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017B1 -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017B1
KR100540017B1 KR1019970004106A KR19970004106A KR100540017B1 KR 100540017 B1 KR100540017 B1 KR 100540017B1 KR 1019970004106 A KR1019970004106 A KR 1019970004106A KR 19970004106 A KR19970004106 A KR 19970004106A KR 100540017 B1 KR100540017 B1 KR 10054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ding
spacer
sleeve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798A (ko
Inventor
다이지로 사사끼
긴지 미네시마
아끼라 니시무라
고지 야마기와
데쓰야 호시지마
요시유끼 요시이
Original Assignee
닛뽕덴싱뎅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쟈팡 리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덴싱뎅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쟈팡 리콤 filed Critical 닛뽕덴싱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0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0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는, 충분한 정도의 고정력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케이블 접속부와 케이블 저장기로부터 신속히 케이블을 인출해낼 수 있으며, 또한 높은 신뢰성으로 향상된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밀폐구조체는, 슬리브 부재 (1, 2) 와 끝플레이트 (3) 를 포함한다. 각각의 끝플레이트 (3) 에는, 케이블 안내구멍 (20) 으로부터 끝플레이트 (3) 의 외측표면까지 형성된 슬릿 (22) 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는 얇은 벽의 캡 (21) 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 (22) 안에는 강성 홀딩부재 (251) 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끝플레이트 (3) 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측표면 사이에는 접착성 테이프형 가스켓 (11) 이 배치되어 있어 슬릿 (22) 의 외단부를 덮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 {CLOSURE FOR C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통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한 밀폐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섬유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는, 케이블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끝플레이트와, 케이블 접속부를 덮기 위해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분리가능한 실린더형 슬리브로 되어 있다. 상기 끝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브의 두 부분은, 볼트나 밴드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접촉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게 되며, 이렇게 해서 케이블 접속부를 기밀성있게 보호하는 슬리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케이블의 보호를 위해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리브는, 슬리브의 변형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성과, 습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충분한 기밀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슬리브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또한 케이블과 슬리브 간의 결합도 타이트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슬리브의 이러한 구성은, 끝플레이트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의 세팅과 슬리브의 취급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종래의 슬리브는 다른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케이블의 충분한 고정을 위하여 기밀성 부재가 제공되는 케이블 저장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슬리브의 제조를 어렵게 함은 물론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며, 또한 슬리브의 내구성도 저하된다. 더욱이, 종래의 슬리브에 만족스런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끝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힘을 엄격히 제어해야 하며, 또한 슬리브를 조립하는 데도 많은 수고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밀폐구조체에서, 에이리얼 와이어, 트렁크 케이블 등과 같은 지지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케이블 클램프 밀폐구조체에 고정된다. 이 케이블 클램프에는, 최대 직경의 케이블을 끼울 수 있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 직경의 케이블을 이러한 케이블 클램프로 고정하고자 할 때는, 케이블과 케이블 안내 리세스 사이에 소정 크기의 스페이서나 부시를 삽입해야 하거나, 또는 일정한 두께의 테이프를 케이블의 둘레에 필요한 만큼 감아야 한다.
케이블 안내 리세스에 대한 위와 같은 케이블의 외경의 조정은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페이서의 교체나 테이프를 감는 일이 매우 수고스럽게 된다. 또한, 다양한 외경의 케이블에 대응한 상이한 직경의 케이블 삽입 구멍을 갖는 스페이서나 부시를 많이 준비하여 필요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접속부를 위한 저장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성과 기밀성을 모두 향상시키면서 케이블의 도입과 세팅이 용이한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쉽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또는 유지시 교체 대상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은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는 일반적으로, 각각 반실린더형으로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면 케이블 접속부를 감싸게 되는 실린더형 슬리브를 이루게 되고, 결합시 서로 맞닿게 되는 접촉 조인트면이 각각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슬리브 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안내구멍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끝플레이트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접촉 조인트면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를 서로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해 슬리브 부재 사이에 갈고리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및 패스너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밀폐구조체에서, 상기 각각의 끝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블 안내구멍으로부터 끝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 부근까지 뻗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이 슬릿을 따라 절개함으로써 상기 끝플레이트의 벽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안내구멍에는, 절단으로 제거가 가능한 얇은 벽의 캡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릿 안에는 강성 홀딩부재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구조체는, 상기 슬릿의 외측단을 덮기 위해, 끝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슬리브의 내측표면 사이에 접착성 테이프형 가스켓을 갖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밀폐구조체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케이블로부터 재킷을 요구하는 길이로 제거하고, 케이블에서 재킷이 제거된 위치로부터 내측 슬롯 로드를 소정 크기로 잘라내며, 다음에 소정의 치수로 인장부재를 조절하면, 케이블 접속을 위한 예비작업이 끝나게 된다. 다음에, 케이블의 소정 위치에 있는 상기 재킷을 원주방향으로 닦아 깨끗이 하고, 다음에 각 끝플레이트의 케이블 안내구멍으로부터 강성 홀딩부재를 제거하며, 이어서 케이블 안내구멍으로부터 얇은 벽의 캡을 제거하여 슬릿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슬릿을 확장시키고 케이블을 상기 확장된 슬릿을 통해 케이블 안내구멍까지 유도하여, 케이블을 상기 구멍에 끼운다. 이어서, 끝플레이트의 슬릿안에 강성 홀딩 시일부재를 장착하고, 다음에 열림방지 연결부재를 끼워 슬릿을 폐쇄시키고, 다음에 접착성 테이프형 가스켓을 끝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에 부착시켜, 끝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에 대응시키면서 외측 테두리에 인접한 슬릿의 외단부를 덮게 된다. 이후, 케이블 클램프에 요구되는 내경을 갖는 홀딩 스페이서를 케이블 안내 리세스와 휘어진 홀딩부재에 끼우고, 소정의 토크값으로 스크류를 조여 케이블의 끝에 있는 재킷을 케이블 클램프에 고정시키고, 또한 소정의 토크값으로 스크류를 조여 인장부재를 인장부재 홀더의 케이블 인장부재 클램프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힌지를 이용하여 상부 슬리브 부재를 하부 슬리브 부재에 유지시키면서, 그 상부 슬리브 부재를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면, 끝플레이트가 하부 슬리브 부재에 대해 가압되면서, 상부 슬리브 부재는 하부 슬리브 부재 위에 놓이게 되고,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의 접촉 조인트면이 서로 맞닿게 된다. 다음에,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끝부분까지 차례 대로 패스너를 고정시키면 슬리브가 형성되게 된다.
