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907B1 - 파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파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907B1
KR100540907B1 KR1020030041734A KR20030041734A KR100540907B1 KR 100540907 B1 KR100540907 B1 KR 100540907B1 KR 1020030041734 A KR1020030041734 A KR 1020030041734A KR 20030041734 A KR20030041734 A KR 20030041734A KR 100540907 B1 KR100540907 B1 KR 10054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roller
main
roller pieces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546A (ko
Inventor
이충규
Original Assignee
이충규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규,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규
Priority to KR102003004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9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 콘크리트나 벽돌 등과 같은 건축폐기물을 입도 조건에 적합한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파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공급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파쇄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파쇄 공간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비되며 수평상의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구동부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주·종축과, 상기 주축에 외경이 다른 소·대 롤러 편들이 교호로 반복 관통되며 조임 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주 파쇄롤러와, 상기 종축에 상기 주축의 소·대 롤러 편들의 배열과 엇갈리게 대·소 롤러 편들이 반복 관통되어 상기 조임 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이 대·소 롤러 편들이 상기 소·대 롤러 편들의 외주면과 측면에 상호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구비되어 있는 종 파쇄롤러를 포함하는 파쇄체로 구성되되; 상기 조임 수단은 상기 주·종축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롤러 편들 중 제일 양측에 장착되는 양측 롤러 편의 내측 중앙에 상기 테이퍼부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테이퍼 홀과, 상기 테이퍼부와 테이퍼 홀 사이에 삽입되며 중간에는 직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일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쐐기체와,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어 양 테이퍼 쐐기체를 내측으로 밀어 양측 롤러 편을 고정하면서 중앙으로 밀어주어 그 사이에 관통 삽입된 다수의 롤러 편들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폐건축재, 파쇄, 롤러, 롤러 편

Description

파쇄 제조장치{Break manufactur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파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롤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바의 확대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공급부 120 : 배출부 130 : 파쇄 공간
200 : 구동부
210 : 주 기어 220 : 종기어 230 : 구동기어 240 : 모터
300 : 파쇄체
310 : 주축
311, 331 : 테이퍼부
320 : 주 파쇄롤러
321,341 : 소 롤러 편 322,342 : 대 롤러 편
323,343 : 양측 롤러 편
323a,343a : 테이퍼 홀
330 : 종축 340 : 종 파쇄롤러
350 : 조임 수단
351 : 테이퍼 쐐기체
351a : 개방 홀 351b : 나선부
352 : 고정 너트
360 : 간격유지 링
400 : 쇼바
410 : 브라켓
411 : 축 지지편 412 : 가이드 레일 413 : 탭 홀
420 : 텐션 조절부
421 : 나선축 422 : 탄성 스프링 423 : 스플라인축
430 : 기어부
431 : 웜 기어 432 : 웜 휠
본 발명은 파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 콘크리트나 벽돌 등과 같은 건축폐기물을 입도 조건에 적합한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파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폐기물을 재생골재(모래)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폐 콘크리트나 벽돌 덩어리를 40∼50㎜ 크기로 파쇄하여 이물질 등을 분리 제거하고 다시 골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입자로 잘게 분쇄하여 선별과 세척공정을 거쳐 재생골재를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파쇄장치는 종전에 석탄이나 석회석 등과 같이 강도가 약한 광물들을 파쇄하는 한 쌍의 롤러를 통하여 1차 파쇄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파쇄된 입자가 커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2002. 11.04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32889호가 있다.
