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122B1 - 망부착 리필 용기 - Google Patents

망부착 리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122B1
KR100541122B1 KR1019990009112A KR19990009112A KR100541122B1 KR 100541122 B1 KR100541122 B1 KR 100541122B1 KR 1019990009112 A KR1019990009112 A KR 1019990009112A KR 19990009112 A KR19990009112 A KR 19990009112A KR 100541122 B1 KR100541122 B1 KR 10054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ring
mantl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631A (ko
Inventor
유하라유키토모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9000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1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분말 화장료(化粧料)를 수납하는 망(網) 부착 리필(refill) 용기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開口)하여 분말 화장료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망틀을 갖는다. 망틀은 그물체와, 그물체가 걸쳐 놓여지는 계지환(係止環)과, 계지환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그물체를 계지환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환상(環狀) 취부부를 가지며, 분말 화장료가 리필 용기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필 용기

Description

망 부착 리필 용기{Refillable case with a ne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2는 리필 용기를 내장한, 덮개를 닫은 상태의 콤팩트 용기의 측단면도.
도 3은 콤팩트 용기의 망틀 주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콤팩트 용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리필 용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콤팩트 용기의 망틀 주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 예의 리필 용기를 내장한 콤팩트 용기의 측단면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리필 용기의 전개도.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망의 주위에 환상의 돌기를 형성한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용기로서, 콤팩트 용기의 몸체를 이용한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3은 내부 용기에 망틀을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리필 용기의 사용시 내부 용기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병렬식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16은 병렬식 콤팩트 용기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다단식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18은 다단식 콤팩트 용기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중개식(中蓋式)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20은 중개식 콤팩트 용기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 21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2는 리필 용기의 전개도.
도 23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4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5는 리필 용기의 사용시 내부 용기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제 11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7은 리필 용기의 전개도.
도 28은 제 12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9는 제 13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0은 제 14 실시형태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몸체를 이용한 리필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1은 리필 용기의 사용시 내부 용기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분말 화장료(化粧料)를 수용하기 위한 망(網) 부착 리필(refill)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시, 이러한 분말 화장료를 수용한 내부 용기 또는 용기 본체를 변형시켜 이 변형에 의해 표면의 그물코(網目)로부터 적당한 화장료를 취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할 때마다 분말 화장료를 유동시킴으로써, 수용된 분말 화장료의 고화(固化)를 방지하며, 이를 수용하는 콤팩트 용기의 덮개를 닫는 경우, 분말 화장료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망 부착 리필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파운데이션이나 백분 등의 분말 상태의 화장료는 상부 개구부의 계지환(係止環)에 그물체(網體)를 설치한 접시형 리필 용기에 수용되어, 분말 화장료가 흩날리는 것을 그물체에 의해 방지하고 있으며, 그물체의 그물코를 통해 적정한 분말 화장료를 분첩(puff) 등의 화장구(化粧具)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장구에 의해 리필 용기 상면의 그물체를 두드려 화장료를 부착시킬 때,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부와 그물체의 용착부(溶着部)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6에 나타낸 융착부의 단차를 없앤 리필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리필 용기(X)는 덮개(53A)와 본체(53B)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53)내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리필 용기(X)는 분말 화장료(K)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51)와, 계지환(52a)에 시트 형상의 그물체(52b)가 처진 망틀(52)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51)는 탄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 얇은 접시모양의 용기로서, 저부(51a)와 개구 가장자리부(51c) 사이에는 완만한 테이퍼 형상의 둘레 측면(51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망틀(52)의 계지환(52a)은 용기 본체(51)의 개구 가장자리부(51c)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환상체(環狀體)로, 측면이 용기 본체(51)의 개구 가장자리부(51c)를 둘러서 이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물체(52b)는 계지환(52a)을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성형 방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그물체(52b)의 천장면과 계지환(52a)은 면이 하나가 되도록 위치가 결정되고, 양자의 환상(環狀) 취부부(52c)는 단차가 없는 평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리필 용기(X)를 수납하는 콤팩트 용기(53)는 덮개(53A), 용기 본체 (53B)를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덮개(53A) 및 용기 본체(53B)는 각 일단에 힌지부(53a, 53b)를, 타단에 계지 돌기(53c, 53d)를 가지며, 힌지부(53a, 53b) 끼리를 회동이 자유자재가 되도록 함으로써 덮개(53A)는 용기 본체(53B)에 대해 개폐가 자유로운 구조가 되며, 계지 돌기(53c, 53d)를 계합(係合)시키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콤팩트 용기(53)의 본체(53B) 개구부 내주면에는 계지 링(53f)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필 용기(X)의 계지환(52a) 둘레 측면에 형성된 계지 돌기(52d)가 계합됨으로써 콤팩트 용기(53)내에 리필 용기(X)가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콤팩트 용기(53)의 덮개(53A) 안쪽면에는 탄성 씨트인 패킹(54)이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53A)를 닫은 경우에는 이 패킹(54)이 망틀(52)에 밀착되어 분말 화장료 (K)의 누출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종래 리필 용기에서는 콤팩트 용기(53)의 덮개(53A)를 닫았을 때, 패킹(54)의 하면이 계지환(52a) 및 그물체(52b) 표면에 일정 압력으로 면접촉하고, 밀폐성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리필 용기(X)를 실용화할 경우에는, 용기 본체(51)의 개구 가장자리부(51c) 및 망틀(52)의 계지환(52a)의 성형 정밀도가 요구되게 되며,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정밀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밀폐성이 떨어지는 리필 용기가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 해결 방법으로서, 계지환(52a)과 그물체(52b)의 환상 취부부(52c)의 외주부를 높게 하고, 이 부분을 덮개(53A)의 패킹(54)에 밀착시켜 밀폐성을 유지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외주부가 선형태로 패킹(54)의 표면에 파고들기 때문에 그렇게 높은 정밀도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콤팩트 용기(53)의 덮개(53A)를 닫으면, 리필 용기(X)의 그물체(52b) 표면과 패킹(5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콤팩트 용기 (53)를 가지고 다닐 때 이 틈새에 화장료가 쌓이게 되어, 덮개(53A)를 열면 패킹 (54)의 안쪽면에 부착된 화장료가 흩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기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는 사용할 때마다, 망, 화장구에 의해 용기 바닥쪽으로 눌러진다. 이 때문에, 분말 화장료는 서서히 고화(固化)되며, 이 결과, 사용시 화장구에 대한 충분하고 균일한 분말 화장료의 부착을 실현할 수 없게 되고, 용기에 분말 화장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화장료 및 용기를 폐기시킬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용신안공개 평7-11694호 공보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한 분말 화장료용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공기(도자기 식기)형태로 성형되며, 상부 개구면에 망(mesh)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말 화장료를 채운 드럼을 외부 용기의 패인 부분에 수납한 것이다. 