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607B1 -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607B1
KR102202607B1 KR1020190011832A KR20190011832A KR102202607B1 KR 102202607 B1 KR102202607 B1 KR 102202607B1 KR 1020190011832 A KR1020190011832 A KR 1020190011832A KR 20190011832 A KR20190011832 A KR 20190011832A KR 102202607 B1 KR102202607 B1 KR 10220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guide
protrusion
alignment devic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402A (ko
Inventor
이찬
신창환
양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1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정렬시키는 장치에서, 제1 돌출부와 제1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본체부, 제1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 그리고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APPARATUS FOR WIRE ALIGNMENT OF SEALIN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USING THE SAME}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고압 또는 진공 장비는 내부의 압력을 계측하기 위해서 압력 경계를 통과해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면서 밀폐 상태가 유지되는 연결구가 필요하다. 밀폐 연결구는 내부 부품을 통과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가 복수개 일 경우, 와이어를 정렬하여 조립하는 시간 및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
밀폐 연결구와 와이어는 공차가 작아 정렬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립이 어려우며, 와이어가 정렬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밀폐 연결구를 조립할 경우, 와이어가 눌려 고장이 발생되거나, 연결구의 밀폐가 형성될 수 없으므로 고압의 유체가 외부로 새어나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를 정렬하여 밀폐 연결구를 조립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미국등록특허 3,680,208은 "METHOD OF MAKING ELECTRICAL PENETRANT STRUCTURE"를 개시한다.
미국등록특허 3,680,208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눌리는 현상 및 고압의 유체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밀폐 연결구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조립 난이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정렬시키는 장치에서, 제1 돌출부와 제1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본체부, 제1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 그리고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정렬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가 눌리는 현상 및 고압의 유체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밀폐 연결구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조립 난이도를 낮추어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복수개의 와이어(10)를 정렬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와이어(10)를 상호 이격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10)는 밀폐 연결구의 바디(11)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y축 방향으로 장변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마찰력이 낮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테플론(Tefl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제1 본체부(30), 제2 본체부(40) 그리고 연결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는 복수개의 와이어(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는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는 제1 돌출부(31), 제1 가이드부(32) 그리고 제1 관통홀(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는 제1 돌출부(31)와 제1 가이드부(32)가 y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31)는 제1 본체부(30)의 하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1)는 제1 본체부(30)의 외측 방향인 z축을 따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31)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는 제1 본체부(30)의 하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는 제1 돌출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는 제1 돌출부(31)에서 사선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는 제1 돌출부(31)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통홀(35)은 제1 본체부(3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관통홀(35)은 제1 본체부(3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통홀(35)에는 연결부(9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본체부(40)는 복수개의 와이어(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본체부(40)는 제2 돌출부(41), 제2 가이드부(42) 그리고 제2 관통홀(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부(40)는 제2 돌출부(41)와 제2 가이드부(42)가 y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부(41)는 제2 본체부(40)의 상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41)는 제2 본체부(40)의 외측 방향인 z축을 따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부(41)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는 제2 본체부(40)의 상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는 제2 돌출부(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는 제2 돌출부(41)에서 사선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는 제2 돌출부(41)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통홀(45)은 제2 본체부(4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관통홀(45)은 제2 본체부(4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통홀(45)에는 연결부(90)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90)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90)는 결합체(9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체(91)는 볼트(Bolt), 리벳(Rivet), 또는 톡스(T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체(91)는 제1 관통홀(35)과 제2 관통홀(45)을 통과하면서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 사이의 연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는 결합체(91)를 이용하여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를 복수개의 와이어(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연결될 경우, 제1 돌출부(31)는 제2 가이드부(42)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41)는 제1 가이드부(32)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1)는 제2 가이드부(42)와 맞닿고 제2 돌출부(41)는 제1 가이드부(32)와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결합될 경우, 와이어(10)는 제2 가이드부(42)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41)에 위치하는 와이어(10)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결합되면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부(42)의 하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결합될 경우, 제1 가이드부(32)의 사선과 제2 가이드부(42)의 사선이 맞닿으면서 와이어(10)를 밀어 제2 가이드부(42)의 하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와이어(10)는 지그재그형 사선을 따라 각각 이격되면서 제2 가이드부(42)의 하단부로 정렬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원을 참고하면, 제2 본체부(40)는 고정홈(49)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49)은 제2 가이드부(42)의 하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홈(49)은 제2 본체부(4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홈(49)에는 와이어(1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결합될 경우, 제1 돌출부(31)는 와이어(10)와 맞닿으면서 와이어(10)를 고정홈(49)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31)는 와이어(10)의 