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212B1 - 분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212B1
KR100541212B1 KR1020030053819A KR20030053819A KR100541212B1 KR 100541212 B1 KR100541212 B1 KR 100541212B1 KR 1020030053819 A KR1020030053819 A KR 1020030053819A KR 20030053819 A KR20030053819 A KR 20030053819A KR 100541212 B1 KR100541212 B1 KR 10054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pipe
sphere
so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138A (ko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이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희 filed Critical 이선희
Priority to KR102003005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2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또는 빗물받이와 연결되는 분기관과 도로에 매설된 메인 하수관을 연결하는 분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부(21)가 형성된 구체(20)가 상부 브라켓(30)의 소켓부(31)에 회전 및 기울어질 수 있게 장착되고, 잠금쇠(40)가 상기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장착되어 구체(20)가 소켓부(3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50)이 볼트(55)에 의해 체결되어 메인 하수관(60)을 감싸고, 상기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연결되어, 분기관(60)과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이 구체(20)의 중공부(21)를 통해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기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jointing branch pipe and main pipe}
도 1은 가정에 연결된 분기관이 하수관에서 분기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구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구체가 적용된 분기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가 빗물받이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가 빗물받이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가정 또는 빗물받이와 연결되는 분기관과 도로에 매설된 메인 하수관을 연결하는 분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관과 연결되는 구체가 브라켓의 소켓에 360°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하수관과 분기 관이 수직하게 만나지 않아도 분기관을 메인 하수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분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로에 매설된 메인 하수관(1)에는 다수개의 분기관(3)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분기관(3)을 통해 각 가정(5)에서 배출되는 하수가 메인 하수관(1)으로 유도된다.
종래의 하수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코어 드릴 등을 이용하여 메인 하수관의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에 분기관을 끼운 후, 구멍과 분기관 사이의 틈새를 시멘트 몰탈로 메꾸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하수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분기관의 연결 높이 및 연결방향이 메인 하수관의 높이 및 천공구멍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분기관 연결이 매우 어렵고, 심지어 분기관을 다시 설치하거나 천공된 구멍을 메우고 다시 구멍을 분기관과 일치되도록 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기관과 연결되는 구체가 브라켓의 소켓에 360°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 조인트 타입으로 구성되어, 메인 하수관과 분기관의 높이가 다르고, 분기관의 연결방향과 메인 하수관에 형성된 천공구멍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도 분기관을 메인 하수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분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분기관 연결장치를 빗물받이의 배수구에 장착하여 배수구와 분기관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10)는 중공부(21)가 형성된 구체(20)가 상부 브라켓(30)의 소켓부(31)에 회전 및 기울어질 수 있게 장착되고, 잠금쇠(40)가 상기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장착되어 구체(20)가 소켓부(3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메인하수관(70)은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50)이 감싸고 상하브라켓(30,50)은 볼트(55)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연결되어, 분기관(60)과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이 구체(20)의 중공부(21)를 통해 소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10)는 구체(20)가 상부 브라켓(30)의 소켓부(31)에서 수직축(Y)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81) 방향으로 360°회전될 수 있으며, 전후좌우(화살표(83) 방향)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어, 분기관(60)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수직하게 배치되지 않고, 이점쇄선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사선으로 배치될 경우, 구체(20)를 분기관(60)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체(20)의 연결관(22)과 분기관(6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체(20)는 상부에 분기관(60)과 연결되는 연결관(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공부(21)가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과 소통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절단되어 하단에 수평 절단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수명 절단면(23)의 외주면에 돌기부(2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24)가 소켓부(31)에 밀착되고, 상기 돌기부(24)의 상부면에 제 1 시일(25 ; 도 3 참조)이 배치되어, 구체(20)와 상부 브라켓(30) 사이의 틈새를 1차로 시일링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구체(20)는 중공부(21)가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과 소통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절단되어 사선 절단면(26)이 형성되며, 최단원호부(27)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28)가 연결관(22)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사선 절단면(26)을 갖는 구체(20)는 수평 절단면(23)을 갖는 구체(20) 보다 최단원호부(27)쪽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어, 분기관(60)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서 많이 어긋나게 배치되었을 경우, 사선 절단면(26)을 갖는 구체(20)를 최단원호부(27) 방향으로 기울여 분기관(60)과 연결관(22)을 연결할 수 있다. 즉, 구체(20)가 상부 브라켓(30)의 소켓부(31)에서 수직축(Y)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81) 방향으로 360°회전될 수 있으며, 전후좌우(화살표(83) 방향)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연결관(22)의 표시부(28)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화살표(81) 방향으로 구체(20)를 회전시킨 후, 최단원호부(27) 방향으로 구체(20)를 기울여, 사선으로 배치된 분기관(60)과 연결관(22)이 연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올바르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구멍(32)의 하부 둘레에 안내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33)의 외주면 에 제 2 시일(34) 및 제 3 시일(35)이 배치되어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과 안내돌기(33)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며, 상기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볼트(36)가 심겨져 있다.
