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590B1 -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590B1
KR100539590B1 KR1020050035365A KR20050035365A KR100539590B1 KR 100539590 B1 KR100539590 B1 KR 100539590B1 KR 1020050035365 A KR1020050035365 A KR 1020050035365A KR 20050035365 A KR20050035365 A KR 20050035365A KR 100539590 B1 KR100539590 B1 KR 10053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rum
inner drum
hydraulic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순 filed Critical 김종순
Priority to KR102005003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590B1/ko
Priority to PCT/KR2006/001594 priority patent/WO2006115386A1/en
Priority to CNA200680000121XA priority patent/CN1942383A/zh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6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드럼이 고속회전 되는 동안 외측드럼의 브레이크패드와 맞물려 제동되도록 하되 내측드럼의 선단 외주면에 유압발생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형성하여 승강기가 유압으로도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압발생기 작동을 위한 기어부의 구성이 간소화 되고 특히 유압발생기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방향이 승강기와 평행하도록 하여 유압으로 제동되는 동안 승강기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 및 래크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기의 추락시 이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승강기에 고정되는 외측드럼, 외측드럼 내부로 들어가 회전 지지되는 내측드럼, 래크와 치합되도록 내측드럼에 축 지지되고 승강기의 추락시 원심추가 펼쳐져 내측드럼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유압발생기의 종동기어가 치합되도록 내측드럼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기어 그리고 유압발생기와 연결되고 승강기를 레일에서 밀쳐내지 않는 방향으로 유압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Brake apparatus for the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외측드럼 사이에 브레이크패드를 설치하여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되 내측드럼의 선단 외주면에 구동기어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압발생기의 종동기어와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유압발생기 작동을 위한 기어부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특히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승강기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 적용되는 승강기는 승객과 화물을 실어 나르기 위해 수직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승강기에는 구동모터로 작동되는 구동피니언이 구비되고 레일에는 이와 치합되는 래크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기가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버너(governer)가 설치된다.
가버너는 일종의 브레이크장치로써 승강기가 추락될 경우 가버너가 고속회전되면서 내장된 원심추가 펼쳐지고 승강기를 제동시킨다. 그러나 가버너의 제동력이 너무 크면 승강기가 갑자기 멈춰 승객이 다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약할 경우 추락의 위험이 존재하였으며 가버너의 고장 등으로 제동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되므로 2중 안전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를 감안하여 승강기를 유압으로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장치를 발명하여 특허 제354380호로 등록하였고 이를 개량하여 실용 제243892호로 등록한 바 있다. 특허 제354380호는 승강기가 추락될 때 고속회전 되는 클러치 및 이와 연결되는 유압발생기를 통하여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며, 실용 제243892호는 클러치가 고속회전 되는 동안 유압발생기의 작동과 더불어 마찰력이 추가로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용 제243892호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드럼이 고속회전 되는 동안 외측드럼의 브레이크패드와 맞물려 제동되도록 하되 내측드럼의 선단 외주면에 유압발생기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형성하여 승강기가 유압으로도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압발생기 작동을 위한 기어부의 구성이 간소화 되고 특히 유압발생기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방향이 승강기와 평행하도록 하여 유압으로 제동되는 동안 승강기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 및 래크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기의 추락시 이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승강기에 고정되는 외측드럼, 외측드럼 내부로 들어가 회전 지지되는 내측드럼, 래크와 치합되도록 내측드럼에 축 지지되고 승강기의 추락시 원심추가 펼쳐져 내측드럼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유압발생기의 종동기어가 치합되도록 내측드럼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기어 그리고 유압발생기와 연결되고 승강기를 레일에서 밀쳐내지 않는 방향으로 유압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정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평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다. 본 발명 승강기(3)는 수직 레일(1)을 따라 승강되도록 수직 래크(2)와 치합되는 구동피니언(5) 및 이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4)가 구비되어 전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기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심력으로 작동되는 가버너(6)가 구비되고 승강기 상부에는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가 추가로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로써, 테이퍼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포개진 내,외측드럼(8)(7)이 구비되고 외측드럼(7)은 브래킷(23)을 통하여 승강기(3)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들 드럼(8)(7)의 경사면에는 브레이크패드(9)가 설치되어 내측드럼(8)이 외측드럼(7)으로 밀착되는 동안 제동력이 발생된다.