이 장치는 장치 내부에 공급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된 건축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한 쌍의 제1파쇄롤러와 이 제1파쇄롤러 중의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파쇄되는 건축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동을 조절하는 제1간격조절수단을 갖는 1차 파쇄부와, 이 1차 파쇄부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2차로 파쇄하는 한 쌍의 제2파쇄롤러와 이 제2파쇄롤러 중의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파쇄되는 건축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동을 조절하는 제2간격조절수단을 갖는 2차 파쇄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파쇄부의 파쇄롤러들은 장치 프레임의 상, 하 양측에 구비된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에 축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반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종래의 파쇄장치는 모터구동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파쇄롤러에 의해 공급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건축폐기물이 1차로 파쇄되고, 파쇄된 건축폐기물이 제2파쇄롤러에 의해 재차 파쇄하여 배출 컨베이어로 송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건축폐기물을 파쇄시키는 파쇄롤러가 동일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롤러이거나 또는 동일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편 롤러들로 구성된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됨에 따라 쌍을 이루며 회전하는 파쇄롤러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 골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입도를 가지는 불량골재가 배출되는 한편,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데 있어 시간당 파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파쇄롤러로 공급되는 건축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롤러축의 축심 이동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어 파쇄롤러를 밀착시키는 힘이 저하되어 파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폐건축재가 파쇄되는 파쇄롤러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생산효율, 즉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 파쇄롤러의 회전속도를 주 파쇄롤러의 회전속도보다 느리게 하여 주 파쇄롤러를 통한 건축폐기물의 미끄럼 압착 분쇄를 가능하게 하는 파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쇼바를 통해 파쇄체의 파쇄롤러 상호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폐건축재에 혼재되어 있는 금속류가 파쇄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종 파쇄롤러의 손상을 방지하며 종축의 전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파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공급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파쇄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파쇄 공간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비되며 수평상의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구동부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주·종축과, 상기 주축에 외경이 다른 소·대 롤러 편들이 교호로 반복 관통되며 조임 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주 파쇄롤러와, 상기 종축에 상기 주축의 소·대 롤러 편들의 배열과 엇갈리게 대·소 롤러 편들이 반복 관통되어 상기 조임 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이 대·소 롤러 편들이 상기 소·대 롤러 편들의 외주면과 측면에 상호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구비되어 있는 종 파쇄롤러를 포함하는 파쇄체로 구성되되; 상기 조임 수단은 상기 주·종축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롤러 편들 중 제일 양측에 장착되는 양측 롤러 편의 내측 중앙에 상기 테이퍼부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테이퍼 홀과, 상기 테이퍼부와 테이퍼 홀 사이에 삽입되며 중간에는 직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일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쐐기체와,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어 양 테이퍼 쐐기체를 내측으로 밀어 양측 롤러 편을 고정하면서 중앙으로 밀어주어 그 사이에 관통 삽입된 다수의 롤러 편들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외경이 큰 롤러 편과 이 롤러 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롤러 편들이 교호로 반복되게 조립된 주 파쇄롤러와 종 파쇄롤러가 엇갈리게 맞물려 회전 구동하도록 설계됨으로 써, 회전 구동 시 주 파쇄롤러와 종 파쇄롤러를 구성하는 소·대 롤러 편간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폐건축재의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삭제
특히 주·종 파쇄롤러의 회전 구동 시 각 파쇄롤러를 구성하고 있는 롤러 편들이 주·종축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주·종축의 내측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다수의 롤러 편을 내측으로 압착해 줌으로써, 롤러 편들이 엇갈리게 구성된 주·종 파쇄롤러의 파쇄효율을 향상시켜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 보조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파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쇄롤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공급부(110)와 배출부(120)가 구비된 파쇄 공간(130)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파쇄 공간(130)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비되며 수평상의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구동부(200)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주·종축(310,330)과, 상기 주축(310)에 외경이 다른 소·대 롤러 편(321,322)들이 교호로 반복 관통되며 조임 수단(350)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주 파쇄롤러(320)와, 상기 종축(330)에 상기 주축의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배열과 엇갈리게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반복 관통되어 상기 조임 수단(350)을 통해 고정되며 이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상기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외주면과 측면에 상호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구비되어 있는 종 파쇄롤러(340)를 포함하는 파쇄체(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공급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된 폐건축재가 상기 파쇄 공간(130)으로 투입되는 공급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파쇄체(300)를 통해 기준치의 입도로 파쇄된 재생골재를 배출 컨베이어(20)로 배출하는 배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110)에는 폐건축재가 상기 파쇄 체의 파쇄부로 투입되도록 투입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호퍼(111)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외측에는 상기 파쇄체(30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20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주축(310)의 단부에 장착되어 구동 모터(240)에 의해 회전하는 주 기어(210)와 상기 종축(330)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주 기어(210)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종기어(220)로 구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240)와 주 기어(210) 사이에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V-벨트와 풀리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풀리의 중심축에는 풀리와 연동하는 구동기어(230)가 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폐건축재를 통한 재생파쇄 제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V-벨트와 풀리 및 구동기어를 통해 주 기어가 구동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주 기어에 치합되어 있는 종기어가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종기어(220)는 상기 주 기어(210)보다 피치원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폐건축재를 통한 재생파쇄 제조장치는 주 파쇄롤러를 통해 폐건축재를 미끄럼 압착 분쇄함으로써, 재생골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쇄체(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10)와 배출부(120) 사이의 파쇄 공간(130)에 구비되어 폐건축재를 재생골 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입도로 파쇄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주·종축(310,330)과, 상기 주축(310)에 관통 조립되어 회전하는 주 파쇄롤러(320)와, 상기 종축(330)에 의해 회전하는 종 파쇄롤러(34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폐건축재를 파쇄한다.