위와 같이 조립된 밀폐구조체는, 그 자세의 안정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키면서, 케이블 시일부재와 끝플레이트의 장착을 강화시키며, 이에 따라 밸브를 통해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내로 가스를 주입시킬 때 밀폐구조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패스너를 풀면, 상부 슬리브 부재가 힌지를 중심으로 쉽게 회전하여 슬리브가 열리게 되어, 밀폐구조체에서 케이블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과 같은 목적 및 기타 목적, 그리고 수반된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이하 기술한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서 같은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서로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및 상부 슬리브 부재 (2) 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슬리브와,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에 제공된 단접속부 (31) 들에 각각 끼워져 있는 끝플레이트 (3) 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 (10) 은 상기 각각의 끝플레이트 (3) 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는, 트렁크 광섬유 케이블 (10) 을 상기 밀폐구조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 클램프 (4) 와, 케이블 (10) 의 인장부재 (도시 안됨) 가 부착되어 있는 인장부재 홀더 (5) 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형 슬리브의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예컨대 PP 수지, 유리섬유로 채워진 화염억제 FRPP, 열가소성 공중합체 등과 같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반실린더형으로 되어 있어 서로 수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린더형 슬리브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양 사이드에 형성된 접촉 조인트면을 각각 가지고 있는데, 이들 접촉 조인트면을 통해 슬리브 부재 (1, 2) 가 서로 결합하게 된다. 실린더형 슬리브의 양 단부에 제공된 단접속부 (31) 에 각각 끼워지는 끝플레이트 (3) 는, 악조건의 기후에 잘 견딜 수 있고 내오존성이 우수한 EPDM 플레이트 재료와 같은 적절한 고무 플레이트로 만들 수 있다
상기 각 끝플레이트 (3) 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과,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각각의 접촉 조인트면에는 그루브 (6) 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그루브는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켓 (7) 이 상기 그루브안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슬리브 안에는, 한 끝플레이트 (3) 와 대향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클램프 (4) 가 배치된다. 이 케이블 클램프 (4) 는 케이블의 외형에 맞게 되어 있는 휘어진 홀딩부재 (17) 를 포함한다. 또한, 슬리브 안에는, 연결부재 (8) 와, 인장부재 홀더 (5) 및 하나 이상의 인장부재 커넥터 (9) 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양 사이드에서 각 그루브 (6) 에 끼워져 있는 가스켓 (7) 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지며, 단면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가스켓 (7) 은 그루브 (6) 안에 놓이는데, 이때, 가스켓 (7) 의 단면의 주축이 슬리브 부재의 접촉 조인트면 또는 그루브 (6) 의 폭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상기 가스켓이 압축되게 된다. 이 결과, 하부 슬리브 부재 (1) 와 상부 슬리브 부재 (2) 간에 시일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 ∼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루브 (6) 의 양 단은 그의 폭이 줄어들어 있어, 가스켓 (7) 을 그루브 안에 압입식으로 끼워넣기 위한 가스켓 압입부 (61) 가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가스켓을 각각의 그루브 (6) 안에 끼우는 방법은, 가스켓 (7) 의 양 단을 늘이면서 그루브 (6) 의 가스켓 압입부 (61) 에 억지끼워맞춤하면, 일시적으로 가스켓 (7) 이 그루브 (6) 안에 끼워지게 된다. 이 결과, 가스켓 (7) 은 그루브 (6) 안에 확실하게 끼워지게 되고, 그루브 (6) 로부터 가스켓 (7) 이 뜻하지 않게 빠지거나 가스켓 (7) 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가스켓 (7) 의 양 단에 플랜지 (71) 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플랜지 (71) 를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외측단에 억지끼워맞춤하여, 가스켓 (7) 을 그루브 (6) 에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에는, 상기 리세스 (6) 를 따라 슬리브 부재들의 양 사이드 에지의 각기 다른 부위에서 리세스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편위되어 있는 배리어 (65) 가 제공된다. 두 슬리브 부재 (1, 2) 를 슬리브로 조립하는 동안에, 슬리브 부재는 서로 결합하게 되며, 이때 각 슬리브 부재의 배리어 (65) 는 다른 슬리브 부재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며, 이 결과,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편위되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수직으로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있고, 그들 사이의 가스켓 (7) 을 시일링가능하게 홀딩하고 있으며, 슬리브 부재와 끝플레이트 (3) 사이에는 시일링 부재가 있어, 밀폐구조체의 기밀성이 확실히 유지된다.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고정수단을 써서 접촉 조인트면을 통해 일체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루프형 링 (61) 으로 된 힌지 (60) 와 루프형 링 (71) 으로 된 패스너 (70) 에 의해 일체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루프형 링 (61, 71) 은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를 분리가능하게 서로 고정시킨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 (4) 는, 끝플레이트 (3) 의 내측면과 마주보면서, 하부 슬리브 부재 (1) 에 대해 부착되어 있는 연결부재 (8) 의 양 단에 장착되며, 인장부재 클램프 (5) 는 고정 스크류에 의해 연결부재 (8) 에 부착된다. 이 결과, 접속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의 분포와 안내가 확실해 진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저장 트레이 (15) 와 같은 광섬유 케이블 저장기가 슬리브의 중간부에 제공된다. 또한, 도 1, 도 3,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부재 커넥터 (9) 가 슬리브 안에 장착된다.
도 7 ∼ 도 1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끝플레이트 (3) 는 타원형, 긴 계란형, 원형 등의 둥근 형태의 고무 탄성재로 되어 있고, 케이블 삽입 또는 안내 구멍 (20) 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이 제공되어 있다. 케이블 안내구멍 (20) 들의 직경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각각의 끝플레이트 (3) 에는, 벽두께가 축소되어 있는 캡 (21) 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캡은 각 케이블 안내구멍 (20) 을 덮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캡 (21) 은, 끝플레이트 (3) 에서 절단으로 제거할 수 있게끔 끝플레이트 (3) 에 배치된다. 또한, 끝플레이트 (3) 에는 슬릿 (22) 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슬릿은 케이블 안내구멍 (20) 들과 각각 대응하게 된다. 상기 슬릿 (22) 은, 그의 한 단부가 대응 케이블 안내구멍 (20) 과 연통하고 다른 단부는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까지 뻗게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릿 (22) 은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 (10) 이 그의 대응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 끼워지지 않을 때는, 상기 슬릿 (22) 들은, 한 사이드와 외측 테두리에서 얇은 벽요소 (221, 222) 로 폐쇄되어 있다. 케이블 (10) 이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구멍 (20) 을 덮는 캡 (21) 은 절단하여 제거하며, 끝플레이트 (3) 의 얇은 벽요소 (221, 222) 는 슬릿 (22) 을 따라 절개되어 열리게 되고, 그 결과, 슬릿 (22) 의 한 단부가 넓게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연결의 작업성과 기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게 된다.
각각의 슬릿 (22) 및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는, 강성 홀딩 시일부재 (251) 와 강성 홀딩부재 (25) 가 각각 끼워져 있다. 또한, 각각의 끝플레이트 (3) 의 양 측면에는 한쌍의 리세스 (23)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리세스 (23) 안에는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가 끼워져 있는데, 이 연결부재는 각 슬릿 (22) 의 양 사이드 위로 수직하게 뻗어 있어, 끝플레이트 (3) 의 열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두쌍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사이에 있는 끝플레이트 (3) 의 중간부에는 리세스 (28) 가 제공되는데, 이 리세스에는 강성 홀딩부재 (29) 가 견고하게 부착되며, 이 홀딩부재는 슬리브의 끝벽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슬릿 (22) 이 절개되어 열리거나 팽창되어 케이블 (10) 이 케이블 안내구멍 (20) 안으로 삽입되고 이어서 다시 닫히는 경우, 각 리세스 (23) 에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 (24) 는,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의 열림과 변위를 방지하여 열림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와 강성 홀딩부재 (29) (이들은 각각 끝플레이트 (3) 의 외측면에 형성된 리세스 (23, 28) 안에 고정된다) 는, 끝플레이트 (3) 와 마주보는 표면에서 대응 결합요소 (242, 292) 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결합요소 (242, 292) 는 끝플레이트 (3) 에 형성된 리세스 (241, 291) 와 각각 결합하게 되어, 부재 (24, 29) 를 끝플레이트 (3) 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재들이 끝플레이트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끝플레이트 (3) 를 통해 케이블을 삽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케이블이 삽입될 케이블 안내구멍 (20) 으로부터 강성 홀딩부재 (25) 를 제거하고, 케이블 안내구멍 (20) 으로부터 얇은 벽의 캡 (21) 을 잘라 제거하여 구멍 (20) 을 개방시키며, 케이블 안내구멍 (20) 과 연통하는 슬릿 (22) 을 따라 슬릿 (22) 의 외측 테두리까지 끝플레이트 (3) 의 얇은 벽요소 (221, 222) 를 절단하여, 슬릿 (22) 의 외측단을 넓게 개방시키고, 다음에 케이블 (10) 을 열린 슬릿 (22) 을 통해 케이블 안내구멍 (20) 쪽으로 옆에서 끼워넣는다. 이어서, 케이블을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 끼워넣어, 시일부재 (251) 가 삽입되어 있는 슬릿 (22) 을 최초 모양으로 복원시키고, 다음에 필요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시일부재 (251) 를 슬릿 (22) 에 접착시킨다. 이어서,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를 리세스 (23) 안에 배치시키고, 슬릿 (22) 을 사이에 두고 끝플레이트 (3) 의 양 사이드를 고정시킨다. 끝플레이트 (3) 가 작은 크기로 되는 경우에는, 강성 홀딩부재 (25) 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끝플레이트 (3) 에 수평중심선을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을 만드는 경우에는, 슬릿 (22) 을 상기 수평중심선을 따라 만들 수도 있다.