이 분말 화장료용 용기에서는 항상 적절히 풀린 파우더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파우더를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말 화장료용 용기에서는 드럼이 저부(底部)가 작고 상부가 큰 직경을 갖는 공기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용적이 작아지며 분말 화장료의 수용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기형태의 드럼 형상을 유지하여 깊이를 크게 하거나, 또는 상부 개구의 면적을 크게 하는 등의 수단을 채용할 필요가 있게 되어, 어느 쪽이든 용기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파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덮개로 인한 망틀 부분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화장료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리필 용기를 밀폐하는 덮개에 다량의 화장료가 부착되기 어려운 리필 용기를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적을 크게 하고 또한 분말 화장료를 사용할 때마다 내부 용기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를 유동시킴으로써, 수용된 분말 화장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분말 화장료용 망 부착 리필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 부착 리필 용기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구된 분말 화장료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계지환에 걸쳐놓아 된 망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상기 망틀은 그물체와, 그물체가 걸쳐 놓여지는 계지환과, 상기 계지환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그물체를 상기 계지환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환상 취부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는, 분말 화장료용 망 부착 리필 용기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내부에 분말 화장료를 수용하는 내부 용기와, 망틀과, 외부 용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용기는 거의 평탄한 저면과 상기 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면 및 측면보다 높은 강성(剛性)을 갖는 턱(jaw)으로 구성된다. 상기 망틀은 내부 용기의 턱과 감합하여 계지되는 계지환과 상기 계지환에 고착된 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용기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요소(凹所)와 저판(底板)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용기가 분말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망틀이 내부 용기와 계합(係合)될 때 상기 요소(凹所)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용기는 저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용기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 용기의 저면과 당접(當接)하는 돌기를 갖는다. 상기 망틀을 구성하는 망의 주위에 환상(環象)의 리브를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분말 화장료용 망 부착 리필 용기(이하, 단순히 "리필 용기"라 한다)에서는 내부 용기가 거의 평탄한 저면을 가지고 형성되며, 이 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측면과, 이 측면 상단에 형성된 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의 용량을 종래 기술의 공기형태의 드럼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내부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분말 화장료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망에 분첩이나 스펀지 등의 화장구를 꽉 눌렀을 때의 힘은 망틀을 통해 내부 용기에 전달되며, 내부 용기의 측면에 형성된 외향 또는 내향의 굴곡부를 굴곡시킨다. 이 굴곡에 따라 내부 용기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는 내부 용기 내에서 유동되어 고화되지 않는다. 특히, 사용 회수가 증가하여 내부 용기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의 남아 있는 양이 적어졌을 때, 화장구를 누르는 힘이 다소 커지기 때문에 내부 용기의 변형도 커지게 되며, 분말 화장료 량을 충분히 유동시킬 수 있다.
화장구를 망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내부 용기를 변형시키는 힘이 제거되게 되며, 측면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공기가 망을 통해 내부 용기 내로 유통되며, 이 유통 과정에서 더욱 분말 화장료가 유동된다. 따라서, 내부 용기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가 고화되는 일이 없다.
상기 리필 용기에 있어서, 망틀을 구성하는 망의 주위에 환상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망의 주위에 환상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브를 화장구를 망에 꽉 누를 때의 가이드로 하거나 또는 화장구를 망으로부터 이탈시킬 때의 가이드로 함과 동시에 화장구에 부착된 분말 화장료를 털어버릴 수 있 으며, 또한 망의 상부에 나온 분말 화장료가 망의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이러한 리필 용기를 수납한 콤팩트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리필 용기의 망틀 주변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덮개를 연 상태의 콤팩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팩트 용기(103)내에는 교체가능한 리필 용기(100A)를 수납하고 있으며, 이 리필 용기(100A)는 용기 본체(101)와 망틀 (102)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01)에 수납되는 화장료(K)는 파운데이션이나 분 등의 분말 형태, 또는 다소 습기를 포함한 퍼티(putty) 형태의 화장료이다.
용기 본체(101)는 얕은 접시 모양의 용기로, 평탄한 저부(101a)와, 외측으로 ‘く’자 형상으로 부푼 주변측면(101b)과, 개구 가장자리부(101c)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01) 전체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료,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의 엘라스토머(elastomer)계의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용기 본체(101)는 상방으로부터 억 누르면, 주변 측면(101b)이 접혀진 것처럼 일그러지며, 수용한 화장료를 저부(101a)가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어, 망틀(102)은 원형의 환상체인 계지환(102a)의 내측에 시트 형상의 그물체(102b)가 펼쳐진 구조를 갖는다. 이 망틀(102)은 계지환(102a)의 사출형성시, 원형으로 절단한 그물체(102b)를 금형 내에 배치하여 일체화시키는 인서트 성형 수법으로 형성된다. 이 계지환(102a)과 그물체(102b)와의 환상 취부부(102c)는 일어서 있으며, 그물체(102b)의 면은 계지환(102a)의 면보다 높게 위치한다. 즉, 그물체(102b)가 계지환(102a)보다 상방으로 떠오른 구조가 된다(특히, 도 3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된 망틀(102)의 계지환(102a)은 상기 용기 본체(101)의 개구 가장자리부(101c)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계지환(102a)의 주변 측면에 형성된 손톱부(102e)가 용기 본체(101)의 개구 가장가리부(101c)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 계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01)와 망틀(102)을 계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계지환(102a)의 주변측면에는 리필 용기(100A)가 콤팩트 용기(10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 돌기(102d)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리필 용기(100A)는 콤팩트 용기(103)에 수용된다. 이 콤팩트 용기(103)는 덮개(103A), 용기 본체(103B)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덮개(103A) 및 용기 본체(103B)는 각각의 일단에 힌지부(103a, 103b)가, 또 타단에는 계지 돌기(103c, 103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힌지부(103a, 103b) 끼리를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덮개(103A)는 용기 본체(103B)에 대해 개폐가 자유로운 구조가 되며, 계지 돌기(103c, 103d)를 계합시키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3B)내의 저부에는 돌출부(103e)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필 용기(100A)를 용기 본체(103B)내에 수납하면, 리필 용기(100A)는 이 돌출부(103e)상에 놓이게 된다.
콤팩트 용기(103)의 용기 본체(103B)의 개구부 내주면에는 계지 링(103f)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필 용기(100A)를 이 용기 본체(103B)에 끼워 넣으면, 상기 망틀(102)의 주변 측면에 형성된 계지 돌기(102d)가 이 계지 링(103f)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리필 용기(100A)가 콤팩트 용기(10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리필 용기(100A)내의 화장료(K)를 다 사용하고 나서, 새로운 리필 용기(100A)로 바꿀 경우에는 리필 용기(100A)의 가장자리에 힘을 가해 변형시킴으로써, 계지 돌기(102d)와 계지 링(103f)의 계합(係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이를 떼어낼 수 있다.
콤팩트 용기(103)의 덮개(103A) 안쪽면에는 탄성을 갖는 시트 부재인 패킹 (10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104)은 덮개(103A)를 닫음으로써, 리필 용기 (100A)의 망틀(102) 상면에 밀착되게 되며, 그물체(102b)의 그물코를 전체에 걸쳐 막기 때문에, 확실하게 화장료(K)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할 때 또는 들고 다닐 때는 콤팩트 용기(103)의 덮개(103A)가 닫히게 된다. 이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103A)의 안쪽면에 설치된 패킹 (104)은 상방으로 일어선 그물체(102b) 및 환상 취부부(102c)에 당접하여 변형되며, 그물체(102b)의 그물코 및 그 주변 가장자리의 환상 취부부(102c)를 확실하게 밀폐한다.