즉 상기 주·종축(310,330)은 수평 상의 횡방향, 즉 상기 주축(310)의 전방에 종축(330)이 구비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주·종기어에 연결된 주·종축(310,330)의 타단은 본체 내부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주 파쇄롤러(320)는 상기 주축(310)에 외경이 작은 롤러 편(이하 "소 롤러 편"이라 한다)(321)들과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롤러 편(이하 "대 롤러 편"이라 한다)(322)들이 교호로 반복 관통되며 조임 수단(350)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종 파쇄롤러(340)는 상기 종축(330)에 상기 주축의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배열과 엇갈리게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반복 관통되어 상기 조임 수단(350)을 통해 고정되며, 이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상기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외주면과 측면에 상호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주·종 파쇄롤러(320,340)를 구성하는 롤러 편(321,322,341,342)들의 사이에는 상기 주·종축(310,330)에 관통 삽입되는 간격유지 링(360)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간격유지 링(360)을 통해 엇갈리게 설치된 주·파쇄롤러의 롤러 편(321,322,341,342)들을 고정할 수 있어 파쇄체의 회전 구동 시 폐건축재가 파쇄되는 접촉 외주면인 파쇄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파쇄체(300)는 다수의 롤러 편(321,322,341,342)들이 교호로 반복 관통되며 조립되어 있는 주·종 파쇄롤러의 롤러 편(321,322,341,342)들이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어 상호 대응하는 롤러 편들의 외주면과 측면이 상호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된다.
즉 상기 주·종 파쇄롤러를 구성하는 롤러 편(321,322,341,342)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파쇄롤러의 소 롤러 편(321)과 종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42)이 접하는 외주면은 상호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며, 측면이 접하는 주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22)과 종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42) 사이에는 롤러 편 양측 모서리부인 커터부(322a,342a)를 통해 폐건축재를 파쇄하는 측면 파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엇갈리게 설치된 주·종 파쇄롤러의 롤러 편들에 의해 폐건축재가 파쇄된다.
이 때 폐건축재는 주·종 파쇄롤러를 구성하는 롤러 편(321,322,341,342)들이 접하는 접촉 외주면에서 파쇄된다. 또한 주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22)과 종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42) 사이로 유입된 폐건축재는 롤러 편 사이에 형성된 측면 파쇄 공간에서 롤러 편에 형성된 커터부(322a,342a)를 통해 주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22)과 종 파쇄롤러의 소 롤러 편(341)이 접하는 접촉 외주면에서 측면 파쇄 공간으로 유동된 폐건축재가 파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쇄체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롤러 편들이 교호로 반복되게 조립되어 있는 주·종 파쇄롤러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구동함으로써, 롤러 편들의 상호 밀착하는 접촉 외주면과 롤러 편 사이에 형성된 측면 파쇄 공간에서 롤러 편에 형성된 커터부를 통해 폐건축재가 파쇄되는 파쇄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간당 파쇄효율을 향상시켜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종 파쇄롤러들의 조임 수단(3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종축(310,32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311,331)와, 상기 롤러 편들 중 제일 양측에 장착되는 양측 롤러 편(323,343)의 내측 중앙에 상기 테이퍼부(311,331)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테이퍼 홀(323a,343a)과, 상기 테이퍼부(311,331)와 테이퍼 홀(323a,343a) 사이에 삽입되며 중간에는 직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 홀(3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일부에는 나선부(351b)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쐐기체(351)와, 상기 나선부(351b)에 체결되어 양 테이퍼 쐐기체(351)를 내측으로 밀어 양측 롤러 편(323,343)을 고정하면서 중앙으로 밀어주어 그 사이에 관통 삽입된 다수의 롤러 편(321,322,341,342)들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 너트(35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주·종 파쇄롤러(320,340)는 테이퍼부(311,331)가 형성된 각 축(310,330)의 내측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 편(321,322,341,342)들이 교호로 반복되게 설치되며, 양측의 최외측에는 개방 홀(351a) 및 외측면 일부에는 나선부(351b)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쐐기체(351)가 설치되어 있는 축의 테이퍼부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홀(323a,343a)이 구비된 양측 롤러 편(323,343)들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양측 