식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330g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GPC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도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황화합물의 존재하에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300m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70g, 실시예 3에서 얻은 공중합체 70g, 및 니켈 촉매 10g 을 투입했다. 온도 230℃ 및 수소압력 40㎏/㎠G 에서 4시간동안 수소첨가를 수행했다.
반응종료 후 반응생성액을 꺼내어 온도 200℃ 및 압력 10㎜Hg 에서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1시간동안 처리하여 용매, 즉 시클로헥산을 제거했다. 따라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70g을 얻었다.
이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피로갈롤을 사용한 경우의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1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크실렌 330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90중량부)을 투입했다. 상기 크실렌에 피로갈 롤 3.66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을 첨가했다. 그 뒤, 상기 용액을 교반하면서 240℃까지 가열했고 여기에 원료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183g 및 스티렌 183g의 혼합물[50:50 중량비]을 90분에 걸쳐서 분할 첨가했다. 이어서, 온도를 60분에 걸쳐 260℃까지 상승시켰다. 260℃ 에 도달한 후 계속해서 3시간동안 공중합시켰다.
반응종료 후 반응생성액을 꺼내어 온도 200℃ 및 압력 10㎜Hg 에서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2시간동안 처리하여 미반응 모노머 및 크실렌을 제거했다. 이 방식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330g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GPC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분포의 패턴은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공중합체로부터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300m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시클로헥산 70g, 실시예 5에서 얻은 공중합체 70g 및 니켈촉매 1.5g를 투입하여 온도 230℃ 및 수소압력 40㎏/㎠G 에서 4시간동안 수소첨가를 수행했다.
반응종료 후 반응생성액을 꺼내어 온도 200℃ 및 압력 10㎜Hg 에서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해서 1시간동안 처리하여 시클로헥산을 제거했다. 이 방식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70g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카테콜을 사용한 경우의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로 정화되고 교반기가 부착된 1L 용량의 중합반응기에 용매로서 크실렌 380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20중량부)을 투입했다. 상기 크실렌에 카테콜 3.17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을 첨가했다. 그 뒤, 상기 용액을 교반하면서 240℃까지 가열했고, 여기에 원료모노머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 158g 및 스티렌 158g의 혼합물[=50:50 중량비]을 90분에 걸쳐서 분할 첨가했다. 이어서, 온도를 60분에 걸쳐서 260℃까지 상승시켰다. 260℃에 도달한 후, 계속해서 4시간동안 공중합시켰다.
반응종료 후, 실시예 5에서와 마찬가지로 처리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280g 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GPC법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분포의 패턴은 도 5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7의 공중합체로부터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실시예 7에서 형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을 반복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70g을 얻었다. 이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히드록시히드로퀴논을 사용한 경우의 공중합체의 제조:
카테콜 3.17g 을 사용하는 대신에 히드록시히드로퀴논 3.17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을 반복하여 디시클로펜타 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282g 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GPC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도 6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공중합체로부터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실시예 9에서 형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을 반복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70g을 얻었다. 이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p-t-부틸-카테콜을 사용한 경우의 공중합체의 제조:
카테콜 3.17g을 사용하는 대신에 p-t-부틸-카테콜 6.34g (원료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을 반복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282g 을 얻었다. 이 공중합체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GPC법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분포의 패턴을 도 7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공중합체로부터의 수소첨가물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형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을 반복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70g을 얻었다. 이 수소첨가물의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실 시 예
1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연화점(℃)*1 72 92 71 92 75 97 84 94 79 96 80 93 82 97
비닐치환 방향족 화합물 함유량(중량%)*2 55 17 54 18 45 12 45 20 43 23 43 19 46 18
브롬가 (g/100g)*3 55 6 55 4 55 5 60 8 60 9 62 8 59 5
수평균분자량*4 670 700 610 620 590 640 580 620 590 660 610 630 570 670
Mw/Mn비*5 2.0 1.9 2.8 2.7 1.67 1.63 1.81 1.83 1.89 1.89 1.80 1.77 1.79 1.75
*1: JAI 7-1991(ring & ball법)의 준용 *2: 적외선 분광광도계(흡광도 700cm-1)에 의한 정량 *3: JIS K-2605의 준용 *4: VPO에 의한 측정 *5: GPC에 의한 측정
표 1로부터 다음과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원료모노머에 대해서 특정 중량비의 용매를 사용하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Mw/Mn비는 2.0 이었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서 얻어진 수소첨가물의 Mw/Mn비는 1.9 였다. 그러므로, 이들은 모두 바람직한 좁은 분자량분포를 나타냈다.
