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059B1 -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059B1
KR100536059B1 KR1019980020021A KR19980020021A KR100536059B1 KR 100536059 B1 KR100536059 B1 KR 100536059B1 KR 1019980020021 A KR1019980020021 A KR 1019980020021A KR 19980020021 A KR19980020021 A KR 19980020021A KR 100536059 B1 KR100536059 B1 KR 10053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oling
washing
wate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851A (ko
Inventor
정희도
Original Assignee
정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도 filed Critical 정희도
Priority to KR101998002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0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탈수통(12)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냉각수조(14)로 구성된 한쌍의 냉각수조유니트(16A)(16B)를 병렬배치하고, 각 냉각수조(14)의 측벽에 냉각수공급관(30)을 연결하며 저면에는 세척수배출관(32)과 냉각수배출관(34)을 연결하고 냉각수공급관(30)과 냉각수배출관(34)을 칠링유니트(46)에 연결하며 세척수배출관(32)을 세척수배출수단(42)에 연결한다. 탈수통(12)을 상부개방형으로 구성하여 청과물운반상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냉각수조(14)의 상부내주연에 세척수공급수단(38)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분사노즐관(28)을 착설하며, 일측 냉각수조유니트(16A)가 세척과정을 수행할때 타측 냉각수조유니트(16B)는 냉각과정을 수행토록하며 냉각과정이 수행되는 냉각수조유니트(16B)에 밀폐용덮개(54)를 덮고 냉각과정이 완료된 냉각수는 칠링유니트(46)를 통하여 세척과정이 완료된 냉각수조(16A)측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본 발명은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수조내에 청과물운반상자가 수용되는 탈수통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두개의 냉각수조유니트를 병렬배치하고 각각의 냉각수조유니트에 세척수공급 회로와 냉각수공급회로를 연결하여 일측 냉각수조유니트에서 청과물의 수세척 및 탈수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타측 냉각수조유니트에서는 청과물의 냉각과정이 수행되도록하며 각 냉각수조유니트에서의 처리과정이 완료되면 각 과정이 교환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한 청과물 세척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기에 수확된 야채나 과실등의 청과물을 0℃-10℃의 냉각수에 급냉각시켜 자체세포의 성장을 멈추게하고 양분의 소모를 방지하며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므로서 유통과정에서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보존할 수 있도록 청과물을 냉각시키고 있다.
종래의 청과물 냉각장치의 한 전형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냉각수가 수용된 냉각수조의 저면에 콘베이어를 설치하여 냉각처리될 야채나 과실을 냉각수조에 투입하여 냉각처리하고 콘베이어의 작동으로 냉각처리된 청과물을 냉각수조밖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청과물냉각장치는 냉각수조의 냉각수에 청과물을 투입하여 냉각시키고 냉각처리된 청과물을 냉각수조밖으로 이송하는 형태로서 냉각방식에 있어서는 다분히 수동형의 장치라 아니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청과물냉각장치는 처리될 청과물이 중량이 가벼운 아채인 경우에 냉각수조의 냉각수내에 깊히 잠기지 아니하고 냉각수표면으로 부상된 상태에서 냉각처리되므로 냉각처리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냉각처리시간을 길게 잡을 수 밖에 없다. 