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129B1 -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 Google Patents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129B1
KR100536129B1 KR10-2004-0013166A KR20040013166A KR100536129B1 KR 100536129 B1 KR100536129 B1 KR 100536129B1 KR 20040013166 A KR20040013166 A KR 20040013166A KR 100536129 B1 KR100536129 B1 KR 10053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mold
core
thin film
film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395A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민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성산업 filed Critical (주)민성산업
Priority to KR10-2004-001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1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6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using a socket for mounting of fauc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으로서 각 금형들의 내측면과 코어의 사이에 인서트물을 삽입함으로써 코어의 양면에 밀착된 인서트물이 코어에 사출압이 작용하는 것을 막고 이에 따라 일정한 두께의 박막제품에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은 각 금형의 내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인서트물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금형의 사이에 코어를 개재하면서 상기 각 금형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이 코어의 양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된 금형의 내부로 용융된 사출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물과 결합된 상기 사출재료가 고화된 후에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상기 인서트물과 결합된 사출재료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INJECTION MOLDING METHOD FOR MAKING THINWALL PRODUCT USING INSERT ELEMENT INSERTION AND THINWALL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들과 코어의 사이에 삽입된 인서트물이 코어에 밀착함으로써 인서트물이 밀착된 코어의 부분에 용융된 사출재료의 사출압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두께가 일정한 박막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방법은 금형을 체결하고 체결된 금형의 내부의 공간으로 용융된 사출재료를 주입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때 금형의 내부 공간의 모든 부분에까지 용융된 사출재료가 흘러들어가 충진되기 위해서는 용융된 사출재료의 사출압은 상당히 고압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금형들은 사출재료에 의해 작용하는 높은 사출압을 견디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와 강성을 갖는다.
한편,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될 제품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제품일 경우에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가 금형들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때 제작될 제품의 두께가 매우 얇은 박막제품의 경우에는 금형들의 사이에 개재된 코어가 제위치를 조금만 이탈하여도 제품의 두께에 편차가 발생한다.
특히, 제조될 제품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두께가 얇은 박막제품인 동시에 제품의 폭이 좁고 높이가 큰 경우에는 이에 따라 코어의 형상도 폭이 좁고 높이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의 코어는 높이에 비해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코어에 하중이 작용할 때에 두께가 얇은 외팔보에 하중이 작용하는 것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작은 하중에 의해서도 코어의 끝단의 변형량은 커지게 되고, 이러한 코어의 변형에 따라 제작되는 박막제품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이 불량하게 되고,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면 원가상승을 초래하고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와 금형의 내측면의 사이에 인서트물을 삽입하여 코어의 양면에 인서트물을 밀착시키고 이에 따라 인서트물이 밀착된 코어의 부분에는 용융된 사출재료의 사출압이 미치지 않게 되어 제조되는 박막제품의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금형의 내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인서트물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금형의 사이에 코어를 개재시키면서 상기 각 금형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이 코어의 양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된 금형의 내부로 용융된 사출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물과 결합된 상기 사출재료가 고화된 후에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상기 인서트물과 결합된 사출재료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인서트물은 가장자리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코어는 6㎜이하의 두께와 30㎜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기 금형의 내측면과 상기 코어의 사이의 간격은 0.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각 금형의 내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인서트물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금형의 사이에 코어를 개재시키면서 상기 각 금형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이 코어의 양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된 금형의 내부로 용융된 사출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물과 결합된 상기 사출재료가 고화된 후에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상기 인서트물과 결합된 사출재료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박막제품이며, 상기 박막제품은 대향하는 면들 각각에 상기 인서트물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제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이에 따른 박막제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을 실시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을 실시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금형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형체장치의 금형들과 코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체장치는 상부에 좌우에서 대면하고 상호간의 간격이 수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금형안내부(1)를 구비한다. 금형안내부(1)에는 금형(10)들을 안내하는 안내홈(2)들이 형성된다.