이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시, 콤팩트 용기(103)의 덮개를 연 경우는, 패킹(104)이 덮개(103A)와 함께 이탈되며, 리필 용기(100A)의 망틀(102)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분첩 등의 화장구(106)를, 망틀(102)상에 문지름으로써, 적당 량의 화장료(K)를 화장구(106)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이때, 화장구(106)가 망틀(102)을 꽉 누르면, 리필 용기(100A)의 용기 본체 (101) 저부(101a)는 콤팩트 용기 본체(103B)의 저부 돌출부(103e)에 당접되어 변형된다. 그 때, 리필 용기(100A)는 그 주변측면(101b)이 ‘く’자 형상으로 접히듯이 휘어 그물체(102b)의 위치가 내려가며, 화장료(K)의 남아있는 양에 따라 항상 적당량의 화장료(K)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필 용기(100A)에서는 콤팩트 용기(103)의 덮개 (103A)를 닫았을 때, 패킹(104)이 확실하게 망틀(102) 표면에 밀착되어, 화장료(K)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종래 예와 같이 그물체(102b)와 패킹(104)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으므로, 콤팩트 용기(103)를 운반할 때 이 공간에 화장료가 잔류하거나, 덮개(103A)를 열었을 때 화장료(K)가 흩날리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리필 용기의 일부 구성을 바꾼, 콤팩트 용기의 망틀 주변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B)의 계지환(102a)은 한층 높아진 환상 취부부(102c)의 더 외측주변 가장자리에 환상 대부(環狀臺部) (102f)를 형성하여, 덮개(103A)를 닫았을 때, 이 환상대부(102f)에도 패킹(104)이 압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리필 용기(B)에서는 환상 취부부(102c) 및 환상 대부 (102f)가 패킹(104)에 접촉되어 이중으로 밀봉되게 되며, 화장료(K)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대부(102f)는 환상 취부부(102c)보다 낮게 설정되며, 패킹(104)이 압접되었을 때, 환상 대부(102f)가 패킹(104)을 밀어 올려 환상 취부부(102c)의 기밀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들 환상 취부부(102c)와 환상대부(102f) 사이에는 환상 홈부(102g)가 형성되게 되며, 이곳이 화장료(K)가 고이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화장구로 망틀 (102)을 문지르더라도 화장료(K)가 환상 홈부(102g)를 넘어 콤팩트 용기(103)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리필 용기 및 콤팩트 용기에서는 콤팩트 용기의 덮개 천장면에 직접 패킹을 취부하며, 이를 리필 용기의 망틀을 밀폐하는 구조로 하였는데, 이 밖에, 콤팩트 용기에 밀폐용 중간 덮개를 별도로 하여 형성하며, 이 안쪽면에 패킹을 형성하는 구조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그 경우, 중간 덮개와 상부 덮개 사이에 화장구의 수납 스페이스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 3 내지 제 7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는 저면의 치수와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치수가 거의 같은 바닥이 있는 통(筒) 형상(바람직하게는 저면이 있는 원통 형상)의 내부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용기를 크게 하지 않고 분말 화장료의 수용량을 증가시킨 것이다.
또한 내부 용기의 측면에 외향 또는 내향의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용기의 턱을 통해 전달된 망에 작용하는 힘으로 내부 용기의 측면을 굴곡 변형시키며, 이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를 유동시켜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장료의 분말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내부 용기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 예를 들면 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용적으로 성형되고 있으며, 특히 측면은,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턱에 힘을 작용시켰을 때 이 힘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되며 또한 힘을 제거했을 때 용이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복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 용기의 턱은 상기 턱에 계지된 망틀을 구성하는 망에 분첩 또는 스펀지 등의 화장구를 눌렀을 때, 이 누르는 압력을 내부 용기의 측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힘에 의해 턱 자체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형성된다. 즉, 내부 용기는 저면 및 측면의 두께가 거의 같으며, 턱이 저면 및 측면보다도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턱은 측면의 상단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망틀은 내부 용기의 턱에 계지되는 계지환과, 이 계지환에 고착된 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계지환은 턱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는 링부와, 이 링부의 외주(外周)에 형성된 계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계지부의 내주(內周)쪽에는 내부 용기의 턱과 계합하는 계합 돌기가 형성되고, 또한 외주측에는 외부 용기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 링과 계합하는 계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환은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성형되고 있다.
망은 나이론 등의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계지환의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되어 고착되어 있다. 이 망은 화장구의 억누름에 따른 힘을 계지환, 내부 용기의 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큰 신축성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은 망틀을 내부 용기의 턱에 계지했을 때, 내부 용기의 개구부에는 턱과 망틀의 계지환이 이중으로 배치되게 되어 보다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화 장구를 망에 꽉 눌렀을 때의 힘은 합리적으로 내부용기의 측면을 변형시키는 힘으로써 이용된다. 이 때문에, 화장구를 망에 눌렀을 때의 누름 위치의 변화에 따라 내부 용기 측면에서의 둘레 방향의 변형 부위가 변화되며, 내부 용기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를 구석구석까지 유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망틀에 있어서, 망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환상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환상의 리브는 계지환의 상면측에 형성되며, 리브의 내주면과 계지환의 상면은 곡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환상의 리브는 화장구를 망에 갖다 대었을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과 화장구에 부착된 여분의 화장료를 털어버리는 기능 및 망을 통해 상기 망의 상면으로 나온 분말 화장료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환상의 리브 직경을 화장구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비사용시 화장구의 수용부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용기는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망틀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또한 내부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망틀 상면까지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큰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와, 저판(底板)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부 용기 요부의 상단 개구부 근방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계지 링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외부 용기는 콤팩트 용기를 구성하는 몸체의 일부에 형성한 저면이 있는 요부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요부를 규정하는 통부(筒部)와 저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2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리필 용기(200A)의 전개도이다. 내부 용기(201)의 저면(201a)은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되며, 이 저면(201a)으로부터 측면(201b)이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201b)의 상단에는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턱(201c)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저면(201a) 및 측면(201c)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턱(201c)은 저면(201a), 측면(201b)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턱(201c)은 저면 (201a), 측면(201b)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다. 내부 용기(201)의 측면(201b)에는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20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굴곡부 (201d)에 의해 측면(201b)은 북(鼓) 형상을 갖는다.