더욱이, 끝플레이트 (3) 는 그의 외측 테두리 표면에서 다수의 피크-밸리형 그루브 (26) 가 제공되는데, 이 그루브는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어, 슬리브의 내측면과 끝플레이트 (3) 사이에 압축력이 발생하며, 이 결과 밀폐구조체의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압축력이 안으로 전달되어, 케이블 인출구멍 또는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서 케이블 (10) 과 끝플레이트 (3) 사이에 만족스런 기밀성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가황처리되지 않은 부틸고무로 만들어진 접착성 테이프형 가스켓 (11) 이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와 슬리브의 단접속부 (3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에 인접해 있는 슬릿 (22) 의 외측 단부를 덮게 된다. 테이프형 가스켓 (11) 은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에 부착되며, 피크-밸리형 그루브 (26) 를 포함하는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패스너 (70) 에 의해 발생된 고정력이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에 전달되고, 다음에 이들 슬리브 부재로부터,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피크-밸리형 그루브 (26) 에 전달되므로써, 슬리브의 각 단접속부 (31) 와 끝플레이트 (3)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된다. 이 결과, 도시된 실시예의 밀폐구조체의 조립 및 분해의 작업성이, 별도의 끝플레이트 가스켓이 필요없이 현저하게 향상되게 된다.
끝플레이트 (3) 의 내측면에는 홀더 (31) 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홀더는 끝플레이트 (3) 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며 또한 다른 외력의 작용에 기인한 끝플레이트 (3) 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홀더 (31) 에는 리세스 (30) 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 (4) 에 제공된 돌기부 (40) 가 상기 리세스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끝플레이트 (3) 는 상이한 직경의 케이블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고무 또는 수지로 된 스페이서 (43) 가, 삽입될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끝플레이트 (3) 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대안으로서는, 기밀성 테이프를 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 (43) 또는 기밀성 테이프는 케이블 (10) 에 감겨져, 케이블 (10) 의 외주면이 케이블 안내구멍 (20) 으로부터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도 13a ∼ 도 13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 밖으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외주에 배치된 스페이서 (43) 는 중공의 실린더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한 사이드에는 케이블 삽입을 위한 슬릿 (44) 이 제공되어 있어, 스페이서 (43) 가 그의 한쪽에서 열릴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43) 의 내측 및 외측면에는, 피크-밸리형의 환상 그루브 (46) 및 (45) 가 각각 제공되어 있어, 스페이서 (43) 의 기밀성이 만족스럽게 얻어지며, 케이블 (10) 에 스페이서 (43) 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 (43) 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주변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는 고무 등으로 만들어져,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와 슬리브의 사이의 압력변동과, 케이블 안내구멍의 내주면과 케이블의 외주면 사이의 압력변동이 최소화되며, 이 결과 만족스런 압축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온도감소에 의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끝플레이트 (3) 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 상이한 직경을 갖는 케이블 (10) 들이 상기 케이블 안내구멍 (20) 의 직경변화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외경이 케이블 안내구멍 (20) 의 직경과 같고 또한 내경은 케이블의 각 외경과 동일한 다수의 스페이서 (43)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케이블 안내구멍 (20) 과 케이블 (10) 의 외주면 사이의 시일링을 위한 기밀성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쇼어경도 (Hs) 가 0 내지 30 이고 큰 연신율과 높은 인장응력 또는 인장탄성계수를 갖는 고무로 상기 기밀성 테이프를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고무 재료는, 침투율 40∼90, 바람직하게는 50∼70 (JIS K 2560 에 따라 측정했을 때는 10-1mm), 연신율 1500∼2000%, 바람직하게는 1700∼1900% (JIS K 6301) 및 인장응력 100%-0.5 kgf/cm2, 300%-1.0 kgf/cm2 과 400%-1.4 kgf/cm2 (JIS K 6301) 을 갖는, EPDM 재료, 실리콘 고무, 부틸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플루오로 고무 등과 같은 열가소성 고무로 만들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고무재료는, 1.0∼1.05 의 비중, 31.0 kgf/cm2 의 인장강도 및 63.0% (70℃ x 22 시간) 의 압축율을 가질 수 있다. 낮은 경도의 이러한 고무로 된 기밀성 테이프는 케이블 재킷의 외측면 또는 선형 돌기부들을 갖는 지지 와이어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될 수 있어, 기밀성 테이프는 어떠한 틈새도 없이 외측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며, 이 결과 만족스런 시일링이 얻어지게 된다.
도 14 ∼ 도 19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 (4) 는, 다수의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가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몸체 (41) 를 갖고 있으며, 휘어진 홀딩부재 (17) 들이 한 대응 리세스 (16) 의 맞은 편에서 핀 (18) 으로 상기 클램프 몸체 (41) 에 탈착가능하게 또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휘어진 홀딩부재 (17) 들은 그와 대응하는 리세스 (16) 와 함께 케이블 (10) 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휘어진 홀딩부재 (17) 는 고정수단인 스크류 (19) 에 의해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부착되어, 케이블이 클램프 몸체 (41)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사이에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케이블 클램프 (4) 는 케이블의 클램핑을 용이하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응하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마주보는 휘어진 홀딩부재 (17) 는 아암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홀딩부재 (17) 의 한 단부에는, 이 홀딩부재의 선회를 위한 핀 (18) 이 제공되어 있고, 타단부 (171) 에는, 스크류 (19) 가 삽입되는 스크류 삽입구멍 (172) 이 제공되어 있다. 핀 (18) 에는 서로 평행한 두 표면이 있으며 이 핀은 클램프 몸체 (41) 에 제공된 풀림방지 기구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며, 이렇게 해서 핀 (18) 이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풀림방지 기구에는 홀딩 리세스 (181) 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각 홀딩 리세스에는, 핀 (18) 의 두 평행 표면이 홀딩 리세스 (18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좁은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휘어진 홀딩부재 (17) 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19) 는,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요소 (191) 에 나사결합식으로 끼워지게 되며, 휘어진 홀딩부재 (17) 의 자유단 (171) 에서 유지되는 헤드 (192)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환상 돌기부 (182, 173) 가 각각 마련되어 있어 리세스 (37) 가 형성되게 되며, 케이블의 재킷과 압입접촉되는 홀딩 스페이서 (33) 가 상기 리세스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홀딩 스페이서 (33) 는 원호형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 스페이서의 원호형 내측면에는 피크-밸리형 그루브 (38) 가 마련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플랜지 (32) 가 마련되어 있다. 홀딩 스페이서 (33) 의 외측면에는 돌기부 (34) 가 제공되어 있다. 각 홀딩 스페이서 (33) 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의 리세스 (37) 또는 휘어진 홀딩부재 (17) 의 리세스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며, 돌기부 (34) 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또는 휘어진 홀딩부재 (17) 에 형성된 구멍 (36) 안에 끼워진다.