또한 냉각 처리후 콘베이어에 의하여 냉각처리된 청과물이 냉각수조밖으로 이송될 때에 청과물표면에 다량의 냉각수가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 이송되며 이러한 냉각수가 자연탈수될 때까지 청과물을 비교적 장시간 정지시켜 놓아야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본원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출원제97-14186호(1997년 4월 17일자출원)에 있어서는 청과물냉각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이 청과물냉각장치는 냉각수공급라인과 배수라인을 갖는 냉각수로, 순환펌프와 칠러유니트를 가지며 칠러유니트에 냉각수공급라인이 연결된 칠링유니트와, 순환펌프에 연결된 순환유출라인과 냉각수공급라인에 연결된 순환유입라인을 갖는 냉각수저장탱크로 구성되며, 냉각수조내에 중심에 냉각수분사통을 갖는 탈수통을 회전가능하게 착설하고 냉각수분사통의 하측단에 모우터에 연결되는 전동풀리는 착설하며 냉각수 분사통의 하단에 냉각수유입관을 연결하여 이에 냉각수공급라인을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본원출원인의 특허출원에 소개된 청과물 냉각장치는 냉각수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탈수통의 내부중심으로 냉각수분사통이 입설되어 있어 탈수통내에 투입된 청과물에 냉각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되어 있으므로, 탈수통내의 냉각수분사통이 있어 탈수통내부의 구조와 이러한 냉각수분사통으로의 냉각수공급계통구조가 복잡한 결점이 있고, 특히 탈수통에는 청과물만을 투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량이 비교적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청과물은 상부개방형이고 측벽과 저면에 통공을 갖는 규격화된 크기의 직육면체형 청과물운반상자에 넣어져 운반되므로 이러한 청과물운반상자에 있는 청과물을 일일이 꺼내어 탈수통에 투입하고 인출하는 작업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또한 상기 본원출원인의 특허출원에 소개된 청과물냉각장치에는 청과물세척기능이 없는 것이 큰 결점이라하겠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없는 새로운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수조내의 탈수통내에 청과물이 청과물 운반상자에 넣어져 있는 상태로 청과물운반상자가 수용되는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렬배치된 두 냉각수조유니트중 일측유니트에서는 수세척 및 탈수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타측 냉각수조유니트에서는 청과물의 냉각과정이 수행되고 이어서 양측 유니트의 처리과정이 교환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하므로서 청과물의 단위시간당 냉각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내부에 탈수통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냉각수조로 구성된 한쌍의 냉각수조유니트를 병렬배치하고, 각 냉각수조의 측벽에 냉각수공급관을 연결하며 저면에는 세척수배출관과 냉각수배출관을 연결하고 냉각수공급관과 냉각수배출관을 칠링유니트에 연결하며 세척수배출관을 세척수배출수단에 연결한 청과물 세척및 냉각장치가 제공되는 바, 탈수통을 상부개방형으로 구성하여 청과물운반상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냉각수조의 상부내주연에 세척수공급수단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분사노즐관을 착설하며, 일측 냉각수조유니트가 세척과정을 수행할때 타측 냉각수조유니트는 냉각과정을 수행토록하며 냉각과정이 수행되는 냉각수조유니트에 밀폐용덮개를 덮고 냉각과정이 완료된 냉각수는 칠링유니트를 통하여 세척과정이 완료된 냉각수조측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10)를 보인 것이다. 이 장치(10)는 내부에 탈수통(12)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냉각수조(14)로 구성되고 병렬배치된 한쌍의 냉가수조유니트(16A)(16B)로 구성된다.
탈수통(12)은 상부개방형의 원통형이고 망체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부로부터 청과물이 담긴 측면 및 저면개방형의 통상적인 청과물운반상자(18)(일점대선으로보임)가 원형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탈수통(12)은 저면중심으로부터 냉각수조(14)의 하측으로 연장된 회전축(20)과 저면변부의 회전바퀴(22)에 의하여 냉각수조(14)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축(20)의 하측에 착설된 풀리(24)에 벨트(26)를 통하여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냉가수조(14)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수조(14)의 상부내주연에는 탈수통(12)내의 청과물에 세척수를 분사공급할 수 있는 세척수분사노즐관(28)이 착설되어 있고 측벽에 냉각수공급관(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저면에 세척수배출관(32)과 냉각수배출관(34)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냉각수조유니트(16A)(16B)의 냉각수조(14)에 착설된 세척수분사노즐관(28)은 각각 전자밸브(36A)(36B)를 통하여 세척수공급수단(38)에 연결되고 각 냉각수조(14)의 세척수배수관(32)은 각각 전자밸브(40A)(40B)를 통하여 세척수배출수단(42)에 연결된다. 필요한 경우 세척수배출수단(42)으로 배출된 세척수는 여과후에 세척수공급수단(38)으로 보내어질 수 있다.