내측드럼(8) 후단에는 너트부(19)가 체결되는 볼트부(18)가 형성되고 너트부(19)는 외주면의 돌기(20)가 외측드럼(7) 후단 내주면에 형성된 홈(21)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너트부(19)는 외측드럼(7)에 내장되는 스프링(22)으로 탄압되어 내측드럼(8)이 브레이크패드(9)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내측드럼(8) 내부에는 래크(2)와 치합되는 피니언(14)의 피니언축(15)이 끼워져 지지되고 피니언축(15)을 둘러싸도록 내측드럼(8) 내주면에 다수개의 걸림턱(13)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니언축(15)에는 밸런스웨이트(16)와 원심추(17)가 형성되어 승강기의 추락으로 피니언축(15)이 고속회전 되는 동안 원심추(17)가 펼쳐져 걸림턱(13)에 걸리고 내측드럼(8)을 회전시킨다.
내측드럼(8)이 회전되면 볼트부(18)가 회전되고 너트부(19)는 돌기(20)가 홈(21)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볼트부(18)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면서 스프링(22)이 압축되므로 결국 내측드럼(8)이 외측드럼(7)과 밀착되고 이들 테이퍼면 사이의 브레이크패드(9)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내측드럼(8) 선단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구동기어(1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기어(10)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2)를 갖는 유압발생기(11)가 외측드럼(7)의 외주면에 고정 구비되고 유압발생기(11)와 유압라인(26)으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4)가 승강기(3)의 상부에 구비된다.
유압실린더(24)는 그 작동방향이 승강기(3)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이의 브레이크패드(25)는 레일(1)과 근접되어 유압이 발생되면 레일(1)과의 사이에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유압라인(26)에는 정방밸브(27)가 구비되어 일정 압(120Kg/cm2)이상 걸리지 않도록 해주므로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브레이크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유압발생기(11)의 종동기어(12)와 치합되는 구동기어(10)가 내측드럼(8)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되므로 구동기어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종래 실용 제243892호는 외측드럼(7)의 후방에 구동기어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플라인축이 필요하고 이를 감싸는 기어 케이싱이 필요하며 구동기어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등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조립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측드럼(8)의 선단 외주면에 구동기어(1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플라인축과 기어 케이싱 및 베어링 등의 제반 부품이 필요 없게 되므로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승강기(3)가 추락되면 래크(2)와 치합된 피니언(14)이 하강되면서 고속회전 되므로 피니언축(15)과 연결된 원심추(17)가 펼쳐져 걸림턱(13)에 걸린다. 이때 내측드럼(8)이 회전되면서 볼트부(18)와 치합된 너트부(19)가 당겨지고 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내측드럼(8)이 외측드럼(7)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브레이크패드(9)가 압축되면서 제동력이 발생되는데 내측드럼(8)의 이동거리는 약 3mm 범위로 한정되므로 구동기어(10)와 종동기어(12)의 치합 상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내측드럼(8)이 회전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10) 역시 회전되는 것은 당연하며 이때 종동기어(12)가 회전되고 유압발생기(11)에서 유압이 발생된다. 발생된 유압은 유압라인(26)을 타고 각 유압실린더(24)로 전달되어 이의 브레이크패드(25)가 레일(1)과 밀착되고 제동력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8)(7) 사이의 브레이크패드(9)와 레일(1)의 브레이크패드(25)에 의해 2중 제동이 되므로 승강기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24)는 그 작동방향이 승강기와 나란하므로 승강기를 레일(1)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밀어내지 않아 승강기의 흔들림이 방지되며 유압라인에는 정압밸브(27)가 설치되어 고압이 걸리지 않도록 해주므로 레일의 좌굴 현상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외측드럼의 사이에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내측드럼의 외주면에는 유압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구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스플라인축과 기어 케이싱 및 베어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조립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압발생기와 연결된 유압실린더의 작동방향이 승강기와 나란하여 승강기를 밀쳐내지 않으므로 승강기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안정성이 확보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브레이크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레일 2 : 래크
3 : 승강기 7 : 외측드럼
8 : 내측드럼 9 : 브레이크패드
10 : 구동기어 11 : 유압발생기
12 : 종동기어 14 : 피니언
17 : 원심추 18 : 볼트부
19 : 너트부 22 : 스프링
24 : 유압실린더 25 : 브레이크패드

Claims (2)

  1. 삭제
  2. 레일(1) 및 래크(2)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기(1)에 고정된 외측드럼(7),