이제 도 20 ∼ 도 29 를 참고하여, 케이블 클램프 (4) 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 (4) 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가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몸체 (41) 를 지니고 있다.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에는 접합면 (161, 174) 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홀딩 스페이서 (33) 에 형성된 대응면 (331) 이 상기 접합면과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며, 이 결과, 쌍을 이룬 홀딩 스페이서 (33) 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서로 대향하게 된다. 휘어진 홀딩부재 (17) 들은 스크류 (19) 를 통해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각각 고정된다.
도 23a ∼ 도 23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홀딩 스페이서 (33) 들의 양 단부에는, 곡률이 다른 한쌍의 오목한 원호형 표면 (54, 55) 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표면은 직경이 다른 케이블의 외주면에 대응할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홀딩 스페이서 (33) 의 오목한 원호형 표면 (54, 55) 에는 다수의 리브 (57) 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리브는 간격을 두고 돌출해 있으며 케이블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홀딩 스페이서 (33) 는 클램프 몸체 (41) 또는 한 휘어진 홀딩부재 (17) 에 장착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두께를 갖는 간격유지편 (56) 을 홀딩 스페이서 (33) 와 클램프 몸체 (41) 또는 휘어진 홀딩부재 (17)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는, 도 24, 도 25 및 도 26a ∼ 도 26f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홀딩 스페이서 (33) 는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와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스페이서 부재는 케이블의 외주면과 대응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호형 표면을 통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한 단부에는 작은 반경의 오목한 원호형 표면 (54) 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한쌍의 삽입구멍 (39) 이 마련되어 있는 큰 반경의 오목한 원호형 표면 (5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오목한 원호형 표면 (54, 55) 에 다수의 리브 (57) 들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의 한 단부에는,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오목한 원호형 표면 (55) 과 대응하는 볼록한 원호형 표면 (41)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한 표면에는,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각 삽입구멍 (39) 에 끼워지는 한 쌍의 연결로드 (42) 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의 다른 단부에는, 중간 크기의 곡률을 갖는 오목한 원호형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한 원호형 표면 (41) 에는 다수의 그루브 (58) 가 마련되어 있는데, 스페이서 부재 (33a) 의 리브 (57) 들이 상기 그루브에 끼워진다. 다수의 스페이서 부재 (33a, 33b) 로 이루어진 위와 같은 구성의 홀딩 스페이서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다양한 케이블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원호형 표면 (54, 55) 이 양 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홀딩 스페이서 (33) 는, 각각의 원호형 표면이 적절한 간격유지편 (56) 이 선택적으로 중간에 놓이면서 큰 직경 또는 작은 직경의 케이블에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더욱이, 큰 반경을 갖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에는, 원호형 표면 (41, 55) 을 통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1, 2 스페이서 부재 (33a, 33b) 를 포함하는 홀딩 스페이서 (33) 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는 도 26a ∼ 도 26i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에 단독으로 또는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와 조합하여 장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홀딩 스페이서는, 여러 직경을 갖는 케이블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접합표면 (161, 174, 331) 은, 케이블의 축선과 평행하게 뻗어 삼각형 톱니모양을 갖는 다수의 선형 돌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딩 스페이서 (33) 또는 스페이서 부재 (33a, 33b) 의 장착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접합표면 (161, 174, 331) 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반경방향에 대한 각 홀딩 스페이서 (33) 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간격유지편 (56) 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3a ∼ 도 3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는, 홀딩 스페이서 (33) 가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지는 각 접합표면의 한 단부에서, 한쌍의 풀림방지편 (42) 이 제공되어 있어, 한 틈새가 형성되게 된다. 홀딩 스페이서 (33) 의 한 단부에는, 한쌍의 결합폴 (engagement pawl: 332) 이 제공되어 있다. 이 결합폴 (332) 은 풀림방지편 (42) 들 사이의 상기 틈에 끼워지고, 스탑퍼 (53) 가 폴 (332) 사이에 끼워져, 결합폴 (332) 은 풀림방지편 (42) 에 끼워지게 되며, 이 결과 홀딩 스페이서 (33) 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35a ∼ 도 40b 를 참조하여 힌지 (60) 와 패스너 (70) 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슬리브 부재 (1, 2) 중의 하나, 즉 하부 슬리브 부재 (1) 는, 그의 한 사이드 에지에 인접한 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링수용 돌기부 (63) 를 갖고 있다. 각각의 링수용 돌기부 (63) 에는, 루프형 링 (61) 으로 된 힌지부재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부 슬리브 부재 (1) 는, 그의 다른 사이드 에지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패스너 수용 돌기부 (731) 를 갖고 있다. 더욱이, 상부 슬리브 부재 (2) 는, 그의 한 사이드 에지의 부근에서, 힌지부재 (61) 에 대응하여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홀딩 돌기부 (631) 를 갖고 있으며, 다른 사이드 에지의 부근에서는, 패스너 수용 돌기부 (731) 에 대응하는 링수용 돌기부 (73) 를 갖고 있다. 루프형 링 (71) 은 링수용 돌기부 (73) 의 대응 링에서 선회가능하게 가동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루프형 링 (71) 위에는, 홀딩 돌기부 (74) 가 있는 말단부에 제공된 작동레버 (75) 가 제공되어 있다.
도 3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한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패스너 (70) 는 금속봉으로 만들어진 루프형 링 (71) 과, 홀딩 돌기부 (74) 를 갖는 선회가능한 작동레버 (75) 및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한 사이드 에지에 제공된 패스너 수용 돌기부 (731) 에 형성되어 있는 홀딩 리세스 (721) 를 갖고 있으며, 상기 루프형 링은, 상부 슬리브 부재 (2) 의 한 사이드 에지에 마련된 링수용 돌기부 (73) 에 형성되어 있는 링삽입 리세스 (72) 에 끼워지게 된다. 작동레버 (75) 의 홀딩 돌기부 (74) 는 홀딩 리세스 (721) 안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지점으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힌지 (60) 는 금속봉으로 만들어진 루프형 링 (61) 과, 상부 슬리브 부재 (2) 의 힌지홀딩 돌기부 (631) 에 형성되어 있는 링홀딩 리세스 (621) 를 갖고 있으며, 상기 루프형 링 (61) 은,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한 사이드 에지에 마련된 링수용 돌기부 (63) 에 형성되어 있는 링삽입부 (62) 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루프형 링의 타단부는 상기 링홀딩 리세스안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힌지 (60) 와 패스너 (70) 로 인해, 하부 슬리브 부재 (1) 와 상부 슬리브 부재 (2) 간의 결합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슬리브의 양 단부에 배치된 힌지 (60) 와 패스너 (70) 의 루프형 링 (61, 71) 에는, 리테이닝 부재 (77) 가 각 가스켓의 외측면을 따라 제공되어 있어,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접촉 조인트면의 외측 사이드 에지가 모따기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 (76) 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리테이닝 부재 (77) 는 예컨대 링로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접착성 시일재를 슬리브 부재 (1, 2) 의 접촉 조인트면들 사이에 충전하면, 시일재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참조번호 "64" 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링수용 돌기부 (63) 근처에 각각 배치된 스탑퍼를 나타낸다. 이들 스탑퍼 (64) 는, 힌지 (60) 의 루프형 링 (61) 이 링삽입부 (62) 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 슬리브 부재 (2) 를 힌지 (60) 에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바, 즉 루프형 링 (61) 을 스탑퍼 (64) 에 접촉시켜 이 루프형 링 (61) 이 선회를 못하도록 하고, 다음에 하부 슬리브 부재 (1) 위에 상부 슬리브 부재 (2) 를 위치시키면 된다. 이어서, 힌지 (60) 의 한 사이드에 위치하는 가스켓 (7) 둘레로 상부 슬리브 부재 (2) 를 들어올려, 루프형 링 (61) 의 자유단부를 링홀딩 돌기부 (631) 의 링홀딩 리세스 (621) 와 결합시킨다. 이 결과, 다수의 루프형 링 (61) 이 동시에 링홀딩 리세스 (621) 와 결합을 하게 되고, 원터지 (one-touch) 로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그들의 한 면에서 힌지 (60) 를 통해 서로 결합하게 된다. 다음에, 도 3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스너 (70) 를 이용하여, 슬리브 부재 (1, 2) 를 그들의 다른 면으로 결합시킨다.