반면에, 실시예 1의 공중합체의 Mw/Mn비와 달리 용매의 사용량을 고려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Mw/Mn비는 2.8 이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상기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서 얻어진 수소첨가물의 Mw/Mn비는 2.7 이었다. 그러므로, 이들은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은 바람직한 좁은 분자량분포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황 화합물의 존재하에 공중합을 통해서 얻어진 실시예 3의 공중합체의 Mw/Mn비는 1.67 이었다.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상기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서 얻어진 수소첨가물의 Mw/Mn비는 1.63 이었다. 이들은 비교예 1 및 2의 경우보다 낮은 것은 물론 실시예 1 및 2의 경우보다도 낮았다.
또한,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의 존재하에 공중합을 통해서 얻어진 실시예 5, 7, 9 및 11의 공중합체, 및 이들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진 실시예 6, 8, 10 및 12의 수소첨가물은 모두 Mw/Mn비가 1.9 미만이었다. 이들은 비교예 1 및 2의 경우보다 낮은 것은 물론 실시예 1 및 2의 경우보다도 낮았다.
이러한 사실에서,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원료모노머에 대해서 특정 비율의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2.5 이하의 Mw/Mn비를 갖는, 즉, 분자량분포가 좁은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첨가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6 발명 및 제9 발명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원료모노머를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황 화합물을 존재시킴으로써 1.9 미만의 Mw/Mn비 및 더 좁은 분자량분포를 갖는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첨가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 및 제10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료모노머를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등을 존재시킴으로써, 종래의 것보다 낮은 1.9 미만의 Mw/Mn비 및 아주 좁은 분자량분포를 갖는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첨가물이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 1∼12 에 있어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대신에 시클로펜타디엔을 사용한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1 발명의 공중합체 및 이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모두 Mw/Mn비가 종래의 것보다 낮은 2.5 이하로서 더 좁은 분자량분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발명의 공중합체 및 이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제3 발명의 수소첨가물은 점착제 및 접착제의 제조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기초재료가 된다.
이와 같은 좁은 분자량분포를 가진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첨가물은 제2 발명 또는 제4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 또는 제8 발명에서 기재된 것과 같이 1.9 미만의 낮은 Mw/Mn비 및 좁은 분자량분포를 갖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첨가물은 제6 발명 및 제7 발명의 제조방법 또는 제9 발명 및 제10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6 발명 또는 제9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원료모노머를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황 화합물이 존재함으로써 용매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매의 양만 증가시켜 중합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소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좁은 분자량분포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수지를 얻게 된다. 따라서, 중합반응기에 투입되는 원료모노머의 양이 감소함으로써 생산성이 감소될 우려는 없다.
또 제7 발명 또는 제10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원료모노머를 용매에 분할 첨가할 때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함으로써 용매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매의 양만 증가시켜 중합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소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좁은 분자량분포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수지를 얻게 된다. 따라서, 중합반응기에 투입되는 원료모노머의 양이 감소함으로써 생산성이 감소될 우려는 없다.

Claims (5)

  1.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로서,
    연화점 60∼13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30∼90중량%, 브롬가 30∼9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Mw/Mn)비 2.5 이하를 갖는,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 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 얻고 연화점 70∼14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0∼35중량%, 브롬가 0∼3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 비 2.5 이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첨가물.
  2. 제1항에 따른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상기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전체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0∼5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 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로서,
    연화점 60∼13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30∼90중량%, 브롬가 30∼9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1.9 미만을 갖는,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 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시켜 얻고 연화점 70∼140℃,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 0∼35중량%, 브롬가 0∼30g/100g, 수평균분자량 400∼1000, 및 Mw/Mn비 1.9 미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첨가물.