망틀(202)은 내부 용기(201)의 턱(201c)과 감합하여 상기 턱(201c)을 계지하는 계지환(202a)과, 계지환(202a)에 고착된 그물체(202b)를 가지고 있다. 계지환 (202a)은 턱(201c)의 폭과 거의 같은 링부(202a1)와, 상기 링부(202a1)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향해 늘어뜨려 형성된 계지부(202a2)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계지부(202a2)의 내주면으로서 턱(201c)의 두께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지 돌기(20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 돌기(202c)는 반드시 턱(201c)의 전체 둘레와 계합할 필요는 없으며, 망틀(202)을 내부 용기(201)에 감합시켰을 때, 망틀 (202)의 내부 용기(20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보지력(保持力)을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지부(202a2)를 등분하여 4군데에 걸림턱(202c)을 형성하고 있다. 또 계지부(202a2)의 외주면으로서 외부 용기(20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 링(203)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계지 돌기(202c)와 동일한 계지 돌기(202d)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용기(203)는 내부에 망틀(202)을 계지한 내부 용기(201)를 수용하는 요부(203a)가 형성되며, 상기 요부(203a)는 저판(203b)에 의해 깊이가 규정되어 있다. 즉, 요부(203a)의 평면 형상은 망틀(202)의 평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저판(203b)은 내부 용기(201)의 저면(201a)으로부터 망틀 (202)의 링부(202a1) 표면까지의 거리보다도 커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용기(203)는 저부가 저판(203b)에 의해 규정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부(203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통부(203c)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부(203c)의 상단측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계지 링(20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링(203d)은 망틀(202)의 계지부(202a2)에 형성한 계지 돌기(202d)와 계합하여 요부(203a)에 수용된 망틀(202)을 계지한 내부 용기(20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내부 용기(201), 망틀(202), 외부 용기(203)에 의해 리필 용기(200A)를 구성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부 용기(201)에 소정량의 분말 화장료(205)를 수용한다. 그 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1)를 덮개 장착 치구(도 13의 206)의 다이(도 13의 206a)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 용기(201)에 망틀(202)을 올려놓고, 이 망틀(202)을 펀치(도 13의 206b)에 의해 내부 용기측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계지환 (202a)에 턱(201c)을 감합시켜, 계지 돌기(202c)에 의해 턱(201c)을 계지한다. 이 에 따라, 내부 용기(201)에 망틀(202)을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일체화된 내부 용기(201)와 망틀(202)은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다이와 펀치로 이루어진 치구(治具)를 이용하여 외부 용기(203)의 요부(203a)에 수용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리필 용기(200A)가 구성된다. 외부 용기(203)에 수용된 내부 용기(201)는 상기 용기(201)에 일체화된 망틀(202)의 계지 돌기(202d)가 외부 용기(203)에 형성된 계지 링(203d)과 계합되며, 외부 용기(20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외부 용기(203)의 저판(203b)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2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리필 용기(200B)는 내부 용기(201)의 측면(201b)에 형성된 굴곡부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의 굴곡부(201d) 형상과 다른 것 이외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1)의 측면(201b)에는 ‘く’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201e)가 형성되며, 이 굴곡부(201e)의 돌출단은 저면(201a)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201b)에는 외측을 향한 굴곡부 (201e)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201b)에 외측을 향해 ‘く’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 (201e)를 갖는 내부 용기(201)에서는 제 3 실시예와 같은 원호 형상의 굴곡부 (201d)에 비해 보다 작은 힘의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 용된 분말 화장료(205)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20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리필 용기(200C)는 내부 용기(201)의 측면(201b)에 형성된 굴곡부의 형상이 제 3 실시예의 굴곡부(201d) 형상과 다른 것 이외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1)의 측면(201b)에는 ‘く’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201f)가 형성되며, 이 굴곡부(201f)의 돌출단은 저면(201a)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201b)에는 내측을 향한 굴곡부 (201f)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201b)에 내측을 향해 ‘く’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 (201f)를 갖는 내부 용기(201)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다 작은 힘의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또한 굴곡부(201f)의 변형에 따라 상기 굴곡부(201f)의 돌출단이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를 적극적으로 유동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화장료(205)의 고화를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망틀(202)을 구성하는 그물체(202b)의 주위에 환상의 리브를 형성한 리필 용기(200D)의 반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1에 있어서, 망틀(202)을 구성하는 그물체(202b)의 주위에는 환상의 리브(20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207)는 그물체(202b)를 통해 리필 용기(200D)의 표면으로 나온 분말 화장료(205)가 망틀(202)로부터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화장구(204)를 그물체(202b)에 꽉 갖다대어 분말 화장료(205)를 부착시킨 후 상기 화장구(204)에 부착된 여분의 분말 화장료(205)를 털어 버리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리브(207)는 망틀(202)을 구성하는 계지환(202a)의 링부(202a1)에 미리 설정된 높이로 또한 그물체(202b)를 에워싸면서 형성되어 있다. 링부(202a1)에서의 리브(207)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화장구(20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이 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리브(207)를 형성한 경우, 비사용시에는 화장구(204)를 망틀(202)의 상부이면서 리브(207)로 에워싸인 부분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에 나타낸 리필 용기(200E)는 외부 용기를 콤팩트 용기(201)의 몸체 (212)로 하고, 상기 몸체(212)에 형성한 요부(212a)에 망틀(202)을 일체화한 내부 용기(201)를 수용한 것이다. 또한, 내부 용기(201) 및 망틀(202)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 콤팩트 용기(211)는 몸체(212)와 덮개(213)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몸체(212) 및 덮개(213)를 경첩 핀(214)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212)의 소정 위치에는 내부 용기(201)를 수용하는 요부(2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212a)는 상술한 각 실시예의 요부(203a)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요부(212a)의 깊이는 저판(212b)에 의해 규정되며, 또 상부에는 계지 링 (21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부(212a)에 수용된 내부 용기 (201)는 망틀(202)의 계지 돌기(202d)가 요부(212a)에 형성된 계지 링(212d)과 계합하여 상기 요부(212a)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요부 (212a) 하방으로의 이동만이 허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망틀(202)을 일체화시킨 내부 용기(201)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로서는 반드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부 용기(203)일 필요는 없으며, 내부 용기 (201)를 수용할 수 있는 요부(203a, 213a)를 갖는 것이면 된다. 즉, 외부 용기 (203)의 외형은 통(筒) 형상, 판(板)통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의 사용시 분말 화장료(205)의 유동에 대해 도 14에 의해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리필 용기로서는 제 3 실시예의 리필 용기(200A)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리필 용기(200A)의 외부 용기(203)를 콤팩트 용기(221)의 몸체(222)에 형성된 수용부(222a)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외부 용기(203)의 외주면에는 계합 홈(203e)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22)의 수용부 (222a)에 형성된 계합 돌기(222b)와 계합하여 리필 용기(200A)의 몸체(22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리필 용기(200A)에 있어서, 내부 용기(201)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 화장료(205)의 양이 많은 경우, 그물체(202b)에 화장구(204)를 살짝 갖다 대면, 이 때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그물체(202b)는 약간 휘어 분말 화장료(205)의 최상면에 접촉되며, 분말 화장료(205)가 그물체(202b)를 통해 노출되어 화장구(204)에 부착된 다.