한편, 각 냉각수조유니트(16A)(16B)의 냉각수조(14)에 연결된 냉각수공급관(30)은 각각 전자밸브(44A)(44B)를 통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칠링유니트(46)의 냉각수공급단(48)에 연결되며 냉각수배출관(34)은 각각 전자밸브(50A)(50B)를 통하여 칠링유니트(46)의 냉각수배출단(52)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 냉각수조유니트(16A)(16B)의 냉각수조(14)는 그 상부가 동일높이에 배치되고 냉각수조(14)의 상부를 기밀하게 밀폐할수 있는 밀폐용 덮개(54)가 각 냉각수조(14)를 교호로 폐쇄토록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부가적으로 각 냉각수조(14)에는 각각 전자밸브(56A)(56B)를 통하여 진공냉각수단(58)이 연결되어 있다. 이 진공냉각수단(58)은 밀폐된 냉각수조(14)에 진공배압을 가하여 냉각수배출후 냉각수조(14)의 내부를 진공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1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에서 보인 장치(10)의 과정은 도면에서 좌측의 냉각수조유니트(16A)에서는 세척과정이 수행되고 우측의 냉각수조유니트(16B)에서는 냉각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좌측으로 냉각수조유니트(16A)는 밀폐용 덮개(54)가 덮히지 아니한상태에서 냉각수조유니트(16A)의 냉각수조(14)내에 있는 탈수통(12)에 세척 및 냉각될 청과물이 담긴 청과물운반상자(18)가 작업자에 의하여 수용된다. 이후에 전자밸브(36A)가 개방되어 세척수공급수단(38)으로부터 세척수분사노즐관(28)으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세척수분사노즐관(28)은 세척수를 청과물에 분사공급한다. 이때 세척수배출관(32)의 전자밸브(40A), 냉각수공급관(30)의 전자밸브(44A)냉각수배출관(34)의 전자밸브(50A)가 폐쇄되어 냉각수조유니트(16A)의 냉각수조(14)에는 세척수의 수위가 점차상승하여 청과물이 세척수에 잠기게 되며 탈수통(12)은 회전축(20)을 통하여 서서히 좌우회전하므로서 청과물을 세척한다.
일정시간동안 청과물이 세척수내에서 세척된후에는 전자밸브(36A)를 폐쇄하여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전자밸브(40A)를 개방하여 세척수배출관(32)을 통해 세척수배출수단으로 세척수를 배출한다.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될 즈음에 회전축(20)으로 탈수통(12)을 빠르게 회전시켜 청과물에 묻어 있는 세척수를 원심탈수한다.
세척수의 탈수가 끝난 냉각수조내의 청과물은 다음 단계에서 냉각수로 냉각 처리된다. 이러한 냉각처리과정은 도면에서 우측의 냉각수조유니트(16B)에서 설명될 것이다.
세척과정이 완료된 냉각수조(14)에는 칠링유니트(46)로부터 냉각수공급단(48), 전자밸브(44B)및 냉각수공급관(30)을 통하여 냉각수조(14)에 냉각수가 공급된다. 이때에 냉각수배출관(34)의 전자밸브(50B)는 폐쇄상태에 있다.
냉각수조(14)내의 냉각수레벨이 일정레벨에 이르러 청과물이 냉각수내에 잠기면 냉각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탈수통(12)을 좌우로 서서히 회전시켜 청과물이 급냉각되게 한다.
이후 냉각수에 의한 냉각처리과정이 끝나면 전자밸브(50B)를 열어 냉각수배출관(34)으로 냉각수를 배출한다(실제로 냉각수는 칠링유니트 48로 배출됨과 동시에 세척과정이 완료되어 냉각과정이 준비되는 타측 냉각수조 14로 공급된다. 이는 추후설명된다). 냉각수의 배출이 완료될 즈음에 탈수통(12)을 빠르게 회전시켜 냉각수를 원심탈수시킨다. 이후에 밀폐용덮개(54)를 덮어 냉각수조(14)를 밀폐하고 냉각수공급관(30), 냉각수배출관(34)과, 세척수배출관(32)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자밸브(56B)를 열고 진공냉각수단(58)을 통하여 냉각수조(14)에 진공배압을 가하므로서 냉각수조(14)의 내부를 진공시켜 청과물을 진공하에 급냉효과가 상승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양측 냉각수조유니트(16A)(16B)의 처리과정은 교대로 반복되며 세척이 완료된 냉각수조(14)측으로 냉각이 완료된 냉각수조(14)의 냉각수가 공급되어 세척이 완료된 냉각수조(14)에서 냉각처리과정이 시작되고 냉각이 완료된 냉각수조(14)에서는 냉각처리된 청과물이 인출되고 새롭게 세척될 청과물이 운반되어 수용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 장치는 청과물이 청과물운반상자에 담긴상태로 세척 및 냉각처리되므로 작업자의 작업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두개의 냉각수조유니트를 이용하여 세척 및 냉각처리과정을 교대로 수행케하므로서 냉각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장치의 전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탈수통 14.....냉각수조
16A, 16B.....냉각수조유니트 28.....세척수분사노즐관
30.....냉각수공급관 32.....세척수배출관
34.....냉각수배출관 38.....세척수공급수단
42.....세척수배출수단 46.....칠링유니트
54.....밀폐용덮개

Claims (1)