z축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고정홈(49)은 와이어(10)의 y축 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10)는 각각 고정홈(49)에 고정되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정렬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복수개의 와이어(10)를 각각 이격되게 정렬시킨 후, 밀폐 연결구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밀폐 연결구와 와이어(10)의 공차가 작더라도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 시간과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복수개의 와이어(10)를 바르게 정렬시킨 상태에서 밀폐 연결구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10)가 눌리는 현상 및 고압의 유체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해 본 발명의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이용한 조립 방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분리 결합관계를 도시한 조립 예시이며, 복수개의 와이어(10)를 통과시킬 때 시트(12), 실런트(13) 그리고 팔로워(14)에 난 홈에 맞추어 복수개의 와이어(10)를 끼워넣어야 하나, 홈의 크기가 작고 복수개의 와이어(10) 자체의 강성으로 인해 고정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어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와이어(10)는 밀폐 연결구의 바디(11)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바디(11)의 내부에는 시트(12), 실런트(13) 그리고 팔로워(14)가 조립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바디(11)는 원통형 형상으로 양측 단부에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12)는 시트 하부(12a)와 시트 상부(12b)가 결합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바디(11)에 삽입될 수 있다. 시트(12)의 내측에는 일방향으로 위치하고, 정렬된 와이어(10)가 안착되는 원통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실런트(13)는 실런트 하부(13a)와 실런트 상부(13b)가 결합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바디(11)에 삽입될 수 있다. 실런트(13)의 내측에는 일방향으로 위치하고, 정렬된 와이어(10)가 안착되는 원통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팔로워(14)는 팔로워 하부(14a)와 팔로워 상부(14b)가 결합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바디(11)에 삽입될 수 있다. 팔로워(14)의 내측에는 일방향으로 위치하고, 정렬된 와이어(10)가 안착되는 원통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캡(15)은 바디(1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캡(15)은 바디(11)의 일측과 나사산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와이어 정렬 장치(20)의 삽입도이며, 도 6은 2개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이용한 와이어 정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평면에 가느다란 홈이 파인 구조와는 달리,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빗살 모양의 홈이 구비되어 복수개의 와이어(10)가 각각 제 위치에 정렬되기가 용이하다. 와이어 정렬 장치(20)에 복수개의 와이어(10)를 각각 걸고 잠그면 와이어(10) 간 간격이 와이어 정렬 장치(20)의 홈 간격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2개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조립한 뒤 좌우로 슬라이드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0)가 장력을 받아 정렬된 구간이 드러나게 된다. 도 5및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밀폐 연결구의 바디(11)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10)에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와이어(10)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각각 상호 이격되어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와이어(10)는 와이어 정렬 장치(20)의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부의 하단부로 이동되고 이격하며 가이드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와이어(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복수개의 와이어(10)를 정렬시켜 시트(12), 실런트(13) 또는 팔로워(14)의 홈에 정렬된 복수개의 와이어(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와이어(10)에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장착하고, 또다른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와이어 정렬 장치(20)가 복수개의 와이어(10)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이어(10)에 장착된 한 쌍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와이어(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0)는 장력을 받아 정렬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에는 정렬된 와이어(10)의 구간이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한 쌍의 와이어 정렬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의 하부에 시트 하부(12a)가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바디 내부로 조립된 시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한 쌍의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0)의 하부에 시트 하부(12a)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0)는 시트 하부(12a)의 내측 안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시트 하부(12a)는 시트 상부(12b)와 결합하여 바디(11)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에 시트(12)를 위치시키면 와이어(10)의 위치와 안착홈의 위치가 일치하므로 쉽게 시트(12)를 조립할 수 있다. 상부와 하부로 구분된 시트(12)를 합친 후 바디(11) 쪽 와이어 정렬 장치를 분해하고, 조립된 시트(12)를 바디(11) 내부로 밀어넣으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2)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조립된 시트(12)가 와이어(10) 위치를 잡아주므로, 분해된 와이어 정렬 장치를 다시 사용할 필요 없이 남아있는 다른 하나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다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와이어(10)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반복하여 나머지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
도 9는 실런트가 정렬되어 바디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팔로워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팔로워가 바디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캡이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및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와이어(10)에 장착된 또다른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탈거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와이어 정렬 장치(20)가 복수개의 와이어(10)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이어(10)에 장착된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디(11)와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에는 장력을 받아 정렬된 와이어(10)의 구간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디(11)와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의 와이어(10)의 하부에 실런트 하부(13a)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0)는 실런트 하부(13a)의 내측 안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실런트 하부(13a)는 실런트 상부(13b)와 결합하여 바디(11)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와이어(10)에 장착된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바디(11)와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에는 장력을 받아 정렬된 와이어(10)의 구간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디(11)와 와이어 정렬 장치(20) 사이의 와이어(10)의 하부에 팔로워 하부(14a)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0)는 팔로워 하부(14a)의 내측 안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팔로워 하부(14a)는 팔로워 상부(14b)와 결합하여 바디(11)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캡(15)은 바디(11)의 일측에 조립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10)는 상호 이격되어 정렬된 상태로 바디(11), 시트(12), 실런트(13), 팔로워(14) 그리고 캡(15)을 통과할 수 있다. 팔로워(14)를 바디(11)에 조립한 후엔 더 이상 와이어 정렬이 필요없으므로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분해하고, 캡(15)을 잠그면 와이어 정렬 장치(20)를 이용한 조립이 완료된다.