내부 용기(2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가 감소함에 따라 화장구(204)를 그물체(202b)에 꽉 눌러도 상기 그물체(202b)가 분말 화장료(205)와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보다 큰 힘으로 화장구(204)를 꽉 누르게 된다. 이 누르는 압력은 그물체(202b)를 휘게 하는 동시에 상기 그물체(202b)로부터 계지환(202a), 턱(201c)을 통해 측면(201b), 저면(201a)으로 전달된다. 누르는 압력의 작용에 따라 망틀 (202)은 외부 용기(203)의 저판(203b)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부 용기(201)의 저면(201a)이 외부 용기(203)의 저판(203b)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저면 (201b)이 저판(203b)을 따라 지지되어 측면(201b)이 굴곡 변형되며, 내부 용기 (201)의 용적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2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의 최상면 레벨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그물체(202b)에 접촉하며, 분말 화장료(205)가 그물체(202b)를 통해 노출되어 화장구(204)에 부착된다. 측면(201b)의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가 내부 용기(201)내에서 유동되므로 고화가 방지되며, 분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화장구(204)를 그물체(202b)로부터 이탈시키면, 내부 용기(201)의 측면(201b)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며, 이 복귀과정에서 공기가 그물체(202b)를 통해 내부 용기(201)내로 유통되어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를 각반함으로써 상기 화장료(205)의 고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1)는 그물체(202b)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측면(201b)이 변형된다. 그리고, 내부 용기(201)의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는 강제적으로 유동시켜지기 때문에, 상기 화장료(205)는 항상 유동성을 유지하며, 고화되는 일이 없다.
이어, 콤팩트 용기의 예에 대해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난 콤팩트 용기에서는 전술한 각 실시예의 리필 용기(200A∼200E)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설명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200A)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리필 용기(200A)와 화장구(204)를 병렬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소위 병렬식 콤팩트 용기(231)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콤팩트 용기(231)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콤팩트 용기(231)는 몸체(232)와 덮개(233)를 도시되지 않은 경첩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여 구성되며, 비사용시에는 몸체(232)에 배치된 리필 용기(200A)의 상방을 폐쇄하고, 사용시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몸체(232)에는 리필 용기(200A)의 외부 용기(203)를 수용하는 수용부 (2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232a)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계합 돌기 (232b)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32a)와 병렬하여 화장구(204)를 수용하는 수용부 (232c)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33)의 내면으로서 수용부(232a)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리필 용기(200A)의 망틀(202)을 피복하여 내부 용기(2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의 건조를 방지하는 패킹(234)이 취부되어 있으며, 또 수용부(232c)와 대향하는 위치에 거울 (235)이 취부되어 있다.
몸체(232) 및 덮개(233)의 회동 중심과는 반대측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계합 돌기(236) 및 계지 훅(2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232)와 덮개 (233)를 회동시켜 계합 돌기(236)와 계지 훅(237)을 계합시킴으로써 콤팩트 용기 (231)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계합 돌기(236)와 계지 훅(237)의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콤팩트 용기(231)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필 용기(2OOA)를 구성하는 외부 용기(203)의 외주면에는 콤팩트 용기(231)의 수용부(232a)에 형성된 계지 돌기(232b)와 대향하는 위치에 계합 홈(203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필 용기(200A)를 수용부(232a)에 압입하여 계지 돌기 (232b)를 계합 홈(203e)에 감합시킴으로써, 리필 용기(200A)의 수용부(232a)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콤팩트 용기(231)에서는 비교적 면적이 커지기는 하였지만 두께는 작아진다.
도 17은 리필 용기(200A)와 화장구(204)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소위 다단식 콤팩트 용기(241)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콤팩트 용기(241)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콤팩트 용기(241)는 몸체(242)와 덮개(243) 및 중간 덮개 (244)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 부재를 경첩 핀(245)에 의해 서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몸체(242)에는 계지 돌기(242b)를 갖는 수용부(242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42a)에 리필 용기(200A)가 압입되어 계지 돌기 (242b)가 계합 홈(203e)에 감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덮개(243)의 내면에는 거울(246)이 취부되어 있다. 중간 덮개(244)의 몸체 (242)쪽 면에는 리필 용기(200A)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205)의 건조를 방지하는 패킹(247)이 취부되어 있으며, 덮개(243)쪽 면은 화장구(204)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콤팩트 용기(241)에서는 비교적 두께가 커지기는 하였지만 면적은 작아진다.
도 19는 리필 용기(200A)와 화장구(204)를 병렬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리필 용기(200A)에 대향하여 중간 덮개를 배치한 소위 중간 덮개식 콤팩트 용기(251)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콤팩트 용기(251)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몸체(252)와 덮개(253)는 도 15의 병렬식 콤팩트 용기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252)에 대한 리필 용기(A)의 수용 방식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몸체(252)의 리필 용기(200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몸체(25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중간 덮개(254)가 배치되어 있으며, 콤팩트 용기 (251)의 개방과 리필용기(A)의 개폐를 상호 독립적으로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리필 용기(200A)의 개폐를 중간 덮개(254)에 의해 실시하기 때문에 덮개(253)의 내면에는 큰 거울(255)이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콤팩트 용기(251)에서는 면적, 두께 모두 커지는데, 거울(255)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외부 용기(203)의 요부(203a) 또는 콤팩트 용기(211)의 몸체(212)에 형성한 요부(212a)에 수용된 내부 용기(2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요부(203a, 212a)에 계지 링(203d, 212d)을 형성함과 동시에 망틀(202)에 계지 돌기(202d)를 형성하였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용기 (201)의 저면(201a)과 외부 용기(203)의 저판(203b), 콤팩트 용기(211)의 몸체 (212)의 저판(212b)을 접착시켜도 된다.
게다가, 상기 리필 용기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인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200B)의 망틀(202)은 계지환(202a)보다 한층 높아진 환상 취부부를 형성하고, 그물체(202b)를 계지환(202a)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도 15 내지 도 20에 나타낸 콤팩트 용기의 예는 다음의 제 8 내지 제 14 실시예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3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2는 리필 용기(300A)의 전개도이다.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은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되며, 이 저면(301a)으로부터 측면(301b)이 기립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301b)의 상단에는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턱(301c)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 (301a) 및 측면(301c)은 거의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턱(301c)은 저면(301a), 측면(301b)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턱(301c)은 저면(301a), 측면 (301b) 보다도 높은 강성(剛性)을 갖는다.
내부 용기(301) 저면(301a)의 거의 중앙에는 원추대 형상의 돌기(30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01d)의 정상부는 후술할 외부 용기(303)의 저판(303b)에 당접되어 있으며, 돌기(301d)와 대응하는 저면(301a)의 저판(303b)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돌기(301d)의 형성부분 이외인 저면(301a)의 저판(303b) 방향 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물체(302b)에 작용하는 누르는 힘에 의해 내부 용기(301)가 억눌러졌을 때, 돌기(301d)보다도 외주측의 저면(301a)은 저판 (303b) 방향으로 이동하여 변형된다(도 25 참조).
또 내부 용기(301)의 측면(301b)에는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301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굴곡부(301e)에 의해 측면(301b)은 북 형상을 갖는다. 내부 용기(301)의 측면(301b)에 형성되는 굴곡부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나타낸 외측을 향하는 원호형상의 굴곡부(301b)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을 향해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 굴곡부, 또는 내측을 향해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 굴곡부이어도 된다.