롤러 편(323,343)들은 상기 테이퍼 쐐기체의 나선부(351b)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테이퍼 쐐기체(35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테이퍼 쐐기체의 나선부(351b)에는 고정 너트(352)들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테이퍼 쐐기체의 나선부에 체결된 고정 너트들을 조여 줌으로써, 이 힘에 의하여 양 테이퍼 쐐기체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직경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양측 롤러 편을 축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게 됨과 동시에 고정 너트가 양측 롤러 편들을 중앙으로 밀어줌으로써, 이 힘에 의하여 양측 롤러 편들이 축 상에 관통 삽입된 다수의 롤러 편들을 압착하여 각 축에 삽입 관통된 다수의 롤러 편들을 축 상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임 수단을 통해 각 파쇄롤러의 양측을 조여 줌으로써, 주·종 파쇄롤러의 회전 구동 시 파쇄되는 폐건축재에 의해 각 파쇄롤러를 구성하고 있는 롤러 편들이 움직이거나 주·종축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주·종축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다수의 롤러 편을 양측에서 내측으로 압착해주므로 엇갈리게 배열된 롤러 편들에 의해 형성된 측면 파쇄 공간에서 폐건축재를 파쇄할 수 있게 되어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2개의 층으로 형성된 파쇄체를 이용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 4 및 도 6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의 파쇄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대 롤러 편(321,322)들이 교호로 반복 설치되어 있는 주 파쇄롤러(320)와 상기 주 파쇄롤러의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배열과 엇갈리게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반복 관통되어 종 파쇄롤러(340)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주·종 파쇄롤러(320,34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부의 파쇄 공간(130)에 2개의 파쇄체가 동일 수직선상에 층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 상부에 설치된 공급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어 본체의 파쇄 공간(130)으로 떨어지는 폐건축재는 우선 먼저 상부 파쇄체(300A)를 구성하고 있는 주 파쇄롤러의 소·대 롤러 편(321,322)들과 이에 엇갈리게 삽입 설치되어 있는 종 파쇄롤러의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접하는 접촉면, 예를 들면 주 파쇄롤러의 소 롤러 편(321)과 이에 대응하는 종 파쇄롤러의 대 롤러 편(342)의 접촉 외주면과 측면 파쇄 공간이 형성된 접촉 측면에서 파쇄된다.
이 때 상기 종 파쇄롤러를 구동하는 종기어(220)의 피치원이 상기 주 파쇄롤러를 구동하는 주 기어(21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 파쇄롤러를 구성하는 롤러 편(321,322)들에 의해 주·종 파쇄롤러의 롤러 편들이 접하는 접촉면 상에 위치하는 폐건축재들이 롤러 편의 접촉 외주면 및 접촉 측면으로 미끄러져 롤러 편들의 회전 구동에 의해 파쇄된다.
이와 같이 상부 파쇄체(300A)를 통과한 폐건축재는 상기 하부 파쇄체(300B)에서 다시 한번 파쇄되어 본체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 컨베이어(20)로 배출됨으로써, 폐건축재의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재생골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양측면에 설치 고정되며 종축의 전후 충격을 완화시키는 쇼바(400)가 더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쇼바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축(330)의 축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편(411)이 양 내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412)을 통해 전후 이동되며 전방 중앙에 탭홀(413)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410)과, 모터와 기어부(430)에 의해 상기 탭홀(413)에 체결된 나선축(421)이 전후 이동하며 상기 나선축(421)의 후방과 축 지지편(411) 사이에 탄성 스프링(422)이 탄설되어 있는 텐션 조절부(4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웜 기어(431)와, 상기 웜 기어(431)에 맞물려 회전되어 상기 나선축(421)을 회전시키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웜 휠(43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폐건축재에 포함되어 있는 콘크리트 철근 등과 같은 금속류가 상기 파쇄체(300)를 통과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종기어(220)의 피치원이 주 기어(2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되어 있어 종기어에 장착된 종축(330)이 본체에 형성된 장홀을 통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주 파쇄롤러(320)와 종 파쇄롤러(340)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금속류를 그대로 통과시킨 후, 종축(330)의 축심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주 파쇄롤러와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축심이 이동하는 종축(330)은 상기 쇼바(400)의 탄성 스프링(422)에 의해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 탄성 스프링(422)의 텐션은 상술한 모터와 기어부(430)의 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된다.