종래의 밀폐 연결구의 조립은 사용자가 지름 1mm 미만의 와이어를 하나씩 별도로 잡아 정렬하고 시트, 실런트, 팔로워의 안착홈들에 각각 맞추어야 하므로 조립 시간 및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와이어가 정렬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밀폐 연결구를 조립할 경우, 와이어가 눌려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복수개의 와이어(10)를 정렬한 상태에서 시트(12), 실런트(13), 팔로워(14)의 안착홈에 맞추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과 난이도를 낮출 수 있으며, 밀폐 연결구의 밀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제1 결속부(33), 제2 결속부(34), 제1 고리부(43), 제2 고리부(44), 그리고 힌지부(93)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와이어 정렬 장치(2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1 본체부(30)는 제1 결속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속부(33)는 제1 본체부(3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속부(33)는 제1 본체부(30)의 외측 방향인 y축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본체부(40)는 제1 고리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부(43)는 제2 본체부(4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리부(43)는 제1 고리부(43)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리부(43)에는 제1 결속부(33)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고리부(43)를 일측으로 오픈 하고 제1 고리부(43)의 오목한 홈 형상에 제1 결속부(33)를 삽입시켜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 본체부(30)의 상부에 힘을 가할 경우, 그 힘에 의해 제1 결속부(33)가 제1 고리부(43)에 삽입되어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의 결합을 이용하여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의 연결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제1 본체부(30)는 제2 결속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속부(34)는 제1 본체부(3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속부(34)는 제1 본체부(30)의 외측 방향인 y축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본체부(40)는 제2 고리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리부(44)는 제2 본체부(4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리부(44)는 제2 고리부(44)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리부(44)에는 제2 결속부(34)가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제2 결속부(34)와 제2 고리부(44)를 결합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의 타측에는 힌지부(93)가 위치할 수 있다. 힌지부(93)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를 상호 회동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힌지부(93)의 회동축은 x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제2 결속부(34)와 제2 고리부(44)의 결합 및 힌지부(93)의 회동을 이용하여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의 용이성을 높이고 회동축이 뻗은 x축 방향에 대한 연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돌출부와 가이드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추가의 본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본체부들은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의 일측에 대하여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의 본체부들은 한 쌍일 수 있다. 추가의 본체부들은 서로 연결될 경우, 하나의 본체부의 돌출부가 다른 본체부의 가이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19를 참조해 본 발명의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와 연결되는 추가의 본체부들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설명한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Two Split 타입의 밀폐 연결구에 적용될 수 있다. Two Split 타입의 밀폐 연결구는 바디, 시트, 실런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시트, 실런트는 내부에 상호 수직하게 위치하고, 정렬된 와이어(10)가 안착되는 원통형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제3 본체부(36), 제4 본체부(46), 제5 본체부(50), 제6 본체부(60), 제7 본체부(70) 그리고 제8 본체부(80)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와이어 정렬 장치(2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제1 본체부(30)는 제3 본체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본체부(36)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3 본체부(36)는 제1 본체부(30)의 상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본체부(36)는 제1 본체부(30)와 수직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3 본체부(36)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3 본체부(36)는 제3 돌출부(37)와 제3 가이드부(38)가 z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돌출부(37)는 제3 본체부(36)의 외측 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가이드부(38)는 제3 돌출부(37)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38)는 제3 돌출부(37)에서 사선으로 뻗으며 위치하고, 제1 돌출부(31)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본체부(40)는 제4 본체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본체부(46)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4 본체부(46)는 제2 본체부(40)의 하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본체부(46)는 제2 본체부(40)와 수직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4 본체부(46)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4 본체부(46)는 제4 돌출부(47)와 제4 가이드부(48)가 z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돌출부(47)는 제4 본체부(46)의 외측 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가이드부(48)는 제4 돌출부(47)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가이드부(48)는 제4 돌출부(47)에서 사선으로 뻗으며 위치하고, 제4 돌출부(47)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제5 본체부(50), 제6 본체부(60), 제7 본체부(70) 그리고 제8 본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본체부(50), 제6 본체부(60), 제7 본체부(70) 그리고 제8 본체부(80)는 각각 제1 본체부(30), 제2 본체부(40), 제3 본체부(36) 그리고 제4 본체부(46)와 z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5 본체부(50)는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5 본체부(50)는 제5 돌출부(51), 제5 가이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본체부(50)는 제5 돌출부(51)와 제5 가이드부(52)가 y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 본체부(60)는 y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6 본체부(60)는 제6 돌출부(61), 제6 가이드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본체부(60)는 제6 돌출부(61)와 제6 가이드부(62)가 y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가 연결될 경우, 제5 돌출부(51)는 제6 가이드부(62)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6 돌출부(61)는 제5 가이드부(52)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돌출부(51)는 제6 가이드부(62)와 맞닿고 제6 돌출부(61)는 제5 가이드부(52)와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본체부(50)는 제7 본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본체부(70)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7 본체부(70)는 제5 본체부(50)의 상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7 본체부(70)는 제5 본체부(50)와 수직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7 본체부(70)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7 본체부(70)는 제7 돌출부(71)와 제7 가이드부(72)가 z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가 연결될 경우, 제3 돌출부(37)는 제7 가이드부(72)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7 돌출부(71)는 제3 가이드부(38)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 본체부(60)는 제8 본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본체부(80)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8 본체부(80)는 제6 본체부(60)의 하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8 본체부(80)는 제6 본체부(60)와 수직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8 본체부(80)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위치할 수 있다. 