망틀(302)은 내부 용기(301)의 턱(301c)과 감합하여 상기 턱(301c)을 계지하는 계지환(302a)과, 계지환(302a)에 고착된 그물체(302b)를 가지고 있다. 계지환 (302a)은 턱(301c)의 폭과 거의 동일한 링부(302a1)와, 상기 링부(302a1)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향해 늘어뜨려 형성된 계지부(302a2)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계지부(302a2)의 내주면으로서 턱(301c)의 두께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지 돌기(30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 돌기(302c)는 반드시 턱(301c)의 전체 둘레와 계합할 필요는 없으며, 망틀(302)을 내부 용기(301)에 감합시켰을 때, 망틀 (302)의 내부 용기(30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보지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지부(302a2)를 등분하여 4군데에 계지 돌기 (302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계지부(302a2)의 외주면으로 외부 용기(30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 링(303d)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계지 돌기(302c)와 동일한 계지 돌기(302d)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용기(303)는 내부에 망틀(302)을 계지한 내부 용기(301)를 수용하는 요부(303a)가 형성되며, 상기 요부(303a)는 저판(303b)에 의해 깊이가 규정되어 있다. 즉, 요부(303a)의 평면 형상은 망틀(302)의 평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저판(303b)은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에 형성된 돌기 (301d)로부터 망틀(302)의 링부(302a1) 표면까지의 높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용기(303)는 저부가 저판(303b)에 의해 규정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부(303a)는 소정 두께를 가진 통부(303c)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부(303c)의 상단측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계지 링(30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링(303d)은 망틀(302)의 계지부(302a2)에 형성한 계지 돌기(302d)와 계합하여 요부(303a)에 수용된 망틀(302)을 계지한 내부 용기(30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에 돌기(301d)를 형성한 리필 용기(300A)에서는 사용시에 내부 용기(301)가 눌러졌을 때, 저면(301a)의 돌기 (301d) 형성부분은 변형이 저지되며, 이 저면(301a)은 그물체(302b)에 접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3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의 화장구(304)에 대한 부착이 용이해진다.
상기 내부 용기(301), 망틀(302), 외부 용기(303)에 의해 리필 용기(300A)를 구성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3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필 용기(300B)는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이 제 8 실시예의 돌기(301d) 형상과 다른 것 이외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용기(301) 저면(301a)의 거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링 형상의 돌기(301f)가 형성되며, 이 돌기(301f)의 정상부가 저판 (303b)과 당접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301f)는 저판(303b)에 대해 원형상으로 선(線)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면(301a)에 링 형상의 돌기(301f)를 형성한 내부 용기 (301)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원추대(圓錐臺) 형상의 돌기(301d)에 비해,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 용기(3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30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 9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필 용기(300C)는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에 평면 형상이 원호형상인 복수의 돌기(301g)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내부 용기 (301)의 저면(301a)은 복수의 원호로 외부 용기(303)의 저판(303b)과 접촉하게 된다. 복수의 돌기(301g)는 각각 저면(301a)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원주상에 배치되 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면(301a)에 복수의 원호 형상의 돌기(301g)를 형성한 내부 용기(301)에서는 제 9 실시예와 동일하게 누르는 힘의 작용에 따라 내부 용기 (301)를 보다 넓은 범위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저면(301a)이 복수의 원호를 기점으로 해서 변형되기 때문에, 이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를 적극적으로 유동시킨다. 이 때문에, 분말 화장료(305)의 고화(固化)를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301g)를 연속시켜 링 형상의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저면 (301a)은 돌기를 경계로 하여 변형되며, 분말 화장료(305)의 고화를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의 사용시 분말 화장료(305)의 유동에 대해 도 25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리필 용기로서 제 1 실시예의 리필 용기(300A)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리필 용기(300A)의 외부 용기(303)를 콤팩트 용기(321)의 몸체(322)에 형성된 수용부(322a)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외부 용기(303)의 외주면에는 계합홈(303e)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322)의 수용부 (322a)에 형성된 계합 돌기(322b)와 계합하여 리필 용기(300A)의 몸체(32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리필 용기(300A)에 있어서, 내부 용기(301)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 화장료(305)의 양이 많을 경우, 그물체(302b)에 화장구(304)를 살짝 갖다 대면, 이 때의 누르는 힘에 의해 그물체(302b)는 약간 휘어 분말 화장료(305)의 최상면에 접촉 되며, 분말 화장료(305)가 그물체(302b)를 통해 노출되어 화장구(304)에 부착된다.
내부 용기(3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가 감소됨에 따라 화장구(304)를 그물체(302b)에 꽉 누르더라도 상기 그물체(302b)가 분말 화장료(305)에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보다 큰 힘으로 화장구(304)를 누르게 된다. 이 누르는 힘은 그물체(302b)를 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그물체(302b)로부터 계지환(302a), 턱(301c)을 통해 측면(301b), 저면(301a)으로 전달된다. 누르는 힘의 작용에 따라 망틀 (302)은 외부 용기(303)의 저판(303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 거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301d)가 외부 용기(303)의 저판(303b)에 면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저면(301b)은 돌기(301d) 형성부 이외의 면이 돌기 (301d)의 측면 및 저판(303b)을 따라 변형됨과 동시에 측면(301b)이 굴곡 변형되며, 내부 용기(301)의 용적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3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의 최상면 레벨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그물체(302b)에 접촉되며, 분말 화장료(305)가 그물체(302b)를 통해 노출되어 화장구(304)에 부착된다. 저면(301a), 측면(301b)의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가 내부 용기(301)내에서 유동하여 고화가 방지되며, 분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화장구(304)를 그물체(302b)로부터 이탈시키면, 내부 용기(301)의 저면(301a), 측면(301b)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 이 복귀 과정에서 공기가 그물체(302b)를 통해 내부 용기(301)로 유통되어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를 각반함으로써, 상기 화장료(305)의 고화(固化)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301)는 그물체(302b)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면(301a), 저면(301a) 및 측면(301b)이 변형된다. 그리고, 내부 용기(301)의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305)는 강제적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상기 화장료(305)는 항상 유동성을 유지하여, 고화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리필 용기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300A)의 망틀(302)은 계지환(302a)보다 한층 높아진 환상 취부부를 형성하고, 그물체(302b)를 계지환(302a)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구조로 할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4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7은 리필 용기(400A)의 전개도이다.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은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되며, 이 저면(401a)으로부터 측면(401b)이 기립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401b)의 상단에는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턱(40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401a) 및 측면(401b)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턱(401c)은 저면 (401a), 측면(401b)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턱(401c)은 저면(401a), 측면(401b)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다. 내부 용기(401)의 측면(401b)에는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40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굴곡부(401d)에 의해 측면(401b)은 북(鼓) 형상을 갖는다.
내부 용기(401)의 측면(401b)에 형성되는 굴곡부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나타낸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의 굴곡부(401d)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을 향해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 굴곡부, 또는 내측을 향해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 굴곡부이어도 된다.