금형안내부(1)의 상방에는 금형(10)을 아래로 밀어내도록 각 금형(10)의 상면에 접하는 스프링(6)을 구비한 스프링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금형(10)은 외측에 금형안내부(1)의 안내홈(2)과 접하여 미끄럼운동을 생성하는 경사진 한 쌍의 안내레일(12)이 형성된다. 금형(10)의 내측은 2개의 박막제품을 일회로 제작하기 위해서 2개의 내측면(14)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금형(10)내측면(14)은 위쪽에 용융된 사출재료가 유입하는 게이트(16)가 2개씩 형성되고, 아래쪽은 금형(10)의 외부로부터 코어(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로 관통된 관통부(18)가 형성된다. 금형(10)은 상기 안내레일(12)이 금형안내부(1)의 안내홈(2)에 결합하면서 금형안내부(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금형(10)의 저면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체장치에 설치된 금형이송축(30)의 단부에 결합된 가압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금형(10)들의 아래쪽에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코어이송부(35)가 형성되고, 코어이송부(35)에 설치된 코어(7)는 각 금형(10)들의 관통부(18)를 밀폐하기 위해 상방으로 가늘어지게 형성된 테이퍼부(8)와 테이퍼부(8)에서 연장되어 금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9)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형체장치에서 금형(10)을 이동시키기 이전에 금형(10)의 내측면(14)에 플레이트 형상의 인서트물(24)을 부착한다. 인서트물(24)은 금형(10)의 내측면(14)보다 면적이 작고, 인서트물(24)의 가장자리는 내측면(14)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에 위치하여 인서트물(24)의 둘레를 따라 용융된 사출재료가 흘러 들어간다. 이 때 인서트물(24)의 두께는 제조된 박막제품(20)의 두께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금형(10)이 체결된 상태에서 주입될 사출재료가 흘러가는 코어(7)와 금형(10) 내측면(14)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인서트물(24)의 두께는 0.5㎜ 이하로 형성된다.
인서트물(24)은 금형(10)의 내부를 사출재료가 흐를때에 금형(10)의 내측면(14)에서 인서트물(24)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부착강도를 갖는다. 그리고, 제품이 완성된 후에는 인서트물(24)이 손상되지 않고 금형(10)의 내측면(14)으로부터 떨어질 정도의 부착강도를 갖도록 부착된다.
인서트물(24)이 부착된 금형(10)들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코어(7)를 위치시키기 위해 코어(7)가 장착된 코어이송부(35)가 상승한다. 코어(7)의 삽입부(9)는 6㎜이하의 두께를 갖고, 30㎜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상기 소정의 위치에 코어(7)가 도달한 후에는 금형이송축(30)이 상승하고 이때 금형이송축(30)의 단부에 결합된 가압부재(31)가 금형(10)의 저면을 밀게 된다. 가압부재(31)에 의해 상승하는 금형(10)은 그 안내레일(12)이 금형안내부(1)의 안내홈(2)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며, 금형안내부(1)의 안내홈(2)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승하는 금형(10)들은 상호간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서 체결되게 된다.
금형(10)들의 사이에는 코어(7)가 개재되기 때문에, 금형(10)들이 체결되면서 각각의 금형(10)의 내측면(14)에 부착된 인서트물(24)은 코어(7)의 양측면(23)에 각각 밀착하게 된다. 이 때 코어(7)의 양측면(23)과 인서트물(24)은 모두 평면이기 때문에 상호간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금형(10)이 체결된 상태에서 금형(10)에 형성된 게이트(16)를 통해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10)의 내부로 주입하며, 사출재료는 인서트물(24)의 외부인 동시에 금형(10)의 내부인 공간의 전체에 충진된다. 이 때 인서트물(24)과 코어(7)의 사이 및 인서트물(24)과 금형(10)의 내측면(14)의 사이로는 틈새가 없기 때문에 사출재료가 스며들지 않는다.
금형(10)들의 내부에서 사출재료가 고화된 후에, 금형이송축(30)을 후퇴시킨다. 이때 금형이송축(30)에 의한 지지가 해제된 금형(10)들은 상부의 스프링장치(5)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면서 금형(10)이 개방된다.