힌지 (60) 를 위한 스탑퍼 기구는, 전술한 스탑퍼 (64) 대신에, 슬리브 부재 (1, 2) 를 서로 정렬시켰을 때 서로 대향하게 되는 슬리브 부재 (1, 2) 의 끝표면으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끝표면을 부분적으로 외측 하방으로 기울어진 표면으로 만들면, 30 내지 90 도의 각 (θ) 이 두 경사 표면부와 양 끝표면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끝표면으로 인해, 상기 경사 표면부들은 서로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두 슬리브 부재 (1, 2) 가 열림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경우에, 스탑퍼 기구로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슬리브 부재 (1, 2) 의 열림각도는 30 내지 90 도로 제한되게 된다. 슬리브 부재의 열림각도를 위와 같이 제한함으로써, 상부 슬리브 부재 (2) 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대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만족스런 작업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힌지 (60) 와 패스너 (70) 의 루프형 링 (61, 71) 이 서로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힌지 (60) 의 링삽입부 (62) 와 링홀딩 리세스 (621) 를, 패스너 (70) 의 링삽입부 (72) 와 홀딩 리세스 (721) 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힌지 (60) 의 링수용 돌기부 (63) 와 링홀딩 돌기부 (631) 는 패스너 (70) 의 링수용 돌기부 (73) 와 패스너 수용 돌기부 (731) 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슬리브 부재 (1, 2) 제조용 몰딩다이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루프형 링 (61, 71) 도 같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 슬리브의 양 사이드 에지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부재 홀더 (5) 에는, 단일 구멍형 또는 다중 구멍형의 케이블 인장부재 클램프 (51) 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클램프는, 하나 이상의 아암 (48) 을 통해 장착판 (49) 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블 삽입부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인장부재 클램프 (51) 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안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인장부재를 잡고 있게 된다. 예컨대, 도 41a 및 도 41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부재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재 (47) 가 아암 (48)(들) 을 통해 장착판 (49) 에 장착되도록, 슬리브 부재 (1) 에 배치된 케이블 인장부재 클램프 (51) 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삽입부재 (47) 에는 고정 스크류 (50) 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인장부재 클램프 (51) 는 인장부재 홀더 (5) 에 장착되므로, 하나 이상의 케이블의 중심에 인장력을 쉽게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슬리브 부재 (1) 또는 (2) 또는 끝플레이트 (3) 에는, 밸브가 달린 가스유입구 (도시 안됨) 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 유입구를 통해 시일링 가스가 밀폐구조체안으로 들어와, 밀폐구조체내의 케이블 접속부를 보호하게 된다. 지금부터, 위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의 조립방법을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각각의 케이블 (10) 로부터 재킷을 요구하는 길이로 제거하고, 케이블에서 재킷이 제거된 위치로부터 내측 슬롯 로드를 소정 크기로 잘라내어, 다음에 소정의 치수로 인장부재를 조절하면, 케이블 접속을 위한 예비작업이 끝나게 된다. 다음에, 케이블 (10) 의 소정 위치에 있는 상기 재킷을 원주방향으로 닦아 깨끗이 하고 스페이서 (43) 를 케이블 (10) 에 끼우거나, 기밀성 테이프를 케이블 (10) 에 감는다. 각 끝플레이트 (3) 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과 슬릿 (22) 으로부터 강성 홀딩부재 (25, 251) 를 제거하고, 끝플레이트 (3) 의 얇은 벽의 캡 (21) 과 얇은 벽 (221, 222) 을 절단제거하여 케이블 안내구멍 (20) 과 슬릿 (22) 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슬릿 (22) 을 확장시키고 케이블 (10) 을 상기 확장된 슬릿 (22) 을 통해 케이블 안내구멍 (20) 까지 유도하여, 케이블 (10) 을 상기 구멍 (20) 에 끼운다. 이어서, 끝플레이트 (3) 의 슬릿 (22) 안에 강성 홀딩 시일부재 (251) 를 장착하고, 다음에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를 끼워 슬릿 (22) 을 폐쇄시키고, 다음에 접착성 테이프형 가스켓 (11) 을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에 부착시켜,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에 일치시키면서 외측 테두리에 인접한 슬릿 (22) 의 외단부를 덮게 된다. 이후, 케이블 클램프 (4) 에 요구되는 내경을 갖는 홀딩 스페이서 (33) 를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에 끼우고, 소정의 토크값으로 스크류 (19) 를 조여 케이블 (10) 의 끝에 있는 재킷을 케이블 클램프 (4) 에 고정시키고, 또한 소정의 토크값으로 스크류 (50) 를 조여 인장부재를 인장부재 홀더 (5) 의 케이블 인장부재 클램프 (51) 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접촉 조인트면 사이에 가스켓 (7) 을 위치시키고,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한 사이드에 있는 각 힌지 (60) 를 이용하여 상부 슬리브 부재 (2) 를 하부 슬리브 부재 (1) 에 유지시키면서, 그 상부 슬리브 부재를 힌지 (60) 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면, 끝플레이트 (3) 가 하부 슬리브 부재 (1) 에 대해 가압되면서, 상부 슬리브 부재 (2) 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위에 놓이게 되고,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접촉 조인트면이 서로 맞닿게 된다. 다음에, 슬리브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끝부분까지 차례 대로 패스너 (70) 를 고정시키면 슬리브가 형성되게 된다. 필요하다면, 이와 같이 얻어진 슬리브에 밴드를 감아 전 길이에 걸쳐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높은 신뢰성의 기밀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조립된 밀폐구조체에서,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접촉 조인트면 사이에서 가스켓 (7) 이 주축선 방향으로 압축되게 되는데, 이로써 비교적 작은 클램프력으로도 향상된 기밀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끝플레이트 (3) 와 케이블 (10) 사이에서 스페이서 (43) 또는 기밀성 테이프가 케이블 (10) 의 축선방향으로 놓이면서 시일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슬리브 부재 (1, 2) 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고 슬리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슬리브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가스켓 (7) 은 그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리세스 (16) 안에 끼워지며, 또한 그의 주축선 방향이 슬리브 부재 사이의 클램프력의 방향과 같게 되어 립시일 (lip seal) 효과가 얻어지게 되며, 이로써 밀폐구조체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기밀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하, 밀폐구조체의 분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각 패스너 (70) 의 작동레버 (75) 를 돌려 패스너 수용 돌기부 (731) 로부터 홀딩 돌기부 (74) 를 풀어, 하부 슬리브 부재 (1) 와 상부 슬리브 부재 (2) 사이의 접속을 해제시키면, 슬리브의 개방을 위해 힌지 (60) 를 중심으로 상부 슬리브 부재 (2) 를 쉽게 선회시킬 수 있다. 다음에, 각각의 끝플레이트 (3) 로부터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를 제거하고, 슬리브 부재 (1, 2) 를 서로 분리시키면, 케이블 (10) 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접촉 조인트면들을 접촉시키면서 연결하는 것은, 슬리브 부재의 한 사이드에 있는 힌지 (60) 와 다른 사이드에 있는 패스너 (70) 를 이용하여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한, 힌지 (60) 를 중심으로 상부 슬리브 부재 (2) 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힌지 (60) 에 있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리세스 (6) 에 있는 가스켓 (7) 이 서로 대향하는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의 리세스 (6) 들에 자동적으로 수용되게 된다. 