망틀(402)은 내부 용기(401)의 턱(401c)과 감합하여 상기 턱(401c)을 계지하는 계지환(402a)과, 계지환(402a)에 고착된 망(402b)을 가지고 있다. 계지환(402a)은 턱(401c)의 폭과 거의 동일한 링부(402a1)와, 상기 링부(402a1)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향해 늘어뜨려 형성된 계지부(402a2)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계지부(402a2)의 내주면으로서 턱(401c)의 두께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지 돌기(40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지 돌기(402c)는 반드시 턱(401c)의 전체 둘레와 계합할 필요는 없으며, 망틀(402)을 내부 용기(401)에 감합시켰을 때, 망틀 (402)이 내부 용기(4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보지력(保持力)을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지부(402a2)를 등분하여 4군데에 계지 돌기(402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계지부(402a2)의 외주면으로서 외부 용기 (40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 링(403d)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계지 돌기 (402c)와 동일한 계지 돌기(402d)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용기(403)는 내부에 망틀(402)을 계지한 내부 용기(401)를 수용하는 요부(403a)가 형성되며, 상기 요부(403a)는 저판(403b)에 의해 깊이가 규정되어 있다. 즉, 요부(403a)의 평면 형상은 망틀(402)의 평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저판(403b)은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으로부터 망틀 (402)의 링부(402a1) 표면까지의 거리에 상기 저판(403b)에 형성된 돌기(403e)의 높이를 더한 치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용 기(403)는 저부가 저판(403b)에 의해 규정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부(403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통부(403c)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부(403c)의 상단측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계지 링(40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링(403d)은 망틀(402)의 계지부(402a2)에 형성한 계지 돌기(402d)와 계합하여 요부(403a)에 수용된 망틀(402)을 계지한 내부 용기(40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저판(403b)의 거의 중앙에 요부(403a)측으로 돌출되어 돌기(403e)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03e)는 화장구(404)를 망(402b)에 꽉 눌렀을 때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부 용기(401)가 하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과 당접되어 상기 저면(401a)을 변형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도 31 참조).
돌기(403e)는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 거의 중앙에 원추대 형상의 돌기로서 형성되며,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기(403e) 정상부(403e1)의 면적 및 높이는 리필 용기(400A)의 사용시 내부 용기(4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의 유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 면적 및 깊이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에 원추대 형상의 돌기 (403e)를 형성한 리필 용기(400A)에서는 사용시 내부 용기(401)가 눌러졌을 때, 저면(401a) 돌기(403e)와의 접촉 부분은 변형이 저지되며, 이 저면(401a)은 망(402b)에 접근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4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의 화장구(404)에 대한 부착이 용이해진다.
상기 내부 용기(401), 망틀(402), 외부 용기(403)에 의해 리필 용기(400A)를 구성하는 순서는 상기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4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 1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필 용기(400B)는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의 돌기(403e)의 형상과 다른 것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 거의 중앙에는 반구형상의 돌기(403f)가 형성되며, 이 돌기(403f)의 정상부(403f1)가 저면(401a)과 당접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403f)는 저면(401a)에 대해 점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판(403b)에 반구형상의 돌기(403f)를 형성한 외부 용기(403)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원추대 형상의 돌기(403e)에 비해,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을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 용기 (4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리필 용기(40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 1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필 용기(400C)는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에 복수의 반구형상의 돌기(403f)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내부 용기(401)의 저면 (401a)은 복수의 점에서 각 돌기(403f)와 접촉하게 된다. 복수의 돌기(403f)는 각각 저판(403b)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아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판(403b)에 복수의 반구형상의 돌기(403)를 형성한 외부 용기(403)에서는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다 작은 누르는 힘의 작용에 의해 내부 용기(401)를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저면(401a)이 복수의 점을 기점으로 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이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를 적극적으로 유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분말 화장료(405)의 고화를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3 실시예의 복수의 돌기(403f)를 연속시켜 평면 형상이 환상의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돌기는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에 대해 환상(環狀)으로 접촉하며, 내부 용기(401)에 누르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저면(401a)은 돌기를 경계로 하여 변형된다. 이 때문에, 분말 화장료 (405)의 고화를 방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0에 나타낸 리필 용기(400E)는 외부 용기를 콤팩트 용기(411)의 몸체 (412)로 하며, 상기 몸체(412)에 형성한 요부(412a)에 망틀(402)을 일체화시킨 내부 용기(401)를 수용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콤팩트 용기(411)는 몸체(412)와 덮개(413)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몸체(412) 및 덮개(413)를 경첩 핀(414)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412)의 소정 위치에는 내부 용기 (401)를 수용하는 요부(4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412a)는 상술한 각 실시예의 요부(403a)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요부(412a)의 저판(412b)에는 돌기(412e)가 형성되며, 또 상부에는 계지 링(41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부(412a)에 수용된 내부 용기(401)는 망틀(402)의 계지 돌기(402d)가 요부(412a)에 형성된 계지 링(412d)과 계합하여 상기 요부(412a)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요부(412a) 하방으로의 이동만이 허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망틀(402)을 일체화시킨 내부 용기(401)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로서는 반드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부 용기(403)일 필요는 없으며, 내부 용기(401)를 수용할 수 있는 요부(403a, 412a)를 갖는 것이면 된다. 즉, 외부 용기 (403)의 외형은 통 형상, 판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의 사용시 분말 화장료(405)의 유동에 대해 도 31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리필 용기로서 제 11 실시예의 리필 용기(400A)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리필 용기(400A)의 외부 용기(403)를 콤팩트 용기(421)의 몸체(422)에 형성된 수용부(422a)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외부 용기(403)의 외주면에는 계합홈(403g)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422)의 수용부 (422a)에 형성된 계합 돌기(422b)와 계합하여 리필 용기(400A)가 몸체(4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리필 용기(400A)에 있어서, 내부 용기(401)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 화장료(405)의 양이 많을 경우, 망(402b)에 화장구(404)를 살짝 갖다 대면, 이 때의 누르는 힘에 의해 망(402b)은 약간 휘어 분말 화장료(405)의 최상면에 접촉되며, 분말 화장료(405)가 망(402b)을 통해 노출되어 화장구(404)에 부착된다.
내부 용기(4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의 감소에 따라 화장구(404)를 망(402b)에 갖다 대어도 상기 망(402b)이 분말 화장료(405)에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보다 큰 힘으로 화장구(404)를 억누르게 된다. 이 누르는 힘은 망(402b)을 휘게함과 동시에 상기 망(402b)으로부터 계지환(402a), 턱(401c)을 통해 측면 (401b)과 저면(401a)으로 전달된다. 누르는 힘의 작용에 따라 망틀(402)은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 거의 중앙이 외부 용기(403)의 저판(403b)에 형성된 돌기(403e)와 면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저면(401b)은 돌기(403e)와의 접촉면 이외의 면이 돌기(403e)의 측면, 저판(403b)을 따라 변형됨과 동시에 측면(401b)이 굴곡 변형되며, 내부 용기(401)의 용적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401)에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의 최상면 레벨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망(402b)에 접촉되며, 분말 화장료(405)가 망(402b)을 통해 노출되어 화장구(404)에 부착된다. 저면(401a), 측면(401b)의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가 내부 용기(401)내에서 유동되어 고화가 방지되며, 분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장구(404)를 망(402b)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내부 용기(401)의 저면(401a), 측면(401b)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 이 복귀 과정에서 공기가 망(402b)을 통해 내부 용기(401)내로 유통되어 수용된 분말 화장료 (405)를 각반함으로써, 상기 화장료(405)의 고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용기(401)는 망(402b)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면(401a), 저면(401a) 및 측면(401b)이 변형된다. 그리고, 내부 용기(401)의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405)는 강제적으로 유동시켜지기 때문에, 상기 화장 료(405)는 항상 유동성을 유지하여 고화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리필 용기는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의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B)의 망틀(202)은 계지환(202a)보다 한층 높아진 환상 취부부를 형성하며, 그물체(202b)를 계지환(202a)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구조로 할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필 용기에서는 이를 수납하는 콤팩트 용기의 덮개를 닫았을 때, 덮개에 설치된 패킹이 상방으로 일어선 그물체 및 환상 취부부 전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리필 용기의 높은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화장료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리필 용기는 패킹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틈새에 화장료가 쌓이는 일없이 사용시, 덮개를 열었을 때, 화장료가 흩날리는 등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또한 내부 용기를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성형함과 동시에 측면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또한 외부 용기의 저판 또는 내부 용기의 저면 소정 위치에 단수 또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할 때마다 덮개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내부 용기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변형에 따라 수용된 분말 화장료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분말 화장료가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정확하게 개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설명은 발명의 원칙을 가장 잘 설명하도록, 또한 생각할 수 있는 특별한 실시예에 적합한 여러 가지 실시예나 변형예에 따라 본 발명을 가장 잘 이용하는 다른 동업자에게 실용적인 적용예를 설명하도록 선택된 것이다. 명세서에 의해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한 것은 아니며,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분말 화장료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계지환(係止環)에 걸쳐놓은 망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상기 망틀은 그물체와, 그물체가 걸쳐지는 계지환과, 상기 계지환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그물체를 상기 계지환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환상(環狀) 취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부착 리필 용기.