상기 잠금쇠(40)는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심겨진 볼트(36)에 끼워진 후, 너트(41)에 의해 고정되며, 안쪽 홈에 제 4 시일(42)이 배치되어 구체(20)와 상부 브라켓(30) 사이의 틈새를 2차로 시일링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10)는 상부 브라켓(30) 및 하부 브라켓(50)이 빗물받이(90)의 배수구(91)에 장착되어, 연결관(22)이 분기관(60)과 일치되도록 구체(20)를 분기관(60)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기울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10)는 상부 브라켓없이 소켓부(31)가 볼트(100)에 의해 빗물받이(90)의 배수구(91)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는 분기관이 메인 하수관에 어긋나게 배치되어도 분기관 방향으로 구체를 회전시키거나 기울일 수 있어 분기관 연결이 용이하고, 작업현장에서 메인 하수관에 장착하기 쉽고, 각각의 시일에 의해 메인 하수관과 상부 브라켓 또는 상부 브라켓과 구체 사이의 틈새가 시일링(sealing)되어 오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받이의 배수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중공부(21)가 형성된 구체(20)가 상부 브라켓(30)의 소켓부(31)에 회전 및 기울어질 수 있게 장착되고, 잠금쇠(40)가 상기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장착되어 구체(20)가 소켓부(3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메인하수관(70)은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50)이 감싸고, 상하브라켓(30,50)은 볼트(55)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상기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연결되어, 분기관(60)과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이 구체(20)의 중공부(21)를 통해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20)는 상부 브라켓(30)의 소켓부(31)에서 수직축(Y)을 중심으로 하여 360°회전될 수 있으며, 전후좌우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20)는 상부에 분기관(60)과 연결되는 연결관(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공부(21)가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과 소통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절단되어 하단에 수평 절단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수명 절단면(23)의 외주면에 돌기부(2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24)가 소켓부(31)에 밀착되고, 상 기 돌기부(24)의 상부면에 제 1 시일(25)이 배치되어, 구체(20)와 상부 브라켓(30) 사이의 틈새를 1차로 시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20)는 중공부(21)가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과 소통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절단되어 사선 절단면(26)이 형성되며, 최단원호부(27)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28)가 연결관(22)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소켓부(31)의 하부 연결구멍(32)이 메인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에 올바르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구멍(32)의 하부 둘레에 안내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33)의 외주면에 제 2 시일(34) 및 제 3 시일(35)이 배치되어 하수관(70)의 천공구멍(71)과 안내돌기(33)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며, 상기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볼트(36)가 심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40)는 소켓부(31)의 상단 둘레에 심겨진 볼트(36)에 끼워진 후, 너트(41)에 의해 고정되며, 안쪽 홈에 제 4 시일(42)이 배치되어 구체(20)와 상부 브라켓(30) 사이의 틈새를 2차로 시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브라켓(30) 및 하부 브라켓(50)이 빗물받이(90)의 배수구(91)에 장착되어, 연결관(22)이 분기관(60)과 일치되도록 구체(20)를 분기관(60)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기울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31)가 볼트(100)에 의해 빗물받이(90)의 배수구(91)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장치.
KR1020030053819A 2003-08-04 2003-08-04 분기관 연결장치 KR10054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819A KR100541212B1 (ko) 2003-08-04 2003-08-04 분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819A KR100541212B1 (ko) 2003-08-04 2003-08-04 분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138A KR20050015138A (ko) 2005-02-21
KR100541212B1 true KR100541212B1 (ko) 2006-01-11

Family

ID=3722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819A KR100541212B1 (ko) 2003-08-04 2003-08-04 분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398B1 (ko) * 2007-08-31 2010-08-17 서일공영 주식회사 하수의 배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138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212B1 (ko) 분기관 연결장치
JP3920490B2 (ja) 便器の排水口と排水配管との連結構造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JP2002294781A (ja) 建物の排水管配管構造
CN210034729U (zh) 一种具有渗漏水连接口的预埋型旋流接头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CN110043737B (zh) 一种具有渗漏水连接口的预埋型旋流接头
JPH10322867A (ja) 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用接続管体とブロック体及び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
JP2020153224A (ja) 配管構造
JPH08284344A (ja) 竪樋と排水管との接続構造
JP2006257731A (ja) マンホール継手、並びに、管接続構造
CN209798908U (zh) 一种龙头预埋体
JP2008291615A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JPH11323986A (ja) 傾斜地用マンホール
KR101027463B1 (ko) 파이프 태핑 장치
JP6774104B2 (ja) マンホールへの台付管の連結構造およびマンホールへの台付管の連結方法
KR200205746Y1 (ko)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20040981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소형맨홀
JP3782417B2 (ja) ガラス壁の結露水の排水構造
JP3708539B1 (ja) マンホール用底塊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200344099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원형 오수받이
KR20080004143U (ko) 콘크리트 관부재 및 콘크리트 관부재의 연결구조
JPH11344161A (ja) 配管取付用のカラー
JP2020029750A (ja) 雨水マス
KR20080105687A (ko)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