힌지 (60) 는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저장유닛용 저장 트레이 (15) 는 모든 광섬유 리본에 대해 고정식으로 배치하여 트레이 한 개당 5 내지 20 개의 리본을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 트레이는 여러 층으로 겹치게 하고 힌지로 서로 결합시켜, 요구되는 위치에 있는 모든 트레이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슬리브의 단지 한 사이드에서 슬리브 부재들을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의 다른 사이드에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 측에서 (슬리브의 한 사이드) 작업공간이 유지된다면, 이러한 구성으로, 밀폐구조체의 조립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힌지 (60) 와 패스너 (70) 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슬리브 부재 (1, 2) 를 서로에 대해 개방시키면, 각 힌지 (60) 에 제공된 스탑퍼 기구가 슬리브 부재 (1, 2) 사이의 열림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두 슬리브 부재의 열림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운동이 규정된 각도로 제한되게 되며, 이렇게 해서 한 슬리브 부재가 접속부와 결합할 때 다른 슬리브 부재가 지나치게 열려 작업자의 반대측으로 회전하여 작업성을 나쁘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밀폐구조체에서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두 슬리브 부재간의 결합을 위한 패스너 부재와 힌지부재의 장착을 두 슬리브 부재를 구별할 필요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몰딩다이로 상기 두 슬리브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들의 내측 및 외측 표면을 주름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고, 또한 스티렌 또는 올레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적은 비용으로 슬리브 부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가황처리도 필요없기 때문에 슬리브의 회수와 재사용이 쉬워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로, 슬리브 부재의 접촉 조인트면들을 서로 접촉시키면서 슬리브 부재들을 패스너를 써서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대상 위치의 수를 최대한 줄이면서 끝플레이트에 작용하는 균일한 압력으로 높은 신뢰성의 만족스런 시일링을 보장함과 동시에, 슬리브 부재의 결합작업과 케이블 접속부의 보호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밀폐구조체의 취급이 간단해지고 슬리브의 자세를 안정시키면서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제한된 개수의 구성요소를 상이한 직경을 갖는 다양한 케이블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고 밀폐구조체에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설치 또는 유지를 위해 구성요소들을 유지 또는 취급함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밀폐구조체의 조립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간단한 구성의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밀폐구조체와 관련된 슬리브의 정면도.
도 3 은 조립된 상태에 있는 밀폐구조체의 부분 측면도.
도 4 는 도 1 의 밀폐구조체와 관련된 슬리브의 하부 슬리브 부재의 부분 평면도.
도 5a 는 도 4 에서 선 5A-5A 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5b 는 도 4 에서 선 5B-5B 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에 사용되는 가스켓부의 부분 정면도.
도 6b 는 도 6a 에서 선 6B-6B 를 따라 취한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에 사용되는 끝플레이트의 확대 정면도.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끝플레이트의 후면도.
도 9 는 도 7 에 도시된 끝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0 은 도 7 에서 선 10-10 을 따라 취한 측면도.
도 11 은 도 7 에서 선 11-11 을 따라 취한 측면도.
도 12 는 도 7 에서 선 12-12 를 따라 취한 측면도.
도 13a 는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에 사용되는 일예의 스페이서의 측면도.
도 13b 는 도 13a 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13c 는 도 13b 에서 선 13C-l3C 를 따라 취한 평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에 사용되는 케이블 클램프의 정면도.
도 15 는 도 14 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의 평면도.
도 16a 는 휘어진 홀딩부재가 생략 도시된 도면으로, 도 14 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의 클램프 몸체의 측면도.
도16b 는 휘어진 홀딩부재가 함께 도시된, 도 l6a 에 도시된 클램프 몸체의 측면도.
도 17a 는 도 14 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와 관련된 케이블용 휘어진 홀딩부재의 수직면도.
도 17b 는 도 17a 에 도시된 휘어진 홀딩부재의 측면도.
도 17c 는 도 17a 에 도시된 휘어진 홀딩부재의 평면도.
도 18a 는 도 14 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와 관련된 지지 와이어용 휘어진 홀딩부재의 좌측면도.
도 18b 는 도 18a 에 도시된 휘어진 홀딩부재의 정면도.
도 18c 는 도 18a 에 도시된 휘어진 홀딩부재의 우측면도.
도 18d 는 도 18a 에 도시된 휘어진 홀딩부재의 평면도.
도 19a 는 도 17a 에 도시된 휘어진 홀딩부재를 위한 홀딩 스페이서의 측면도.
도 19b 는 도 19a 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19c 는 도 19b 의 선 19C-l9C 를 따라 취한 평면도.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와 관련된 다른 예의 케이블 클램프의 정면도.
도 21a 는 도 20 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의 클램프 몸체의 정면도.
도 21b 는 클램프 몸체의 측면도.
도 21c 는 클램프 몸체의 평면도.
도 22a 는 도 20 의 케이블 클램프와 관련된 케이블 또는 지지 와이어를 위한 휘어진 홀딩부재의 정면도.
도 22b 는 휘어진 홀딩부재의 측면도.
도 22c 는 휘어진 홀딩부재의 저면도.
도 22d 는 휘어진 홀딩부재의 평면도.
도 22e 는 도 22a 의 선 22E-22E 를 따라 취한 평면도.
도 23a 는 도 20 의 케이블 클램프에 사용되는 지지 와이어를 위한 홀딩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23b 및 23c 는 홀딩 스페이서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23d 는 홀딩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23e 는 도 23a 의 선 23E-23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a 는 도 20 의 케이블 클램프에 사용되는 케이블용 홀딩 스페이서의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정면도.
도 24b 및 24c 는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24d 는 제 1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24e 는 도 24a 의 선 24E-24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5a 는 도 24a 에 도시된 제 1 스페이서 부재와 함께 사용되는 케이블용 홀딩 스페이서의 제 2 스페이서 부재의 정면도.
도 25b 및 25c 는 제 2 스페이서 부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25d 는 제 2 스페이서 부재의 평면도.
도 25e 는 도 25a 의 선 25E-25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6a ∼ 도 26i 는 케이블 클램프와 관련된 홀딩 스페이서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와 관련된 다른 예의 케이블 클램프의 정면도.
도 28a 는 도 27 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 몸체의 정면도.
도 28b 는 클램프 몸체의 측면도.
도 28c 는 클램프 몸체의 평면도.
도 29a 는 도 27 의 케이블 클램프와 관련된 케이블용 휘어진 홀딩부재의 정면도.
도 29b 는 휘어진 홀딩부재의 측면도.
도 29c 는 휘어진 홀딩부재의 저면도.
도 29d 는 휘어진 홀딩부재의 평면도.
도 29e 는 도 29a 의 선 29E-29E 를 따라 취한 평면도.