  2.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며 거의 평탄한 저면과 상기 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면 및 측면보다도 높은 강성(剛性)을 갖는 턱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분말 화장료를 수용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의 턱에 감합(嵌合)하여 계지(係止)되는 계지환과 상기 계지환에 고착된 망으로 이루어진 망틀과, 상기 내부 용기가 분말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망틀이 상기 내부 용기와 계합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와 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부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를 갖는 망 부착 리필 용기로서, 상기 그물체와 상기 계지환의 환상 취부부는, 상기 계지환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그물체를 상기 계지환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부착 리필 용기.
  3.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며 거의 평탄한 저면과 상기 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는 측면과 상기 저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측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면 및 측면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턱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분말 화장료를 수용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의 턱에 감합하여 계지하는 계지환와, 상기 계지환에 고착된 망으로 이루어진 망틀과, 내부 용기가 분말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망틀이 내부 용기와 계합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와 내부 용기의 돌기와 당접되는 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부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를 갖는 망 부착 리필 용기로서, 상기 그물체와 상기 계지환의 환상 취부부는 상기 계지환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그물체를 상기 계지환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부착 리필 용기.
  4.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며 거의 평탄한 저면과 상기 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부를 갖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저면 및 측면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턱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분말 화장료를 수용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의 턱과 감합하여 계지하는 계지환과 상기 계지환에 고착된 망으로 이루어진 망틀과, 내부 용기가 분말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망틀이 내부 용기와 계합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와 소정 위치에 형성된 내부 용기의 저면과 당접되는 돌기를 갖는 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부에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를 갖는 망 부착 리필 용기로서, 상기 그물체와 상기 계지환의 환상취부부는 상기 계지환 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그물체를 상기 계지환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화장료용 망 부착 리필 용기.
KR1019990009112A 1999-03-18 1999-03-18 망부착 리필 용기 KR10054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112A KR100541122B1 (ko) 1999-03-18 1999-03-18 망부착 리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112A KR100541122B1 (ko) 1999-03-18 1999-03-18 망부착 리필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31A KR20000060631A (ko) 2000-10-16
KR100541122B1 true KR100541122B1 (ko) 2006-01-10

Family

ID=4174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112A KR100541122B1 (ko) 1999-03-18 1999-03-18 망부착 리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75B1 (ko) 2014-04-11 2014-08-01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리필용 화장품 캡슐
WO2016111450A1 (ko) * 2015-01-07 2016-07-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7466217A (zh) * 2015-07-09 2017-12-12 吕明权 用于防止胶囊化妆品流动的化妆品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42B1 (ko) * 2015-03-19 2019-03-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745842B1 (ko) * 2016-12-30 2017-06-20 정규열 화장품 리필 용기
KR102631781B1 (ko) * 2023-11-21 2024-01-31 주식회사 씨티케이 리필 가능한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411A (ja) * 1987-12-26 1989-07-05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料用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H03228707A (ja) * 1990-02-01 1991-10-09 Yoshino Kogyosho Co Ltd コンパクト容器用の枠付きネットの製造方法と保形片付きネット
JPH0928453A (ja) * 1995-07-17 1997-02-04 Yoshida Kogyo Kk <Ykk> 粉末化粧料用網付レフィル容器
JPH0956456A (ja) * 1995-08-21 1997-03-04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H1146847A (ja) * 1997-08-06 1999-02-23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411A (ja) * 1987-12-26 1989-07-05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料用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H03228707A (ja) * 1990-02-01 1991-10-09 Yoshino Kogyosho Co Ltd コンパクト容器用の枠付きネットの製造方法と保形片付きネット
JPH0928453A (ja) * 1995-07-17 1997-02-04 Yoshida Kogyo Kk <Ykk> 粉末化粧料用網付レフィル容器
JPH0956456A (ja) * 1995-08-21 1997-03-04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H1146847A (ja) * 1997-08-06 1999-02-23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75B1 (ko) 2014-04-11 2014-08-01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리필용 화장품 캡슐
WO2016111450A1 (ko) * 2015-01-07 2016-07-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7466217A (zh) * 2015-07-09 2017-12-12 吕明权 用于防止胶囊化妆品流动的化妆品容器
EP3257395A4 (en) * 2015-07-09 2018-05-23 Myung Kwon Yeo Cosmetics container for preventing flow of capsule cosme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31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008A (en) Refillable case with a net
EP1565326B1 (en) Applicator package with disposable applicator pad assembly
JP3292722B2 (ja) 塗布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塗布装置
US20190015303A1 (en) Cosmetic product having impregnation member embossed and engraved by melting surface
KR100541122B1 (ko) 망부착 리필 용기
EP3090648B1 (en) Compact case with cake retention pan
KR101564981B1 (ko) 화장품 케이스
JP2005503198A (ja) フロック加工された化粧品サンプラとその製造法とその使用法
KR20140026694A (ko) 측면 버튼 가압식 화장품용기
JP3432155B2 (ja) メーキャップボックス
KR20030070463A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JP3616435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404763B1 (ko) 캡슐 화장품 용기
JP2002010827A (ja) 化粧料収納容器
JP3925988B2 (ja) 粉末化粧料用容器
JP3411187B2 (ja) 化粧料容器
JP3426138B2 (ja) 網付レフィル容器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JP3805811B2 (ja) 粉末化粧料用網付レフィル容器
CN109890243B (zh) 通过连接环和下盖将网状物与中间帽连接的粉末容器的中间帽及其制造方法
JPH09191930A (ja) ネット付き化粧料容器
JP3929124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960403B1 (ja) 網付レフィル容器
JP2002291521A (ja) 網付パウダー容器
JP3805813B2 (ja) 粉末化粧料用網付レフィ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