제8 본체부(80)는 제8 돌출부(81)와 제8 가이드부(82)가 z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가 연결될 경우, 제4 돌출부(47)는 제8 가이드부(82)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8 돌출부(81)는 제4 가이드부(48)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맞물리고,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가 맞물리고,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가 맞물리고,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가 맞물리면서 상호 본체부들이 결합된 십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는 각각 전술한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는 각각 관통홀을 포함하고, 결합체(91)가 관통홀들을 통과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10)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의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와이어(10)는 본체부들 사이의 지그재그형 사선을 따라 각각 이격되면서 가이드부들의 단부로 이동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정렬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가 맞물리고,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가 맞물리고,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가 맞물리고,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가 맞물리는 구조로, 다량의 와이어를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밀폐 연결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힌지부(93)를 제외하고는 도 15및 도 16의 와이어 정렬 장치(2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의 사이 및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의 사이에는 힌지부(93)가 위치할 수 있다. 힌지부(93)는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 및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를 상호 회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는 각각 관통홀을 포함하고, 결합체(91)가 관통홀들을 통과하면서 결합되거나, 전술한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9를 참조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9는 힌지부(93)를 제외하고는 도 17및 도 18의 와이어 정렬 장치(2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제1 본체부(30)와 제2 본체부(40)의 사이, 제3 본체부(36)와 제7 본체부(70)의 사이, 제4 본체부(46)와 제8 본체부(80)의 사이에는 힌지부(93)가 위치하면서 본체부를 상호 회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5 본체부(50)와 제6 본체부(60)는 각각 관통홀을 포함하고, 결합체(91)가 관통홀들을 통과하면서 결합되거나, 제1 결속부(33)와 제1 고리부(43)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20)는 복수개의 와이어(10)가 정렬된 상태로 제1 내지 제8 본체부들 사이를 결합체 결합, 고리부 결합 그리고 힌지부 결합을 이용하여 조립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와이어 11. 바디
12. 시트 13. 실런트
14. 팔로워 15. 캡
20. 와이어 정렬 장치 30. 제1 본체부
31. 제1 돌출부 32. 제1 가이드부
33. 제1 결속부 34. 제2 결속부
35. 제1 관통홀 36. 제3 본체부
37. 제3 돌출부 38. 제3 가이드부
40. 제2 본체부 41. 제2 돌출부
42. 제2 가이드부 43. 제1 고리부
44. 제2 고리부 45. 제2 관통홀
46. 제4 본체부 47. 제4 돌출부
48. 제4 가이드부 49. 고정홈
50. 제5 본체부 60. 제6 본체부
70. 제7 본체부 80. 제8 본체부
90. 연결부 91. 결합체
93. 힌지부

Claims (15)

  1.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정렬시키는 장치에서,
    제1 돌출부와 제1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사이에서 형성되는 지그재그형 사선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고,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는,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일측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위치하며 돌출부와 가이드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추가의 본체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본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될 때 한 본체부의 돌출부가 다른 본체부의 가이드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 돌출부와 제3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4 돌출부와 제4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5 돌출부와 제5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는,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6 돌출부와 제6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본체부는, 상기 제5 본체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7 돌출부와 제7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7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본체부는, 상기 제6 본체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8 돌출부와 제8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 본체부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연결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와이어가 위치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본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본체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제1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속부가 삽입되는 제1 고리부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제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결속부가 삽입되는 제2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본체부와 상기 제7 본체부가 연결될 경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7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7 돌출부는 상기 제3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 본체부와 상기 제8 본체부가 연결될 경우,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8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8 돌출부는 상기 제4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5 본체부와 상기 제6 본체부가 연결될 경우, 상기 제5 돌출부는 상기 제6 가이드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6 돌출부는 상기 제5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12.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에 와이어 정렬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의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상호 이격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수용되는 단계,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를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정렬하는 단계,
    밀폐 연결구의 내부 부품의 홈에 정렬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내부 부품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는, 제1 돌출부와 제1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이용한 조립 방법.