금형(10)으로부터 박막제품(20)을 탈거하면, 인서트물(24)이 삽입된 박막제품(20)이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제품(20)은 윗면 및 상기 윗면(22)과 이어진 4개의 측면(23)으로 이루어진다. 박막제품(20)은 사출재료가 고화된 부분인 사출재료부(21)와 인서트물(24)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인서트물(24)은 4개의 측면(23)들 중 상대적으로 넓은 대향하는 2개의 측면(23)들에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물(24)은 사출재료부(21)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금형(10)내에 사출재료가 주입될 때에 인서트물(24)은 용융되지 않고 고유의 형상을 유지해야 하므로 인서트물(24)은 박막제품(20)을 이루는 사출재료보다 녹는점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인서트물(24)의 두께는 인서트물(24)이 결합된 측면(23)의 두께와 동일하다. 인서트물(24)의 표면중에서 가장자리는 사출공정시에 용융된 사출재료가 인서트물(24)과 코어(7)의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어(7)와 밀착하도록 매끄러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 안쪽의 부분은 평면 또는 요철이 형성된 면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물(24)의 표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채택하였으나, 인서트물(24)의 표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서트물(24)의 가장자리의 안쪽의 표면은 음각이나 양각으로 형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서트물(24)은 인서트물(24)이 결합된 박막제품(20)의 측면(23)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제품(20)의 면들의 두께는 0.3㎜이고, 높이는 52㎜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박막제품(20)은 캠코더의 배터리의 외측커버에 사용된다. 그러나, 박막제품(20)은 면들의 두께가 얇고 소정치수 이상의 높이를 갖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배터리 외측커버 등의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갖는 박막제품(20)을 제조하는데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내부에 두께가 얇고 높이가 큰 코어(7)가 삽입되고 코어(7)의 양측으로 대향하는 면들이 형성되는 박막제품(20)의 제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박막제품(20)은 0.5㎜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고, 코어(7)는 6㎜이하의 두께를 갖고 30㎜ 이상의 높이를 갖는 경우에 적합하다. 박막제품(20)의 두께가 0.5㎜이상인 경우에는 사출재료가 흘러들어가는 금형(10)과 코어(7)의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사출압이 그리 크지 않아도 사출재료가 쉽게 금형(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이 경우의 사출압에 의해서는 코어(7)가 쉽게 변형하지 않으므로 인서트물(24)을 사용할 필요성이 적게 된다. 박막제품(20)의 두께가 6㎜ 이하의 경우에는 금형(10)과 코어(7) 사이의 간격이 작아서 사출재료가 금형(10) 내부공간의 전체에 침투하려면 사출재료의 사출압이 매우 커야 하고, 따라서 인서트물(24)의 사용의 필요성이 커진다. 또한 코어(7)의 두께가 6㎜이상인 경우에는 코어(7)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사출재료의 사출압에 의한 변형이 무시할 만한 수준이 되므로 역시 인서트물(24)을 사용할 필요성이 적게 된다. 코어(7)의 높이가 30㎜이하인 경우에도 길이가 짧아서 상대적으로 코어(7)의 변형량이 작게 되므로 역시 인서트물(24)을 사용할 필요성이 적게 된다. 이는 두께가 얇은 외팔보가 횡방향의 하중을 받는 경우의 양상과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방법에 따르면, 인서트물(24)이 코어(7)와 금형(10) 내측면(14)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인서트물(24)이 개재된 부분에서는 사출재료가 침투하지 않고 따라서 코어(7)는 인서트물(24)이 포개어진 면적에서는 사출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어(7)의 양측에서 작용하는 사출압의 크기 자체가 작으므로 양측에서 작용하는 사출압의 크기에 차이가 있어도 그 차이 역시 작게 된다. 결국, 사출압의 차이에 의해서도 코어(7)가 변형하지 않고 금형(10)의 내부에서 제위치를 유지하므로 박막제품(20)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코어(7) 자체에 작용하는 사출압이 작게 됨에 따라 박막제품(20)의 두께 편차가 없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코어(7) 자체의 수명도 길어지게 된다.
인서트물(24)이 결합된 박막제품(20)의 인서트물(24)은 다양하게 디자인을 변화시키거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품을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또한, 금형(10)과 코어(7)의 사이에 인서트물(24)이 삽입되기 때문에, 코어(7)에 작용하는 사출압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금형(10)의 내부에서 인서트물(24)이 코어(7)를 지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코어(7)의 변형이 더욱 더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코어(7)를 소정의 위치로 상승시킨 후에 금형(10)들의 체결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인서트물(24)이 금형(10)의 내측면(14)에서 떨어지지 않으면서 동시에 코어(7)와 인서트물(24)을 확실하게 밀착하고자 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인서트물(24)이 금형(10)의 내측면(14)에서 떨어지지 않으면서 동시에 코어(7)와 인서트물(24)을 확실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달성되는 한 코어(7)를 상승하면서 동시에 금형(10)을 체결하거나 또는 금형(10)을 체결한 이후에 코어(7)를 금형(10)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하면 코어와 인서트물이 밀착된 부분에 용융된 사출재료의 사출압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코어가 변형하지 않고 제위치를 유지하고 따라서 두께가 일정한 양질의 박막제품이 얻어지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일정한 두께의 박막제품을 손쉽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품질향상과 우수한 양산성의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게 된다.