도 30a 는 도 27 의 케이블 클램프에 사용되는 와이어용 홀딩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30b 및 도 30c 는 홀딩 스페이서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0d 는 홀딩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30e 는 도 30a 의 선 30E-30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1a 는 도 27 의 케이블 클램프에 사용되는 케이블용 홀딩 스페이서의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정면도.
도 31b 및 도 31c 는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1d 는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평면도.
도 31e 는 도 31a 의 선 31E-31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2a 는 도 31a 에 도시된 제 1 스페이서 부재와 함께 사용되는 케이블용 홀딩 스페이서의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정면도.
도 32b 및 도 32c 는 제 2 스페이서 부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2d 는 제 2 스페이서 부재의 평면도.
도 32e 는 도 32a 의 선 32E-32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3a 는 다른 예의 홀딩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33b 및 도 33c 는 홀딩 스페이서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3d 는 홀딩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33e 는 도 33a 의 선 33E-33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4 는 도 33a 에 도시된 홀딩 스페이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5a 는 닫혀져 있는 도 1 의 밀폐구조체의 슬리브의 단면도.
도 35b 는 열려 있는 도 35a 의 슬리브의 단면도.
도 36 은 도 35 의 슬리브의 힌지의 확대 사시도.
도 37 은 도 35 의 슬리브의 패스너의 확대 정면도.
도 38 은 도 35 의 슬리브의 패스너의 사시도.
도 39 는 도 35 의 슬리브와 관련된 힌지 및 패스너의 작동방식을 보여주는 확대 측면도.
도 40a 는 닫혀 있는 도 35 의 슬리브의 패스너의 확대 수직면도.
도 40b 는 열려 있는 도 35a 의 패스너의 확대 수직면도.
도 41a 는 케이블 인장부재의 정면도.
도 41b 는 도 41a 에 도시된 케이블 인장부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슬리브 부재 2 : 상부 슬리브 부재
3 : 끝플레이트 4 : 케이블 클램프
41 : 클램프 몸체 7 : 가스켓
16 : 케이블 안내 리세스 17 : 휘어진 홀딩부재
19 : 스크류 20 : 케이블 안내구멍
22 : 슬릿 24 : 열림방지 연결부재
251 : 강성 홀딩부재 43 : 홀딩 스페이서
60 : 힌지 61 : 제 1 루프형 링
65 : 배리어 70 : 패스너
71 : 제 2 루프형 링 77 : 리테이닝 링

Claims (30)

  1. 각각 반실린더형으로 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면 케이블 접속부를 감싸게 되는 실린더형 슬리브를 이루게 되고, 결합시 서로 맞닿게 되는 접촉 조인트면이 각각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슬리브 부재 (1, 2) 와,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된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안내구멍 (20) 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끝플레이트 (3) 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접촉 조인트면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 (1, 2) 를 서로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해 슬리브 부재 (1, 2) 사이에 갈고리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60) 및 패스너 (70) 와,
    상기 각각의 끝플레이트 (3) 에는, 상기 케이블 안내구멍 (20) 으로부터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 부근까지 뻗는 슬릿 (22) 이 형성되어 있어, 이 슬릿 (22) 을 따라 절개함으로써 상기 끝플레이트 (3) 의 벽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는, 절단으로 제거가 가능한 얇은 벽의 캡 (21) 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릿 (22) 안에는 강성 홀딩부재 (251) 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고, 그리고
    상기 한 끝플레이트 (3) 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끼워지는 케이블 삽입부를 하나 이상 갖는 케이블 클램프 (4) 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클램프 (4) 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피봇용 지지부 (18, 181) 가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몸체 (41) 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의 맞은 편에는 하나 이상의 휘어진 홀딩부재 (17) 가 설치되어, 상기 피봇용 지지부 (18, 181) 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휘어진 홀딩부재 (17) 는 그의 한 자유단 (171) 에서, 장착부재 (19) 에 의해 상기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및 휘어진 홀딩부재 (17) 에는, 홀딩 스페이서 (43) 들이 서로 대향하면서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밀폐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플레이트 (3) 에는, 상기 슬릿 (22) 의 양측에 걸쳐 있는 하나 이상의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가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끝플레이트 (3) 에는, 케이블 안내구멍 (20) 들 사이에서 끝플레이트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슬리브의 한 끝벽과 맞닿게 되는 제 2 강성 홀딩부재 (29) 가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구멍 (20) 에 케이블이 없을 때, 상기 끝플레이트 (3) 의 케이블 안내구멍 (20) 안에는, 제 3 강성 홀딩부재 (25) 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22) 의 외측단을 덮기 위해, 끝플레이트 (3) 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슬리브의 내측표면 사이에 접착성 테이프형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방지 연결부재 (24) 와 제 2 강성 홀딩부재 (29) 는, 상기 끝플레이트 (3) 의 외측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23, 28) 안에 각각 끼워지며, 또한 끝플레이트 (3) 와 마주보는 각각의 표면에는 대응 결합부 (242, 292) 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플레이트 (3) 의 내측 표면에는 홀더 (31) 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홀더 (31) 에는 리세스 (30) 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 (4) 에는, 상기 홀더 (31) 의 리세스 (30) 안에 끼워지게 되는 돌기부 (40) 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 (4) 의 휘어진 홀딩부재 (17) 는 아암형 부재로 되어 있고, 상기 홀딩부재 (17) 의 한 단부에는, 이 홀딩부재의 선회운동을 위한 피봇용 핀 (18) 이 마련되어 있으며, 자유단인 타단부 (171) 에는, 상기 장착부재 (19) 를 위한 삽입구멍 (172) 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피봇용 핀 (18) 은,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형성되어 있는 홀딩 리세스 (181) 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홀딩부재 (17) 를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장착부재 (19) 는,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요소 (191) 안에 나사결합식으로 삽입되는 스크류 (19) 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 스크류 (19) 는, 상기 휘어진 홀딩부재 (17) 의 자유단부 (171) 와 연결되는 스크류 헤드 (192)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홀딩부재 (17) 를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장착부재 (19) 는,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요소 (191) 안에 나사결합식으로 삽입되는 스크류 (19) 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 스크류 (19) 는, 상기 휘어진 홀딩부재 (17) 의 자유단부 (171) 와 연결되는 스크류 헤드 (192)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홀딩 스페이서 (33) 는 원호형 부재로 되어 있고, 이 홀딩 스페이서의 원호형 내측표면에는 피크-밸리 (peak-valley) 형 그루브 (38) 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표면에는 돌기부 (34) 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이 돌기부 (34) 는, 상기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중에서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또는 구멍 (36) 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홀딩 스페이서 (33) 는 원호형 부재로 되어 있고, 이 홀딩 스페이서의 원호형 내측표면에는 피크-밸리형 그루브 (38) 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표면에는 돌기부 (34) 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이 돌기부 (34) 는, 상기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중에서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또는 구멍 (36) 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홀딩 스페이서 (33) 는,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의 접합면 (161, 174) 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상기 각각의 홀딩 스페이서 (33) 에는, 케이블의 외주에 대응하는 원호형 표면 (54, 55) 이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 (4) 는, 대응하는 홀딩 스페이서 (33) 와 케이블 안내 리세스 (16) 사이 및 대응하는 홀딩 스페이서 (33) 와 휘어진 홀딩부재 (17)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간격유지편 (56)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스페이서 (33) 들은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와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스페이서 부재는, 케이블의 외주에 대응하여 형성된 원호형 표면 (41, 55) 을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딩 스페이서 (33) 의 원호형 표면 (54, 55) 에는, 케이블의 축선에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리브 (57) 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원호형 표면 (55) 은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표면위에는, 케이블의 축선에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리브 (57) 가 제공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의 원호형 표면 (41) 은 볼록하게 되어 있고, 이 표면위에는, 상기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리브 (57) 들이 끼워지게 되는 그루브 (58) 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딩 스페이서 (33) 는 한쌍의 원호형 표면 (54, 55) 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원호형 표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있고 또한 케이블의 상이한 외주에 적합하도록 상이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원호형 표면은, 삽입구멍 (39) 이 형성되어 있는 큰 반경의 제 1 오목표면 (55) 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는, 