즉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웜 기어(431)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웜 기어(431)에 맞물려 있는 웜 휠(432)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웜 휠(432)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축(421)이 회전하면서 브라켓에 형성된 탭홀(413)을 통해 전후 이동하여 나선축(421) 및 축 지지편(422) 사이에 탄설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나선축(421)의 전방은 웜 휠(432)과 결합하는 축에 6개의 키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 축(423)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웜 휠(432)의 회전 구동 시 스플라인 축(423)이 회전하면서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쇼바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상술한 쇼바를 통해 종 파쇄롤러의 종축을 지지해줌으로써, 주·종 파쇄롤러 상호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폐건축재에 혼재되어 있는 금속류가 파쇄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종 파쇄롤러의 손상을 방지하며 종축의 전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제조장치는 외경이 큰 롤러 편과 이 롤러 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롤러 편들이 교호로 반복되게 조립된 주 파쇄롤러와 종 파쇄롤러가 엇갈리게 맞물려 회전 구동하도록 설계됨으로써, 회전 구동 시 주 파쇄롤러와 종 파쇄롤러를 구성하는 소·대 롤러 편간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폐건축재의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롤러 편들의 상호 밀착하는 접촉 외주면과 롤러 편 사이에 형성된 측면 파쇄 공간에서 롤러 편에 형성된 커터부를 통해 폐건축재를 파쇄함으로써, 시간당 파쇄효율을 향상시켜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종 파쇄롤러의 회전 구동 시 각 파쇄롤러 양측의 조임 수단을 통해 각 파쇄롤러를 구성하고 있는 롤러 편들이 주·종축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주·종축의 내측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다수의 롤러 편을 내측으로 압착해 줌으로써, 롤러 편들이 엇갈리게 구성된 주·종 파쇄롤러의 파쇄효율을 향상시켜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주·종 파쇄롤러를 구성하는 롤러 편들의 사이에 간격유지 링들을 구비함으로써, 엇갈리게 설치된 주·파쇄롤러의 롤러 편들을 고정할 수 있어 파쇄롤러의 회전 구동 시 폐건축재가 파쇄되는 접촉 외주면인 파쇄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쇄체를 구동하는 종기어의 피치원을 주 기어의 피치원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주 파쇄롤러의 롤러 편들에 의해 주·종 파쇄롤러의 롤러 편들이 접하는 접촉면 상에 위치하는 폐건축재들이 롤러 편의 접촉 외주면 및 접촉 측 면으로 미끄러져 파쇄되어 양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쇼바를 통해 종 파쇄롤러의 종축을 지지해줌으로써, 주·종 파쇄롤러 상호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폐건축재에 혼재되어 있는 금속류가 파쇄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종 파쇄롤러의 손상을 방지하며 종축의 전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공급부(110)와 배출부(120)가 구비된 파쇄 공간(130)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파쇄 공간(130)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비되며 수평상의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구동부(200)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주·종축(310,330)과, 상기 주축(310)에 외경이 다른 소·대 롤러 편(321,322)들이 교호로 반복 관통되며 조임 수단(350)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주 파쇄롤러(320)와, 상기 종축(330)에 상기 주축의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배열과 엇갈리게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반복 관통되어 상기 조임 수단(350)을 통해 고정되며 이 대·소 롤러 편(342,341)들이 상기 소·대 롤러 편(321,322)들의 외주면과 측면에 상호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구비되어 있는 종 파쇄롤러(340)를 포함하는 파쇄체(300)로 구성되되;
    상기 조임 수단(350)은 :
    상기 주·종축(310,33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311,331)와,
    상기 롤러 편들 중 제일 양측에 장착되는 양측 롤러 편(323,343)의 내측 중앙에 상기 테이퍼부(311,331)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테이퍼 홀(323a,343a)과,
    상기 테이퍼부(311,331)와 테이퍼 홀(323a,343a) 사이에 삽입되며 중간에는 직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방 홀(3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일부에는 나선부(351b)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쐐기체(351)와,