코어 자체에 작용하는 사출압이 작게 됨에 따라 박막제품의 두께 편차가 없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코어 자체의 수명도 길어지는 잇점이 있다.
박막제품의 일부를 인서트물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인서트물에 사용목적에 따른 문자나 모양을 형성하여 광고, 정보제공 등의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인서트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두께를 최소한으로 얇게 하면서도 그 두께가 일정한 박막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투입되는 원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인서트물의 형상은 어느 정도는 금형의 형상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지만, 상당히 폭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디자인에 대한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을 실시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금형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형체장치의 금형들과 코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
1: 금형안내부 2: 안내홈
5: 스프링장치 6: 스프링
7: 코어 8: 테이퍼부
9: 삽입부 10: 금형
12: 안내레일 14: 내측면
16: 게이트 20: 박막제품
24: 인서트물 30: 금형이송축
35: 코어이송부

Claims (4)

  1. 각 금형(10)의 내측면(14)의 소정의 위치에 인서트물(24)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금형(10)의 사이에 코어(7)를 개재시키면서 상기 각 금형(10)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24)이 코어(7)의 양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된 금형(10)의 내부로 용융된 사출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물(24)과 결합된 상기 사출재료가 고화된 후에 상기 금형(10)을 분리하여 상기 인서트물(24)과 결합된 고화된 사출재료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물(24)은 가장자리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7)는 6㎜이하의 두께와 30㎜이상의 높이를 갖고, 상기 금형(10)의 내측면(14)과 상기 코어(7)의 사이의 간격은 0.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4. 각 금형(10)의 내측면(14)의 소정의 위치에 인서트물(24)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금형(10)의 사이에 코어(7)를 개재시키면서 상기 각 금형(10)을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서트물(24)이 코어(7)의 양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된 금형(10)의 내부로 용융된 사출재료를 주입하는 단계와, 및 상기 인서트물(24)과 결합된 상기 사출재료가 고화된 후에 상기 금형(10)을 분리하여 상기 인서트물(24)과 결합된 고화된 사출재료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박막제품이며,
    상기 박막제품(20)은 내부공간을 갖고 한 쌍의 대향하는 면들에 상기 인서트물(24)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제품.
KR10-2004-0013166A 2004-02-26 2004-02-26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KR10053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166A KR100536129B1 (ko) 2004-02-26 2004-02-26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166A KR100536129B1 (ko) 2004-02-26 2004-02-26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395A KR20050087395A (ko) 2005-08-31
KR100536129B1 true KR100536129B1 (ko) 2005-12-14

Family

ID=372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166A KR100536129B1 (ko) 2004-02-26 2004-02-26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12B1 (ko) * 2008-06-25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0910154B1 (ko) 2007-06-12 2009-07-30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154B1 (ko) 2007-06-12 2009-07-30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KR100906612B1 (ko) * 2008-06-25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395A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6758A (en) Mold
US6743389B2 (en) Resin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resin molding
US44432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sing together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s
KR920021290A (ko)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KR100536129B1 (ko)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KR100524232B1 (ko)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성형방법 및 성형금형
JP4153862B2 (ja) 半導体樹脂封止用金型
JPS62251114A (ja) 窓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205199B1 (ko) 사출금형장치
JP2002509500A (ja) 一体型電槽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11126787A (ja)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及び金型
JP6207378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CN220720160U (zh) 注塑模具
CN215969737U (zh) 模压组合模具和复合材料底板
CN219191086U (zh) 一种具有多个斜顶机构的模具
KR101381756B1 (ko)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CN216506422U (zh) 一种防脱注射模
CN215791295U (zh) 半导体塑封用的模具结构
JPH10128785A (ja) インサート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射出成形金型装置
JPS62178314A (ja) 射出成形金型
JPS61222711A (ja) ゴムと金属板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
JPS646268Y2 (ko)
JP2525240B2 (ja) テ―プカ―トリッジ
JPS5917664B2 (ja) 複合容器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729366B2 (ja) 樹脂プレス成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