  1. 내부에 탈수통(12)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냉각수조(14)로 구성된 한쌍의 냉각수조유니트(16A)(16B)를 병렬배치하고, 각 냉각수조(14)의 측벽에 냉각수공급관(30)을 연결하며 저면에는 세척수배출관(32)과 냉각수배출관(34)을 연결하고 냉각수공급관(30)과 냉각수배출관(34)을 칠링유니트(46)에 연결하며 세척수배출관(32)을 세척수배출수단(42)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탈수통(12)을 상부개방형으로 구성하여 청과물운반상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냉각수조(14)의 상부내주연에 세척수공급수단(38)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분사노즐관(28)을 착설하며, 일측 냉각수조유니트(16A)가 세척과정을 수행할때 타측 냉각수조유니트(16B)는 냉각과정을 수행토록하며 냉각과정이 수행되는 냉각수조유니트(16B)에 밀폐용덮개(54)를 덮고 냉각과정이 완료된 냉각수는 칠링유니트(46)를 통하여 세척과정이 완료된 냉각수조(16A)측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하는 청과물세척 및 냉각장치.
KR1019980020021A 1998-05-30 1998-05-30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KR10053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021A KR100536059B1 (ko) 1998-05-30 1998-05-30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021A KR100536059B1 (ko) 1998-05-30 1998-05-30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851A KR19990086851A (ko) 1999-12-15
KR100536059B1 true KR100536059B1 (ko) 2006-02-28

Family

ID=3717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021A KR100536059B1 (ko) 1998-05-30 1998-05-30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10B1 (ko) * 2003-10-14 2008-06-09 스토르크 타운샌드, 인크. 주입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이중 필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936B1 (ko) * 2009-06-29 2010-02-08 정희도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5087U (ko) * 1981-03-24 1982-09-29
JPS6012928A (ja) * 1983-07-05 1985-01-23 Eizo Shimizu 魚菜の漬物製造方法
JPS646882U (ko) * 1987-06-30 1989-01-13
KR100201960B1 (ko) * 1997-04-17 1999-06-15 정희도 청과물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5087U (ko) * 1981-03-24 1982-09-29
JPS6012928A (ja) * 1983-07-05 1985-01-23 Eizo Shimizu 魚菜の漬物製造方法
JPS646882U (ko) * 1987-06-30 1989-01-13
KR100201960B1 (ko) * 1997-04-17 1999-06-15 정희도 청과물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10B1 (ko) * 2003-10-14 2008-06-09 스토르크 타운샌드, 인크. 주입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이중 필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851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7000A (en) Positive develo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40936B1 (ko)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KR100725470B1 (ko) 병 또는 그와 같은 용기의 세척 방법 및 세척기
KR101374808B1 (ko) 배추 절임장치
US5009150A (en) Device for the heating or cooling of food-stuffs
KR100536059B1 (ko)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US4563364A (en) Method for steam blanching foodstuffs in a pressure vessel
CN206275114U (zh) 一种温度控制法快速制作再制蛋系统
CN112753752A (zh) 微波与超声辅助果蔬变频离心脱水干燥的一体化装置及其应用
CN106766551B (zh) 水产清洗设备
KR100536057B1 (ko) 청과물냉각장치
JP3548975B2 (ja) 発芽玄米製造装置
KR200324450Y1 (ko) 청과물 예냉기
GB2030479A (en) Liq. treatment of articles
KR100201960B1 (ko) 청과물 냉각장치
CN216369397U (zh) 一种无水雾干扰的间歇式洗瓶机
US4015022A (en) Method of reducing the content of irritant substances in coffee
US3607546A (en) Apparatus for acid polishing or like treatment of glass articles
KR100423078B1 (ko) 청과물용 예냉기
FR2621110A1 (fr) Installation de refrigeration de produits et notamment de legumes frais
CN218975405U (zh) 一种硅片清洗机台
KR200333337Y1 (ko) 청과물냉각장치
CN208354516U (zh) 一种蔬菜腌制装置
CN209238573U (zh) 全方位梯度温度自动化超声波洗瓶机
JP2002012208A (ja) 容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