    상기 나선부(351b)에 체결되어 양 테이퍼 쐐기체(351)를 내측으로 밀어 양측 롤러 편(323,343)을 고정하면서 중앙으로 밀어주어 그 사이에 관통 삽입된 다수의 롤러 편(321,322,341,342)들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 너트(3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편(321,322,341,342)들의 사이에는 상기 주·종축(310,330)에 관통 삽입되는 간격유지 링(360)들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종축(310,330)에 관통 조립되는 롤러 편(321,322,341,342) 사이에는 롤러 편 양측 모서리부인 커터부를 통해 폐건축재를 파쇄하는 측면 파쇄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5. 제 2 내지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
    상기 주축(310)의 단부에 장착되어 구동 모터(240)에 의해 회전하는 주 기어(210)와,
    상기 종축(330)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주 기어(210)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종기어(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기어(220)는 :
    상기 주 기어(210)보다 피치원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330)의 전방에는 본체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종축의 전후 충격을 완화시키는 쇼바(400)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쇼바(400)는 :
    상기 종축(330)의 축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편(411)이 양 내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412)을 통해 전후 이동되며 전방 중앙에 탭홀(413)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410)과,
    모터와 기어부(430)에 의해 상기 탭홀(413)에 체결된 나선축(421)이 전후 이동하며 상기 나선축(421)의 후방과 축 지지편(411) 사이에 탄성 스프링(422)이 탄설되어 있는 텐션 조절부(42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430)는 :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웜 기어(431)와,
    상기 웜 기어(431)에 맞물려 회전되어 상기 나선축(421)을 회전시키면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웜 휠(4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제조장치.
KR1020030041734A 2003-06-25 2003-06-25 파쇄 제조장치 KR10054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34A KR100540907B1 (ko) 2003-06-25 2003-06-25 파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34A KR100540907B1 (ko) 2003-06-25 2003-06-25 파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46A KR20050001546A (ko) 2005-01-07
KR100540907B1 true KR100540907B1 (ko) 2006-01-11

Family

ID=3721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34A KR100540907B1 (ko) 2003-06-25 2003-06-25 파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17B1 (ko) * 2008-04-07 2010-01-11 이상청 다단 파쇄 가능한 골재 파쇄기
KR101105880B1 (ko) * 2009-07-28 2012-01-16 구정식 곡물분쇄기
KR101026225B1 (ko) * 2011-02-25 2011-03-31 두제산업개발(주) 폐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재생 마쇄기
CN103191801B (zh) * 2013-04-09 2016-04-20 山东矿机迈科建材机械有限公司 一种除石破碎机
CN111940045A (zh) * 2020-07-07 2020-11-17 安徽瓦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间距的破碎机用破碎辊
CN114768936B (zh) * 2022-04-22 2023-12-22 新疆博泷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砂浆回收处理方法
CN117697994B (zh) * 2024-02-06 2024-04-26 江苏百思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聚酯树脂生产的粉碎筛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46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907B1 (ko) 파쇄 제조장치
CN205761363U (zh) 一种制砖用原料粉碎机
CN212791287U (zh) 一种用于废弃物的回收粉碎装置
CN211303203U (zh) 一种可循环粉碎对辊式粉碎机
CN216779037U (zh) 一种带有破碎功能的石英石碾磨装置
CN209772225U (zh) 一种废旧沥青混合料柔性破碎设备
KR101955505B1 (ko) 모래 제조 겸용 골재 파쇄기
KR101274465B1 (ko) 골재 버켓 타격 박리 장치
KR100951428B1 (ko)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CN216573324U (zh) 超细碎破碎机构
KR101336713B1 (ko) 스크류콘 파·마쇄기
CN115254249A (zh) 一种建筑施工的废料处理装置
KR100793169B1 (ko)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 몰탈제거 및 모래생산용 원통형의스크류 드럼벨
JP2004344776A (ja) ロールクラッシャーの補助破砕装置
KR100566959B1 (ko)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200351358Y1 (ko) 파쇄력이 향상된 삼축 파쇄기
KR200210700Y1 (ko) 골재 파쇄기
KR200342469Y1 (ko) 로드 밀형 파쇄기
JP2007014914A (ja) ドラムスクリーン
CN217492113U (zh) 渣土粉碎设备
CN216936187U (zh) 一种柔性双齿辊破碎机
CN220048315U (zh) 一种能二次粉碎的破碎装置
CN219024454U (zh) 一种水泥加工喂料设备
CN217341569U (zh) 一种辊压机粉磨系统用原料粒度均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