    외측드럼(7) 내부로 들어가 회전 지지되는 내측드럼(8) 및
    내,외측드럼(8)(7)의 테이퍼형 경사면에 구비되는 브레이크패드(9)로 구성되고,
    래크(2)와 치합되도록 내측드럼(8)에 축 지지되고 승강기의 추락시 원심추(17)가 펼쳐져 내측드럼(8)을 회전시키는 피니언(14)이 구비되며,
    외측드럼(7) 내부에는 내측드럼(8)이 회전되는 동안 볼트부(18) 및 너트부(19)에 의해 압축되어 브레이크패드(9)에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해주는 스프링(22)이 구비된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유압발생기(11)의 종동기어(12)가 치합되도록 내측드럼(8)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기어(10) 그리고
    유압발생기(11)와 연결되고 승강기(3)를 레일(1)에서 밀쳐내지 않는 방향으로 유압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KR1020050035365A 2005-04-28 2005-04-28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KR10053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65A KR100539590B1 (ko) 2005-04-28 2005-04-28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PCT/KR2006/001594 WO2006115386A1 (en) 2005-04-28 2006-04-28 Brake apparatus for the elebator
CNA200680000121XA CN1942383A (zh) 2005-04-28 2006-04-28 升降机用制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65A KR100539590B1 (ko) 2005-04-28 2005-04-28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590B1 true KR100539590B1 (ko) 2005-12-28

Family

ID=3721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365A KR100539590B1 (ko) 2005-04-28 2005-04-28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39590B1 (ko)
CN (1) CN1942383A (ko)
WO (1) WO20061153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22B1 (ko) 2007-10-23 2009-04-09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1732673B1 (ko) 2016-11-09 2017-05-08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장치용 비상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5727B2 (en) * 2003-11-11 2011-09-13 Lg Electronics Inc. Dryer rack
CN107265241B (zh) * 2017-07-25 2023-06-13 波士顿电梯(湖州)有限公司 电梯扭簧制停装置
NL2019467B1 (nl) 2017-08-30 2019-03-11 Raxtar B V Valbeveiliging voor een lift, alsmede lift voorzien van de valbeveiliging
CN111661734B (zh) * 2020-06-11 2021-07-20 常熟理工学院 一种防坠落式避震型电梯轿厢
CN115303910B (zh) * 2022-10-08 2023-01-06 河南工学院 一种带有缓降刹车的垂直升降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977A (en) * 1983-06-15 1987-10-06 Litton Systems, Inc. Safety brake for vertical lift
KR870011027A (ko) * 1986-05-15 1987-12-19 로버어트 이이 그린스틴 엘리베이터 및 그 제어방법
JP3846750B2 (ja) * 1996-11-29 2006-11-15 三和テッキ株式会社 昇降機の下降速度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22B1 (ko) 2007-10-23 2009-04-09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1732673B1 (ko) 2016-11-09 2017-05-08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장치용 비상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5386A1 (en) 2006-11-02
CN1942383A (zh)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90B1 (ko)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KR100354380B1 (ko)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RU2425265C2 (ru) Узел привода для аккумуляторного вильчатого погрузчика
TWM506464U (zh) 漁船用揚網機
US8246010B2 (en) Fluid shear actuated hoist brake
US6966545B2 (en) Chain block
CN104071718B (zh) 一种钢丝绳预绕紧装置
AU2007233604A1 (en) Arrangement for stopping an elevator car in an emergency braking situation, and elevator
CN207248527U (zh) 滚动轴承故障诊断测试装置
CN205639399U (zh) 用于驻车制动的电子控制执行机构
KR20020062284A (ko) 지지대에 부착된 승강실이 구비된 승강기
KR20170009321A (ko) 타워크레인 및 산업용 윈치의 안전장치
JP3306229B2 (ja) 昇降ケージの駆動装置と制動装置
KR200243892Y1 (ko)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CN105016162B (zh) 一种电梯救援装置
CN109747546B (zh) 车辆用脚踏装置及电动踏板控制方法
KR100514098B1 (ko) 승강기용 제동장치
CN2721597Y (zh) 低噪声安全型矿用无级调速绞车
JP3138466U (ja) シーブブレーキ付駆動装置
KR20080003476A (ko) 승강기 압축식 브레이크장치
CN201723625U (zh) 车用湿式综合制动器
CN104959653B (zh) 双工位转盘式自动钻孔机的钻机头旋转动力机构
JP2000310261A (ja) 昇降装置
CN201647775U (zh) 电梯曳引机
RU2232127C1 (ru) Механизм поворота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