  4. 제3항에 따른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황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3항에 따른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할 첨가하면서 공중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어서 수소첨가를 수행하여 시클로펜타디엔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이상과 비닐치환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첨가시에 히드록시벤젠계 화합물, 히드록시나프탈렌계 화합물 및 퀴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50018268A 1996-11-27 2005-03-04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41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22596 1996-11-27
JPJP-P-1996-00330225 1996-11-27
JP24168697 1997-08-25
JPJP-P-1997-00241686 1997-08-25
KR1019970062591A KR100516215B1 (ko) 1996-11-27 1997-11-25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591A Division KR100516215B1 (ko) 1996-11-27 1997-11-25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421B1 true KR100541421B1 (ko) 2006-01-11

Family

ID=2653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68A KR100541421B1 (ko) 1996-11-27 2005-03-04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040388A (ko)
EP (1) EP0845484B1 (ko)
KR (1) KR100541421B1 (ko)
CN (1) CN1183420A (ko)
DE (1) DE69718882T2 (ko)
ID (1) ID18954A (ko)
SG (1) SG60148A1 (ko)
TW (1) TW464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4005A1 (en) * 1998-06-10 1999-12-15 Teijin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ated alpha-olefin-dicyclopentadiene copolymer, method for molding the same and optical material
WO2000000521A1 (en) * 1998-06-30 2000-01-06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Polyalphaolefins with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reof
EP1153977A4 (en) * 1998-09-29 2004-11-10 Idemitsu Kosan Co RESIN COMPOSITION, BINDING RESIN FOR PRINTING POWDER AND PRINTING POWDER
US6825291B2 (en) 2000-12-11 2004-11-30 Eastman Chemical Resins, Inc. Thermally polymerized copolymers made from styrene and dicyclopentadiene monomers
US7385018B2 (en) 2002-06-26 2008-06-10 Idemitsu Kosan Co., Ltd. Hydrogenated co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1518869A4 (en) * 2002-06-26 2005-08-17 Idemitsu Kosan Co HIGH RESOLUTION POINT 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AND HYDROGENATION PRODUCT THEREOF
GB2422162B (en) * 2005-01-12 2009-08-19 Weatherford Lamb One-position fill-up and circulating tool
JP2009507834A (ja) * 2005-09-12 2009-02-26 フジフィルム・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ユーエスエ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環状アルケン誘導体の分解を防止する添加剤
SG165359A1 (en) * 2005-09-12 2010-10-28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Additives to prevent degradation of cyclic alkene derivatives
JP5792617B2 (ja) 2008-07-08 2015-10-14 フジフィルム・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ユーエスエ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USA, Inc. 環状アルケン誘導体を含む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5845001B2 (ja) 2011-06-01 2016-01-20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添石油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水添石油樹脂ペレットの製造プラント
JP6586415B2 (ja) 2014-03-26 2019-10-02 丸善石油化学株式会社 水素添加石油樹脂の製造方法
CN104892840B (zh) * 2015-06-29 2017-04-05 安徽同心化工有限公司 一种苯乙烯改性的双环戊二烯石油树脂及其制备方法
KR101928079B1 (ko) * 2016-12-12 2018-12-1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
EP4206174A1 (en) * 2020-08-28 2023-07-05 Sekisui Chemical Co., Ltd.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compound,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2A (ja) * 1984-06-11 1986-01-07 Honda Motor Co Ltd シエル鋳型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788412B2 (ja) * 1987-08-24 1995-09-27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788412A (ja) * 1993-09-24 1995-04-04 Sumitomo Metal Ind Ltd コ−タロ−ル間隙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5502140A (en) * 1994-10-19 1996-03-26 Hercules Incorporated Thermally polymerized dicyclopentadiene/vinyl aromatic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6630B1 (en) 2002-04-23
DE69718882T2 (de) 2003-09-11
EP0845484A2 (en) 1998-06-03
DE69718882D1 (de) 2003-03-13
CN1183420A (zh) 1998-06-03
EP0845484B1 (en) 2003-02-05
SG60148A1 (en) 1999-02-22
EP0845484A3 (en) 1998-09-30
ID18954A (id) 1998-05-28
US6040388A (en) 2000-03-21
TW464657B (en) 200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421B1 (ko)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3917C (zh) 制造热塑性聚氨酯的组合物
KR101928079B1 (ko)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
CN1630668A (zh) 氢化共聚物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氢化共聚物的热熔粘合剂组合物
JP3885841B2 (ja) 共重合体の製造方法
CN1022108C (zh) 线型交替嵌段共聚物的制备方法
KR100554054B1 (ko) 저분자량 성분의 함량이 감소된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 방법
CN107778389B (zh) 一种苯乙烯改性双环戊二烯加氢树脂的合成方法
KR20130095693A (ko) 부분 수소화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4868658B2 (ja) 低分子成分の少ないスチ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JP3102930B2 (ja) 水添ブタジエン系共重合体
KR100516215B1 (ko)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11454407B (zh) 一种具显著光稳定性的改性石油树脂的制备方法
CN109251273B (zh) 一种由丁羟胶接枝改性合成多羟基聚丁二烯的方法
US4313858A (en) Polyurethane encapsulating resins
AU612904B2 (en) Unsaturated, elastomeric, asymmetrically coupled block copolymers, a dual batch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tyre components
CN1630671A (zh) 高软化点共聚物及其制备方法和氢化产物
CN114163585B (zh) 超宽分布四杂臂梳状星型支化丁基橡胶的制备方法
JPH0554844B2 (ko)
CN110563875B (zh) 一种改性芳烃石油树脂的制备方法
KR102219073B1 (ko) 석유 수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핫멜트용 조성물
CN111647120B (zh) 一种超支化聚氨酯低聚物的制备方法
CN102234364A (zh) 聚(环戊二烯-双环戊二烯)共聚物及其合成方法
CN116655833A (zh) 反应型液体橡胶增塑剂及其制备方法和橡胶组合物
JP3135950B2 (ja) エチレン−プロピレン共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