  13. 밀폐 연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와이어에 제1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제2 와이어 정렬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정렬 장치의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상호 이격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수용되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 2 와이어 정렬 장치를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정렬하는 단계,
    시트부의 홈에 정렬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시트부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2 와이어 정렬 장치를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에서 탈거하는 단계,
    실런트의 홈에 정렬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실런트를 조립하는 단계,
    팔로워의 홈에 정렬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팔로워를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정렬 장치는, 제1 돌출부와 제1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이용한 조립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서,
    상기 실런트의 홈에 정렬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팔로워의 홈에 정렬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안착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와이어 정렬 장치를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1020190011832A 2019-01-30 2019-01-30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10220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32A KR102202607B1 (ko) 2019-01-30 2019-01-30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32A KR102202607B1 (ko) 2019-01-30 2019-01-30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402A KR20200094402A (ko) 2020-08-07
KR102202607B1 true KR102202607B1 (ko) 2021-01-13

Family

ID=7205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832A KR102202607B1 (ko) 2019-01-30 2019-01-30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358A (ja) * 2001-08-09 2003-02-28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処理方法及び防水処理用治具
KR200409062Y1 (ko) 2005-11-07 2006-11-23 경신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용 정렬클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25Y2 (ja) * 1988-10-12 1995-04-19 株式会社トーツー創研 シーリング端面板
KR100540017B1 (ko) * 1997-02-12 2006-02-28 닛뽕덴싱뎅와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접속용밀폐구조체
JP3680208B2 (ja) 2001-05-29 2005-08-10 有限会社吉田構造デザイン ロープの間隔保持装置
KR20120005866U (ko) * 2011-02-11 2012-08-21 김기준 전선 보호관
KR101808112B1 (ko) * 2015-08-25 2017-12-13 에코캡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그로메트 성형장치의 케이블 고정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358A (ja) * 2001-08-09 2003-02-28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処理方法及び防水処理用治具
KR200409062Y1 (ko) 2005-11-07 2006-11-23 경신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용 정렬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402A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722C (zh) 流体联接装置,其锁定件及装配方法
US4461537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7866708B2 (en) Joining tubular members
KR100338584B1 (ko) 신속착탈식커플링과,그조립방법및장치
US20190063640A1 (en) Pass-through bulkhead seal fitting
CN212584513U (zh) 一种用于管/柱构件的快接结构
WO1988001358A1 (en) Loading and locking mechanism and seal
CN104620033A (zh) 压配合件和具有这种压配合件的接头组件
US10105527B2 (en) Bayonet coupling assembly
KR102202607B1 (ko) 밀폐 연결구의 와이어 정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US11022758B2 (en) Fiber optical adapter having a railed partitioning
JPS6057045B2 (ja) 光学コンダクタ用コネクタ
CN105008632A (zh) 利用液压力把钢筋耦合的装置
US5621834A (en) Closed alignment sleeve for optical connectors
JPH05501017A (ja) シーリンググランド
CN109946795B (zh) 一种fc-sc型取光适配器
TWI632407B (zh) 光纖轉接器
US6056328A (en) Coupler for connecting tubular member without deformation of tubular member due to concentration of stress
EP1313981B1 (de) Verbindungseinrichtung für schutzrohre
CN114109538B (zh) 一种双层机匣孔探孔堵孔结构
US9863204B2 (en) Downhole connector
US20090180738A1 (en) Anti-wiggle optical receptacle
US9222520B2 (en) Secure universal-joint
US7325978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s
US11291823B2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