상기 제 1 오목표면 (55) 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서, 작은 반경의 제 2 오목표면 (54)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의 원호형 표면은,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제 1 오목표면 (55) 에 대응하는 볼록표면 (41) 으로 되어 있으며, 이 볼록표면위에는, 제 1 스페이서 부재 (33a) 의 삽입구명 (39) 에 끼워지게 되는 연결로드 (42) 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페이서 부재 (33b) 는, 상기 볼록표면 (41) 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서, 중간 크기의 반경을 갖는 제 3 오목표면 (52)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 (4) 의 클램프 몸체 (41) 에는, 대응하는 홀딩 스페이서 (33) 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편 (42) 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 스페이서 (33) 는 결합폴 (332) 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결합폴 (332) 을 상기 풀림방지편 (42) 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탑퍼 (53) 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표면 (161, 171) 과 각 홀딩 스페이서 (33) 의 대응 표면 (331) 각각에는, 케이블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톱니형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60) 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사이드 에지에 인접한 부위에서 서로 떨어져 형성된 다수의 제 1 링수용부 (63) 와, 상기 제 1 링수용부 (63) 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루프형 링 (61) 으로 각각 이루어진 힌지부재들과, 이들 힌지부재를 위한 다수의 홀딩 리세스 (621) 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리세스 (621) 들은, 상부 슬리브 부재 (2) 의 한 사이드 에지에 인접한 부위에서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패너 (70) 는, 상부 슬리브 부재의 사이드 에지에 인접한 부위에서 서로 떨어져 형성된 다수의 제 2 링수용부 (73) 와, 대응하는 제 2 수용부 (73) 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제 2 루프형 링 (71) 들과, 대응하는 제 2 루프형 링 (71) 에서 선회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며 말단에 홀딩 돌기부 (74) 가 제공되어 있는 작동레버 (75) 와,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사이드 에지에 인접한 부위에서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 (75) 의 홀딩 돌기부 (74) 들이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패스너 수용부 (7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조체는, 상기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와 접촉 조인트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 (7)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접촉 조인트면의 외측 가장자리들은 모따기되어 있어 이들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리세스 (76) 가 형성되고, 상기 패스너 (70) 의 제 2 루프형 링 (71) 은, 가스켓 (7) 의 외측을 따르도록 접촉 조인트면의 외측 가장자리로 형성된 상기 리세스 (76) 안에 끼워지는 리테이닝 부재 (7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60) 의 제 1 루프형 링 (61) 은, 가스켓 (7) 의 외측을 따르도록 접촉 조인트면의 외측 가장자리로 형성된 상기 리세스 (76) 안에 끼워지는 리테이닝 부재 (7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부재 (77) 는, 슬리브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위치한 힌지 (60) 와 패스너 (70) 각각의 루프형 링 (61, 71) 에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조체는, 상기 제 1 루프형 링 (61) 이 제 1 링수용부 (63) 에 형성된 링삽입부 (62) 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힌지 (60) 의 제 1 루프형 링 (61) 을 소정 각도로 제한시키기 위한 스탑퍼 (64) 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스탑퍼 (64) 는, 하부 슬리브 부재 (1) 의 링수용부 (63) 에 인접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각각의 접촉 조인트면에는, 가스켓 (7) 을 슬리브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유지시키기 위한 리세스 (6) 가 마련되어 있고, 이 리세스 (6) 는 그의 대향하는 단부가 좁아져 있어, 가스켓 (7) 을 압입시켜 끼우기 위한 가스켓 압입부 (61)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각각의 접촉 조인트면에는, 가스켓 (7) 을 슬리브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유지시키기 위한 리세스 (6) 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및 상부 슬리브 부재 (1, 2) 에는, 상기 리세스 (6) 를 따라 슬리브 부재의 양 사이드 에지의 각기 다른 부위에서 리세스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편위되어 있는 배리어 (65) 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슬리브 부재 (1, 2) 중 어느 하나의 배리어 (65) 는 다른 슬리브 부재의 내측면과 서로 접촉함으로써, 슬리브 부재 (1, 2) 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2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케이블 안내구멍 (20) 의 내주면 사이의 시일링을 위하여, 케이블 안내구멍 (20) 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에 기밀성 테이프가 감겨져 있으며, 이 기밀성 테이프는, 40∼90(10-1mm) 의 침투율, 1500∼2000% 의 연신율 및 0.5∼1.5 kg/cm2 의 인장응력을 갖는 열가소성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3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과 케이블 안내구멍 (20) 의 내주면 사이의 시일링을 위하여, 케이블 안내구멍 (20) 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에 기밀성 테이프가 감겨져 있으며, 이 기밀성 테이프는, 40∼90(10-1mm) 의 침투율, 1500∼2000% 의 연신율 및 0.5∼1.5 kg/cm2 의 인장응력을 갖는 열가소성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체.
KR1019970004106A 1997-02-12 1997-02-12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KR10054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106A KR100540017B1 (ko) 1997-02-12 1997-02-12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106A KR100540017B1 (ko) 1997-02-12 1997-02-12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98A KR19980067798A (ko) 1998-10-15
KR100540017B1 true KR100540017B1 (ko) 2006-02-28

Family

ID=4174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106A KR100540017B1 (ko) 1997-02-12 1997-02-12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07B1 (ko) * 2019-01-30 2021-01-13 한국원자력연구원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174A (en) * 1984-04-06 1985-12-10 At&T Bell Laboratories Cable closure
JPH0297216A (ja) * 1988-09-30 1990-04-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H0833176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JPH08237852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締結装置
JPH08237849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H08237850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ケーブルシール材
JPH08237847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テンションメンバ把持具
JPH08242526A (ja) * 1995-02-28 1996-09-17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端面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174A (en) * 1984-04-06 1985-12-10 At&T Bell Laboratories Cable closure
JPH0297216A (ja) * 1988-09-30 1990-04-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H0833176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JPH08237852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締結装置
JPH08237849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H08237850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ケーブルシール材
JPH08237847A (ja) * 1995-02-28 1996-09-13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テンションメンバ把持具
JPH08242526A (ja) * 1995-02-28 1996-09-17 Totsu Soken:Kk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端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98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518B2 (en) Closure for cable connection
JP3560090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US6226434B1 (en) Closure for cable connection
US6533472B1 (en) Optical fiber splice closure assembly
GB2158659A (en) Cable closure
JPH11262161A (ja) ケーブル配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端面シール部材
EP0883006B1 (en) Closure for cable connection
CA2814028A1 (en) Enclosure for a cable connection
KR100540017B1 (ko)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US5850499A (en) Locking closure for optical fiber cable connection
JP3629746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3666823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端面板
CA2197590C (en) Closure for cable connection
JP5339183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端面板
JP3914309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GB2322714A (en) Cable connection closure having semi cylindrical sleeves and adhesive tape gasket
JPH08237847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テンションメンバ把持具
JP3980196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3628059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ケーブルシール材
JPH08237851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ケーブル把持具
JPH10224977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CA3171458A1 (en) Butt closures and bases therefor
MXPA97001204A (es) Cierre para conexion de cable
JPH08237852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締結装置
US20220171136A1 (en) Butt closures and base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